바타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타비아는 로마 시대 이전부터 중세 시대,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지명이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게르만 부족 바타비족의 거주지였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네덜란드인들이 바타비족의 역사를 재발견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바타비아는 식민지 시대에 자카르타의 옛 이름으로 사용되었고, 미국, 수리남 등지에도 지명으로 남아있다. 20세기 이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토지 정리, 대홍수 등 다양한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역사적 지역 - 프리슬란트
프리슬란트는 서프리슬란트, 동프리슬란트, 북프리슬란트 세 지역으로 구분되며,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에 걸쳐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지역이다.
바타비아 | |
---|---|
지리적 위치 정보 | |
일반 정보 | |
지명 | 바타비아 |
다른 이름 | 베튀어 (현재 지역) |
위치 | 네덜란드, 헬데를란트주 |
유형 | 역사적 부족 땅 |
일부 | 게르마니아 |
문화 | 바타비족 |
비고 | 바타비아 반란 |
역사 | |
건설 | 알 수 없음 |
포기 | 알 수 없음 |
시대 | 알 수 없음 |
종속 | 로마 제국 (서기 80년 이후) |
추가 정보 | |
면적 | 알 수 없음 |
길이 | 알 수 없음 |
너비 | 알 수 없음 |
언어 정보 | |
라틴어 | Batavia |
네덜란드어 | 베튀어(Betuwe) |
원시 게르만어(재구) | *Batawjō |
2. 로마 이전 시대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서 "바타비족의 섬"을 언급했다. 이 섬의 최동단 지점은 라인강이 발과 하부 라인강으로 갈라지는 지점이라고 기록했다.[2] 타키투스는 바타비족이 원래 카티족의 일부였으며, 내부 갈등으로 인해 새로운 거주지로 이주해야 했다고 기록했다.[3]
타키투스는 또한 그들이 도착하기 전에 그 지역이 "갈리아 해안의 가장자리에 있는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이었고, 앞쪽에는 대양이, 뒤쪽과 양쪽에는 라인강이 둘러싸인 이웃 섬이 있었다"고 보고했다.[4]
현대 고고학자들은 타키투스와 달리, 로마 시대 이전에도 바타비족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고 주장한다. 카이사르는 메나피족이 독일과의 현대 국경 근처, 삼각주 시작 부분까지 정착지를 가지고 있었다고 언급하여, 로마 시대 이전 바타비족의 존재를 암시했다.[6]
2. 1.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기록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서 "바타비족의 섬"을 언급했다. 이 섬의 최동단 지점은 라인강이 발과 하부 라인강으로 갈라지는 지점이라고 기록했다.[2]2. 2. 타키투스의 기록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서 "바타비족의 섬"을 언급했다. 이 섬의 최동단 지점은 라인강이 갈라지는 지점에 있으며, 한쪽 물줄기는 발이고 다른 쪽 물줄기는 하부 라인강/오데 라인강이다.[2] 훨씬 후대에 타키투스는 그곳에 살던 바타비족이 원래 카티족의 일부였으며, 내부 갈등으로 인해 새로운 거주지로 이주해야 했다고 기록했다.[3]타키투스는 또한 그들이 도착하기 전에 그 지역이 "갈리아 해안의 가장자리에 있는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이었고, 앞쪽에는 대양이, 뒤쪽과 양쪽에는 라인강이 둘러싸인 이웃 섬이 있었다"고 보고했다.[4] 그는 더 자세한 설명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바타비족의 섬은 쉽게 상륙할 수 있고 군대를 받아 강을 건너 전쟁을 수행하기에 편리하기 때문에 약속된 집결지였다. 라인강은 하나의 수로로 계속 흐르거나 단지 미미한 섬들만을 둘러싸고 있다가, 바타비족 영토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며, 그 이름과 빠른 흐름을 유지하며 독일을 씻어내고 바다와 합류한다. 갈리아 쪽 강둑에서는 그 흐름이 더 넓고 부드러워지며, 강둑에 사는 사람들에 의해 바할이라는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곧 그 이름도 모사강으로 바뀌어 거대한 입을 통해 같은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5]
2. 3. 고고학적 증거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서 "바타비족의 섬"을 언급했다. 현대 고고학자들은 타키투스와 달리, 로마 시대 이전에도 바타비족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고 주장한다. 카이사르는 메나피족이 독일과의 현대 국경 근처, 삼각주 시작 부분까지 정착지를 가지고 있었다고 언급하여, 로마 시대 이전 바타비족의 존재를 암시했다.[6]3. 로마 시대
로마 제국 시대에 게르만 부족인 바타비족의 ''키비타스''가 오늘날의 베튀베와 같은 지역인 라인-뫼즈 삼각주에 있는 강들 사이의 큰 섬에 있었다.[7] 바타비족은 해안 근처 서쪽에 있는 카니네파테스와 섬을 공유했으며, 그들의 로마 도시는 네이메헌이었다.
