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즐리이스트 (영국 의회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즐리이스트는 1983년 신설되어 1997년 폐지되었다가 2010년 부활한 영국의 의회 선거구이다. 1983년부터 1997년까지, 2010년에는 노동당의 텃밭이었으나, 2019년 총선 이후 경합 선거구로 변화했다. 1983년에는 테리 패치트가, 1996년 재보궐 선거에서는 제프 에니스가 노동당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며, 2010년에는 마이클 더거, 2017년과 2019년에는 스테파니 피콕이 당선되었다. 이 지역은 반즐리 남동부 교외 지역과 과거 탄광 지역을 포함하며, 2019년 총선에서 노동당의 득표율이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크셔험버의 옛 영국 의회 선거구 - 반즐리센트럴 (영국 의회 선거구)
1983년에 신설되어 반즐리 시 대부분을 포괄하는 반즐리센트럴 선거구는 전통적인 노동당 강세 지역이었으나, 2019년 총선에서 노동당과 브렉시트당 간의 득표율 격차가 줄어들었으며, 2024년 총선을 앞두고 폐지될 예정이다. - 요크셔험버의 옛 영국 의회 선거구 - 배틀리 스펜 (영국 의회 선거구)
배틀리 스펜은 웨스트요크셔 주의 영국 의회 선거구로, 1983년 신설되어 1997년과 2010년 경계 조정, 노동당과 보수당 경쟁, 브렉시트 찬성, 조 콕스 의원 피살 사건, 2024년 선거구 개편으로 폐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1983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 - 세지필드 (영국 의회 선거구)
잉글랜드 더럼주에 위치한 세지필드 선거구는 노동당 텃밭이었으나 2019년 총선에서 보수당이 승리하며 정치 지형이 바뀌었고 토니 블레어 전 총리가 의원을 지냈으며 2024년 총선을 앞두고 폐지되었다. - 1983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 - 헌팅던 (영국 의회 선거구)
헌팅던은 1295년에 설치되어 캠브리지셔주 서부 지역을 관할하는 영국의 의회 선거구이며, 1885년 1인 선거구로 축소된 이후 여러 차례의 관할 구역 변화를 거쳤고, 2024년 선거에서 벤 오베스제크티가 당선되었다. - 2024년 폐지된 영국 의회 선거구 - 세지필드 (영국 의회 선거구)
잉글랜드 더럼주에 위치한 세지필드 선거구는 노동당 텃밭이었으나 2019년 총선에서 보수당이 승리하며 정치 지형이 바뀌었고 토니 블레어 전 총리가 의원을 지냈으며 2024년 총선을 앞두고 폐지되었다. - 2024년 폐지된 영국 의회 선거구 - 애버라본 (영국 의회 선거구)
애버라본은 1918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로, 노동당의 안전 지역구 중 하나이며, 램지 맥도널드가 이 지역구 의원을 지내기도 했다.
반즐리이스트 (영국 의회 선거구)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선거구 명칭 | 반즐리이스트 |
의회 | 영국 |
해당 국가 | 잉글랜드 |
자치주 | 사우스요크셔주 |
주요 도시 | 움웰 |
선거구 유형 | 자치구 |
선출 의원 수 | 1인 |
선거구 역사 | |
설정 연도 | 2010년 |
폐지 연도 | 2024년 |
이전 선거구 | 반즐리이스트 & 멕스버러 반즐리웨스트 & 펜니스톤 반즐리센트럴 |
다음 선거구 | 반즐리사우스 (일부) 반즐리노스 |
2차 설정 연도 | 1983년 |
2차 폐지 연도 | 1997년 |
2차 이전 선거구 | 반즐리 던밸리 |
2차 다음 선거구 | 반즐리이스트 멕스버러 |
선거 비용 유형 | 자치구 |
선출 방식 | 최다 득표제 |
유권자 정보 | |
유권자 수 (2019년 12월) | 68,448명 |
의원 정보 | |
현재 의원 | 스테파니 피콕 |
소속 정당 | 노동당 |
기타 | |
추가 정보 | borough constituency |
추가 정보2 | 모든 선거구와 마찬가지로, 이 선거구는 최소 5년마다 국회의원 (MP)을 최다 득표제 선거 시스템으로 선출한다. |
2. 역사
1983년 총선 당시 '반즐리이스트'란 이름으로 처음 신설되었으며, 1997년 총선부터 반즐리이스트 멕스버러 지역구로 병합되었다가 2010년 총선에서 부활하였다.
