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옥타비안 고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타비안 고가는 루마니아의 시인, 극작가, 언론인, 정치인으로, 1881년 트란실바니아에서 태어나 1938년에 사망했다. 그는 초기 문학 활동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시집 "Poezii"를 발표하여 호평을 받았다. 또한 다양한 신문과 잡지를 통해 언론 활동을 펼쳤으며, 루마니아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1937년에 총리가 되었으나, 반유대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나치 독일과 파시스트 이탈리아에 동조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그의 말년에는 시민권 박탈과 추방을 주장하는 등 극단적인 행보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옥타비안 고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옥타비안 고가
국적루마니아
출생일1881년 4월 1일
출생지레시나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사망일1938년 5월 7일
사망지치우체아, 클루지 주, 루마니아 왕국
배우자호르텐시아 고가(결혼: 1906년, 이혼: 1920년)
(결혼: 1921년, 사망: 1938년)
직업시인, 언론인
서명
정치 경력
직위루마니아의 총리
임기 시작1937년 12월 28일
임기 종료1938년 2월 10일
국왕카롤 2세
이전게오르게 터터레스쿠
다음미론 크리스테아
직위 1내무부 장관
임기 시작 11926년 3월 30일
임기 종료 11927년 6월 4일
총리 1알렉산드루 아베레스쿠
이전 1이온 I. C. 브러티아누
다음 1바르부 슈티르베이 (임시)
직위 2문화 및 종교부 장관
임기 시작 21919년 12월 5일
임기 종료 21919년 12월 16일
총리 2알렉산드루 바이다보에보드
이전 2알렉산드루 루페스쿠
다음 2이온 보르체아
임기 시작 31920년 6월 13일
임기 종료 31921년 12월 16일
총리 3알렉산드루 아베레스쿠
이전 3이온 보르체아
다음 3바실레 두미트레스쿠-브러일라
직위 4국민 기독교당 공동 대표
동료 4A. C. 쿠자, 니키포르 크라이니크
임기 시작 41935년 7월 16일
임기 종료 41938년 2월 10일
이전 4(자신, 국민 농민당)
A. C. 쿠자(국민 기독교 방어 연맹)
다음 4(1938년 헌법에 따라 정당 해산)
직위 5국민 농민당 창립 대표
임기 시작 51932년 4월 10일
임기 종료 51935년 7월 16일
다음 5(자신, 국민 기독교당으로 합병)
소속 정당루마니아 국민당 (1918년 이전)
인민당(1918–1932)
국민 농민당 (1932–1935)
국민 기독교당(1935–1938)

2. 생애

옥타비안 고가는 1881년 4월 1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트란실바니아 지역의 러시나리 마을에서 동방 정교회 사제 가정에서 태어났다.[1] 그는 시비우의 국립 고등학교와 브라쇼브의 루마니아 고등학교를 거쳐 부다페스트 대학교와 베를린에서 학업을 마쳤다.

젊은 시절부터 문학에 두각을 나타내어 시인으로 활동했으며, 특히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의 민족적 정서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치하의 고난을 노래한 시들로 큰 명성을 얻었다. 1898년 첫 시를 발표한 이후[4], 부다페스트에서 문학 잡지 《루체아풀》 창간(1902)을 주도하고 주요 필진으로 활동하며 루마니아 문단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1905년 발간된 첫 시집 『시』(Poeziiro)는 그의 문학적 입지를 확고히 했다.

문학 활동과 더불어 언론 활동에도 적극 참여했다. 《루체아풀》 외에도 1907년 시비우에서 아스트라(ASTRA)의 지원을 받아 주간지 《차라 노아스트라》(Țara Noastrăro|우리의 조국)를 창간하여 발행인 겸 편집인을 맡았다. 이 매체들을 통해 그는 루마니아주의 – 루마니아 민족의 통일과 문화적 정체성 강화 – 를 역설하고 농민 계몽에 힘썼다.

초기에는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의 권익 신장과 민족 해방을 위한 운동에 헌신했다. ASTRA의 문학 비서(1906)로 활동하며 문화 운동에 정치색을 부여했고, 제국 내 루마니아인 통치자들을 비판하다가 1911년과 1913년 두 차례 투옥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루마니아로 이주하여 트란실바니아와 루마니아의 통일을 위한 선전 활동에 적극 나섰으며, 이로 인해 헝가리 정부로부터 궐석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전쟁 중에는 루마니아 군대에 자원입대하여 참전했다.

