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는 1812년 베사라비아가 러시아 제국에 병합된 후 몰다비아 대교구 소속 교회와 수도원을 기반으로 설립되었다. 1918년 루마니아에 통합된 후 루마니아 정교회에 편입되었으나, 1940년 소련의 점령으로 금지되었다. 1991년 몰도바 독립 이후 재건되었지만,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할권 분쟁이 지속되고 있다. 루마니아 정교회는 베사라비아 대교구의 관할권을 주장하며, 2023년 루마니아 정부는 대교구에 재정 지원을 발표했다. 현재 4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루마니아 정교회 소속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 정교회 - 옥타비안 고가
    옥타비안 고가는 루마니아의 시인이자 극작가, 번역가, 정치인으로, 민족주의적 시와 저널리즘 활동으로 "국가의 시인"으로 불렸으며 국민 기독교당 정부의 총리를 지내며 반유대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 루마니아 정교회 - 줄러 교구
    줄러 교구는 1999년 헝가리에서 루마니아 소수 민족의 권리 보호를 위해 설립되어 교황의 승인을 받았으며, 루마니아 정교회 총대주교청 직속 교구로 승격되었고, 현재 실루안 므누일라 주교가 교구장으로 있으며, 2010년 기준 15명의 사제와 19개의 교회 등을 관할한다.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
개요
관할권관구 대교구
소속 교단루마니아 총대주교청 (자치 관구 대교구)
설립1918년
대주교페트루 대주교
본부키시너우
사용 언어루마니아어
신자 수720,000명
웹사이트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

2. 역사

베사라비아 지역의 정교회는 19세기 초부터 러시아 제국, 루마니아, 소련 등 주변 강대국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그 소속과 위상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복잡한 역사를 거쳐왔다.

1812년 부쿠레슈티 조약으로 베사라비아러시아 제국에 편입되면서, 이 지역의 정교회는 기존의 몰다비아 대교구에서 분리되어 키시너우와 호틴 교구로 재편되었다. 초대 대주교는 가브릴 바눌레스쿠-보도니였으나, 1821년 이후 러시아 당국은 강력한 러시아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19세기 중반에는 파리 조약과 베를린 조약에 따라 남부 베사라비아의 영토 귀속이 변경되면서 루마니아 정교회러시아 정교회 사이에서 관할권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18년 베사라비아의 루마니아와의 통합 이후, 이 지역 교회는 루마니아 정교회 산하의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로 편입되었다. 구리에 그로수와 에프렘 에나체스쿠 등이 대주교를 역임하며 루마니아 정교회의 일부로 활동했으나, 1940년 소련의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 점령으로 대교구는 강제로 해체되고 러시아 정교회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 소련은 이 지역에 '키시너우와 몰도바 교구'를 설립하여 관리했다.

1991년 몰도바가 독립하면서 상황은 다시 변화했다. 루마니아 정교회와의 역사적 연결성을 복원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페트루 패두라루 주교를 중심으로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가 재건되었다. 이는 기존의 러시아 정교회 산하 키시너우와 전 몰도바 대교구와의 갈등을 유발했다. 오랜 법적 분쟁 끝에 2004년 유럽 인권 재판소의 판결로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는 몰도바 내에서 법적 지위를 인정받게 되었으며, 1944년 이전 대교구의 역사적 계승자로 인정받았다. 현재 두 정교회 기구는 몰도바 내에서 공존하고 있으며, 루마니아 정부는 2023년 연간 200만유로 규모의 재정 지원을 발표하는 등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있다.

2. 1. 설립 배경 (1812-1918)

몰도바 정교회 역사 문서도 참고할 수 있다.

1812년 부쿠레슈티 조약에 따라 베사라비아러시아 제국병합되면서, 이 지역의 정교회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기존 몰다비아 대교구에 속했던 교회와 수도원들을 기반으로 키시너우와 호틴 교구가 재편성되었다. 이는 더 이상 몰다비아 공국의 영토가 아니게 된 지역을 관리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 재편성을 주도하고 초대 대주교를 역임한 인물은 가브릴 바눌레스쿠-보도니로, 그는 몰다비아와 루마니아의 언어 및 문화 보급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1821년 이후, 러시아 제국과 러시아 정교회는 베사라비아 지역에서 강력한 러시아화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흘러 1858년, 파리 조약의 결과로 남부 베사라비아가 몰다비아로 반환되었다. 몰다비아는 곧 왈라키아와 통합하여 루마니아를 형성했다. 이에 따라 카훌, 볼그라드, 이스마일 지역의 정교회는 다시 몰다비아 대교구의 루마니아 교회 관할 아래로 돌아왔으며, 1864년에는 하부 도나우 교구가 새롭게 설립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1878년 베를린 조약에 따라 러시아 제국이 남부 베사라비아를 다시 재병합하면서, 이 지역은 또다시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과 함께 1918년, 베사라비아의 루마니아와의 통합이 이루어지면서 상황은 다시 한번 급변했다. 당시 키시너우 교구의 대주교였던 아나스타시우스 그리바노프스키는 러시아 정교회에서 벗어나 루마니아 정교회로 통합하라는 루마니아 측의 요구를 거부했고, 결국 자리에서 축출되었다. 이 시기는 베사라비아 지역의 정교회가 러시아와 루마니아 사이에서 복잡한 역사를 겪으며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던 중요한 과정이었다.

