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목월은 1916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태어난 시인으로, 본명은 박영종이다. 1946년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 시집 《청록집》을 발간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초기에는 토속적인 서정과 민요적인 리듬을 바탕으로 자연과의 교감을 노래했으며, 대표작으로 〈나그네〉가 있다. 한국 전쟁 이후에는 고통, 죽음, 일상에 대한 성찰을 시에 담았고, 후기 작품에서는 지역 문화와 구어체를 활용했다. 1977년 한양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8년 고혈압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목월 - 청록파
- 박목월 - 동리·목월문학상
동리·목월문학상은 소설가 김동리와 시인 박목월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1996년부터 2007년까지 김동리문학상으로 소설 부문만을 시상하다가 2008년부터 동리·목월문학상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소설과 시 부문 모두에서 수상작을 선정했다. - 경주 박씨 - 박세리
박세리는 KLPGA와 LPGA 투어에서 활약하며 US 여자 오픈 우승 등으로 대한민국 골프 붐을 일으켰고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에 입회한 프로 골프 선수이다. - 청록파 - 조지훈
조지훈은 1939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국문학자로, 박목월,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 시인으로 불리며 자연을 소재로 민족 정서를 노래했고, 해방 후에는 교육자, 학자, 문화운동가로 활동하며 민족 문화 발전에 헌신했다. - 청록파 - 박두진
박두진은 일제강점기 안성 출생의 청록파 시인으로, 자연을 소재로 한 서정시와 시대적 저항시를 썼으며, 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고, 후기에는 종교적 성찰과 사회 비판을 담은 작품을 남겼다.
| 박목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 |
| 본명 | 박영종 (朴泳鍾) |
| 출생일 | 1916년 1월 6일 |
| 출생지 | 경상북도 경주시 |
| 사망일 | 1978년 3월 24일 |
| 사망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
| 직업 | 시인 |
| 국적 | 대한민국 |
| 언어 | 한국어 |
| 활동 기간 | 1933년 - 1978년 |
| 학력 | |
| 작품 활동 | |
| 장르 | 시 |
| 등단 작품 | 통딱딱 통짝짝 |
| 주요 작품 | 산桃花 旅人 |
| 가족 | |
| 배우자 | 유익순 |
| 자녀 | 박동규 박남규 박문규 박신규 박동명 |
| 기타 | |
| 묘소 | 용인공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초부리 산 64-4 |
2. 생애
박목월은 1916년 1월 6일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 모량리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박영종(朴泳鍾)이다. 1935년 대구 계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2] 1937년부터 1939년까지 도쿄에서 글쓰기에 전념했고,[3] 1939년부터 1940년까지 문장 (잡지)|''Munjang''|문장한국어 잡지에 여러 편의 시를 발표했다. 일제강점기의 전시 검열로 인해 한국광복 이후까지는 시를 더 이상 발표하지 않았다.[4]
유익순(劉益順)과 결혼하여 네 명의 아들과 한 명의 딸을 두었다.[5] 1946년부터 계성중학교와 이화여자고등학교 등 여러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1953년에는 홍익대학교 조교수로 부임했다.[2][6] 1961년에는 한양대학교 부교수, 1963년에는 정교수가 되었으며,[6][7] 이후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학장을 역임했다.[3]
1966년에는 대한민국예술원한국어(예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8] 1957년 창립된 한국시인협회의 이사를 역임했으며, 1968년에는 회장으로 선출되었다.[9][10]
1947년 한국 문필가협회 발족과 함께 상임위원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문총 상임위원, 청년문학가협회 중앙위원, 한국문인협회 사무국장으로 활동했다. 193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그의 초기 작품들은 토속적인 서정과 민요적인 리듬의 짧은 서정시가 주를 이루며, 시인과 자연과의 교감에서 얻어지는 특별하면서도 보편적인 향수의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작품들이다. 이러한 경향은 『청록집』 등에서 잘 나타난다.
한국 전쟁을 겪으면서 시적 경향에도 변화가 시작되었다. 1959년의 『난·기타』와 1964년의 『청담』에서는 현실에 대한 관심이 시 속에 나타나 있다. 인간의 운명이나 사물의 본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로 시의 소재를 가족과 주변 생활에서 선택하여 소박하고 담담한 삶의 철학을 노래하고 있다. 1967년 장시집 『어머니』는 어머니에 대한 찬미를 노래한 것으로, 시인의 기독교적인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다.