전후 대 루마니아 건설 이후 본격적으로 정치 활동에 뛰어들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극단적인 민족주의반유대주의 성향으로 기울었다.[10] 루마니아 국민당을 탈당하고 알렉산드루 아베레스쿠의 인민당, 이후 자신이 창당한 국민 농업당을 거쳐, 1935년에는 알렉산드루 C. 쿠자의 국민 기독교 방위 연맹과 합당하여 파시즘 성향의 국민 기독교당을 결성했다.[12]

1937년 12월, 카롤 2세 국왕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으나[11], 그의 정부는 불과 44일 만에 막을 내렸다. 짧은 재임 기간 동안 그는 루마니아유대인들의 시민권을 대거 박탈하는 법령을 공포하는 등[13][14] 노골적인 반유대주의 정책을 강행하여 국내외적으로 큰 비판과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다.[15][16][17] 이러한 정책은 루마니아의 파시즘화를 가속화하는 결과를 낳았으며[19][20], 과거 소수민족으로서 억압받았던 경험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소수민족을 탄압하는 외국인 혐오적 극단주의자로 변모했다는 비판을 받는다.[21]

카롤 2세 국왕과의 정치적 갈등 끝에 1938년 2월 총리직에서 물러나 정계를 은퇴했다. 이후 트란실바니아 치우체아의 자택에서 머물던 중 1938년 5월 5일 뇌졸중으로 쓰러졌고, 이틀 뒤인 5월 7일 5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7] 그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유해는 부쿠레슈티 벨루 묘지를 거쳐 그의 유언에 따라 치우체아의 저택 부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81-1904)

옥타비안 고가는 1881년 4월 1일, 남부 카르파티아 산맥 북쪽 기슭의 러시나리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동방 정교회 사제인 이오시프 고가였고, 어머니 아우렐리아는 교사이자 젊은 시절 ''Telegraful Român'' 신문과 ''Familia'' 잡지에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1]

고가는 1886년부터 1890년까지 고향 마을의 초등학교에 다녔다. 당시 그의 스승은 애국적인 지식인이었던 모이세 프래틸라였는데, 그는 고가의 시 "Dascălul"에 등장하는 인물로 여겨진다. 일찍 세상을 떠난 그의 누이 빅토리아는 시 "[https://ro.wikisource.org/wiki/D%C4%83sc%C4%83li%C8%9Ba Dăscălița]"의 모델이 되었다.[1] 어린 시절, 그는 방학 대부분을 아버지의 고향인 알바 주 터르나바 미커 강변의 크래치우넬루 데 수스 마을에서 보냈다. 이 마을은 현재 체타테아 데 발타 코뮌에 속하며, 당시 마을 주민의 약 20%가 고가라는 성을 사용했다. 고가는 훗날 "크래치우넬루 농민들의 삶이 시 ''Plugarii & Clăcașii''에 영감을 주었다"고 회상했다.[2]

1890년, 고가는 시비우에 있는 국립 고등학교(현재의 게오르게 라자르 국립 칼리지)에 입학하여 1899년까지 다녔다. 이후 브라쇼브의 루마니아 고등학교(현재의 안드레이 샤구나 국립 칼리지)로 전학하여 1900년에 졸업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부다페스트 대학교 문학철학부에 입학했으며, 이후 독일 베를린으로 건너가 학업을 계속하여 1904년에 학업을 마쳤다.

2. 2. 문학 활동 (1902-1938)

1898년 12월 12~24일자(275호, 1098쪽) 시비우의 신문 《트리부나》(Tribuna)에 'Tavi'라는 필명으로 그의 첫 시 「Atunci și acumro」이 실렸다. 비스트리차의 《레비스타 일루스트라타》(Revista Ilustrată) 소속 이온 팝-레테가눌(Ion Pop-Reteganul)은 그에게 편지를 보내 "젊은 친구여, 당신은 재능이 있으니 부지런히 갈고 닦아 위대해질 수 있습니다. 좋은 날은 아침에 드러나는 법입니다. 학생으로서의 의무를 게을리하지 마십시오."라고 격려했다. 이에 힘입어 시 「Nu-i fericire pe pământro」가 반 페이지에 걸쳐 게재되었다.[4] 당시 시비우의 헝가리어 고등학교 학생이었던 고가는 아직 17세가 되지 않았다.