2010년 총선에서는 총 8명의 후보가 출마하였으며 사회주의노동당에서도 후보를 내어 노동당에 불리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선거 결과 노동당의 마이클 더거 후보가 47%를 득표하였고 자민당과 보수당은 18.2% 이하에 그치면서 2, 3위에 머물렀다. 노동당 입장에서는 2위 후보 간의 우위 득표율이 24% 하락하여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지만 지역구 수성에 성공하였다.[1] 2017년에는 스테파니 피콕이 더거를 이어 반즐리이스트 국회의원이 되었다.[1]
1983년부터 1997년까지, 그리고 2010년 총선에서 이 선거구는 노동당의 텃밭이었으며, 임시 선거구였던 반즐리이스트 앤드 멕스버러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2019년 총선 이후 이 선거구는 경합 선거구가 되었다.[1]
2. 1. 노동당 텃밭에서 경합 지역으로
1983년 총선에서 '반즐리이스트'라는 이름으로 처음 신설되었으며, 노동당의 텃밭 지역구였다. 1997년 총선부터 반즐리이스트 멕스버러 지역구로 병합되었다가 2010년 총선에서 부활하였다. 지역구 부활 직후인 2010년 총선에서도 노동당의 마이클 더거 후보가 47%를 득표하여 당선되었으나, 2위 후보와의 우위득표율이 24% 하락하여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동당은 지역구 수성에 성공하였다.[1]2017년 총선에서는 스테파니 피콕이 당선되어 노동당 의석을 지켰다.[1]
그러나 2019년 총선에서 노동당 득표율이 21.9% 하락하고, 우위득표율도 8.4%로 감소하면서 더 이상 텃밭으로 보기 어려워졌고, 경합 지역구로 바뀌었다.[1]
3. 지역 정보
이 선거구는 반즐리 남동부 교외 지역과 호일랜드, 다필드, 웜웰과 같은 과거 탄광 지역을 포함한다. 이 지역 주민들의 소득은 영국 평균보다 낮다.
4. 경계
'''1983–1997년''': 반즐리 광역시의 브리어리, 커드워스, 다필드, 데언 사우스, 데언 턴스코, 웜웰 노스, 웜웰 사우스 선거구.
'''2010년~''': 반즐리 광역시의 커드워스, 다필드, 호일랜드 밀턴, 노스 이스트, 로킹엄, 스테어풋, 웜웰, 워스브로 선거구.
2010년 영국 총선 당시 잉글랜드 구획위원회가 실시한 사우스요크셔주 지역구 구획심의 결과, 반즐리이스트 멕스버러 지역구에서 멕스버러로부터 반즐리이스트를 분리하여 반즐리이스트 지역구를 부활시키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5. 역대 국회의원
6. 역대 선거 결과
1983년 영국 총선에서 '반즐리이스트' 선거구가 처음 신설된 이후 1997년 영국 총선까지, 그리고 2010년 영국 총선에서 다시 부활한 이후 현재까지 노동당이 이 지역구에서 계속 승리해 왔다.[24][25][26][27][28][29][10]
1996년 테리 팻쳇 의원의 사망으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는 제프 에니스 후보가 당선되어 노동당 의석을 지켰다. 2010년 지역구 부활 이후에는 마이클 더거 의원이, 2017년부터는 스테파니 피콕 의원이 지역구를 대표하고 있다.
2010년 총선에서는 8명의 후보가 출마했고, 사회주의노동당 후보 출마로 노동당에 불리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었으나, 마이클 더거 후보가 4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다만, 노동당 득표율은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2019년 총선에서는 스테파니 피콕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노동당 득표율은 37.6%로 크게 감소하여 과반수가 8.4%로 줄어들면서 경합 선거구로 전환되었다.
