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윤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윤원은 일제강점기 여수수산중학교, 도쿄 수산강습소, 만주 대동학원을 졸업하고 수산시험장 연구원, 기자 등으로 활동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남 남해군에 무소속으로 당선되어 제헌 국회의원을 지냈다. 국회 프락치 사건으로 체포되어 복역하다 한국 전쟁 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으며,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중앙위원을 역임했다. 그는 조국통일상을 받았으며, 85세 또는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양 박씨 - 박동균 (1919년)
    박동균(1919년)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의무감, 육군군의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했으며, 간호장교 제도 창설에 기여했으나 2008년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 함양 박씨 - 박열
    박열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정부주의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일본에서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천황 암살을 기도하다 체포되어 '박열 사건'으로 알려졌으며, 해방 후 재일 조선인 단체 활동과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북한에서 생을 마감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 남해군 출신 - 임채진
    임채진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제36대 검찰총장을 역임했으며, 검사로 임용되어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장, 법무부 검찰국장 등을 거쳤고, 검찰총장 재임 중 노무현 전 대통령 관련 비리 수사를 지휘했으나 논란과 노 전 대통령 서거로 사퇴하고 삼성 뇌물 수수 의혹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 남해군 출신 - 양택식
    양택식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으로, 경상남도 부지사, 내무부 기획관리실장, 철도청장, 부산시 부시장, 경상북도지사를 거쳐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며 여의도 개발 완료, 영동지구 개발 추진,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을 주도했고, 이후 대한주택공사 사장, 동서석유화학 회장을 지냈다.
  • 월북자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월북자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박윤원
기본 정보
출생1913년 1월 17일
사망1988년 6월 29일 (75세)
출생지경상남도 김해시
사망지서울특별시
본관밀양 박씨
학력
최종 학력일본 주오 대학 법학부 졸업
경력
경력제헌 국회의원
제3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중앙상임위원
국회 재무위원장
국회 예산결산위원장
약력
약력안재홍 선생 비서
이광수 선생 비서
김효석 선생 비서
조헌영 선생 비서
유광사 선생 비서
가족 관계
배우자김명조
자녀슬하 4남 1녀
기타
묘소 위치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산 159-1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 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2. 이력

경상남도 남해 출신으로, 여수수산중학교, 도쿄 수산강습소, 대동학원을 졸업했다. 수산시험장 연구원, 남해 귀환 동포회 총무, 기자 등을 역임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49년 국회 프락치 사건으로 체포되었다가 한국 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1] 1956년부터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중앙위원을 지냈고, 조국통일상을 받았다.[2]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 여수수산중학교를 졸업하였다.
  • 도쿄 수산강습소를 졸업하였다.
  • 만주 대동학원을 졸업하였다.
  • 수산시험장 연구원, 남해 귀환 동포회 총무, 기자 등을 역임했다.[1]

2. 2. 제헌 국회의원 활동 및 국회 프락치 사건

1948년 5월 10일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남 남해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 그는 김병회 등과 함께 국가보안법 제정 반대, 미군 철수, 평화 통일 등의 주장을 펼치며 원내 투쟁을 벌였다.[2]

1949년 6월 20일국회 프락치 사건으로 체포되어 복역하던 중, 한국 전쟁 발발 후 출옥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

2. 3. 한국 전쟁 이후

1949년 6월 20일국회 프락치 사건으로 체포되어 복역하다가, 한국 전쟁 때 출옥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1] 1956년 7월부터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중앙위원을 역임했으며,[2][5] 85세 또는 86세로 사망했다. 조국통일상 수상자이다.[2]

3.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48년총선무소속16,260표 (36.76%)1위당선초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8-23
[2] 웹사이트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최초 공개 http://www.minjog21.[...] 2007-10-06
[3] 웹사이트 역대의원 소개 - 유광사(柳光司) https://www.smc.seou[...] 2023-10-18
[4] 웹사이트 유광사여성병원 유광사 원장 http://www.namhae.tv[...] 2019-05-17
[5] 서적 現代朝鮮人名辞典 1962年版 世界ジャーナル社 1962-08-01
[6] 뉴스 평양룡성구역 '재북인사들의 묘'를 가다 -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최초 공개 http://www.minjog21.[...] 《민족21》 20071006151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