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명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명록은 1928년 함경북도 온성군 출생으로, 조선인민군에서 복무하며 군 경력을 쌓았다. 한국 전쟁 참전 후 공군 사령관, 인민군 총정치국 국장을 역임했으며, 1998년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에 임명되어 김정일 다음가는 권력자로 부상했다. 2000년에는 김정일의 특사 자격으로 미국을 방문하여 빌 클린턴 대통령과 회담을 갖는 등 대미 외교에도 기여했다. 2010년 심장병으로 사망했으며, 김정일이 직접 장례위원장을 맡는 등 성대한 장례가 치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군 장군 - 시아오시 투포우 5세
    시아오시 투포우 5세는 통가의 제23대 국왕으로,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다 2006년 즉위 후 민주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권력을 이양하는 등 통가의 정치 개혁에 힘썼으나 결혼하지 않아 왕위 계승권이 있는 자녀는 없었다.
  • 공군 장군 - 콘스탄티노스 2세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로, 재위 기간 중 정치적 혼란과 군사 쿠데타, 왕정 폐지를 겪었으며, 올림픽 요트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 조선인민군 차수 - 최룡해
    최룡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고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 조선인민군 차수 - 김정각
    김정각은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인민군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한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김정은 체제 초기 권력 공고화에 기여했으나 부침을 겪으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등을 지냈다.
  • 만주국의 한국인 - 최남선
    최남선은 1890년에 태어나 1957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문인이자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학자이며, 《소년》을 창간하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현대 한국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3·1 운동 독립선언서 기초, 친일 행적, 단군 연구, 《단군론》, 《불함문화론》 저술 등의 활동을 했다.
  • 만주국의 한국인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조명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조명록 (왼쪽)
이름조명록
한자趙明祿
로마자 표기Jo Myeong-rok
출생일1928년 7월 12일
출생지일제강점기 함경북도 연사군
사망일2010년 11월 6일
사망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소속조선인민군
복무 기간1950년–2010년
최종 계급조선인민군 차수
근무조선인민군
군사 경력
지휘공군사령부 총참모장
공군 반항공사령부 사령관
공군사령관
정치 경력
직위제1부위원장 국방위원회
임기 시작1998년
임기 종료2010년 11월
선임자오진우
후임자직위 폐지
주요 활동최고인민회의 제7기 대의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조선로동당 정치국 상무위원
기타
일본어 표기チョ・ミョンロク
영어 표기Jo Myong-rok

2. 생애 및 경력

조명록은 1928년 7월 12일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태어나 1950년 12월 조선인민군에 입대했다. 만주항공학교와 소련항공대학을 졸업했다.[1][2] 1997년 7월 8일 김일성 사망 3주기 기념 특별식에서 중요한 연설을 했다.[3]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회 위원장인 김영남이 정치적 2인자였다면, 조명록은 군사적 2인자로 여겨졌다.

말년에는 건강 문제로 투병 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프랑스 파리의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적도 있다. 군사 퍼레이드 때는 항상 김정일 총서기의 오른쪽 옆에 있었지만, 2010년 9월 28일조선로동당 대표자 회의와 같은 해 10월 10일의 퍼레이드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대표자 회의에서는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지만, 약 한 달 후인 11월 6일에 심장병으로 사망했다.[11] 국장에서는 김정일이 직접 장례위원장을 맡았고, 장례위원이 100명이 넘는 이례적인 대우를 받았다.

조명록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59년소련(소비에트 연방)에서 귀국
1975년소장, 반항공부 사령관
1977년 10월공군 사령관(중장)
1980년 10월노동당 중앙위원, 군사위원(제6차 대회)
1982년 2월최고인민회의 제7기 대의원
1985년 5월공군 사령관(상장). 대표단장으로 유고, 동독, 중국 방문
1986년 11월최고인민회의 제8기 대의원
1990년 4월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
1992년대장
1994년 1월이란 방문
1994년 7월김일성 국가장례위원회 위원
1994년 11월공군 대표단을 인솔, 쿠바 방문
1995년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1995년 2월오진우 국가장례위원회 위원
1995년 10월차수
1998년 9월 5일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2000년 10월김정일의 특사 자격으로 미국 방문
2010년 11월사망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조명록은 1928년 7월 12일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태어나, 1950년 12월 조선인민군에 입대했다.[2] 만주항공학교와 소련항공대학을 졸업했다.[1]

한국전쟁에서 조종사로 복무한 후, 1954년 소장, 1976년 중장으로 진급했다. 평양방공사령관(1975~1977), 조선인민군 공군 및 방공군 사령관(1977~1995) 등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1980년 제6차 노동당대회에서 제6기 중앙위원회 위원 및 제6기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92년 대장, 1994년 김일성 장례위원회에 참여, 1995년 차수로 진급하여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이 되었다.

김일성의 항일유격대 부대에 소년병으로 참가한 혁명 1세대였다. 김정일의 생모 김정숙과 가까워 김정일의 신임을 얻었다.

보위사령관 원응희와 친분이 두터웠으며, 1992년 북한 쿠데타 음모 사건 당시 공군 장교 수명을 숙청으로부터 보호했다.

