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벌링턴역 (온타리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벌링턴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벌링턴 도심 북쪽에 위치한 GO 트랜싯 레이크쇼어 웨스트선의 철도역이다. 1855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 역으로 시작하여, 여러 철도 회사를 거쳐 현재 GO 트랜싯에서 운영하고 있다. 1906년에 재건된 역사 건물은 2005년 프리먼역으로 변경되어 보존되었고, 2017년에 새로운 역 건물이 완공되었다.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열차와 GO 트랜싯 버스, 벌링턴 시내버스가 운행하며, 메트로링스에 따르면 전철화의 종착역으로 계획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타리오주의 철도역 - 키치너역
    키치너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키치너에 위치한 기차역으로, 다양한 철도 회사와 연결되어 VIA 철도, GO 트랜싯의 통근 열차 및 버스 노선이 운행하며, 2027년 키치너 센트럴역으로의 이전을 추진한다.
  • 온타리오주의 철도역 - 해밀턴 GO 센터
    해밀턴 GO 센터는 1933년 해밀턴 역으로 개장한 아르 데코 양식의 건물로, 1996년 GO 트랜싯의 통근 열차와 버스 서비스를 통합하여 재개장한 철도 및 버스 터미널이다.
  • 1980년 개업한 철도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1980년 개업한 철도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GO 트랜싯 - 블루어역
    블루어역은 토론토 지하철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의 역으로, 4호선 셰퍼드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노선이 운행하는 토론토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GO 트랜싯 - 롱브랜치역
    롱브랜치역은 1967년에 개통되어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 열차가 운행하며, 토론토 교통국 대중교통과 미시사가의 버스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GO 트랜싯 철도역이다.
벌링턴역 (온타리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벌링턴역
주소벌링턴, 온타리오주 페어뷰 스트리트 2101번지
개업1854년 (GWR)
재건축1980년 (이전)
소유주메트로링스
구역16
접근성가능
GO 트랜싯 코드BU
버스 환승벌링턴 트랜싯
주차 공간2,273 공간
자전거 보관거치대
구조
형태역사 건물
승강장2면 섬식
선로 수4
서비스
노선GO 트랜싯 레이크쇼어 웨스트
인접 역왼쪽: 올더숏역
오른쪽: 애플비
급행 노선왼쪽: 올더숏역
오른쪽: 애플비
나이아가라 지선왼쪽: 올더숏역
오른쪽: 오크빌역
과거 서비스
VIA 철도 토론토-뉴욕 (1989-1993)왼쪽: 해밀턴역
오른쪽: 오크빌역
벌링턴 서쪽 역 (Burlington West) 과거 서비스VIA 철도 토론토-뉴욕 (1981-1989)
왼쪽: 해밀턴역
오른쪽: 오크빌역
암트랙 인터내셔널 (1982-1990)
왼쪽: 던다스
오른쪽: 오크빌역
캐나다 내셔널 철도 나이아가라 폭포-토론토
왼쪽: 올더숏역
오른쪽: 브론테
해밀턴-앨런데일
왼쪽: 올더숏역
오른쪽: 탠슬리

2. 위치

벌링턴역은 온타리오주 벌링턴 도심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브랜트가(Brant Street)와 페어뷰가(Fairview Street)의 교차로 북동쪽에 자리 잡고 있다. 선로 상으로는 캐나다 내셔널 철도 (CN) 오크빌선(Oakville Subdivision) 애플비역올더숏역 사이 50.7km (약 50.69km) 지점에 위치한다. 역 서쪽에서는 CN 홀턴선(Halton Subdivision)이 오크빌선과 합류한다.[6] 이 역은 GO 트랜싯의 Lakeshore West 선 열차가 정차한다.

역 북쪽과 남쪽에는 대규모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2008년에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대형 주차 건물이 완공되어 역의 주차 수용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평일에는 벌링턴 교통국 버스가 역 남쪽 정류장을 이용하며, 승객들은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지하 터널을 통해 선로를 건너 역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3. 역사

최초의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 역은 1855년 브랜트 스트리트 바로 서쪽에 건설되었으며, 이는 현재 GO 트랜싯 역 위치에서 서쪽으로 약 0.8km 떨어진 곳이었다.[1] 1877년 해밀턴 & 노스웨스턴 철도가 들어서면서 두 노선이 교차하는 이 지역은 '''벌링턴 정션'''으로 불리게 되었다.[2]

이후 그랜드 트렁크 철도(GTR)가 1882년에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를, 1888년에는 해밀턴 & 노스웨스턴 철도와 노던 철도를 차례로 인수했으며, GTR은 1923년 캐나다 국립 철도(CN)에 흡수되었다.