이후 그의 시들은 이오시프 불가(Iosif Vulcan)가 오라데아에서 발행하던 《레비스타 파밀리아》(Familia, 1898년 34호, 44호)와 《트리부나》, 그리고 1902년부터 《루체아풀》(Luceafărul) 신문에 실렸으며, 주로 'Octavian' 또는 'Nic. Otavă'라는 필명으로 발표되었다. 1903년 9월 15일 《루체아풀》에 발표한 시 「Sfârșit de septembriero」에서 처음으로 'Octavian Goga'라는 본명을 사용했다.

1902년 7월 1일,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의 민족 문화와 정치적 단결을 목표로 하는 잡지 《루체아풀》이 부다페스트에서 창간되었다. 고가는 이곳에 자신의 시 대부분을 발표했다. 이 잡지는 페트루 마이오르 협회(Petru Maior Association) 소속의 부다페스트 루마니아 학생들에 의해 창간되었는데, 창간호의 "프로그램을 대신하여"(In lieu de programmero)라는 글을 쓴 알렉산드루 추라(Alexandru Ciura)와 고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고가는 1933년 잡지 제목이 "당시의 정신 상태와 문학적 의식과 관련이 있었다"고 회고했다. 1905년 출간된 시집 『시』(Poeziiro)에는 《루체아풀》에 발표했던 작품들이 다수 수록되었으며, 이 시집을 통해 고가는 문학적 재능을 널리 인정받게 되었다.

1904년에는 유명한 시 「Oltulro」이 《루체아풀》(3년, 4호, 2월 15일)에 실렸고, 같은 해 4월 10일자(7호)에는 'Nic. Otavă'라는 필명으로 시 「Dăscălițaro」를 발표했다. 1905년에는 《루체아풀》을 통해 시 「Plugariiro」, 「Lăutarulro」, 「Dascălulro」, 「Rugăciunero」, 「Clăcașiiro」 등을 발표했다.

2. 3. 언론 활동 (1902-1938)

1897년 12월 12~24일자(275호) 시비우의 신문 "트리부나"에 'Tavi'라는 필명으로 그의 첫 시 "[https://ro.wikisource.org/wiki/Atunci_%C8%99i_acum Atunci și acum]"이 실렸다. 당시 비스트리차의 "레비스타 일루스트라타" 편집자였던 이온 팝-레테가눌은 그에게 "젊은 친구여, 당신은 재능이 있으니 부지런히 갈고 닦아 위대해질 수 있습니다. 좋은 날은 아침에 드러나는 법입니다. 학생으로서의 의무를 게을리하지 마십시오."라는 격려의 편지를 보냈다. 이에 힘입어 시 "[https://ro.wikisource.org/wiki/Nu-i%20fericire%20pe%20p%C4%83m%C3%A2nt Nu-i fericire pe pământ]"가 반 페이지에 걸쳐 게재되었다.[4] 이때 고가는 시비우의 헝가리어 고등학교 학생으로, 아직 17세가 되지 않았다.

이후 발표된 시들은 이오시프 불가가 편집하던 오라데아의 "레비스타 파밀리아"(1898년), "트리부나", 그리고 "루체아풀"(1902년, 1903년) 등에 실렸으며, 주로 'Octavian' 또는 'Nic. Otavă'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1903년 9월 15일 자 "루체아풀"에 발표한 시 "[https://ro.wikisource.org/wiki/Sf%C3%A2r%C8%99it%20de%20septembrie Sfârșit de septembrie]"에 처음으로 'Octavian Goga'라는 본명을 사용했다.

1902년 7월 1일,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의 민족 문화 증진과 정치적 단결을 목표로 하는 잡지 "[Luceafărul (magazine)|루체아풀]"이 부다페스트에서 창간되었다. 고가는 이 잡지에 자신의 시 대부분을 발표했다. 잡지 창간은 부다페스트에서 활동하던 루마니아 학생들, 특히 알렉산드루 추라와 고가 자신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고가는 훗날 잡지 이름이 "당시의 정신 상태와 문학적 의식과 관련이 있었다"고 회고했다. 그의 초기 시 대부분은 1905년 발간된 시집 Poezii에 수록되었으며, 고가는 "루체아풀"을 통해 문학적 재능을 확고히 인정받았다.

1904년에는 유명한 시 "[https://ro.wikisource.org/wiki/Oltul Oltul]"이 "루체아풀"에 실렸고, 같은 해 'Nic. Otavă'라는 필명으로 "[https://ro.wikisource.org/wiki/D%C4%83sc%C4%83li%C8%9Ba Dăscălița]"를 발표했다. 1905년에는 "[https://ro.wikisource.org/wiki/Plugarii Plugarii]", "[https://ro.wikisource.org/wiki/L%C4%83utarul Lăutarul]", "[https://ro.wikisource.org/wiki/Dasc%C4%83lul Dascălul]", "[https://ro.wikisource.org/wiki/Rug%C4%83ciune Rugăciune]", "[https://ro.wikisource.org/wiki/Cl%C4%83ca%C8%99ii Clăcașii]" 등의 시를 연이어 발표했다.

