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재경은 일제강점기 함경북도에서 태어나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한 북한의 군인 및 정치인이다. 1968년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유일하게 북한으로 탈출한 생존자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1985년 조선인민군 소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총정치국 선전부장, 4군단 정치위원을 거쳐 1997년 인민군 대장으로 진급했다. 김정일 시대에 최측근으로 활동하며 김정일의 현지 지도에 빈번히 수행했고, 김정은 시대에는 총정치국 선전선동담당 부국장으로 복귀했다. 2000년과 2007년, 김정일의 특사 자격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송이버섯을 전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동문 - 김여정
김여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정일과 고용희 사이에서 태어나 김정은의 여동생이며, 조선로동당 핵심 실세로 부상하여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대외적으로 강경한 어조의 담화를 발표하며 대남·대미 압박을 주도하기도 한다.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동문 - 김정철 (1981년)
김정철은 김정일의 차남이자 김정은의 친형으로, 스위스 유학 경험이 있으며 에릭 클랩튼의 팬으로 알려졌고, 김정은 체제 하에서는 정치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요직에 있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 암살 미수자 - 김시현 (1883년)
김시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대 및 제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 암살 미수자 - 문세광
문세광은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박정희 대통령 암살 미수와 육영수 여사 살해를 저지른 범인으로, 조총련의 영향을 받아 좌익 사상에 심취하여 범행을 계획했으며 사형 집행되었다. - 조선인민군 대장 - 오극렬
오극렬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북한 핵심 요직을 역임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군사 및 정치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불법 활동 의혹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조선인민군 대장 - 우동측
우동측은 김일성종합대학 졸업 후 요직을 두루 거치며 김정은 체제 안착을 위한 숙청을 주도했으며, 뇌졸중 또는 숙청설 이후에도 열병식에 참가하여 건재함을 과시했다.
박재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재경 |
원어 이름 | 박재경 (朴在慶) |
로마자 표기 | Bak Jae-gyeong |
출생 | 1933년 6월 10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직업 | 정치인, 조선인민군 대장, 인민무력부 부부장, 당 중앙위 위원, 최고인민회의 제12기 대의원 |
경력 | |
소속 | 조선인민군 |
계급 | 조선인민군 대장 |
정당 | 조선로동당 |
2. 생애 및 경력
박재경은 1933년 일제강점기 함경북도에서 태어나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했다. 1968년 1.21사태 당시 김신조 등과 함께 남파되었으나, 작전 실패 후 군경 포위망을 뚫고 북한으로 복귀하였다.[8] 조선인민군과 조선로동당에서 주요 직책을 맡으며 경력을 쌓았다.
연도 | 직책 |
---|---|
1985년 2월 | 조선인민군 소장, 총정치국 선전부장[9] |
1989년 | 인민군 4군단 정치위원[9] |
1993년 1월 | 인민군 중장[9] |
1994년 6월 | 인민군 상장[9] |
1994년 9월 | 인민군 총정치국 선전부 총국장[9] |
1997년 2월 | 인민군 대장[9] |
2007년 | 인민무력부 부부장[11] |
2010년 9월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9] |
김정일의 현지 지도에 자주 동행하는 최측근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으며,[8] 군 내에서 김정일과 그의 부인 고영희의 우상화 작업을 주도했다.[10] 김정일 사망 이후,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하자 2012년 총정치국 선전선동담당 부국장으로 복귀했다.[10] 2000년 9월에는 김정일의 특사 자격으로 서울을 방문했다.[8][10]