1904년, 첫 번째 역 건물이 화재로 소실되어 1906년에 재건되었다.[3]

GO 트랜싯의 러시아워 서비스는 1967년에 시작되었고, 1980년에는 현재 위치에 새로운 역이 문을 열었다. 이로 인해 기존 역은 '''벌링턴 웨스트'''로 이름이 바뀌었다.[1] 비아 레일 서비스는 1988년 새로운 GO 역으로 이전했으나,[3] 1990년에 중단되었다. GO 트랜싯의 종일 서비스는 1992년부터 시작되었다.

2005년, 벌링턴시는 1906년에 지어진 역사적인 역 건물을 인수했다. '''프리먼 역'''으로 명명된 이 건물은 선로 개선 공사를 위해 잠시 이전되었으며, 복원 후 재활용될 예정이다.[4]

새로운 약 1885.93m2 규모의 역 건물 건설은 2012년 9월에 시작되어 2017년 가을에 완공되었다.

3. 1. 초기 역사 (1854년 ~ 1888년)

벌링턴역의 시초는 1854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GWR)가 현재의 역 위치에서 서쪽으로 약 800m 떨어진 브랜트 스트리트 서쪽에 '프리먼역'(Freelton Station)을 개통하면서 시작되었다.[7][1] 당시 온타리오주의 다른 초기 철도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이 노선은 오대호를 따라 이미 형성된 미국 쪽 무역로를 대체할 캐나다의 독자적인 무역 경로를 구축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나이아가라 지역에서 해밀턴을 거쳐 윈저사니아로 이어지는 이 철도는 이리호 남쪽을 경유하는 것보다 시간과 거리를 크게 단축했으며, 미시간주뉴욕주의 철도망과 연결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7]

역이 들어선 지역은 온타리오호 끝자락 벌링턴비치 북쪽에 위치하며 '웰링턴스퀘어'(Wellington Square)라고 불렸다. 이전에는 미개발 지역이었으나 1820년대부터 농경이 시작되었다. 호숫가에 위치하고 토론토와 나이아가라 지역을 잇는 길목이라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웰링턴스퀘어는 곡물을 저장하고 운송하는 데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8] 특히 1850년대 크림 전쟁 시기에는 곡물 수송량이 정점에 달했으나, 이후 점차 감소세를 보였다.[9]

지역 주민들은 1830년대부터 철도 건설을 기대했지만, GWR이 개통된 1854년에는 이미 곡물 운송량이 줄어들고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등 지역 경기가 침체된 상황이어서 철도 개통이 기대했던 만큼의 경제 활성화 효과를 가져오지는 못했다.[7] 그럼에도 1860년대 말에는 프리먼역이 여객 수송은 물론 목재를 비롯한 각종 화물을 취급하는 역으로서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되었다.[10]

동서 방향의 GWR 노선 외에, 남북 방향으로는 해밀턴 & 노스웨스턴 철도(H&NW)가 건설되었다. 이 노선은 이리호 연안의 포트도버에서 시작하여 해밀턴과 배리를 거쳐 조지언만의 콜링우드까지 이어지는 철도였다. H&NW는 지역의 곡물과 목재 수송을 목적으로 1875년에 북쪽에서부터 기존 프리먼역을 지나 호숫가를 따라 벌링턴비치까지 이어지는 노선을 개통했다.[11][12] 1877년 H&NW 철도가 건설되면서 두 노선이 교차하는 이 지점은 '벌링턴 정션'(Burlington Junction)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 H&NW 역은 벌링턴 시내에 자리 잡아 해밀턴을 오가는 승객뿐만 아니라, 호숫가 호텔이나 여관, 선술집 등으로 향하는 여행객들에게도 인기가 많았다.[13]

이후 철도 회사들의 통합이 이루어졌다. 그랜드 트렁크 철도(GTR)는 1882년에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를 인수했으며, 1888년에는 노던 철도와 통합된 해밀턴 & 노스웨스턴 철도(당시 노던 & 노스웨스턴 철도)마저 인수하여 벌링턴 지역의 주요 철도 노선을 모두 소유하게 되었다.[13]

3. 2. 그랜드 트렁크 철도 시대 (1888년 ~ 1923년)

그랜드 트렁크 철도(GTR)는 1882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를 인수한 데 이어, 1888년에는 해밀턴 & 노스웨스턴 철도(H&NW)와 노던 철도가 통합된 노던 & 노스웨스턴 철도까지 인수하였다.[13] 이로써 벌링턴 지역의 동서축과 남북축 철도 노선 운영권이 모두 GTR의 손에 들어왔다.

