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라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라네는 몬테네그로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베라네 시의 행정 중심지이다. 중세 시대에는 부디믈랴로 알려졌으며, 세르비아 정교회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1912년 터키로부터 독립하여 몬테네그로에 편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반그라드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는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로, 산업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스포츠와 문화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베라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베라네 문장
문장
공식 명칭베라네
현지 명칭Беране
이전 명칭Иванград (이반그라드)
국가몬테네그로
지역북부
기초 자치체베라네
설립1862년
행정
시장부코 토도로비치
소속 정당NSD
지리
면적496 제곱킬로미터
인구
인구 (2023년)25,162명
도시 인구9,923명
농촌 인구15,239명
인구 밀도49 명/제곱킬로미터
순위몬테네그로 내 8위
시간대
시간대CET (UTC+1)
하계 시간CEST (UTC+2)
기타 정보
우편 번호84300
지역 번호+382 51
ISO 3166-2 코드ME-03
차량 번호판BA
기후Cfb
웹사이트베라네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중세 시대 베라네는 부디믈랴(Budimlja)로 알려졌으며, 중세 세르비아의 중요한 지역이었다. 1219년 성 사바가 이곳에 세르비아 교구를 설립했고, Đurđevi stupovi 수도원이 12세기 말에 건설되었다. 1455년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점령하기 전까지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일부였다.[1]

1804년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당시 이 지역 주민들은 봉기하여 카라조르제의 군대와 합류했다. 이후 지속적인 투쟁 끝에 1862년 루데스 전투에서 승리하며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해방되었고, 1912년 몬테네그로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르티잔체트니크 간의 격전이 벌어져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전후 1949년부터 1992년까지 도시 이름이 이반 밀루티노비치를 기려 이반그라드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베라네로 환원되었다.[3]

2. 1. 중세 시대

중세 시대에 베라네는 부디믈랴(Budimlja)로 알려졌다. 이곳은 중세 세르비아에서 전체론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1219년, 초대 세르비아 대주교인 성 사바는 이곳에 최초의 세르비아 교구 중 하나를 설립했다. 12세기 말, 네마냐의 형제 티호미르의 아들 프르보슬라브는 Đurđevi stupovi 수도원을 건설했다. 이 수도원에는 문학과 회화 학교가 있었으며, 7명의 주교와 9명의 대주교가 있었다. 이 지역에는 Đurđevi stupovi 외에도 많은 수도원과 교회들이 세르비아인들의 풍요로운 전체론적 삶을 보여주고 있다. 1738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파괴되고 불태워진 슈디코보(Šudikovo)는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수도원이었다. 대주교의 보좌는 350년 이상 비어 있었으나, 부디믈랴-니크시치 교구로 알려진 부디믈랴 주교구는 2002년 주교 요아니키예의 임명으로 복원되었다. 베라네 시와 그 주변 지역은 1455년 비호르와 부디믈랴를 터키가 점령할 때까지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일부였다.[1]

제1차 세르비아 봉기 (1804)와 카라조르제의 노비 파자르 행진 동안, 이 지역 사람들은 봉기하여 세르비아 공작 안토 보기체비치와 하지-프로단 글리고리예비치를 만났다. 그 후, Đurđevi stupovi의 수도원장 모이시예 제체비치는 부디믈랴의 동방 정교회 사람들 사이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페타르 1세 페트로비치-네고스와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네고스 등 몬테네그로의 대주교이자 정치 지도자들의 가장 가까운 동맹 중 한 명이었다. 제1차 세르비아 봉기 이후 최종 해방까지 터키에 대한 싸움은 끊이지 않았으며, 특히 19세기 후반에 더욱 심해졌다. 1825년부터 1862년까지 유명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가장 중요한 전투는 1862년 4월 7일에 벌어진 루데스 전투로, 이 전투에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반군이 승리했다. 베라네는 1912년 터키로부터 최종 해방되어 몬테네그로에 편입되었다.