고가의 언론 활동은 1902년 7월 1일, 알렉산드루 치우라, 옥타비안 코드루 터슬러우아누와 함께 부다페스트에서 직접 창간한 잡지 《루체아풀》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는 1912년까지 이 잡지의 편집장 또는 발행인을 번갈아 맡았다. 《루체아풀》의 창간은 같은 꿈을 꾸던 젊은 학생들의 열정과 시대적 고민을 반영한 것이었다. 고가는 "우리의 잡지는 청년의 기관으로서 대중에게 우리를 더 가깝게 소개하고 대중과 청년 사이에 더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라고 밝혔다. 부다페스트의 젊은 루마니아 지식인들은 민족 공동체의 이상을 대변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다. 고가는 훗날 "1902년 부다페스트 잡지 루체아파룰이 설립된 것은 바로 그런 풍부한 아이디어 덕분이었습니다. 제가 그곳에 있었던 4년 동안과 베를린에서 1년 동안 우리는 정신적 통일이라는 아이디어를 확신하며 나아갔습니다."라고 회고했다. 《루체아풀》은 애국적인 루마니아 학생 단체의 지원과 A.P. 베누츠의 재정적 후원으로 창간되었으며, 고가는 "트란실바니아에도 다른 지역과 다른 모든 특징을 가진 지역적 특성이 찍힌 문학 잡지가 필요했다"고 창간 이유를 설명했다. 이온 키네주는 "옥타비안 고가는 다른 잡지를 위해 글을 썼고, 심지어 몇몇 잡지를 창간하기도 했다. 그의 이름은 《루체아풀》과 연결되어 있다"고 평가하며 고가의 기여를 강조했다.

아스트라(ASTRA)에서의 활동을 통해 그의 언론 활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1907년 1월 1일, 그는 아스트라의 기관지였던 《트란실바니아》를 임시로 대체하는 주간지 《차라 노아스트라》(Țara Noastră, 우리의 조국)를 창간하고 편집인과 발행인을 맡았다. 창간호 사설 "우리 학자들에게"에서 그는 이 잡지가 "훌륭한 간행물이 되어, 학자들의 영혼과 일요일에 그것을 읽기 위해 무릎을 꿇는 농민들 사이의 격차를 메우는" 역할을 하기를 기대했다. 그는 "자신의 마음속에서 완수를 요구하는 의무의 울림을 느끼는 모든 학자들은 이 논문에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것이며, 이익은 우리의 문화 시설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썼다. 《차라 노아스트라》는 1909년 12월 5일까지 시비우에서 매주 발행되었고, 이후 클루지(1922-1931)와 부쿠레슈티(1932-1938)에서 고가를 발행인으로 하여 계속 출판되었다. 1938년 5월 29일 호는 그 달 7일에 사망한 창립자 고가를 기리는 특집으로 꾸며졌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고가는 《차라 노아스트라》 외에도 《에포카》, 《아데버룰》, 《플라카라》, 《루마니아》 등 여러 매체에 글을 기고하며 뛰어난 언론인으로 자리매김했다. 그의 저널리즘 산문은 문체와 주제 면에서 미하이 에미네스쿠에 비견될 정도였다. 그의 산문 작품들은 주로 루마니아 아카데미 연설, 기념사, 작가나 친구에 대한 찬사 등이었으며, 투도르 비아누는 이를 높이 평가했다.

고가는 자신의 언론 활동을 통해 "루마니아주의" – 즉, 루마니아인의 기원, 루마니아 민족 형성의 지속성, 모든 루마니아인의 통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억압에 대한 저항 등 – 를 핵심 주제로 다루었다. 《루체아풀》을 통해서는 루마니아 본토와의 문화적 유대를 강화하여 정치적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고, 《차라 노아스트라》를 통해서는 농촌 주민들과의 유대를 강화하며 그들의 정신적, 물질적 필요를 돕고자 했다.