H&NW는 본래 이 지역의 곡물과 목재 수송을 목적으로 1875년 건설되었으며,[11][12] 포트도버에서 시작하여 해밀턴, 배리를 거쳐 조지언만의 콜링우드까지 이어지는 노선이었다. 1877년 H&NW 건설로 이 지역은 두 철도 노선이 만나는 벌링턴 정션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 벌링턴 시내에 위치했던 H&NW 역은 접근성이 좋아 해밀턴을 오가는 승객들과 호숫가 호텔, 여관 등으로 향하는 여행객들에게 인기가 많았다.[12] 그러나 해밀턴으로 이어지던 H&NW의 여객열차는 1890년대 말 해밀턴광역전기철도(HRER)가 개통하면서 경쟁에 밀려 운행을 중단하게 되었다.[14][15]

한편, GTR이 운영하던 구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 노선의 프리먼역(브랜트 스트리트 서쪽 위치[1])은 여전히 승객 수가 저조했다. 하지만 20세기 초 벌링턴 지역이 채소, 과일, 가축 및 낙농업으로 번성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특히 많은 양의 과일과 채소가 프리먼역을 통해 전국으로 운송되면서 화물 취급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늘어나는 화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GTR은 선로 분기기와 대피선을 새로 설치했으며, 1904년 화재로 소실되었던[3] 프리먼역 건물을 1906년에 다시 지었다.[16][3]

GTR의 벌링턴 지역 철도 운영은 1923년 캐나다 국립 철도(CNR)에 흡수 통합되면서 막을 내렸다.

3. 3. 캐나다 내셔널 철도 시대 (1923년 ~ 1967년)

1923년,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캐나다 국립 철도(CN)에 흡수되면서 벌링턴역은 CN 소유가 되었다. 이 시기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자동차가 주요 교통 수단으로 부상하며 철도의 중요성이 점차 줄어들던 때였다. 전쟁의 경제적 여파로 벌링턴 지역의 성장도 더디게 진행되었다.[17]

하지만 토론토해밀턴 사이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벌링턴을 통과하는 교통량은 꾸준히 증가했다.[17] 1904년 화재 이후 1906년에 재건된 역 건물이 이 시기에도 계속 사용되었다.[3]

1960년대에는 퀸 엘리자베스 웨이 개통과 함께 벌링턴에 중소기업들이 들어서고 제조업이 호황을 이루면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다.[18] 이러한 도시의 성장은 통근 수요 증가로 이어졌고, 1967년 GO 트랜싯레이크쇼어선 통근 열차 운행을 시작하는 배경이 되었다.[1][18] 이는 벌링턴역이 단순한 철도역을 넘어 광역 교통망의 중요한 일부로 변화하는 시작점이었다.

3. 4. GO 트랜싯 시대 (1967년 ~ 현재)

1960년대와 70년대에 퀸 엘리자베스 웨이 개통과 함께 벌링턴의 인구가 급증하면서, 온타리오 주 정부 산하의 GO 트랜싯은 1967년에 피커링에서 오크빌까지 레이크쇼어선 통근열차 운행을 시작했으며, 평일 출퇴근 시간에는 해밀턴까지 연장 운행하였다.[18][1]

1980년 3월, 현재의 위치에 새로운 벌링턴역이 문을 열면서 기존 역은 '벌링턴 웨스트역'(Burlington West Station)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8][1] 벌링턴 웨스트역은 1988년에 운행을 중단하였다.[18] 같은 해 비아 레일 열차가 새로 지어진 GO 역에 정차하기 시작했으나,[3] 1990년에 벌링턴역 운행을 중단했다.