2. 2. 오스만 제국 시대

중세 시대 베라네는 부디믈랴(Budimlja)로 알려졌으며, 중세 세르비아 국가 라슈카의 주요 도시였다. 1219년 사바는 이곳에 세르비아인의 첫 주교좌를 설치했고, 12세기 말 주르제비 스투포비(Đurđevi Stupovi) 수도원이 설립되었다. 이 수도원에는 7명의 주교와 9명의 대주교가 있었으며, 문학과 미술을 배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다. 이후에도 많은 성당이 건립되어 종교적인 중요 거점이 되었으나, 350년 이상 대주교 자리는 공석이었다. 이 지역에 두 번째로 세워진 슈디코보(Šudikovo) 성당은 1738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파괴되었다.[1]

1455년 오스만 제국은 베라네 지역을 침략하여 비호르(Bihor)와 함께 제국에 흡수했다. 그 이전까지는 이 지역이 세르비아 국가의 영역이었다. 17세기 중반까지 베라네 주변 계곡에는 세르비아인이 거주했지만, 기근으로 인해 이 땅을 떠났고, 오스만 제국은 무슬림에게 이 지역의 땅을 분배했다.

1804년 제1차 세르비아 봉기에서 조르제 페트로비치(카라조르제)가 노비 파자르에서 봉기를 시작하자, 이 지역에 남아 있던 동방 정교회 신자들도 봉기에 동참했다. 이후 지속적인 저항 끝에 1862년 4월 7일 루데스의 전투에서 세르비아-몬테네그로 연합군이 승리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이 땅에서 철수했고, 1912년 베라네는 자유를 되찾았다.

2. 3.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

중세 시대에 베라네 주변 지역은 부디믈랴(Budimlja)로 알려졌으며, 중세 세르비아에서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성 사바는 1219년에 이곳에 최초의 세르비아 교구 중 하나를 설립했다. Đurđevi stupovi 수도원은 12세기 말 네마냐의 형제 티호미르의 아들 프르보슬라브에 의해 건설되었다. 많은 수도원과 교회들이 이 지역 세르비아인들의 풍요로운 삶을 보여준다. 7명의 주교와 9명의 대주교가 있었다. 문학과 회화 학교가 이 수도원에 존재했다. Đurđevi stupovi 외에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수도원은 슈디코보(Šudikovo)였으나, 1738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파괴되고 불태워졌다. 대주교의 보좌는 350년 이상 비어 있었다. 그러나 부디믈랴-니크시치 교구는 2002년 주교 요아니키예의 임명으로 복원되었다. 베라네 시와 그 주변 지역은 1455년 비호르와 부디믈랴를 터키가 점령할 때까지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일부였다.

제1차 세르비아 봉기 (1804)와 카라조르제의 노비 파자르 행진 동안, 이 지역 사람들은 봉기하여 세르비아 공작 안토 보기체비치와 하지-프로단 글리고리예비치를 만났다. 그 후, Đurđevi stupovi의 수도원장 모이시예 제체비치는 부디믈랴의 동방 정교회 사람들 사이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페타르 1세 페트로비치-네고스와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네고스의 가장 가까운 동맹 중 한 명이었다. 제1차 세르비아 봉기 이후 최종 해방까지 터키에 대한 싸움은 끊이지 않았으며, 특히 19세기 후반에 더욱 심해졌다. 1825년부터 1862년까지 유명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가장 중요한 전투는 1862년 4월 7일에 벌어진 루데스 전투로, 이 전투에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반군이 승리했다. 베라네는 1912년 터키로부터 최종 해방되어 몬테네그로에 편입되었다.

2. 4. 현대

1804년 제1차 세르비아 봉기에서 조르제 페트로비치(카라조르제)가 노비 파자르에서 봉기를 일으키자, 이 지역에 남아 있던 동방 정교회 신자들도 봉기했다. 이후 지속적인 저항 끝에 1862년 4월 7일 루데스의 전투에서 세르비아-몬테네그로 연합군이 승리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에서 물러났고, 1912년 베라네는 몬테네그로에 편입되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르티잔체트니크 간의 격전이 벌어졌으며, 1944년부터 1945년까지 4000여 명이 사망했다.