2. 4. 정치 활동 (1906-1938)

옥타비안 고가는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의 민족주의적 열망을 대변하는 인물로 부상한 고가는 1906년 9월 ASTRA의 문학 비서로 선출되었다. 그는 옥타비안 코드루 터슬러우아누와 함께 이 문화 기관의 활동에 정치색을 더했다. 고가는 잡지 ''차라 노아스트라''를 통해 루마니아 농민이 겪는 착취를 고발하고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루마니아인 통치자들을 비판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1911년과 1913년 두 차례 세게딘 감옥에 수감되었다. 특히 1911년 투옥 당시에는 작가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가 그를 방문하고 그의 체포에 항의하는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고가는 루마니아로 이주하여 트란실바니아의 루마니아 병합과 국가 통일을 위한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신문 ''아데버룰''과 ''에포카''에 글을 기고하며 카르파티아산맥 너머 동포들의 박해받는 상황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1914년 12월에는 "문화 연맹 특별 회의"에 트란실바니아 대표로 참여했으며, 1915년 2월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모든 루마니아인의 정치 연맹" 회의에서는 트란실바니아 해방을 위한 희생을 촉구하는 연설을 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부다페스트의 헝가리 정부는 그를 반역죄로 기소하고 궐석재판에서 사형을 선고했다. 고가는 루마니아 군대에 입대하여 도브루자 전선에서 싸웠으며, 전쟁이 끝난 후 평화 조약 체결 과정에서 잠시 프랑스로 망명하여 파리에서 "루마니아 통일 국가 위원회" 활동에 참여했다. 1919년 초, 그는 대 루마니아로 돌아왔다.

전후 루마니아에서 고가는 정치 활동을 본격화했다. 초기에는 의회 민주주의를 지지했으나[10], 점차 입장을 바꾸었다. 1926년에는 바실레 골디시, 이오안 루파스 등과 함께 루마니아 국민당을 탈당하고, 알렉산드루 아베레스쿠 장군이 이끄는 대중주의 정당인 인민당에 합류했다. 이 과정에는 정교회 신자였던 고가 그룹과 그리스 가톨릭교도가 다수였던 국민당 지도부 사이의 종교적 차이도 작용했다. 이후 아베레스쿠 및 카롤 2세 국왕과 갈등을 겪었으며, 1932년 골디시 등과 함께 국민 농업당을 창당했다.

1930년대 들어 고가의 정치적 성향은 이탈리아 파시즘과 독일 나치즘에 동조하는 방향으로 급격히 변화했다.[10] 1935년에는 알렉산드루 C. 쿠자의 국민 기독교 방위 연맹과 합당하여 국민 기독교당을 결성했다.[12] 1937년 12월 28일, 카롤 2세 국왕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으나[11], 그의 정부는 극단적인 정책으로 논란을 일으켰고 44일 만인 1938년 2월 10일에 실각했다. 이후 정계에서 물러나 트란실바니아 치우체아의 자택으로 돌아갔으며, 1938년 5월 7일 사망했다.

한편, 고가는 프리메이슨 단원으로 활동하기도 했으나, 조직의 이상과는 거리가 있었다는 평가가 있다. 그는 로지 내에서 기독교적 가치를 강조하려 했고, 국립 로지의 명칭을 기독교 국립 로지로 변경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22]

2. 4. 1. 반유대주의 정책과 논란

역사가 일라리온 치우에 따르면, 1920년대 의회 민주주의를 지지했던 고가는 1930년대 이후 이탈리아 파시즘과 독일 나치즘에 동조하는 방향으로 급격히 선회했으며, 루마니아 민족주의 운동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다.[10]

1937년 총선에서 자유주의 성향의 게오르게 터터레스쿠 총리가 이끄는 정부가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자[11], 카롤 2세 국왕은 극우 정당 지도자였던 옥타비안 고가와 알렉산드루 C. 쿠자 교수를 기용하여 새로운 정부를 구성했다. 고가는 1932년 국민 농업당을 창당했으며, 1935년에는 쿠자가 이끄는 국민 기독교 방위 연맹과 합당하여 국민 기독교당을 결성했다.[12] 이 정당을 기반으로 한 고가-쿠자 정부는 1937년 12월 28일부터 1938년 2월 10일까지 단 44일간 존속했다.