초기 레이크쇼어 웨스트선은 오크빌 서쪽 구간에서 CN와 CP의 화물열차와 선로를 공유해야 했기 때문에 벌링턴역에는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만 열차가 정차했다. 온타리오주는 선로 용량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고, 그 결과 1992년부터 GO 트랜싯의 종일 서비스가 시작되어 올더숏까지 매일 상시 운행이 이루어졌다.[18] 하지만 예산 문제로 인해 이듬해인 1993년에 벌링턴 서쪽 구간은 다시 평일 출퇴근 시간대 운행으로 축소되었다.[18]

GO 트랜싯은 서비스 확대를 꾸준히 추진하여 2000년 5월 1일에는 벌링턴까지 매일 상시 운행을 재개하고 해밀턴 방면으로 네 번째 열차를 투입했다.[18] 2007년 9월에는 평시 종착역이 올더숏으로 연장되었고, 10월에는 주말 열차도 올더숏까지 운행하여 VIA 철도와의 환승 편의를 높였다.[18] 이후 주 정부와 메트로링스는 레이크쇼어 웨스트선의 배차를 지속적으로 늘려, 매일 대부분 시간대에 30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하게 되었다. 2021년 8월 7일부터는 평시 종점이 웨스트하버역까지 연장되어 올더숏행 열차와 번갈아 운행하고 있다.[18]

한편, 벌링턴시는 1906년에 지어진 옛 역 건물을 2005년에 인수했다.[19][4] '''프리먼역'''(Freeman Station)으로 이름이 바뀐 이 건물은 선로 개선 공사와 역사 복원을 위해 원래 위치에서 잠시 옮겨졌으며, 복원 후 재활용될 계획이다.[19][4]

현재의 GO 트랜싯 벌링턴역은 늘어나는 승객 수를 감당하기 위해 2012년 9월부터 확장 및 재건축 공사에 들어가, 약 1885.93m2 규모의 새 역사 건물이 2017년 가을에 완공되었다.[20]

4. 시설

벌링턴역은 직원이 상주하는 유인역이다. 매표소는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 45분까지, 주말과 공휴일에는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8시 45분까지 운영한다. 매표소에서는 프레스토 카드 구매 및 충전이 가능하며, 어린이, 노인, 학생용 카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역 내 자동판매기를 통해서도 프레스토 카드 충전 또는 일회용 티켓 구매가 가능하다. 프레스토 카드 단말기에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모바일 페이로 통근열차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또한, GO 트랜싯 홈페이지에서 구매한 이티켓(e-ticket)을 스마트폰으로 출발 5분 전에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21]

역 내부에는 매표소 외에 대합실, 팀 호턴스, 화장실, 와이파이, 공중전화가 마련되어 있다. 로블로 홈페이지에서 주문한 식료품을 찾아갈 수 있는 PC 익스프레스 픽업 보관함과 퓨롤레이터 무인 키오스크(택배 라벨 출력 및 발송 가능)도 설치되어 있다.[22] 역 건물, 승강장, 그리고 선로 북쪽의 주차 타워는 지하도, 계단, 엘리베이터로 연결되어 있으며,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터널을 통해 선로 아래로도 연결된다.

주차 시설은 역 북쪽과 남쪽에 대규모로 마련되어 있으며, 세 개의 주요 주차 구역이 있다. 2008년에는 대규모 다층 주차 시설(주차 타워)이 개장하여 주차 수용 능력이 크게 확대되었다.

주차장 종류위치주차 가능 대수
주차 타워선로 북쪽736대
서부 주차장-912대
북쪽 주차장-455대



벌링턴역을 자주 이용하는 운전자는 전용 주차 공간을 미리 예약할 수 있으며, 카풀 이용자를 위한 전용 주차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거치대와 25대 규모의 실내 자전거 보관실도 있다. 승객을 마중 나오는 차량을 위한 정차 공간과 카셰어링 업체인 짚카 차량 이용도 가능하다.[21]

버스 승강장은 선로 남쪽에 위치하며, GO 트랜싯 광역버스와 벌링턴 트랜싯 시내버스(평일 운행)가 정차한다.[21]

5. 운행 계통

벌링턴역은 GO 트랜싯의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열차가 운행하는 역이다. 열차는 출퇴근 시간에 15분 간격, 평시에는 30분 간격으로 정차한다.[23] 과거에는 이 역이 레이크쇼어 웨스트선의 서쪽 종착역이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열차가 서쪽으로 더 운행한다.

서쪽 방면(나이아가라 방면)으로는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올더숏, 해밀턴, 웨스트하버, 나이아가라폴스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있다. 평시에는 올더숏역웨스트하버역에 번갈아 종착한다.[23] 일부 열차는 해밀턴 GO 센터까지 운행하기도 한다.

