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꼽동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꼽동맥은 태아에서 태반으로 산소가 부족한 정맥혈을 운반하는 혈관이다. 탯줄에는 두 개의 배꼽동맥이 존재하며, 속엉덩동맥의 앞갈래 가지로 태아의 다리에 혈액을 공급한다. 출생 후에는 퇴화하여 안쪽배꼽인대가 되거나, 속엉덩동맥의 가지로 남아 위방광동맥, 남성의 경우 정관동맥을 낸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혈액 검사를 위해 카테터를 삽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장혈관계통의 발생학 - 동맥관
동맥관은 태아기에 대동맥궁과 폐동맥을 연결하여 혈액을 우회시키는 혈관이지만, 출생 후 폐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프로스타글란딘 E2 농도 감소가 폐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개존 시에는 심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여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 심장혈관계통의 발생학 - 난황낭
난황낭은 임신 초기에 배아의 영양 공급, 가스 교환, 조혈 작용을 담당하며 태반 형성 전까지 생존에 필수적인 구조물로, 발생 과정에서 여러 단계로 구분되고 난황관을 통해 소화관과 연결되기도 한다. - 배의 동맥 - 대동맥
대동맥은 좌심실에서 시작하여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동맥으로, 상행대동맥, 대동맥궁, 흉부 및 복부 대동맥으로 이어지며, 혈관벽은 세 층으로 구성되어 혈압 유지와 맥파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배의 동맥 - 아래배벽동맥
아래배벽동맥은 바깥엉덩동맥에서 시작하여 배곧은근과 배곧은근집 사이를 지나 위쪽으로 주행하며 위배벽가지 및 아래쪽 갈비사이동맥과 문합하는 동맥으로, 샅굴탈장과 가까워 해부학적 지표로 쓰이나 복강경 수술 시 손상 가능성이 있다.
| 배꼽동맥 | |
|---|---|
| 일반 정보 | |
![]() | |
![]() | |
| 라틴어 이름 | arteria umbilicalis |
| 정맥 | 배꼽정맥 |
| 영어 이름 | Umbilical artery |
| 구조 | |
| 기원 | 속엉덩동맥 |
| 가지 | 위방광동맥 정관동맥 |
| 공급 | 해당 정보 없음 |
2. 구조
2. 1. 발생기 구조
배꼽동맥은 태아로부터 태반으로 산소가 부족한 정맥혈을 운반한다. 이 혈액은 태아 온몸순환의 동맥에서 나오는 혈액으로, 다른 태아 조직에 분배된 혈액과 같은 양의 산소와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다.[10] 탯줄에는 하나의 배꼽정맥과 두 개의 배꼽동맥이 함께 존재한다. 두 배꼽동맥은 방광을 둘러싸며 태아의 몸에서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태반으로 운반한다.[10] 태반 안에서 두 배꼽동맥은 대략 탯줄이 닿는 곳에서 5mm 정도 떨어지는 지점에서 연결된다.[10] 그 후 배꼽동맥은 융모막동맥(chorionic arteries 또는 intraplacental fetal arteries)으로 갈라진다.[11]배꼽동맥은 속엉덩동맥 앞갈래의 가지이다.[12] 태아의 다리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인체에서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운반하는 두 종류의 동맥 중 하나로, 다른 하나는 허파동맥이다.
배꼽동맥의 혈압은 대략 50mmHg이다.[13] 발생이 진행되며 혈관은 넓어지고 혈류 저항은 감소한다.[14]
2. 2. 발생 이후
출생 이후 배꼽동맥은 퇴화한다. 일부는 없어져 안쪽배꼽인대가 된다. (요막관이 퇴화하고 남은 구조물인 정중배꼽인대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다른 일부는 속엉덩동맥의 앞갈래 가지로 남아 열린 상태로 존재하며, 골반에 위치하여 위방광동맥을 낸다. 남성의 경우 정관동맥도 낸다. 일부 사람들에서는 정관동맥에 아래방광동맥에서 나올 수 있다.3. 임상적 중요성
심각하게 아픈 아기의 배꼽동맥 중 하나에 카테터를 삽입해 혈액 검사를 위한 정맥천자를 시행할 수 있다.[15] 이런 방식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흔히 시행되는 처치로, 배꼽동맥이 빠르게 쇠퇴하기 시작하는 출생 이후 2주 정도까지 종종 수행할 수 있다.[16] 배꼽동맥은 약물 주입이나 수액 요법에는 적합하지 않다.[15][17][6][8]
3. 1. 배꼽동맥 카테터 삽입
심각하게 아픈 아기의 배꼽동맥 중 하나에 카테터를 삽입해 혈액 검사를 위한 정맥천자를 시행할 수 있다.[15] 이런 방식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흔히 시행되는 처치로, 배꼽동맥이 빠르게 쇠퇴하기 시작하는 출생 이후 2주 정도까지 종종 수행할 수 있다.[16] 배꼽동맥은 약물 주입이나 수액 요법에는 적합하지 않다.[15][17][6][8]4. 추가 이미지



참조
[1]
논문
Anthropometry of fetal vasculature in the chorionic plate
[2]
논문
Doppler velocimetry of intraplacental fetal arteries
[3]
서적
Chapter 72 - Regulation of Umbilical Blood Flow
https://archive.org/[...]
W.B. Saunders
2004-01-01
[4]
웹사이트
Fetal and maternal blood circulation systems
https://web.archive.[...]
[5]
서적
Chapter 11 - Evaluation of fetal and uteroplacental blood flow
http://www.sciencedi[...]
Elsevier
2009-01-01
[6]
서적
27 - Nutritional Support
https://archive.org/[...]
W.B. Saunders
2011-01-01
[7]
서적
Chapter 17 - BLOOD GASES: Technical Aspects and Interpretation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03-01-01
[8]
서적
49 - Procedures for Vascular Access
http://www.sciencedi[...]
Elsevier
2019-01-01
[9]
웹사이트
umbilical artery
https://www.kmle.co.[...]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10]
논문
Anthropometry of fetal vasculature in the chorionic plate
[11]
논문
Doppler velocimetry of intraplacental fetal arteries
[12]
서적
Chapter 72 - Regulation of Umbilical Blood Flow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04-01-01
[13]
웹사이트
Fetal and maternal blood circulation systems
http://www.embryolog[...]
[14]
서적
Chapter 11 - Evaluation of fetal and uteroplacental blood flow
http://www.sciencedi[...]
Elsevier
2009-01-01
[15]
서적
27 - Nutritional Support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11-01-01
[16]
서적
Chapter 17 - BLOOD GASES: Technical Aspects and Interpretation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03-01-01
[17]
서적
49 - Procedures for Vascular Access
http://www.sciencedi[...]
Elsevier
201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태아 순환; [[배꼽정맥]]은 왼쪽 가장자리에 있는 큰 적색 혈관이다. [[배꼽동맥]]은 보라색이며 배꼽정맥 주위를 감싸고 있다.](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