대 플리니우스가 이 이름을 언급했으며, 타키투스는 68년의 게르만 봉기에 대한 기록에서 "라인 강 자체에서 바타비아는 길이 거의 약 160.93km에 달하며, 바타비족과 카니네파테스족에게 가장 유명한 섬이다"라고 말했다.[8]
이후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프랑크 살리족을 그곳에 살았던 민족으로 언급했다. 조시무스는 260년에 로마의 격변과 그 이후의 게르만족의 돌파 과정에서 그들이 처음으로 라인 강을 건넜다고 주장하는 유일한 고전 작가이다. 두 저자는 프랑크 살리족이 바타비아에서 남쪽으로 톡산드리아로 밀려났다는 데 동의한다.
3. 1. 바타비족의 키비타스
로마 제국 시대에 게르만 부족인 바타비족의 ''키비타스''가 있었다. 이곳은 라인-뫼즈 삼각주에 있는 강들 사이의 큰 섬으로 묘사되었으며, 오늘날의 베튀베와 같다.[7] 바타비족은 해안 근처 서쪽에 있는 카니네파테스와 섬을 공유했다. 그들의 로마 도시는 네이메헌이었다.이 이름은 대 플리니우스에 의해 언급되었으며, 68년의 게르만 봉기에 대한 타키투스의 기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라인 강 자체에서 바타비아는 길이 거의 약 160.93km에 달하며, 바타비족과 카니네파테스족에게 가장 유명한 섬이다"라고 말했다.[8]
3. 2. 바타비족 반란
로마 제국 시대에 게르만 부족인 바타비족의 ''키비타스''가 있었다. 이곳은 라인-뫼즈 삼각주에 있는 강들 사이의 큰 섬으로 묘사되었으며, 오늘날의 베튀베와 같다.[7] 대 플리니우스는 바타비아를 언급했으며, 타키투스는 68년의 게르만 봉기에서 바타비족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라인 강 자체에서 바타비아는 길이 প্রায় 약 160.93km에 달하며, 바타비족과 카니네파테스족에게 가장 유명한 섬이다"라고 말했다.[8]3. 3. 프랑크 살리족의 등장
로마 제국 시대에 게르만 부족인 바타비족의 ''키비타스''가 있었으며, 이곳은 라인-뫼즈 삼각주에 있는 강들 사이의 큰 섬으로 묘사되었다. 이는 오늘날의 베튀베와 같다.[7]이후 로마 시대의 역사에서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프랑크 살리족을 그곳에 살았던 민족으로 언급했다. 조시무스는 260년에 로마의 격변과 그 이후의 게르만족의 돌파 과정에서 그들이 처음으로 라인 강을 건넜다고 주장하는 유일한 고전 작가이다. 두 저자는 프랑크 살리족이 바타비아에서 남쪽으로 톡산드리아로 밀려났다는 데 동의한다.
4. 중세 시대
카롤링거 왕조와 초기 중세 시대 오토 왕조 시대에 프랑크인들이 ''Batua''라고 불렀던 바타비아는 로마의 파기를 기반으로 한 프랑크 가우의 한 예였다. 여러 백작들이 그곳에 군대를 가지고 있었고, 메르센 조약과 같은 조약에서 언급된다. 이후 바타비아는 동남쪽에 설립된 헬레르 공국에 흡수되었다.
4. 1. 프랑크 왕국의 가우
카롤링거 왕조와 초기 중세 시대 오토 왕조 시대에 바타비아는 프랑크인들이 ''Batua''라고 불렀으며, 훨씬 더 오래된 로마의 파기를 기반으로 한 프랑크 가우의 한 예였다. 여러 백작들이 그곳에 그들의 군을 가지고 있었고, 유럽을 여러 프랑크 왕국들 사이에서 분할한 메르센 조약과 같은 조약에서 언급된다.4. 2. 헬레르 공국에 흡수
이후 바타비아는 주로 동남쪽에 설립된 헬레르 공국에 흡수되었다.5. 르네상스 시대
르네상스 시대에 네덜란드인들은 중세 이전의 바타비 문화와 역사를 재발견하고자 했다. 이러한 공통의 역사는 바타비를 모든 네덜란드인들의 '문화적 조상'으로 여기게 했다. 그들은 때때로 자신들이나 자신들의 물건을 바타비안이라고 불렀으며, 바타비아 공화국이 세워지기도 했다. ''바타비아''라는 이름은 네덜란드령 동인도와 같은 식민지에도 사용되었다.