동쪽 방면(토론토 방면)으로는 모든 열차가 토론토 유니언역에 종착한다. 유니언역에 도착한 열차 대부분은 레이크쇼어 이스트선으로 행선지를 바꾸어 오샤와역까지 계속 운행한다.[23]

역에서는 세인트캐서린스, 나이아가라폴스로 가는 GO 트랜싯 광역버스와 연계된다. 또한, 올더숏역에서는 해밀턴, 브랜트퍼드로 이어지는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24]

6. 버스 연결편

벌링턴역에서는 GO 트랜싯 버스와 벌링턴 시내버스로 갈아탈 수 있다. GO 트랜싯 버스로는 세인트캐서린스나이아가라폴스 방면으로 가는 12번 버스 등이 운행한다. 2022년 3월 14일부터 새로운 환승 정책이 시행되어, GO 트랜싯과 벌링턴 시내버스 간 환승 시 요금 할인이 적용되어 시내버스 요금이 별도로 부과되지 않는다.[25]

자세한 버스 노선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GO 트랜싯

노선종점경유지기준일비고
12나이아가라폴스 / 토론토Niagara Falls / Toronto나이아가라폴스 대중교통 터미널던다스 / 407번 환승 주차장2023년 6월 24일[26]
12A카사블랑카 / QEW 환승 주차장던다스 / 407번
12B나이아가라폴스 대중교통 터미널벌링턴역스탠리 / 420번, 나이아가라폴스 대중교통 터미널
12C세인트캐서린스 페어뷰 몰벌링턴역센테니얼 / QEW, 카사블랑카 / QEW, 온타리오 / QEW, 세인트캐서린스 페어뷰 몰
18A레이크쇼어 웨스트Lakeshore West웨스트하버역유니언역 버스 터미널2023년 6월 24일[27]
18B해밀턴 GO 센터오크빌역, 클락슨역, 포트크레딧역,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
18C올더숏역, 메인 / 롱우드, 해밀턴 GO 센터18C번 버스를 타고 해밀턴 시내로 가는 경우 운전기사에게 정차를 요청해야하며, 정차 요청이 없는 경우 올더숏역에 종착한다.
18F올더숏역, 메인 / 롱우드, 해밀턴 GO 센터18F번 버스를 타고 해밀턴 시내로 가는 경우 운전기사에게 정차를 요청해야하며, 정차 요청이 없는 경우 올더숏역에 종착한다.
18G오크빌역,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
18J웨스트하버역


6. 2. 벌링턴 교통국

벌링턴 교통국 버스는 역 남쪽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하며, 이 정류장은 선로 아래를 지나는 휠체어 접근 가능 터널을 통해 역 건물과 연결된다.[1] 벌링턴역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

노선 번호 및 이름행선지비고
1플레인스 (Plains)해밀턴 시내 (킹 / 제임스) ↔ 애플비역평일 새벽 1시 30분까지, 주말 밤 11시까지 운행
2브랜트 (Brant)던다스 / 407번 환승 주차장 ↔ 존가 터미널매일 밤 11시까지 운행
6히든 (Headon)던다스 / 407번 환승 주차장 ↔ 벌링턴역매일 밤 11시까지 운행
10뉴 / 메이플 (New / Maple)벌링턴역 ↔ 애플비역매일 밤 11시까지 운행
12어퍼미들 (Upper Middle)벌링턴 노스 스마트센터 ↔ 벌링턴역매일 밤 11시까지 운행
50벌링턴 남부 (Burlington South)벌링턴역 ↔ 애플비 / 뉴평일 심야 운행 (밤 11시 ~ 새벽 1시 30분)
51벌링턴 북동부 (Burlington Northeast)던다스 / 서튼 ↔ 벌링턴역평일 심야 운행 (밤 11시 ~ 새벽 1시 30분)
52벌링턴 북동부 (Burlington Northeast)궬프 / 어퍼미들 ↔ 벌링턴역평일 심야 운행 (밤 11시 ~ 새벽 1시 30분)
80하베스터 (Harvester)벌링턴역 ↔ 애플비역매일 밤 11시까지 운행
81노스 서비스 (North Service)벌링턴역 ↔ 애플비역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
82노스 서비스 / 올더숏 (North Service / Aldershot)올더숏역 ↔ 벌링턴역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
101플레인스 급행 (Plains Express)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1]


7. 미래

메트로링스 문서에 따르면, 이 역은 전철화의 종착역으로 계획되어 있다.