고가 정부는 집권하자마자 노골적인 반유대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1918년에서 1924년 사이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러시아 제국 출신 유대인들이 루마니아로 불법적으로 유입되었다는 명분을 내세워, 1938년 1월 21일 헌법과 루마니아의 국제적 의무를 위반하는 시민권 개정 법령 제169호를 공포했다.[13] 이 법령은 루마니아 내 유대인 시민들에게 과거 법률에 따라 시민권을 취득했음을 문서로 증명하도록 요구했다. 검토 대상이 된 617,396명의 유대인 중 225,222명(36.50%)이 시민권을 박탈당했으며, 이들은 법적 지위가 없는 외국인으로 취급받았다.[14]

이는 루마니아에서 유대인 시민들의 기본적인 권리를 박탈하고 민족 청소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된 일련의 차별적 법률 중 첫 번째 조치였다. 이로 인해 많은 유대인 지식인과 산업가들이 루마니아를 떠나기 시작했으며, 이는 루마니아 경제와 문화에 타격을 주었다. 당시 루마니아의 주요 지식인들은 이러한 정책에 대해 격렬하게 항의했다.[15][16]

고가 총리는 1938년 1월 영국 신문 ''데일리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50만 명의 유대인을 "불법 이민자" 또는 "부랑자"로 규정하며 "루마니아 시민으로 간주할 수 없다"고 발언했다. 그는 심지어 이들 50만 명의 유대인을 마다가스카르로 추방하는 계획(마다가스카르 계획)을 제안하기도 했다.[17][18] 당시 외무부 장관이었던 이스트라테 미체스쿠 역시 "우리 뒷마당을 청소하는 것이 시급하며, 우리나라에서 이 모든 쓰레기를 용납하는 것은 쓸모가 없다"는 극단적인 발언을 했다.[17][18]

고가는 나치 독일 및 파시스트 이탈리아와의 동맹을 추구하며 이들의 정책을 모방하려 했고, 유대인 인구의 법적 권리를 부정하는 반유대주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19][20] 과거 합스부르크 제국의 억압 하에 있던 루마니아 소수 민족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인이 된 고가는 오히려 소수 민족을 억압하는 외국인 혐오극단주의자가 되었으며, 파시스트적이고 명백한 반유대주의적 견해를 드러냈다. 역사학자 플로린 콘스탄티니우는 고가가 스스로 루마니아의 '두체'나 '퓌러'가 되기를 원했던 것으로 평가했다.[21]

국민 기독교당의 준군사 조직인 ''Lănceri''(창기병)는 유대인뿐만 아니라 경쟁 관계에 있던 철위대 구성원들까지 공격하며 사회 혼란을 가중시켰다.

한편, 카롤 2세 국왕은 고가 정부를 이용하면서도 점차 그를 견제하기 시작했다. 국왕은 내무부 장관 아르망 캘리네스쿠와 함께 쿠데타를 준비하고 있었는데, 고가가 1938년 2월 8일 철위대 지도자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와 선거 협정을 맺으려 하자 이를 왕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쿠데타를 앞당겼다. 1938년 2월 10일, 카롤 2세는 고가에게 조기 선거 연기를 요구했고, 이에 고가는 총리직에서 사임했다. 이후 그는 국왕이 새로 구성한 국민 통합 정부 참여를 거부하고 트란실바니아 치우체아의 자택으로 은퇴했으며, 그곳에서 1938년 5월 5일 뇌졸중을 겪고 이틀 뒤인 5월 7일에 사망했다.

2. 5. 사망 (1938)

치우체아 성(Ciucea Castle)에서 홀로 은퇴 생활을 하던 옥타비안 고가는 1938년 5월 5일, 저택 공원에서 뇌졸중으로 쓰러져 반신불수 상태가 되고 혼수상태에 빠졌다. 당시 그의 부인 베투리아 고가(Veturia Goga)는 부쿠레슈티에 머물고 있었다. 그는 이틀 뒤인 1938년 5월 7일 오후 2시 15분, 5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루마니아의 국왕 카롤 2세는 고가를 위해 국장을 명령했다. 장례식은 5월 10일 공휴일 때문에 5월 11일에 시작될 예정이었다. 5월 8일과 9일 이틀 동안 치우체아의 영구차 앞에서 조문 행렬이 이어졌고, 5월 10일 장례 열차가 부쿠레슈티로 출발했다. 그의 관은 5월 11일 부쿠레슈티 아테네움 원형 홀에 안치되었으며, 5월 14일 국장이 거행될 때까지 그곳에 있었다. 그의 유언에 따라 장례식에서는 어떤 연설도 없었으며, 시신 위에는 그의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나치 만자가 놓였다.[6]

고가는 처음에 부쿠레슈티의 벨루 묘지에 묻혔으나, 나중에 그의 유언에 따라 치우체아의 저택 부지로 유해가 옮겨졌다.[7]

3. 작품

옥타비안 고가는 시, 희곡, 번역 등 다양한 문학 분야에서 활동했다. 그의 작품은 루마니아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특히 그의 시는 민족적인 정서를 잘 담아낸 것으로 평가받는다. 희곡 분야에서는 수가 많지는 않지만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은 Domnul notar|돔눌 노타르ro와 같은 작품을 남겼다. 또한, 헝가리 문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샨도르 페퇴피, 임레 마더치 등의 작품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하여 소개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특히 임레 마더치의 ''인간의 비극'' 번역은 높은 문학적 성취로 인정받는다.