2. 2. 루마니아 통합과 소련 점령 (1918-1991)

1918년, 베사라비아의 루마니아와의 통합이 이루어진 후, 키시너우 교구의 대주교였던 아나스타시우스 그리바노프스키는 러시아 정교회에서 탈퇴하여 루마니아 정교회에 통합하라는 루마니아 당국의 요구를 거부하였다가 결국 축출되었다. 같은 해 대 루마니아가 성립되면서, 루마니아 영토 내에는 세 개의 주요 정교회 기구가 존재하게 되었다. 하나는 1872년 웅로-왈라키아 대교구와 몰다비아 대교구의 통합으로 형성된 자치 루마니아 정교회였고, 다른 두 개는 비자치 상태의 베사라비아 대교구와 트란실바니아 대교구였다.

1925년, 루마니아 정교회는 그 지위가 총대주교좌로 격상되었고, 베사라비아 대교구는 루마니아 총대주교 산하의 5개 교구 중 하나로 편입되었다. 구리에 그로수가 베사라비아 대교구의 초대 대주교를 맡았으며, 이후 에프렘 에나체스쿠가 두 번째 대주교로 활동했다.

그러나 1940년 소련의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 점령으로 상황은 급변했다. 당시 비자치 상태였던 베사라비아 대교구는 소련 당국에 의해 활동이 금지되었고, 교회의 재산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거나 러시아 정교회로 넘겨졌다. 러시아 정교회는 이 지역에 '키시너우와 몰도바 교구'를 새로 설립했다. 1980년대에는 두 개의 교구가 추가되었으며, 1990년에는 대교구로, 그리고 1992년에는 키시너우와 전 몰도바 대교구로 승격되었다. 이는 몰도바가 독립한 1991년 이후의 일이지만, 소련 점령기부터 이어진 러시아 정교회 구조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변화였다.

2. 3. 독립 이후 재건과 갈등 (1991-현재)

1991년 몰도바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벌치의 주교인 페트루 패두라루를 중심으로 일부 성직자들이 베사라비아 대교구를 재건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1] 루마니아 정교회는 당시 베사라비아 지역에 대한 러시아 정교회의 관할권 행사를 "역사적 현실과 교회법 측면에서 부당하고 남용적인 행위"로 간주했으며, 러시아 정교회의 관할권은 몰도바 내 러시아계 민족에게만 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

그러나 러시아 정교회는 새롭게 재건된 베사라비아 교회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두 대교구는 불안정한 공존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1] 1990년대 동안, 러시아 정교회에 소속된 교회는 몰도바 국가 당국의 보호를 받으며 사실상 공식적인 교회로 자리 잡았다. 반면, 베사라비아 정교회는 국가의 새로운 종교법에 따라 등록이 거부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1]

수년간의 법적 다툼 끝에, 2004년 유럽 인권 재판소의 최종 결정이 내려지면서 상황이 전환되었다. 이 결정에 따라 베사라비아 정교회는 공식적으로 등록될 수 있었으며, 몰도바 공화국 대법원 역시 이 교회를 "1944년까지 운영되었던 베사라비아 대교구의 영적, 정경적, 역사적 계승자"로 인정했다.[1] 이 판결 이후, 몰도바 내 정교회의 약 20%가 베사라비아 정교회 관할로 소속을 옮기거나 변경했으며, 다른 많은 교구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에 대한 강한 열망이 나타났다.[1]

이러한 결정은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계에서 주요한 긴장 요인으로 남아있다.[1] 루마니아 정교회는 공식 입장을 통해, 두 대교구가 "평화롭게 공존하고 형제애적으로 협력해야 하며, 디아스포라의 정교회 사역에서 합의된 바와 같이 영토 원칙과 민족 원칙을 지혜와 현실주의로 조화시켜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2]

2023년 6월, 루마니아의 마르첼 치올라쿠 총리는 루마니아 정부가 베사라비아 대교구에 연간 200만유로를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