1949년 7월부터 1992년 3월까지는 이반 밀루티노비치를 기려 도시 이름을 이반그라드로 변경했으나, 이후 베라네로 환원되었다.[3]

3. 지리

베라네는 몬테네그로 북동부에 위치하며, 림 강 계곡에 자리 잡고 있다. 주변은 베옐라시차 산, 스믈레비차 산, 투랴크 산 등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3. 1. 기후

베라네의 기후는 몬테네그로 수문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19]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자료와 1950년부터 현재까지의 극한값을 참고하면, 베라네의 기후 특징을 알 수 있다.

베라네 (1961–1990, 극한값 1950–현재)
최고 기온 (°C)평균 기온 (°C)최저 기온 (°C)강수량 (mm)강수 일수 (≥ 0.1 mm)습도 (%)
1월2.7°C-2°C-5.9°C82.7mm1283
2월5.9°C0.7°C-3.9°C65.5mm1178
3월10.6°C4.5°C-0.9°C63.1mm1273
4월15.2°C8.7°C2.7°C81.9mm1370
5월20.4°C13.4°C6.4°C70.9mm1370
6월23.3°C16.4°C9.5°C71.6mm1371
7월25.9°C18.3°C10.9°C60.5mm1069
8월26.1°C17.7°C10.3°C60.6mm970
9월22.4°C14°C7.5°C66.3mm976
10월17.2°C9.2°C3.4°C74.9mm978
11월10.2°C4.3°C0°C114.9mm1481
12월3.4°C-0.5°C-4.2°C100.4mm1485



베라네 월별 극한 최고/최저 기온 (1950–현재)
최고 기온 (°C)최저 기온 (°C)
1월18.8°C-28.3°C
2월24.1°C-26°C
3월26.5°C-18.6°C
4월31.6°C-9.2°C
5월33.9°C-4.2°C
6월35.2°C0.2°C
7월38.4°C1.2°C
8월40.4°C2.2°C
9월36.8°C-6.1°C
10월32.3°C-7.7°C
11월24.1°C-19.8°C
12월20.2°C-22.7°C


4. 인구

베라네는 베라네 시의 행정 중심지이다. 베라네의 인구는 시대에 따라 변화했으며, 도시 인구, 지방 자치체 인구, 민족 구성에 대한 통계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도시 인구

베라네의 도시 인구는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연도인구
1981년12,720명
1991년12,267명
2003년11,776명
2011년11,073명
2023년9,923명[4]



4. 2. 지방 자치체 인구

베라네 지방 자치체의 인구 변화
연도인구
1948년27,646명
1953년30,316명
1961년34,280명
1971년40,385명
1981년42,060명
1991년38,953명
2003년35,068명



2003년 인구 조사 기준 민족 분포는 다음과 같다.[5]

2003년 베라네 지방 자치체 민족 분포[5]
민족인구비율
세르비아인16,939명41.43%
몬테네그로인9,282명22.70%
보스니아인8,994명22.00%
무슬림2,994명7.32%
로마인133명0.33%
크로아티아인50명0.12%
알바니아인41명0.10%
그 외의 민족222명0.54%
어느 민족에도 속하지 않음223명0.55%
자료 없음837명2.05%
합계40,885명100%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베라네 시의 인구는 24,645명이었다.[5]

4. 3. 민족 구성

199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베라네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5]

2003년 기준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인구비율
세르비아인16,939명41.43%
몬테네그로인9,282명22.70%
보스니아인8,994명22.00%
무슬림2,994명7.32%
로마인133명0.33%
크로아티아인50명0.12%
알바니아인41명0.10%
그 외의 민족222명0.54%
어느 민족에도 속하지 않음223명0.55%
자료 없음837명2.05%
합계40,885명100%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베라네 시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5]

민족비율
세르비아인59.82%
몬테네그로인26.57%
보스니아인4.48%
기타9.13%


5. 문화

이 지역 문화 발전에 역사적으로, 그리고 최근까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세르비아 정교회 또는 이 지역의 수도원들로, 슈디코바, 듀르제비 스투포비 등이 세르비아인들의 정신성의 초석이 되었다.[1] 이 역할은 이후 학교와 더 많은 문화 관련 기관으로 어느 정도 이어졌다.[1]