1968년의 『경상도의 마른 잎』에서는 현실 인식이 더욱 깊어지고, 그 소재는 주변 생활에서 역사적·사회적 현실로 확대되었다. 1973년의 『사력질』에서는 사물의 본질이 밝혀지면서도 냉철한 통찰력으로 그 본질에 내재하는 근원적인 한계와 비극을 그리고 있다. 수필로는 『구름의 서정』(1956), 『토요일 밤하늘』(1958), 『행복한 얼굴』(1964) 등이 있으며, 『자색의 스케치』(1959)는 자작시 해설로서 그의 시 세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1978년 3월 24일 서울 용산구 원효로동 자택에서 사망했다.[5]
2. 1. 유년 시절과 초기 활동
박목월은 1915년 1월 6일 경상남도 고성에서 아버지 박준필(朴準弼)과 어머니 박인재(朴仁哉) 사이의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곧이어 경상북도 월성군(현 경주시) 서면 건천리 571번지 모량마을로 옮겨 왔다. 본관은 경주이며 본명은 "영종"(泳鍾)이나, 시를 쓸 무렵 본인의 필명을 "목월"(木月)로 지었다.[22] 이때 목월의 아버지 박준필은 반대하였다.[23]1933년, 18세의 나이에 개벽사에서 발행하는 잡지 《어린이》에 동시 「통딱딱 통짝짝」이 뽑혔고, 같은 해, 《신가정》 6월호에 그의 시 「제비맞이」가 당선되어 동시를 주로 쓰는 시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35년 대구 계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2] 1939년 9월부터 1940년 9월까지는 문장 (잡지)한국어에 여러 편의 시를 발표했다.[4] 일제강점기 일본 식민 정부의 강화되는 전시 검열로 인해 그는 개인적으로 글쓰기를 계속했지만, 한국광복 이후까지는 시를 더 이상 발표하지 않았다.[4]
2. 2. 본격적인 작품 활동
1940년, 《문장》 9월호에 「가을 어스름」, 「연륜」으로 추천 완료되어 문단에 정식으로 데뷔했다. 일제강점기 말엽으로, 특별한 활동은 보이지 않는다. 1945년, 대구 계성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946년 6월,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3인 시집 《청록집》을 발간했으며, 동시집 《박영종동시집》도 발간했다.[24]2. 3. 일본 유학 및 교류
박목월은 1937년 4월부터 1939년 말까지 도쿄에서 거주하며 글쓰기에 전념했다.[3] 1939년 9월부터 1940년 9월까지는 ''Munjang''|문장 (잡지)영어 잡지에 여러 편의 시를 발표했다.[4] 일제강점기 일본 식민 정부의 강화되는 전시 검열로 인해 그는 개인적으로 글쓰기를 계속했지만, 한국광복 이후까지는 시를 더 이상 발표하지 않았다.[4]1935년경 일본으로 건너가 영화인들과 교류하기도 했다.[21]
2. 4. 말년
목월은 1977년 한양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78년 자신이 출석하던 원효로 효동교회에서 장로 안수를 받았고, 같은 해 3월 24일 새벽에 산책하고 돌아온 후 지병인 고혈압으로 6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5]3. 작품 세계
박목월은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로 등단하여 1946년 시집 《청록집》을 발표하며 이름을 알렸다.[11] 이들은 자연을 묘사하고 인간의 열망을 노래했지만, 각자 다른 스타일을 추구했다. 박목월의 초기 작품은 민요와 방언을 통해 어린아이 같은 순수함과 삶에 대한 경이로움을 표현하며 한국 시에 새로운 경향을 제시했다. 특히 〈나그네〉는 윤이상이 가곡집 《달무리》(1950)의 마지막 곡으로 작곡했다.[12]
한국 전쟁 이후, 박목월의 시는 고통, 죽음, 일상의 단조로움까지 담아내려 했다. 시집 《산도화》와 《난초》는 삶의 기쁨과 슬픔에 대한 인간의 변화하는 반응을 묘사하고자 했다. 후기 시에서는 지역 문화의 색깔과 활기를 표현하기 위해 생생한 구어체를 다시 사용했다.