2. 4. 루마니아의 지원

1918년 베사라비아루마니아와 통합된 이후, 키시너우 교구는 루마니아 정교회 산하의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로 재편되었다. 이는 러시아 정교회에서 탈퇴하기를 거부한 기존 대주교 아나스타시우스 그리바노프스키가 축출된 후에 이루어졌으며, 구리에 그로수가 초대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1940년 소련이 베사라비아를 점령하면서 대교구는 활동이 금지되었고, 그 자산은 러시아 정교회로 넘어갔다. 하지만 1991년 몰도바가 독립한 후, 벌치의 주교였던 페트루 패두라루를 중심으로 일부 성직자들이 베사라비아 대교구를 재건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루마니아 정교회는 이러한 움직임을 지지하며, 당시 베사라비아 지역에 대한 러시아 정교회의 관할권 행사가 "역사적 현실과 교회법 측면에서 부당하고 남용적인 행위"라고 비판했다. 루마니아 정교회는 러시아 정교회 산하의 키시너우와 전 몰도바 대교구의 관할권은 몰도바 내 러시아계 주민에게만 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정교회는 베사라비아 대교구의 재건을 인정하지 않았고, 몰도바 정부 역시 1990년대 동안 러시아 정교회 산하 교회를 공식 교회로 인정하며 베사라비아 대교구의 등록을 거부했다. 그러나 오랜 법적 다툼 끝에 2004년, 유럽 인권 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베사라비아 정교회는 마침내 공식적인 지위를 인정받게 되었다. 몰도바 공화국 대법원은 베사라비아 정교회를 "1944년까지 운영된 베사라비아 대교구의 영적, 정경적, 역사적 계승자"로 인정했다. 이 결정 이후 몰도바 내 정교회의 약 20%가 베사라비아 대교구 소속으로 전환하거나 소속 변경 의사를 밝혔다.

이러한 상황은 러시아 정교회와의 지속적인 갈등 요인이 되고 있다. 루마니아 정교회는 두 대교구가 영토 원칙과 민족 원칙을 조화롭게 적용하여 "평화롭게 공존하고 형제애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2023년 6월, 루마니아의 마르첼 치올라쿠 총리루마니아 정부가 베사라비아 대교구에 연간 200만유로를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루마니아의 지속적인 지원 의사를 분명히 했다.

3. 구조 및 조직

교회는 현재 다른 정교회 일부로부터만 인정을 받고 있으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이들의 인정을 반대하고 있다.[11] 현재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의 대주교는 페트루 퍼두라루이다. 그는 1946년 10월 24일 치간카에서 태어났으며, 1992년에 대주교로 선출되었다.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는 몰도바 정교 신자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12]

베사라비아 관구 대교구는 4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

[1] 간행물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7 about Moldova https://2009-2017.st[...]
[2] 웹사이트 Mitropolia Ortodoxa Romana a Basarabiei http://www.crestinor[...]
[3] 웹사이트 The Position of the Romanian Patriarchate concerning the Reactivation of the Three Dioceses in the Metropolitanate of Bessarabia https://web.archive.[...] 2014-02-04
[4] 웹사이트 Administrative Organisation of the Romanian Orthodox Church http://www.patriarhi[...]
[5] 서적 The Encyclopedia of Eastern Orthodox Christianity, 2 Volume Se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12-15
[6] 웹사이트 The Lower Danube Archidiocese history http://www.calauza.e[...]
[7] 웹사이트 19 mai 1993 - Scrisoarea Prea Fericitului Patriarh Teoctist către Sanctitatea Sa Alexei II (1993) http://www.istoria.m[...]
[8] 뉴스 A legitimate act for defending the Romanian identity - Explanations concerning the juridical recognition of the Metropolitan See of Bessarabia and of the suffragan eparchies http://www.patriarhi[...] Romanian Patriarchy 2008-02-21
[9] 웹사이트 Ciolacu, proiect de lege pentru acordarea unui sprijin financiar anual Mitropoliei Basarabiei https://adevarul.ro/[...] 2023-06-21
[10] 웹사이트 Premierul Marcel Ciolacu vrea să finanțeze Mitropolia Basarabiei cu 2 milioane de lei https://www.ziarulpr[...] 2023-06-22
[11] 논문 Church–state conflict in Moldova: The Bessarabian Metropolitanate 2003
[12] 뉴스 "Înalt Prea Sfinţitul Vladimir vorbeşte despre unirea Mitropoliei Moldovei cu cea a Basarabiei" ("Metropolitan Vladimir about the union of the two Metropolitans in Moldova") http://www.publika.m[...] 2013-08-30
[13]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14]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5]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6]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