이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1913년에 설립된 베라네 김나지움이었다.[1] 이곳의 교실은 미하일로 랄리치, 두산 코스티치, 라도반 조고비치, 요반 존지치, 미소 포포비치, 알렉산다르 라파일로비치, 루카 라도예비치 등 다양한 분야의 많은 저명한 예술가와 과학자들의 터전이었다.[1] 베라네에는 문화 센터(도서관 포함), 매우 풍부한 유물 컬렉션을 보유한 폴림스키 박물관, 그리고 몬테네그로 공국의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유명한 "회고록"의 저자인 최초의 대학교 학위 법학자 가브로 부코비치 공작의 저택이 문화 행사에 사용될 예정으로 재건되었다.[1] 베라네에는 초등 음악 교육 학교가 있으며, 다양한 예술 창작 분야의 아마추어 클럽과 협회도 몇 개 있다.[1]

베라네 시에는 초등학교 13곳, 중등학교 4곳, 초등 음악 교육 학교 1곳이 있다.[1] 베라네에는 교통 및 통신 관리 학부, 교사 양성 학부, 고등 의과 대학, 응용 컴퓨터 공학 (포드고리차 전기 공학 학부의 학습 프로그램) 등 4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1] 베라네는 작은 지역 사회가 흔히 그렇듯이 전문적인 과학 기관은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과학 분야의 많은 저명한 과학자들이 이곳 출신이다.[1] 화학자 부키치 미초비치, 세균학자 밀루틴 듀리시치, 지리학자 밀리사브 루토바치, 역사가 미오미르 다시치 등이 과학에 주목할 만한 기여를 했다.[1]

이 지역의 문화는 전통적으로 세르비아 대주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세르비아인이 남긴 초석 등이 발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점차 많은 학술 기관이 이 지역의 문화를 다루고 있다.[1] 또한, 미하이로 라리치, 두샨 코스티치, 라드반 조고비치 등의 문필가를 배출했으며, 요반 조니치, 미쇼 포포비치 등의 화가도 배출했다.[1]

6. 교육

이 지역 문화 발전에 역사적으로, 그리고 최근까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세르비아 정교회 또는 이 지역의 수도원들로, 슈디코바, 듀르제비 스투포비 등이 세르비아인들의 정신성의 초석이 되었다. 이 역할은 이후 학교와 더 많은 문화 관련 기관으로 어느 정도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1913년에 설립된 베라네 김나지움이었다. 이곳의 교실은 미하일로 랄리치, 두산 코스티치, 라도반 조고비치, 요반 존지치, 미소 포포비치, 알렉산다르 라파일로비치, 루카 라도예비치 등 다양한 분야의 많은 저명한 예술가와 과학자들의 터전이었다. 베라네에는 문화 센터(도서관 포함), 매우 풍부한 유물 컬렉션을 보유한 폴림스키 박물관, 그리고 몬테네그로 공국의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유명한 "회고록"의 저자인 최초의 대학교 학위 법학자 가브로 부코비치 공작의 저택이 문화 행사에 사용될 예정으로 재건되었다. 베라네에는 초등 음악 교육 학교가 있으며, 다양한 예술 창작 분야의 아마추어 클럽과 협회도 몇 개 있다.

베라네 시에는 초등학교 13곳, 중등학교 4곳, 초등 음악 교육 학교 1곳이 있다. 베라네에는 교통 및 통신 관리 학부, 교사 양성 학부, 고등 의과 대학, 응용 컴퓨터 공학 (포드고리차 전기 공학 학부의 학습 프로그램) 등 4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베라네는 작은 지역 사회가 흔히 그렇듯이 전문적인 과학 기관은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과학 분야의 많은 저명한 과학자들이 이곳 출신이다. 화학자 부키치 미초비치, 세균학자 밀루틴 듀리시치, 지리학자 밀리사브 루토바치, 역사가 미오미르 다시치 등이 과학에 주목할 만한 기여를 했다.