조명록의 초기 군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50년 12월조선인민군 입대[2]
만주항공학교, 소련항공대학 졸업[1]
1954년소장 진급
1975년~1977년평양방공사령관
1976년중장 진급
1977년~1995년조선인민군 공군 및 방공군 사령관
1980년제6차 노동당대회에서 제6기 중앙위원회 위원 및 제6기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
1992년대장 진급
1994년김일성 장례위원회 참여
1995년차수 진급,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2. 2. 김정일 시대의 핵심 실세

조명록은 김정일 시대에 군사적 2인자로 여겨졌다. 조선인민군 공군 출신으로, 김일성의 항일유격대 부대에 소년병으로 참가한 혁명 1세대였다.[2] 김정일의 생모인 김정숙과 가까웠던 덕분에 김정일의 신임을 얻었고, 모든 부문에서 군사 사업이 우선시되는 “선군정치”가 시행되면서 김정일의 후견인으로서 발언권을 크게 확대했다.

1992년 대장으로 진급했고,[2] 1995년에는 차수(Vice Marshal)로 진급하여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이 되었다.[2] 1998년에는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에 임명되어 김정일 다음으로 국가에서 두 번째로 권력이 있는 인물이 되었다.[4]

2000년에는 김정일 특사 자격으로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했다.[4] 방문 중 빌 클린턴 대통령, 윌리엄 코헨 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을 만났다.[5] 그는 백악관을 방문하거나 미국 대통령을 만난 최초의 북한 고위 관리였다. 클린턴 행정부는 일주일 후 올브라이트를 평양으로 보내 김정일을 만나게 함으로써 화답했다.[6] 이때 조명록은 베트남 전쟁 참전을 보여주는 훈장을 달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함께 있던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이 놀랐다는 이야기가 있다.[10]

2000년 10월, 백악관에서 빌 클린턴과 악수하는 조명록


보위사령관 원응희와 친분이 두터웠으며, 1992년에 발생한 북한 쿠데타 음모 사건 당시 공군 장교 수명을 숙청으로부터 보호했다.

2. 3. 대미 외교 활동

조명록은 2000년 10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미국을 방문했다.[4] 그는 친선 사절단을 이끌고 워싱턴 D.C.를 방문하여 빌 클린턴 대통령, 윌리엄 코헨 국방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을 만났다.[5] 그는 백악관을 방문하거나 미국 대통령을 만난 최초의 북한 고위 관리였다. 클린턴 행정부는 일주일 후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을 평양으로 보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게 함으로써 화답했다.[6]

2. 4. 사망

조명록은 2010년 11월 6일 82세의 나이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7]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된 지 한 달 만이었다.[8] 김정일이 장례위원장을 맡았으며, 김정은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의장을 포함한 100명이 넘는 정치 및 군사 지도자들이 장례위원회에 참석했다. 시신은 평양의 중앙노동자회관(조선직업총동맹 건물)에 안치되었고 애국렬사릉에 매장되었다.[11]

3. 장례위원회 구성원 (2010년)

2010년 조명록 국가장의위원회 위원 명단[9]
김정일김정은김영남최영림리영호
김영춘전병호김국태김기남최태복
양형섭강석주변영립리영무주상송
홍석형김경희김양건김용일박도춘
최룡해장성택주규창리태남김락휘
태종수김평해우통죽김정각박정순|박정순 (정치인)한국어
김창섭문경덕김명국김경옥김원홍
종명도리병철최부일김영철윤정린
최상렬최경성오극렬백세봉현철해
리명수김철만리을설리정산전재선
리하일종창렬김윤심한동근조경철
박재경변인선김우호김택구최석관
종호균전창복오금철김명환김철
김수학김인식심상대동용일리병삼
김송독리창한로흥세리두송임종춘
강표영김형룡김격식리영환김춘삼
리영길한창선현영철양동훈리봉주
박성원리춘일리태섭김성철조성환
박광철윤경소양인국리희수리철
오철산손정남황홍식강필훈김창수
리영민박용래박용식김수길림종환
김경찬김동화최재복김영남리정래
주통철김성국주성남종운학차명성
현병무김도운리성호방춘산손철주
전하철로두철박수길조병주한광복
김영대류미용리영수최휘종오일종
김정임채휘종리재일리룡하박봉주
전일춘김동일한광상종명학김동이
홍인범강양모리만곤로패권박태독
주용식오수용곽범기김희택림경만
백계룡박의춘김형식김태봉전길수
리무용안종수리룡남김용진류용섭
박명철장철김기룡김병호차성수
김정숙리영철김병렬장병규량만길
송차립


참조

[1] 뉴스 Pyongyang shuffles its military, not policies http://www.atimes.co[...] 2007-05-05
[2] 웹사이트 Profiles of Presidium and Members of Political Bureau http://www.kcna.co.j[...] KCNA 2010-09-29
[3] 뉴스 Activities of DPRK VMAR Cho Myong Rok Assessed Seoul Yonhap 2000-09-29
[4] 웹사이트 Recent notable deaths http://www.newsday.c[...]
[5] 웹사이트 10/10/00 Albright on Visit of His Excellency Vice Marshall Jo Myong Rok https://1997-2001.st[...] 2021-03-06
[6] 서적 The Impossible State: North Korea, Past and Future http://archive.org/d[...] Ecco
[7] 뉴스 https://web.archive.[...] RTHK 2010-11-07
[8] 뉴스 https://web.archive.[...] 2010-11-07
[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0-11-06
[10] 뉴스 ホワイトハウスに乗り込んだ北朝鮮「ベトナム戦争」の英雄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デイリーNKジャパン 2014-12-29
[11] 웹사이트 北朝鮮の軍ナンバー2が死去、国葬へ https://web.archive.[...] 2010-11-07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cna.co.j[...] 2009-10-25
[1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media.paran.c[...] 2010-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