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남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남조는 1927년 대구에서 태어나 2023년 별세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50년 시집 『별자리』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하여, 연합신문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인간성과 생명력을 표현하는 시풍을 보였으나, 이후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기독교적 사랑과 윤리 의식을 표현하는 시를 썼다.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한국시인협회 회장, 한국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자유문인협회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만해대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조각가 김세중과 결혼했으며, 아들 김범은 미술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 - 신직수
    신직수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법무관,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거쳤으며, 중앙정보부장 재직 시 울릉도 간첩단 사건 등 여러 논란에 휘말렸고, 이후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핀들레이 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 - 전해종 (1919년)
    전해종은 한중관계사 연구에 기여하고 서강학파를 주도했으며 동양사 연구기금 기증과 학술원상 수상 등으로 학계에 공헌한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자 교육자이다.
  •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 이노근
    이노근은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대통령비서실 민정비서관, 서울특별시청 국장, 노원구청장을 역임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 박정숙 (1970년)
    박정숙은 KBS 홍보대사로 방송 활동을 시작해 시사교양 진행과 드라마 출연으로 인지도를 쌓았으며, 국제 관계 및 미디어 정책 연구, 한류 전파 기여, 세계스마트시티기구 사무총장 및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 활동을 통해 국제 협력 및 여성 권익 향상에 힘쓰는 방송인이자 사회기관단체인, 대학교수이다.
  •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 곽효환
    곽효환은 1996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편집자로, 대산문화재단 사장을 역임하며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했고, 자아와 타자의 관계, 사회적 공동체에 대한 성찰, 북방에 대한 관심을 시에 담아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다.
  •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김남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927년 9월 25일
출생지대구, 일제강점기 조선
사망일2023년 10월 10일
사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직업시인, 대학 교수
종교천주교(세례명: 마리아 막달레나)
배우자김세중
활동 기간1950년~2023년
경력
경력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서울가톨릭대학교 초빙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초빙교수
작품
주요 작품《목숨》
《동행》
《너를 위하여》
기타
웹사이트한국문학번역원

2. 생애

김남조는 1927년 9월 25일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태어났다.[2] 일본 규슈에서 여학교를 마치고 1944년 귀국 후 이화여자전문학교를 다녔지만 중퇴하고, 1951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했다.[9] 대학 재학 중이던 1950년 시집 『별자리』를 발표하며 공식적으로 문단에 데뷔했다.[2] 같은 해 연합신문에 「성숙(成熟)」, 「잔상(残像)」으로 등단했다. 1953년에 첫 시집 「목숨(命)」을 출판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마산고등학교이화여자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고,[9] 성균관대학교 강사를 거쳐 1954년부터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명예교수를 역임했다.[2]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역임했고, 한국예술원 회원이었다.[2] 초기에는 인간성과 생명력을 표현하는 시풍이었으나, 후에 로마 가톨릭 신앙을 토대로 한 기독교적인 사랑의 세계와 윤리 의식을 표현하는 시풍으로 변모했다.

2023년 10월 10일 96세의 나이로 별세했다.[3]

3. 작품 세계

김남조는 1950년 연합신문에 《성수(星宿)》, 《잔상》으로 등단하였고, 1953년 첫 시집 《목숨》을 출판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4] 초기에는 인간성과 생명력을 표현하는 시풍을 보였으며, 이후에는 로마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기독교적 사랑의 세계와 윤리 의식을 표현하였다. 김남조의 시는 감각적인 언어와 생생한 이미지를 역동적으로 사용하여 미묘한 인간의 감정을 묘사하며, 모윤숙노천명의 전통을 따른다.[4] 주요 주제는 사랑이었지만, 남녀 간의 사랑뿐만 아니라 인간과 "절대자" 사이의 사랑도 포함한다.[5]