2. 1. 초기 생애
박재경은 일제강점기 함경북도에서 태어나 김일성정치군사대학과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했다.[2][8] 1968년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 당시 정찰국 요원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1985년 이전의 자세한 경력은 확인되지 않았다.[8]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에서 포로가 되어 한국으로 귀순한 김신조에 따르면, 박재경은 김신조와 마찬가지로 습격 부대의 생존자이며, 추적을 피해 귀국을 완수했다고 한다.[8]2. 2. 1·21 사태 (청와대 습격 사건)
박재경은 1968년 청와대 습격 사건(한국에서는 1·21 사태로도 알려짐)에 투입된 31명의 대원 중 한 명이었다. 이는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 암살 시도였다.[3] 박재경은 이 실패한 작전에서 유일하게 생존한 두 명 중 한 명이었으며, 다른 한 명은 김신조였다. 김신조는 유일하게 북한으로 탈출했다.[4] 1968년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에서 포로가 되어 한국으로 귀순한 김신조에 따르면, 박재경 역시 김신조와 마찬가지로 습격 부대의 생존자이며, 추적을 피해 귀국을 완수했다고 한다.[8]2. 3. 군 경력
1933년 일제강점기 함경북도에서 태어났다.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인민군에서 군 경력을 쌓았다.연도 | 직책 |
---|---|
1985년 2월 | 조선인민군 소장, 총정치국 선전부장[2][9] |
1989년 | 인민군 4군단 정치위원[9] |
1993년 1월 | 인민군 중장[9] |
1994년 6월 | 인민군 상장[5][9] |
1994년 9월 | 인민군 총정치국 선전부 총국장[2] |
1997년 2월 | 인민군 대장[5][9] |
2007년 | 인민무력부 부부장[11] |
특이사항으로, 1968년 1.21사태 당시 김신조 등과 함께 남파되었으나, 작전 실패 후 군경 포위망을 뚫고 북한으로 복귀하였다.[8]
김정일의 현지 지도에 자주 동행하는 최측근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으며,[8] 군 내에서 김정일과 그의 부인 고영희의 우상화 작업을 주도했다.[10] 김정일 사망 이후,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하자 2012년 총정치국 선전선동담당 부국장으로 복귀했다.[10]
2. 4. 정치 경력
박재경은 1933년 일제강점기 함경북도에서 태어나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했다.[8] 1985년 2월 조선인민군 소장 계급으로 총정치국 선전부장에 올랐으며,[2][9] 1989년 인민군 4군단 정치위원을 맡았다.[9] 1993년 1월 인민군 중장으로 진급했고,[9] 같은 해 12월 보궐선거를 통해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2][9] 1994년 6월 인민군 상장으로 한 계급 승진했으며,[5][9] 9월에는 인민군 총정치국 선전부 총국장에 임명되었다.[2][9]1995년 8월 다시 당 중앙위 후보위원에 선출되었다.[9] 1997년 2월 인민군 대장에 올랐다.[5][9] 2007년 이후 인민무력부 부부장으로 있다.[11] 2010년 9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임되었다.[2][9]
김정일의 현지 지도에 빈번히 수행하는 최측근 중 한 명으로 여겨졌으며,[8] 군 내에서 김정일과 그의 부인 고영희의 우상화에 매진했다.[10] 김정일 사후, 고영희의 아들인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하자, 2012년 총정치국 선전선동담당 부국장으로 복귀했다.[10]
1998년 9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9] 2003년 9월 제11기 대의원,[9] 2009년 4월 제12기 대의원[5][9]을 역임했다. 김일성, 오진우, 연형묵, 박성철, 조명록, 김정일, 리을설의 국가장의위원회 위원[9]을 지냈다.
2000년 9월, 박재경은 당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이었던 김용순과 함께 김대중 대통령의 초청으로 서울을 방문했다. 박재경은 김정일로부터 선물로 유명한 칠보산 송이버섯 3톤을 전달했다.[3] 2007년에는 송이버섯 4톤을 선물로 전달하며 노무현 대통령을 방문했다.[3]
2018년 8월에 조선반제투사로병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었고, 2019년 5월에 동 위원회 위원장으로 승진했다.