7. 경제

베라네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한 경제 혼란으로 수많은 기업이 도산하여 몬테네그로 국내에서도 손꼽히는 가난한 도시가 되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산업화가 진행되었을 때, 농업에서 제조업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지만, 그 후의 경제 혼란으로 인해 제조업이 침체되어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하며, 이들 공장의 노동자에게는 보험이 걸려 있지 않아 지역에 대한 기여도가 낮다. 현재 시내의 고용 인원은 약 3,000명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산업이 다시 시작되고 있으며, 석탄 광산이 시작되었고 새로운 상업 건물이 들어서고 있다.

베라네는 2차선 도로를 통해 몬테네그로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된다. 비옐로폴리에는 35km 떨어져 있으며, 이곳에는 포드고리차와 해안, 세르비아로 향하는 주요 분기점(철도 및 도로)이 있다. 세르비아는 또한 로자예(노비 파자르로)를 통해 동쪽으로 갈 수 있다. 베라네는 미래 바르-볼랴레 고속도로의 회랑에 위치해 있다. 베라네에는 공항이 있는데, 1980년대 이후 상업 교통에 사용되지 않았지만, 지역 공항으로의 활성화 및 사용 계획이 있었다. 포드고리차 공항은 약 150km 떨어져 있으며 주요 유럽 목적지로 정기 항공편이 운항된다.

8. 교통

베라네는 2차선 도로를 통해 몬테네그로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된다. 비옐로폴리에는 35km 떨어져 있으며, 포드고리차와 해안, 그리고 세르비아로 향하는 주요 분기점(철도 및 도로)이 있다. 세르비아는 로자예(노비 파자르 방향)를 통해서도 동쪽으로 갈 수 있다. 베라네는 미래 바르-볼랴레 고속도로의 회랑에 위치해 있다. 베라네에는 공항이 있는데, 1980년대 이후 상업 교통에 사용되지 않았지만, 지역 공항으로 활성화하여 사용할 계획이 있다. 포드고리차 공항은 약 150km 떨어져 있으며 주요 유럽 목적지로 정기 항공편이 운항된다.

9. 스포츠

베라네는 튼튼한 스포츠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가장 성공적인 스포츠 단체는 핸드볼 클럽 베라네와 탁구 클럽 부딤이다. 또한 축구 클럽 베라네, 농구 클럽 림, 권투 클럽 라드니츠키 베라네, 육상 클럽, 테니스 클럽 등이 있다. 스포츠 센터는 많은 스포츠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11,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시립 경기장은 몬테네그로에서 두 번째로 큰 경기장이다. 경기장 바로 옆에는 새로운 현대식 시청이 건설 중이다.[4]

베라네 지역의 축구팀은 FK 베라네이며, 이 팀은 수년간 자국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이들은 하위 리그 팀인 FK 나프레닥과 베라네 시립 경기장을 공유한다. 이 도시의 핸드볼 팀은 RK 베라네이다.[4]

10. 자매 도시

베라네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8][9]

국가도시
Italia|이탈리아it테라모
Россия|러시아ru코스트로마
Србија|세르비아sr베오그라드 추카리차
Türkiye|터키tr치일리
Lëtzebuerg|룩셈부르크lb뒤델랑주
Lëtzebuerg|룩셈부르크lb에슈쉬르알제트
Türkiye|터키tr카라이살르
Kosova|코소보sq페야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북마케도니아mk스타로 나고리차네
Србија|세르비아sr수보티차
Србија|세르비아sr브르냐치카 바냐
Bosna i Hercegovina|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s자비도비치


11. 저명한 출신 인물

베라네는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1913년에 설립된 베라네 김나지움은 많은 예술가와 과학자들의 터전이었다. 화학자 부키치 미초비치, 세균학자 밀루틴 듀리시치, 지리학자 밀리사브 루토바치, 역사가 미오미르 다시치[18] 등이 과학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베라네에는 문화 센터(도서관 포함), 폴림스키 박물관, 가브로 부코비치 공작의 저택 등이 있다. 베라네는 초등 음악 교육 학교와 여러 아마추어 예술 클럽 및 협회를 통해 예술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11. 1. 예술가


  • 데얀 추키치, 배우
  • 보반 라요비치, 가수
  • 류보미르 반도비치, 배우
  • 즈본코 레페티치[10]
  • 미하이로 라리치, 작가
  • 두샨 코스티치, 작가
  • 라드반 조고비치, 작가
  • 요반 조니치, 화가
  • 미쇼 포포비치, 화가

