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국통일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국통일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민족의 자주권과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1990년 7월 25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의해 제정되었다.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3국 인사를 대상으로 하며, 정치인, 월북자, 공작원, 통일 운동가, 한국 전쟁 전사자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수상했다. 주요 수상자로는 김구, 김규식, 문익환, 임수경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 - 인민상
    인민상은 북한에서 조선로동당에 기여한 다양한 분야의 작품이나 개인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특히 예술 분야의 영화 작품과 조총련 연계 조선대학교 교직원에게도 수여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 - 공화국영웅
    공화국영웅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수여하는 칭호로, 한국 전쟁 직후 제정되어 전사자, 최고 지도자, 외국인 등에게 수여되었으며, 개인 숭배와 권력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고 비판받는다.
  • 상 - 몽드 셀렉션
    몽드 셀렉션은 벨기에에서 설립된 국제 품질 평가 기관으로 식품, 음료, 화장품 등을 심사하여 품질을 인증하고 등급을 부여하지만, 높은 수상률로 심사 기준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상 - 템플턴상
    템플턴상은 존 템플턴이 1972년 제정하여 존 템플턴 재단이 주최하며 종교 분야에서 인류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매년 수여되는, 노벨상 액수를 넘어서는 상금을 자랑하는 상으로, 마더 테레사, 달라이 라마 14세, 데스몬드 투투, 한경직 목사 등이 수상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 수상자 - 문선명
    문선명은 통일교를 창설하고 원리강론을 통해 사상을 체계화했으며 국제 합동 축복 결혼식을 주재했으나, 메시아 주장과 교리로 비판받았고 다양한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 수상자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조국통일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명칭
한국어조국통일상
로마자 표기Joguk Tongil Sang
기본 정보
수여 대상한반도 통일에 기여한 공로
수여 기관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국가북한
제정 연도1990년
이미지
2012년 문선명에게 수여된 조국통일상의 사진. 한반도를 묘사한 금메달과 서예 글씨와 도장이 찍힌 증서가 보인다.
2012년 문선명에게 수여된 상

2. 제정 배경 및 목적

조국통일상은 1990년 7월 25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의해 제정되었다.[19] 북한은 조국통일상이 "북과 남, 해외에서 민족의 자주권과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위업에 크게 공헌한 애국인사"에게 수여된다고 밝히고 있다.[19] 상을 수여받는 대상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3국 인사들이 모두 포함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거의 매년 조국통일상을 수여하고 있으며,[19] 정치인, 대한민국 출신 월북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 대한민국의 통일 운동가, 한국 전쟁 전사자 등이 이 상을 받아 왔다.

3. 수상 대상 및 선정 방식

조국통일상은 1990년 7월 25일에 제정되었다.[19] 수상 대상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3국 인사를 모두 포함하며, 자주적 평화통일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된다.[1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은 "북과 남, 해외에서 민족의 자주권과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위업에 크게 공헌한 애국인사"가 수상 대상이라고 밝혔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수상자를 발표하며, 1990년 이래 거의 매년 수여되고 있다.[19] 그동안 정치인, 대한민국 출신 월북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 대한민국의 통일 운동가, 한국 전쟁 전사자 등 정치, 사회,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이 이 상을 받아 왔다.

4. 주요 수상자

김구
[1][1]

엄항섭

김책[1]

서철

강량욱[1]

허정숙[1]

홍명희[1]

김상오[12]

최덕신

송호경[12]

여원구[6]

문익환[3]

임수경[1][15]

계훈제

조봉암

류미영[5]

오익제[7]

장민호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으로 송환된 비전향 장기수 63명은 송환 직후 전원이 조국통일상을 수여받았다. 이 가운데 이종환1993년에도 이 상을 받은 바 있다.[8][9][10][11]

안지상[2]

안우생[2]

윤이상[4]

김종태[1]

최용도[1]

허헌[1]

김기현[6]

조남진[6]

표무원[6]

김병식[7]

강웅진[12]

손송필[12]

주창준[12]

료원구[12]

남성우[12]

호남기[12]

양인원[12]

차상보[12]

석명선[12]

림동옥[13]

한응식[13]

박렬[13]

윤성식[13]

정인석[13]

리우성[13]

정인보[13]

장병태[13]

김정식[13]

윤금석[13]

안흥갑[13]

한학수[13]

리정락[13]

김용술[13]

김정린[14]

김양건[16]