시집 《경상도의 가랑잎》은 빛과 어둠, 행복과 절망, 삶과 죽음의 관계에 대한 초기 질문을 더 탐구한다. 박목월의 시, 특히 후기 작품들은 삶에 대한 열렬한 사랑을 드러내며, 경험적 현실의 갈등을 지역적이고 방언적인 시 속에 미묘하게 내면화하는 능력이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는다.[13]
3. 1. 초기: 향토적 서정과 민요적 율격
박목월은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 시인으로 등단했다. 1946년에 발표된 시집 《청록집》으로 이름을 알렸다. 청록파 시인들은 자연을 소재로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를 노래했다는 공통점을 지녔지만, 각자 개성적인 시 세계를 구축했다. 박목월의 초기 시는 민요에서 영향을 받은 소박한 언어와 간결한 형식을 통해 향토적인 서정과 어린아이 같은 순수한 감성을 표현했다.윤이상이 가곡으로 작곡하기도 한 〈나그네〉(1950)는 박목월의 초기 시 세계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이다.[11]
:강나루 건너서
:밀밭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삼백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12]
3. 2. 중기: 삶의 애환과 일상에 대한 성찰
박목월의 시는 특유의 서정성을 바탕으로 한 순수시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그의 시에 보이는 미학적인 측면은 한국 현대 시문학을 풍성하게 해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 전쟁 이후 박목월의 시풍은 변화를 맞았다. 감상적이고 서정적인 기조를 유지하지 않고, 고통, 죽음, 그리고 일상의 단조로움까지 시에 담으려 노력했다. 그의 시집 《산도화》와 《난초》는 삶의 기쁨과 슬픔에 대한 인간의 변화하는 반응을 묘사하려는 그의 예술적 목표를 보여준다.[13]3. 3. 후기: 역사적, 사회적 현실 인식과 기독교 신앙
그것뿐이다.붉은 언더라인이 그어진
우리 어머니의 성경책.
박목월, '''어머니의 언더라인'''
한국 전쟁을 겪은 후 박목월의 시풍은 변화를 맞았다. 감상적이고 서정적인 기조를 유지하지 않고, 고통, 죽음, 그리고 일상의 단조로움까지 시에 담으려 노력했다.[13] 그의 시집 《산도화》와 《난초》는 삶의 기쁨과 슬픔에 대한 인간의 변화하는 반응을 묘사하려는 그의 예술적 목표를 보여준다. 그러나 그의 후기 시들은 지역 문화의 색깔과 활기를 표현하는 매개체로 생생한 구어체를 다시 사용하는 것으로 돌아간다.
후기 시적 경향을 보여주는 그의 시집 《경상도의 가랑잎》은 빛과 어둠, 행복과 절망, 삶과 죽음의 관계에 대한 그의 초기 질문을 더 탐구하는 예술적 장을 제공한다. 박목월의 시, 특히 후기 작품들은 언제나 존재하는 끝의 위협을 부지런히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삶에 대한 열렬한 사랑을 드러낸다. 그는 그의 작품의 신중한 낙관주의와 그의 속임수 같은 지역적이고 방언적인 시 속에 경험적 현실의 갈등을 미묘하게 내면화하는 능력으로 칭송받는다.[13]
3. 4. 정지용의 평가
정지용은 박목월의 시를 높이 평가하며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1]: "북에는 소월이 있었거니 남에는 박목월이가 날 만하다. 소월이 툭툭 불거지는 삭주귀성조(朔州龜城調)는 지금 읽어도 좋더니 목월이 못지않아 아기자기 섬세한 맛이 좋아. 민요풍에서 시에 발전하기까지 목월의 고심이 더 크다. 소월이 천재적이요, 독창적이었던 것이 신경 감각 묘사까지 미치기에는 너무나 “민요”에 시종하고 말았더니 목월이 요적(謠的) 뎃상 연습에서 시까지의 콤포지션에는 요(謠)가 머뭇거리고 있다. 요적 수사(修辭)를 충분히 정리하고 나면 목월의 시가 바로 한국시이다."