선거 | 당선자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983년 영국 총선 | 테리 팻쳇 | 노동당 | 66.3% | 신설 선거구 |
1987년 영국 총선 | 테리 팻쳇 | 노동당 | 74.5% | |
1992년 영국 총선 | 테리 팻쳇 | 노동당 | 77.2% | |
1996년 반즐리이스트 재보궐선거 | 제프 에니스 | 노동당 | 76.4% | 테리 팻쳇 의원 사망 |
2010년 영국 총선 | 마이클 더거 | 노동당 | 47.0% | 선거구 부활 |
2015년 영국 총선 | 마이클 더거 | 노동당 | 54.7% | |
2017년 영국 총선 | 스테파니 피콕 | 노동당 | 59.5% | |
2019년 영국 총선 | 스테파니 피콕 | 노동당 | 37.6% | 경합 선거구 전환 |
6. 1. 2010년대
2010년 총선에서 반즐리이스트 지역구가 부활하였다. 총 8명의 후보가 출마했으며, 사회주의노동당에서도 후보를 내어 노동당에 불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지만 선거 결과 노동당의 마이클 더거 후보가 47%를 득표하여 당선되었고, 자유민주당과 보수당 후보는 각각 18.2% 이하의 득표율로 2, 3위에 머물렀다.[5] 노동당은 2위 후보와의 우위 득표율이 24% 하락하여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지만 지역구 수성에는 성공하였다.선거 | 의원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
2010년 영국 총선 | 마이클 더거 | 노동당 | 47.0% | 18,059 |
2015년 영국 총선 | 마이클 더거 | 노동당 | 54.7% | 21,079 |
2017년 영국 총선 | 스테파니 피콕 | 노동당 | 59.5% | 24,280 |
2019년 영국 총선 | 스테파니 피콕 | 노동당 | 37.6% | 14,329 |
2010년 선거에서는 마이클 더거가, 2015년과 2017년 선거에서는 스테파니 피콕이 당선되었다. 2019년 선거에서 스테파니 피콕의 당선으로 노동당은 해당 지역구에서 연속으로 의석을 차지했다.[10] 그러나, 2019년 선거에서 노동당은 37.6%의 득표율로, 이전 선거에 비해 21.9%p 하락했다.
6. 2. 1980~1990년대
1983년 총선에서 '반즐리이스트'라는 이름으로 처음 신설되었으며, 1997년 총선부터 반즐리이스트 멕스버러 지역구로 병합되었다. 1996년 10월 11일 테리 팻쳇 의원이 사망하면서 12월 12일에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투표율은 크게 감소했지만 제프 에니스 노동당 후보가 의석을 사수하였다.[15][16]선거 | 당선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득표율 변동 (±%) | |
---|---|---|---|---|---|---|
1983년 총선 | 테리 팻쳇 | 노동당 | 23,905 | 66.3 | - | |
1987년 총선 | 테리 팻쳇 | 노동당 | 29,948 | 74.5 | +8.2 | |
1992년 총선 | 테리 팻쳇 | 노동당 | 30.346 | 77.2 | +2.7 | |
1996년 재보궐선거 | 제프 에니스 | 노동당 | 13,683 | 76.4 | -0.8 |
참조
[1]
웹사이트
Barnsley East' UK Parliament, 6 May 2010 –
http://electionweb.c[...]
Cognitive Computing Limited
2016-03-31
[2]
웹사이트
Constituency data: electorates – House of Commons Library
https://commonslibra[...]
Parliament UK
2020-06-15
[3]
웹사이트
The 2023 Review of Parliamentary Constituency Boundaries in England – Volume one: Report – Yorkshire and the Humber {{!}}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https://boundarycomm[...]
2023-08-04
[4]
웹사이트
Barnsley East: Seat Details
https://www.electora[...]
2022-05-25
[5]
간행물
2012-03
[6]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10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7
[7]
웹사이트
UK > England > Yorkshire & the Humber > Barnsley East
http://news.bbc.co.u[...]
BBC
2010-05-07
[8]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15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7
[9]
뉴스
Barnsley East
https://www.bbc.co.u[...]
2015-05-14
[1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barnsley[...]
2019-11-15
[11]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83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8
[12]
웹사이트
Politics Resources
http://www.politicsr[...]
Politics Resources
1983-06-09
[13]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87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8
[14]
웹사이트
Politics Resources
http://www.politicsr[...]
Politics Resources
1987-06-11
[15]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92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8
[16]
웹사이트
Politics Resources
http://www.politicsr[...]
Politics Resources
1992-04-09
[17]
웹인용
Constituency data: electorates – House of Commons Library
https://commonslibra[...]
Parliament UK
2020-06-15
[18]
간행물
2012-03
[1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barnsley[...]
2021-12-27
[20]
웹인용
Election Data 2015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7
[21]
웹인용
Barnsley East
https://www.bbc.co.u[...]
2015-05-14
[22]
웹인용
Election Data 2010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7
[23]
웹인용
UK > England > Yorkshire & the Humber > Barnsley East
http://news.bbc.co.u[...]
BBC
2010-05-07
[24]
웹인용
Election Data 1992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5]
웹인용
Politics Resources
http://www.politicsr[...]
Politics Resources
1992-04-09
[26]
웹인용
Election Data 1987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7]
웹인용
Politics Resources
http://www.politicsr[...]
Politics Resources
1987-06-11
[28]
웹인용
Election Data 1983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9]
웹인용
Politics Resources
http://www.politicsr[...]
Politics Resources
1983-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