첫 시집 《목숨》에 실린 시들은 인간에 대한 긍정과 삶의 활력에 대한 열정을 보여주며, 가톨릭 신앙과 열정적인 인간의 목소리 사이의 조화로운 균형을 제시한다. 두 번째 시집 《나들이 향유》와 세 번째 시집은 종교적 신앙에 대한 강조를 점점 더 높여 기독교적 인본주의와 윤리를 탐구하는 데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후기 시들은 지속적인 종교적 자기 성찰의 일환으로 열정을 자제와 인내로 버린다. 시집 《겨울 바다》에서 시인은 인간의 감정이 절대적인 순수에 도달한 세계를 묘사한다.[6]

4. 작품 목록


  • 《목숨》 (수문각, 1953)
  • 《나무와 바람》 (정양사, 1958)
  • 《김남조 시집》 (삼아출판사, 1967)
  • 《사랑의 초서》 (서문당, 1974)
  • 《동행》 (서문당, 1983)
  • 《너를 위하여》 (어문각, 1985)
  • 《저무는 날에》
  • ''정념의 기'' (Life, A Heart's Flag)
  • ''사랑초서'' (Love's Cursive)
  • ''송림의 음악'' (Music of the Pine Woods)
  • ''잠시, 그리고 영원히'' (For a While, and Forever)
  • ''김남조 시집'' (The Poems of Kim Namjo)
  • ''김남조 시전집'' (The Complete Poems of Kim Namjo)

4. 1. 시집


  • 《목숨》 (수문각, 1953)
  • 《나무와 바람》 (정양사, 1958)
  • 《김남조 시집》 (삼아출판사, 1967)
  • 《사랑의 초서》 (서문당, 1974)
  • 《동행》 (서문당, 1983)
  • 《너를 위하여》 (어문각, 1985)
  • 《저무는 날에》
  • ''정념의 기'' (Life, A Heart's Flag)
  • ''사랑초서'' (Love's Cursive)
  • ''송림의 음악'' (Music of the Pine Woods)
  • ''잠시, 그리고 영원히'' (For a While, and Forever)
  • ''김남조 시집'' (The Poems of Kim Namjo)
  • ''김남조 시전집'' (The Complete Poems of Kim Namjo)

4. 2. 번역 작품


  • 김남조 시선(Kim Namjo Siseon) - 영어, 데이비드 R. 맥캔(David R. McCann)과 이현재(Hyunjae Yee Sallee) 번역
  • 바람 세례(Baram serye) - 독일어
  • 오늘과 내일의 노래(Oneul geurigo naeil-ui norae) - 러시아어
  • 시선집(Kim Namjo Siseonjib) - 스페인어
  • 비, 하늘, 바람, 항구(Rain, Sky, Wind, Port) - 영어, 힐렐 슈워츠(Hillel Schwartz)와 정선희(Sunny Jung) 번역 (Codhill Press, 2014)

5. 수상 내역

김남조는 다음과 같은 상을 수상했다.[7]


  • 자유문인협회상 (1958년)
  • 제1회 자유문학가협회상 (1958년)
  • 오월문예상 (1963년)
  • 5월 문예상 (1963년)
  • 한국시인협회 시상 (1974년)
  • 서울시 문화상 (1990년)
  • 대한민국문화예술상 (1988년)
  • 3·1문화상 (1991년)
  • 국민훈장 모란장 (1993년)
  • 대한민국 문화훈장 (1993년)
  • 은관문화훈장 (1998년)
  • 자랑스러운 예술인상 공로상 (2000년)
  • 만해대상 (2007년)
  • 만해문학상 (2007년)
  • 정지용문학상 (2017년)

6. 가족 관계

조각가 김세중과 결혼하였다. 미술가 김범이 셋째 아들이다.

참조

[1] 웹아카이브 김남조 biographical PDF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아카이브 김남조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3] 뉴스 '사랑의 시인'이라 불린 김남조 시인 별세…향년 96세 https://www.yna.co.k[...]
[4] 웹아카이브 김남조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5]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Press
[6] 웹아카이브 김남조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7]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Press
[8] 웹사이트 '사랑의 시인'이라 불린 김남조 시인 별세…향년 96세 https://www.yna.co.k[...] 2023-10-10
[9] 뉴스 예술가 위한 공간 ‘예술의 기쁨’ 개관하는 원로시인 김남조 http://www.sctoday.c[...] 서울문화투데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