강관주[16]

리준성[16]

김류환[16]

김용관[16]

리종만[16]

종진환[16]

호홍식[16]

리우갑[16]

정규진[16]

채창국[16]

4. 1. 대한민국

문익환은 목사이자 통일운동가로, 1989년 방북하여 김일성 주석과 회담하였다.[3] 임수경은 학생운동가 출신 정치인으로, 1989년 평양축전에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대표로 참가하였다.[3] 이한열은 1987년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학생으로, 사후에 추서되었다. 조봉암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진보당을 창당하고 평화통일론을 주장하다가 간첩 혐의로 처형되었으나, 후에 재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계훈제와,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에 따라 북송된 비전향 장기수 63명이 조국통일상을 수여받았다.[8][9][10][11]

4.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책, 서철, 강량욱, 허정숙, 홍명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1] 김상오,[12] 송호경,[12] 여원구,[6] 류미영,[5] 오익제,[7] 장민호, 김양건[16] 역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강관주, 리준성, 김류환, 김용관, 리종만, 종진환, 호홍식, 리우갑, 정규진, 채창국[16], 김정린[14], 림동옥, 한응식, 박렬, 윤성식, 정인석, 리우성, 장병태, 김정식, 윤금석, 안흥갑, 한학수, 리정락, 김용술[13]도 조국통일상을 수여받았다.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으로 송환된 비전향 장기수 63명은 송환 직후 전원이 조국통일상을 수여받았다. 이 가운데 이종환1993년에도 이 상을 받은 바 있다.

4. 3. 해외

최덕신은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을 역임한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월북하였다.[4] 문선명은 통일교 창시자이다.[15] 윤이상은 대한민국 태생의 작곡가이다.[4] 그 외에도 안지상,[2] 안우생,[2] 유미영,[5] 김병식,[7] 등이 조국통일상을 수여받았다.

4. 4.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김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이다. 김규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주석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이다. 조소앙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여운형은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활동한 정치가이다. 엄항섭도 조국통일상을 수상하였다.

5. 논란 및 비판

참조

[1] 간행물 National Reunification Prize Winners https://web.archive.[...] 1998-05-07
[2] 간행물 Patriotic Martyr An Jung Gun 2014-05
[3] 간행물 New Stamp http://www.kcna.co.j[...] 2000-08-25
[4] 학술지 Composer Yun I Sang http://www.naenara.c[...] 2015-05
[5] 웹사이트 Birthday Spread to Ryu Mi Yong http://www.naenara.c[...]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6-02-15
[6] 웹사이트 National Reunification Prizes awarded to patriots http://www.kcna.co.j[...] 1998-04-19
[7] 웹사이트 'National Reunification Prize' awarded http://www.kcna.co.j[...] 1999-08-14
[8] 간행물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to Be Repatriated to N. Korea on Sep. 2 http://www1.korea-np[...] Chongryon 2000-08-25
[9] 간행물 北送 희망 미전향장기수 60명 넘어설듯 {{bracket|List of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hoping to be sent North exceeds 60 names}} http://www.donga.com[...] 2000-06-30
[10] 간행물 북송 장기수 63명 명단 {{bracket|List of 63 long-term prisoners to be sent North}} http://www.chosun.co[...] 2000-08-25
[11] 간행물 National reunification prizes awarded to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http://www.kcna.co.j[...] 2000-09-04
[12] 간행물 National Reunification Prize Awarded to Persons of Service for National Reunification http://www.kcna.co.j[...] 2005-06-14
[13] 간행물 National Reunification Prize Awarded http://www.kcna.co.j[...] 2007-09-04
[14] 간행물 National Reunification Prize Awarded to Merited Officials in DPRK http://www.kcna.co.j[...] 2012-04-05
[15] 간행물 Moon Sun Myung Awarded National Reunification Prize http://www.kcna.co.j[...] 2012-09-07
[16] 웹사이트 北, 김양건, 강관주, 채창국 등에 조국통일상 수여 http://www.tongilnew[...] 2016-09-07
[17] 뉴스 「チャン・ミンホ氏、北朝鮮で祖国統一賞受賞」 https://japanese.joi[...] 2006-10-30
[18] 뉴스 故文鮮明氏に祖国統一賞 北韓が贈る http://world.kbs.co.[...] 韓国放送公社 2012-09-08
[19] 뉴스 남.북 가리지 않고 주는 賞 연합뉴스 2004-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