8. 인접한 역

wikitext

CN 오크빌선
이전 역 ( 올더숏, 해밀턴, 웨스트하버 방면 )운행 노선다음 역 ( 유니언 방면 )
올더숏GO 트랜싯 레이크쇼어 웨스트선애플비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열차 서비스의 역이며, 한때 이 노선 철도 서비스의 서쪽 종착역이었다. 현재 대부분의 출퇴근 시간대 열차와 비첨두 시간대 열차는 올더숏 또는 웨스트 하버에서 운행을 종료하며, 일부 열차는 서쪽으로 더 멀리 해밀턴 GO까지 운행한다.

역 북쪽과 남쪽에 대규모 주차 시설이 있다. 2008년에는 대규모 다층 주차 시설이 개장하여 역의 주차 수용 능력이 크게 확대되었다. 평일에는 벌링턴 교통국 버스가 역 남쪽으로 운행하며,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터널을 통해 선로 아래로 연결된다.

참조

[1] 웹사이트 Via Rail Station, Burlington Ontario http://www.burlingto[...] Historic Sites and Monuments Board of Canada 2015-08-05
[2] 웹사이트 Hamilton and Northwestern Railway http://www65.statcan[...] Statistics Canada 2008-03-31
[3] 웹사이트 History & Architecture http://www.freemanst[...] Friends of Freeman Station 2015-08-05
[4] 웹사이트 Freeman Station Relocation https://www.burlingt[...] City of Burlington 2015-08-05
[5] 웹사이트 Lakeshore West Line GO Expansion https://www.metrolin[...]
[6] 웹인용 Appendix 3: Base Reference Case http://www.metrolinx[...] 메트로링스 2022-04-16
[7] 웹인용 VIA Rail (Former Canadian National Railways) Station: Burlington Ontario https://www.burlingt[...] 2022-04-19
[8] 뉴스 Born with little fanfare, Burlington became a giant https://www.thespec.[...] The Hamilton Spectator 2022-04-19
[9] 뉴스 Of Wellington Square:" Schooner Days XXVI https://images.marit[...] Toronto Telegram 2022-04-18
[10] 뉴스 Looking back before there was a Burlington https://www.insideha[...] Burlington Post 2022-04-19
[11] 웹인용 C.N.Rys. Milton Subdivision http://www.cnr-in-on[...] 2022-04-19
[12] 서적 Canadian National Railways, Volume 1: Sixty Years of Trial and Error (1836-1896) Clark & Irwin & Company Limited 1960-01-01
[13] 웹인용 Death Knell on the Hamilton & North Western Railway https://bzglfiles.s3[...] 2022-04-19
[14] 웹인용 The Hamilton Radial Electric Railway (HRER) http://www.trainweb.[...] 2022-04-16
[15] 웹인용 A Short History of the Hamilton Street Railway's Streetcar and Trolley Bus Operations https://transittoron[...] 2022-04-19
[16] 웹인용 History & Architecture https://www.freemans[...] 2022-04-19
[17] 서적 From Footpaths to Freeways https://archive.org/[...] Ontario 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Historical Committee
[18] 웹인용 GO Transit's Lakeshore Line https://transit.toro[...] Transit Toronto 2018-04-07
[19] 웹인용 Freeman Station Relocation https://www.burlingt[...] 벌링턴시 2018-04-07
[20] 웹인용 Metrolinx promises 'fully-functional' Burlington GO Station by fall https://www.insideha[...] Burlington Post 2018-04-07
[21] 웹인용 Burlington GO https://www.gotransi[...] 2023-05-15
[22] 웹인용 Purolator Mobile Quick Stop Trucks, Kiosks, and Parcel Locker https://www.gotransi[...] 2022-04-25
[23] 웹인용 Lakeshore West: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www.gotransi[...] 2022-04-16
[24] 웹인용 Niagara Falls / Toronto: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www.gotransi[...] 2022-04-16
[25] 뉴스 Most GTA transit users except TTC riders will no longer pay double fare to connect to GO Transit https://toronto.ctvn[...] CTV News 2022-03-06
[26] 웹인용 Niagara Falls / Toronto: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assets.metro[...] 2023-07-03
[27] 웹인용 Milton :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assets.metro[...] 2023-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