3. 1. 시


  • ''탄광''
  • ''기도''
  • ''경작자''
  • ''올트강''(Olt River|ron)
  • ''넓은 바다에서''
  • ''예언자''
  • ''체흘러우 산''(Ceahlău|ron)
  • ''늦어진 가지''
  • ''과거''
  • ''일몰''
  • ''영원한 바다''
  • ''때때로 내 안에서''
  • ''가을''
  • ''우리''

3. 2. 희곡

옥타비안 고가의 희곡은 수가 많지 않고 완성도 면에서 고르지 못하며, 그의 시적 성취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대표작 Domnul notar|돔눌 노타르ro('서기 씨')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희곡은 부쿠레슈티의 그래픽 예술 연구소에서 출판되었으며[8], 1914년 2월 14일 부쿠레슈티 국립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Domnul notar|돔눌 노타르ro는 20세기 초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하에 있던 아르데네스(룬카)의 한 마을을 배경으로 한다. 이 작품은 루마니아인에 대한 탈민족화 정책과 억압적인 체제 하에서, 일부 인물들이 개인적 이익을 위해 행한 타협과 거래가 가족 관계 및 마을 공동체 내에서의 위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룬다. 극 중에서 배신자 트라이안 벨레아누는 민중 봉기를 통해 처벌받으며, 이를 통해 개인적인 드라마는 사회적인 차원으로 확장된다. 공증인이나 후보 블레주와 같은 인물들은 외세 지배의 도구로 묘사되며, 선거 과정에서 헌병과 같은 강압적인 수단과 부적격한 인물들, 심지어 범죄자까지 동원하여 민의를 거스르려 한다.

1927년에 공연되고 1928년에 출판된 Meșterul Manole|메슈테룰 마놀레ro는 고가가 오래된 메슈테룰 마노일레 신화를 심리 드라마 형식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고가는 이 작품에서 에로틱한 동기를 발전시키고 탐구함으로써 부부 관계라는 고전적인 주제를 예술적으로 새롭게 조명하고자 했다. 주인공 마놀레는 냉소적이면서도 매력적이며, 타고난 방랑자이자 스쳐 지나가는 에로틱한 경험을 즐기는 예술가로 그려진다.

고가는 이 외에도 두 편의 단막극 초고(Sonata lunei|소나타 루네이ro, Lupul|루풀ro)와 스케치 Fruntașul|프룬타슐ro, 1911년에 작성된 대화 형식의 글, 그리고 임레 마더치의 희곡 ''인간의 비극'' 번역본을 남겼다.

'''주요 희곡 목록'''

  • Domnul notar|돔눌 노타르ro ("서기 씨")
  • Meșterul Manole|메슈테룰 마놀레ro (참고: 메슈테룰 마노일레)

3. 3. 번역

트란실바니아의 헝가리 정부 정책에 반대했지만, 고가는 고전 및 현대 헝가리 문학의 열렬한 팬이었다. 그는 시비우에서 고등학교 시절부터, 나중에는 부다페스트 대학교 학생으로서 샨도르 페퇴피와 임레 마더치의 작품을 공부했으며, 엔드레 아디와는 가까운 친구 사이였다.[9]

특히 임레 마더치는 젊은 시절부터 고가를 매료시켰고, 그의 대표작 Tragediei omului|인간의 비극ro 번역은 학창 시절부터 시도되었다. 1903년 잡지 Luceafărulro이나 1909년 Țara noastrăro에 일부 장면이 번역되어 실린 후, 1934년에 완역본이 출판되었다. 이 번역본은 "원본과 동일한 가치를 지닌 훌륭한 시적 창작물"이라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40년에는 고가가 직접 수정한 두 번째 루마니아어 판이 출판되었다.

투도르 비아누는 마더치의 Memento moriro와 Tragediei omuluiro를 "인류의 희망, 패배, 투쟁을 통해 본 인류의 시"라고 평했다. 게오르게 칼리네스쿠는 고가의 번역이 미하이 에미네스쿠의 언어가 지닌 완벽함과 아름다움에 근접했다고 언급하며, "에미네스쿠의 언어와 스타일이 우리 시대에 적합하며, 단어를 통해, 색채주의가 아닌, 귀를 통해 플라스틱하게 표현하는 고전 시인을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고 덧붙였다.

