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근영 (야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근영은 전 야구 선수이자, 현재 KBO 심판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996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나, 1997년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1998년부터 심판으로 활동하며, 잦은 오심으로 여러 차례 논란을 빚었다. 특히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여러 경기에서 오심 논란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징계를 받거나 2군으로 강등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야구 심판 - 이민호 (1970년)
    이민호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해태 타이거즈에서 선수로 활동한 야구 선수 출신으로, 은퇴 후 KBO 리그 심판으로 활동하며 2011년 1000경기 출장을 달성하고 2013년 KBO 리그 우수심판위원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야구 심판 - 나광남
    나광남은 KBO 심판 위원으로, 1994년부터 심판으로 활동하며 2012년 2000경기, 2022년에는 3000경기 출장을 기록했으며, 판정 번복으로 제재를 받기도 했다.
  • 경남대학교 동문 - 강창성
    강창성은 육군 보안사령관, 국회의원 등을 역임하고 하나회 연루로 삼청교육대에 투옥되기도 했으며, 2006년 사망한 인물이다.
  • 경남대학교 동문 - 하춘화
    1961년 만 6세에 데뷔한 가수 하춘화는 《물새 한 마리》, 《잘했군 잘했어》, 《영암 아리랑》, 《알고 계세요》 등 수많은 히트곡과 8,500회 이상의 공연, 2,400여 곡의 취입곡, 박사 학위 취득, 꾸준한 기부 활동으로 유명하다.
  • 대구고등학교 동문 - 박성재 (법조인)
    박성재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사 경력을 거쳐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주요 기업 비리 사건 수사를 지휘했다.
  • 대구고등학교 동문 - 노태강
    노태강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을 역임했으며 2017년에 임명되었다.
박근영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선수 정보
선수명박근영 (Park Geun-Young)
국적대한민국
출신지대구광역시
생년월일1973년 8월 2일 ()
포지션포수
투구/타석우투/우타
프로 입단 정보
프로 입단 년도1996년
드래프트 순위1996년 2차 18순위 (삼성 라이온즈)
선수 경력
아마추어慶南대학교 (경남대학교)
프로삼성 라이온즈 (1996년 - 1997년)
KBO 리그 기록
첫 출장KBO / 1997년
마지막 출장KBO / 1997년
기타 정보
병역미확인
연봉미확인
계약금미확인

2. 선수 경력

1996년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나, 1군에서는 큰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1997년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선수 은퇴 후 1998년부터 야구 심판으로 활동하고 있다.

2. 1. 삼성 라이온즈 시절

199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삼성 라이온즈의 2차 18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선수 시절 등번호는 65번이었다 (1996년~1997년). 1997년에는 1군에서 3경기 출장에 그쳤고, 대부분 2군에서 활동했다.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3. 심판 경력

1998년부터 KBO 심판 위원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활동 기간 동안 잦은 오심 논란에 휩싸였으며, 이로 인해 여러 차례 징계를 받거나 2군으로 강등되는 등 1군과 2군을 오가는 일이 잦았다.

주요 오심 및 논란 사례는 다음과 같다.

4. 논란

박근영은 선수 시절보다 심판으로 활동하면서 잦은 오심으로 더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중요한 순간이나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판정으로 야구 팬들과 관계자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주요 오심 사례로는 2010년 넥센 히어로즈KIA 타이거즈 경기에서의 오심 논란, 2011년 한화 이글스LG 트윈스 경기에서의 결정적인 보크 미선언 (9경기 출장 정지 징계), 2012년 롯데 자이언츠SK 와이번스 경기에서의 도루 관련 판정 번복 논란 등이 있다.

2013년에는 두 차례 큰 오심으로 KBO로부터 2군 강등 조치를 받았다. 6월 15일 넥센 히어로즈LG 트윈스 경기에서는 세이프 오심으로 넥센의 대량 실점 빌미를 제공했고, 9월 12일 두산 베어스SK 와이번스 경기에서는 명백한 내야 안타를 아웃으로 판정했다.[3][1]

이후에도 2014년 SK 와이번스KIA 타이거즈 경기에서의 병살 관련 오심 후 관중에게 폭행당하는 사건이 있었고, 2015년에는 한화 이글스삼성 라이온즈 경기에서의 홈 태그 아웃 오심, LG 트윈스삼성 라이온즈 경기에서의 스윙 판정 오심 등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4. 1. 2010년 넥센 히어로즈 대 KIA 타이거즈 경기 오심

2010년 4월 25일 넥센 히어로즈KIA 타이거즈 경기에서 박근영 심판의 오심 논란이 제기되었다.