2. 5.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98년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9], 2003년 제11기 대의원[9], 2009년 4월 제12기 대의원[5][9]을 역임했다.2. 6. 남북 관계에서의 역할
1985년 2월, 박재경은 조선인민군 준장 직을 맡았고,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선전부 부장에 임명되었다.[2] 1994년 6월에는 중장으로 진급했다.[5]2000년 9월, 박재경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이었던 김용순과 함께 김대중 대통령의 초청으로 서울을 방문했다. 이때 박재경은 김정일의 선물로 칠보산 송이버섯 3톤을 전달했다.[3]
2007년에는 송이버섯 4톤을 선물로 전달하며 노무현 대통령을 방문했다. 박재경이 선택된 이유는 그가 청와대 습격 사건에 연루되었기 때문이며, 이는 남한을 조롱하는 방식이라는 추측이 있다.[3]
1968년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에서 포로가 되어 한국으로 귀순한 김신조에 따르면, 박재경 역시 김신조와 마찬가지로 습격 부대의 생존자이며, 추적을 피해 귀국을 완수했다고 한다.[8]
2. 7. 김정일, 김정은 시대
1994년 6월, 박재경은 중장으로 진급했다.[5] 같은 해 9월, 그는 총정치국 산하 선전부 총국장에 임명되었다.[2] 1997년 2월 인민군 대장으로 진급했다.[5]2000년 9월, 박재경은 당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이었던 김용순과 함께 김대중 대통령의 초청으로 남한을 방문했다. 이때 박재경은 김정일로부터 받은 선물로 유명한 칠보산 송이버섯 3톤을 전달했다.[3]
2007년, 박재경은 다시 송이버섯 4톤을 선물로 전달하며 노무현 대통령을 방문했다. 박재경이 선택된 이유는 그가 청와대 습격 사건에 연루되었기 때문이며, 그를 보낸 것은 남한을 조롱하는 방식이라는 추측이 있다.[3]
2007년부터 박재경은 인민무력부 부상으로 활동했으며, 2010년 9월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2]
김정일의 현지 지도에 빈번히 수행하는 최측근 중 한 명으로 여겨졌으며,[8] 군 내에서 김정일과 그의 부인 고영희의 우상화에 매진했다.[10] 김정일 사후, 고영희의 아들인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하자, 2012년 총정치국 선전선동담당 부국장으로 복귀했다.[10]
그는 김일성, 오진우, 연형묵, 박성철, 조명록, 김정일의 국가 장의위원회 위원을 여러 해 동안 역임했다.[2]
2. 8. 기타
1968년 청와대 기습 미수 사건 당시, 김신조 등과 함께 남파되었으나, 작전 실패 후 군경 포위망을 뚫고 북한으로 돌아갔다.[8]김일성, 오진우, 연형묵, 박성철, 조명록, 김정일 등 북한 주요 인사의 국가 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9]
김정일의 현지 지도에 자주 수행하는 최측근 중 한 명으로 여겨졌으며,[8] 군 내에서 김정일과 그의 부인 고영희의 우상화에 매진했다.[10] 김정일 사후, 고영희의 아들인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하자, 2012년 총정치국 선전선동담당 부국장으로 복귀했다.[10]
2000년 9월에는 김정일의 특사 자격으로 서울을 방문했다.[8][10] 1968년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에서 생포되어 한국으로 귀순한 김신조의 증언에 따르면, 박재경 역시 김신조와 마찬가지로 당시 습격 부대의 생존자이며, 추적을 피해 북으로 돌아갔다고 한다.[8] 사실이라면 당시 정찰국 요원이었을 것이지만, 1985년 이전의 자세한 경력은 확인되지 않았다.[8]
3. 수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조
[1]
웹사이트
One of NK's richest men said to serve in assembly hall
https://www.koreatim[...]
2012-02-19
[2]
웹사이트
북한자료센터,주요인물 - 박재경
http://unibook.uniko[...]
2016-04-11
[3]
서적
Kim Dae-jung and the Quest for the Nobel: How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Bought the Peace Prize and Financed Kim Jong-il's Nuclear Program
Palgrave Macmillan
2013-09-19
[4]
웹사이트
1·21 청와대 습격사건 생포자 김신조 전격 증언
http://shindonga.don[...]
2004-01-29
[5]
웹사이트
Naver 지식백과-박재경
http://terms.naver.c[...]
2016-04-11
[6]
웹사이트
北박재경 "美 사소한 도발에 급소 일격할 것"
https://www.yna.co.k[...]
2023-01-10
[7]
간행물
朝鮮反帝老兵委員会とロシア老兵連盟間の協力に関する了解文を調印
http://www.kcna.kp/j[...]
朝鮮中央通信
[8]
뉴스
1·21 청와대 습격사건 생포자 김신조 전격 증언
http://shindonga.don[...]
2004-02
[9]
웹사이트
북한정보포털
http://nkinfo.unikor[...]
大韓民国統一部
[10]
뉴스
北朝鮮の朴在慶大将 宣伝扇動担当に復帰
http://japanese.yonh[...]
2012-02-19
[11]
웹인용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주요 인물 정보
http://unibook.uniko[...]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2012-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