11. 2. 운동선수


  • 드라간 예브리치, 축구 골키퍼[11]
  • 스테판 바보비치, 축구 선수
  • 이반 듀르코비치, 핸드볼 선수
  • 소냐 바르작타로비치, 핸드볼 골키퍼[12]
  • 밀로냐 듀키치, 축구 선수
  • 이고르 부슈로비치, 배구 선수[13]
  • 미야일로 마르세니치, 핸드볼 선수
  • 마야 사비치, 핸드볼 선수[14]
  • 조란 보요비치, 축구 선수
  • 블라단 사비치, 축구 선수
  • 드라간 포포비치, 축구 코치
  • 알렉산다르 슈체키치, 축구 선수
  • 네마냐 슈체키치, 축구 선수
  • 시니샤 도브라시노비치, 축구 선수
  • 엘사드 즈베로티치, 축구 선수


RK 베라네(핸드볼), STK 부딤(탁구), FK 베라네(축구), KK 림(농구), 바초 킹(복싱), BK 라드니치키 베라네(복싱) 등의 팀이 있다. 그라츠키 스타디온은 11,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몬테네그로에서 두 번째로 큰 경기장이다.

11. 3. 정치, 교육, 역사 인물


  • 예브스타티예 1세, 세르비아 대주교[15]
  • 자르코 오브라도비치, 정치인[16]
  • 몸칠로 체모비치, 정치인
  • 가브로 부코비치, 상원 의원
  • 파흐루딘 라돈치치, 정치인
  • 셀모 치코티치, 정치인[17]
  • 셰르보 라스토데르, 역사학자
  • 미오미르 다시치, 역사학자[18]

11. 4. 기타 및 관련 인물


  • 밀로반 딜라스 - 정치인
  • 파블레 듀리시치 - 장교
  • 라도반 조고비치 - 시인
  • 드라간 세쿨라라츠 - 축구 선수
  • 옐레나 얀코비치 - 테니스 선수
  • 드라간 니콜리치 - 배우
  • 알렉산다르 샤피치 - 수구 선수
  • 미오드라그 불라토비치 - 소설가

참조

[1] 서적 Registration of settlements and Albanian population on Kosovo Institute of History “Ali Hadri”
[2] 웹사이트 Modern Italy: A Weekly Review of Italian Politics Industry and Commerce https://books.google[...] 1919
[3] 서적 Montenegro: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09
[4]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2023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s://www.monstat.[...] Monstat 2024-01-25
[5] 웹사이트 Population of Montenegro by National, i.e. Ethnical Affiliation, Religion, Mother Tongue, and Language a Person Usually Speaks https://www.monstat.[...] 2024-10-15
[6] 웹사이트 Climate: Berane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7
[7] 웹사이트 Dnevni prosjeci i ekstremi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7
[8] 간행물 Bratimljenje http://berane.me/bra[...] 2019-09-04
[9] 웹사이트 Bratimljenje http://www.uom.co.me[...] Zajednica opština Crne Gore 2013-01
[10] 문서 Prominent Croatian and Yugoslavian actor. Starred in [[Balkan Spy]].
[11] 문서 Member of [[Serbia and Montenegro national football team|Serbia and Montenegro]] for the [[2006 FIFA World Cup]].
[12] 문서 Member of [[2012 European Women's Handball Championship]] winning-[[Montenegro women's national handball team|Montenegrin national team]].
[13] 문서 Member of winning-[[2000 Summer Olympics]] [[Yugoslavia men's national volleyball team|Yugoslavian Men's National Team]].
[14] 문서 Best Left Wing of the [[2001 World Women's Handball Championship|World]] in 2001.
[15] 문서 The sixth Serbian Archbishop, holding the office from 1279 to 1286.
[16] 문서 Minister of Education and Science in the Government of Serbia.
[17] 문서 Minister of Defence of
[18] 문서 Member of [[Montenegri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19] 웹인용 Climate: Berane http://195.66.163.23[...]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18-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