1701년과 1709년 사이에 판네르덴 운하가 굴착되면서 베투베의 가장 동쪽 끝(판네르덴과 로비트 마을 포함)이 나머지 지역에서 잘려나갔다.
5. 1. 바타비아 부흥
르네상스 시대에 네덜란드인들은 중세 이전의 바타비 문화와 역사를 재발견하고자 했다. 이러한 공통의 역사는 바타비아를 모든 네덜란드인들의 ''문화적 조상''으로 여겼다. 그들은 때때로 자신들이나 자신들의 물건을 바타비안이라고 불렀으며, 그 결과 단명한 바타비아 공화국이 세워지기도 했다. ''바타비아''라는 이름은 네덜란드령 동인도와 같은 식민지에도 사용되어, 자야카르타 시의 이름이 1619년부터 약 1942년까지 바타비아로 변경되었다가 이후 자카르타(구 이름인 자야카르타의 줄임말)로 다시 변경되었다. 이 이름은 수리남의 수리남 바타비아, 홀랜드 토지 회사가 건설한 미국 뉴욕 바타비아의 도시와 마을, 시카고 근처의 일리노이 바타비아와 오하이오 바타비아 등에도 사용되었다.5. 2. 바타비아 공화국
르네상스 시대에 네덜란드인들은 중세 이전의 바타비 문화와 역사를 재발견하고자 했다. 이러한 공통의 역사는 바타비를 모든 네덜란드인들의 '문화적 조상' 지위로 끌어올렸다. (바타비 부흥 참조) 그들은 때때로 자신들이나 자신들의 물건을 바타비안이라고 불렀으며, 그 결과 단명한 바타비아 공화국이 세워지기도 했다.5. 3. 식민지 시대의 바타비아
르네상스 시대에 네덜란드인들은 중세 이전의 바타비 문화와 역사를 재발견하고자 했다. 이러한 공통의 역사는 바타비 부흥을 이끌었다. 그들은 때때로 자신들을, 혹은 그들의 물건들(''바타비아'')을 바타비안이라고 불렀으며, 그 결과 단명한 바타비아 공화국이 세워지기도 했다. ''바타비아''라는 이름은 네덜란드령 동인도와 같은 식민지에도 사용되어, 자야카르타 시의 이름을 1619년부터 약 1942년까지 바타비아로 변경했다. 이후 자카르타(구 이름인 자야카르타의 줄임말)로 다시 변경되었다(자카르타 역사 참조). 이 이름은 수리남의 수리남 바타비아, 홀랜드 토지 회사가 건설한 미국 뉴욕 바타비아, 시카고 근처의 일리노이 바타비아, 오하이오 바타비아 등에도 사용되었다.6. 20세기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마켓 가든 작전이 실패한 후, 독일군은 니메겐 돌출부 전투에서 연합군이 점령한 지역을 탈환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
1940년부터 1990년까지 이 지역 전체에서 토지 정리가 이루어져 규모의 경제를 더욱 확대하고 부서화를 통해 과일 생산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었다.[1]
1995년에는 강의 범람 위험으로 인해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이 대피해야 했다. 실제 범람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제방을 강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켰다.[1]
6. 1. 판네르덴 운하
판네르덴 운하가 1701년과 1709년 사이에 굴착되면서 베투베의 가장 동쪽 끝(판네르덴, 로비트 마을 포함)이 나머지 지역에서 잘려나갔다.6.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마켓 가든 작전에 실패한 이후, 독일군은 니메겐 돌출부 전투에서 연합군이 점령한 지역을 탈환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6. 3. 토지 정리와 과수 산업
1940년부터 1990년까지 이 지역 전체에서 토지 정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규모의 경제를 더욱 확대하고 부서화를 통해 과일 생산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었다.[1]6. 4. 1995년 대홍수
1995년 강의 범람 위험으로 인해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이 대피해야 했다. 실제 범람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제방을 강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켰다.[1]참조
[1]
웹사이트
Ontwikkeling van de fruitteelt in het rivierengebied
https://mijngelderla[...]
2024-07-08
[2]
웹사이트
C. Julius Caesar, ''Gallic War'', Book 4, chapter 10
https://www.perseus.[...]
[3]
서적
Germany and its Tribes
https://www.perseus.[...]
[4]
서적
Historiae
[5]
서적
The Annals
https://www.perseus.[...]
[6]
논문
The Lower Rhine ''Triquetrum'' Coinages and the Ethnogenesis of the Batavians
T. Grünewald & H.-J. Schalles
[7]
서적
The Kaleidoscopic Scholarship of Hadrianus Junius (1511–1575): Northern Humanism at the Dawn of the Dutch Golden Age
2014-03-08
[8]
서적
The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