3. 5. 비판적 시각
1980년대를 기점으로 박목월의 시는 특유의 여린 서정성과 내면성으로 인해 비판을 받는 경향이 강해졌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서는 그의 시가 부정적으로 읽힐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당시에 본격적으로 유입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탈권위주의를 표방하는 시대적 경향은 당시 상당한 문학적 권위를 인정받던 박목월의 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25]4. 수상 및 서훈
wikitext
- 1954년 제3회 아시아 자유 문학상
- 1968년 대한민국 문예상
- 1969년 서울시 문화상
- 1972년 국민훈장 모란장(2등급)[14][15]
- 2007년 한국시인협회 선정 한국 현대시 10대 시인[16]

5. 저서
박목월은 시집, 수필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20]
- 시집
- 《청록집》(1946, 조지훈, 박두진과 공저)
- 《산도화》(1955)
- 《난·기타》(1959)
- 《청담》(1964)
- 《어머니》(1967)
- 《경상도의 가랑잎》(1968)
- 《청록집 기타》(1968, 조지훈, 박두진과 공저)
- 《청록집 이후》(1968, 조지훈, 박두진과 공저)
- 《무순》(1976)
- 수필집
- 《보랏빛 소묘》(1958)
5. 1. 시집
- 1946년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집》을 펴냈다.[20]
- 1955년 《산도화》를 펴냈다.[20]
- 1958년 《보랏빛 소묘》를 펴냈다.[20]
- 1959년 《난·기타》를 펴냈다.[20]
- 1961년 《산새알 물새알》을 펴냈다.[20]
- 1962년 김남조와 함께 《久遠의 연가》를 펴냈다.[20]
- 1964년 《청담》을 펴냈다.[20]
- 1967년 《어머니》를 펴냈다.[20]
- 1968년 《경상도의 가랑잎》을 펴냈다.[20]
- 1968년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집 기타》를 펴냈다.[20]
- 1968년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집 이후》를 펴냈다.[20]
- 1976년 《무순》을 펴냈다.[20]
5. 2. 시선집 및 전집
5. 3. 수필집
박목월은 다음과 같은 수필집을 발간했다.- 1956년, 《구름의 서정》
- 1958년, 《행복의 얼굴》
- 1959년, 《보라빛 소묘》
참조
[1]
뉴스
경주 서면 출생 박목월
https://kbmaeil.com/[...]
2008-01-10
[2]
웹사이트
박목월(朴木月)
http://www.nl.go.kr/[...]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8-09-24
[3]
뉴스
大學 문턱 안 넘고도… (3) 朴木月 (시인·漢陽大文理大학장)
https://newslibrary.[...]
1976-02-03
[4]
학술지
The Song of Nature: Pak Mog-wol
http://koreana.kf.or[...]
1993
[5]
뉴스
詩人 朴木月씨 別世
https://newslibrary.[...]
2018-09-24
[6]
백과사전
박목월(朴木月)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8-09-25
[7]
잡지
Mogwol's monument inscribed with a poem
http://www.hanyang.a[...]
2003-05
[8]
뉴스
學·藝術院 會員개선 새로21名 選任
https://newslibrary.[...]
1966-03-16
[9]
뉴스
詩人協會總會서 幹事等任員選出
https://newslibrary.[...]
1957-02-07
[10]
뉴스
詩協會長朴木月씨
https://newslibrary.[...]
1968-09-10
[11]
서적
National Consciousness in Korean Art Songs
https://books.google[...]
Arizona State University
2009
[12]
서적
The Columbia Anthology of Modern Korean Poetry
https://books.google[...]
2004
[13]
웹사이트
박목월 biographical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03
[14]
뉴스
서울市文化賞 수상자 결정
https://newslibrary.[...]
1969-04-15
[15]
뉴스
藝術人에 勳章 李海浪씨등 9명
https://newslibrary.[...]
1972-11-08
[16]
뉴스
Top Ten Korean Modern Poets Selected
https://www.koreatim[...]
2007-10-15
[17]
뉴스
박목월 옛집 자식 빚 때문에 철거
http://legacy.www.ha[...]
2004-02-23
[18]
뉴스
문화예술인 옛집 복원
http://www.hankookil[...]
2012-11-22
[19]
뉴스
박목월 생가
http://www.kyongbuk.[...]
2014-06-19
[20]
서적
《대구 경북의 시인의 코드》
https://books.google[...]
한국학술정보/이담북스
2010
[21]
웹사이트
박목월(朴木月)
http://encykorea.aks[...]
2022-09-25
[22]
일반
[23]
서적
박목월 시전집
[24]
일반
[25]
서적
박목월 시전집
[26]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