4. 2. 2011년 한화 이글스 대 LG 트윈스 경기 보크 판정 논란

2011년 6월 8일 한화 이글스LG 트윈스 경기에서 박근영 심판이 주심으로 경기를 진행하였다. 9회초 2아웃 주자 3루로 5:6으로 LG가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3루 주자가 홈스틸을 시도하자 당황한 투수 임찬규는 홈에 송구하여 주자를 아웃시켜 경기를 종료시켰으나 이는 보크에 해당하는 행동이었다. 그러나 보크 선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박근영은 9경기 출장 정지의 징계를 받는다.

4. 3. 2012년 롯데 자이언츠 대 SK 와이번스 경기 오심

2012년 10월 6일 롯데 자이언츠SK 와이번스 경기에서 2루심을 맡았다. 이 경기에서 SK 와이번스박정권이 2루로 도루를 시도하는 상황에서, 포수의 송구가 뒤로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박근영 심판은 '아웃'을 선언했다. 이후 판정을 번복하여 '세이프'를 선언했지만, 그 사이 2루 베이스 커버를 들어온 유격수에게 박정권이 태그 아웃되면서 오심 논란이 일었다.

4. 4. 2013년 넥센 히어로즈 대 LG 트윈스 경기 오심

2013년 6월 15일 넥센 히어로즈LG 트윈스의 경기에서 5회 말 2사 만루 상황에서 오심이 발생했다. 박근영 심판은 아웃이 되어야 할 상황에서 세이프를 선언했고, 이 판정으로 인해 넥센 히어로즈는 해당 타석을 포함하여 8실점을 하며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받았다. 이 사건 이후 KBO는 박근영 심판을 2군으로 강등했다.

4. 5. 2013년 두산 베어스 대 SK 와이번스 경기 오심

2013년 9월 12일 두산 베어스SK 와이번스의 경기에서 1루심을 맡았던 박근영은 오심 논란을 일으켰다. 두산손시헌이 친 3루 깊숙한 타구를 SK 3루수 최정이 잡아 1루로 송구했으나, 송구가 다소 빗나가면서 1루수 박정권의 발이 베이스에서 떨어져 내야 안타가 될 상황이었다. 하지만 박근영 1루심은 아웃을 선언했다. 이 오심으로 인해 KBO는 그를 또다시 2군으로 강등시켰다.[3][1]

4. 6. 2014년 SK 와이번스 대 KIA 타이거즈 경기 오심 및 관중 폭행 사건

2014년 4월 30일 SK 와이번스KIA 타이거즈의 경기에서 6회초, KIA의 병살 플레이 시도 중 1루심을 맡았던 박근영은 1루 주자가 육안으로 보기에 아웃으로 판단될 수 있는 상황이었음에도 세이프를 선언하는 오심을 하였다. 이 판정으로 인해 7회초가 시작되기 전, 관중에게 폭행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4. 7. 2015년 한화 이글스 대 삼성 라이온즈 경기 오심

2015년 5월 12일 한화 이글스삼성 라이온즈의 경기에서 9회초 2사 3루 한화 이글스의 공격 상황에서 타자 김회성이 친 3루 땅볼을 3루수 박석민이 잡아 홈으로 송구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주자 강경학의 발이 홈을 먼저 태그했음에도 아웃으로 판정하여 또다시 논란이 되었다.

4. 8. 2015년 LG 트윈스 대 삼성 라이온즈 경기 오심

2015년 5월 31일 LG 트윈스삼성 라이온즈의 경기에서 5회말 2사 1루, 3루의 LG 트윈스 공격 상황에서 4번 타자 잭 한나한이 3볼 2스트라이크에서 6구째 헛스윙을 하지 않은 것을 스윙으로 판정하여, 또다시 논란이 되었다.

5. 출신 학교

참조

[1] 뉴스 http://sports.news.n[...]
[2] 간행물 한국야구위원회, 2014 가이드북
[3] 뉴스 http://sports.news.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