4. 평가 및 영향

일라리에 첸디, 섹스틸 푸슈카리우, 니콜라에 요르가, 이온 고룬, 바실 골디슈, 에우젠 로비네스쿠 등 당대 문인들의 추천을 받아 문학계에 진출했다.

1905년 부다페스트에서 출간된 그의 첫 시집 ''Poezii''는 이후 부쿠레슈티(1907년), 시비우(1910년)에서도 재판될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시집의 출간은 '진정한 문학적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고가를 대중에게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문학 평론가 이온 도두 벌란은 고가의 시가 "우리 루마니아 영혼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하며, 그의 작품이 가진 언어의 활력, 순수함, 음악성, 풍부한 색채, 독창적인 아이디어, 평온한 개념, 솔직한 표현, 그리고 건전한 민족적 배경을 높이 샀다. 이 시집은 "찬란한 창작물"로 평가받았으며, 주요 평론가들은 이 작품이 루마니아 서정시 역사에서 갖는 사회적, 민족적, 미학적 중요성을 높이 평가했다.

''Revista Familia''의 평론 이후, 이오시프 불칸은 시 ''Așa a fost să fie''를 발표한 고가를 "오직 국민의 영혼에서 영감을 받은 독창적인 재능"이라 칭하며 "문학적 사건"이라고 극찬했다.[5] 시집 ''Poems''는 비평가와 작가들로부터 열렬한 호응을 받았다.

주니미아의 지도자였던 티투 마이오레스쿠는 초기에 정치와 시를 분리해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나, 고가의 시를 접한 후 자신의 미학 이론을 수정했다. 그는 애국심이 고가 시의 중요한 원천이며, 고가가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묘사하면서 그들에게 국가 유산을 수호하려는 투쟁의 열정이라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고 보았다.

이 외에도 섹스틸 푸슈카리우,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 게오르게 코슈부크, 알렉산드루 블라후처, 에우젠 로비네스쿠, 바르부 슈테파네스쿠 데라브란체아, 게오르게 파누 등 많은 문인들이 고가에게 존경을 표했다. 그는 카르파티아 산맥 양쪽에서 '국민 시인'으로 불리며 25세라는 젊은 나이에 이미 상당한 문학적 명성을 누렸다.

4. 1. 부정적 평가

역사가 일라리온 치우에 따르면, 1920년대 고가는 의회 민주주의를 지지했지만, 1930년대 이후 그의 견해는 급격히 바뀌어 이탈리아 파시즘과 독일 나치즘에 동조했다. 그는 루마니아 민족주의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10]

카롤 2세 국왕은 선거에서 패배한 자유주의자 게오르게 터터레스쿠 대신 극우 정당 지도자였던 옥타비안 고가와 알렉산드루 C. 쿠자 교수를 정부에 참여시켰다. 역사학자 네아구 주바라는 터터레스쿠의 선거 실패 원인 중 하나로 이울리우 마니우의 민족주의 농민과 철위대의 선거 조직인 '조국을 위한 모든 것' 당 사이의 불가침 조약을 지적했다.[11]

1926년, 바실레 골디시, 이오안 루파스, 실비우 드라곰과 함께 옥타비안 고가는 루마니아 국민당을 탈당하여 알렉산드루 아베레스쿠 장군의 인민당에 합류했다. 고가, 골디시, 루파스, 드라곰은 모두 정교회 신자였으나, PNR 지도자 이울리우 마니우와 PNR의 나머지 구성원들은 그리스 가톨릭 교회 신자였다. 고가는 아베레스쿠와 카롤 2세와의 갈등으로 충돌하기도 했다. 이후 고가는 골디시, 루파스, 드라곰과 함께 1932년 4월 10일 국민 농업당을 창당했다.

고가가 의장을 맡은 정부(1937년 12월 28일 – 1938년 2월 10일)는 44일 만에 해산되었으며, 국민 기독교당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 당은 1935년 7월 14일 야시에서 알렉산드루 C. 쿠자가 이끄는 국민 기독교 방위 연맹과 고가가 이끄는 국민 농업당의 합병으로 결성되었다.[12]

루마니아는 새로운 국경을 인정받는 조건으로 모든 소수 민족에게 완전한 시민권과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기로 약속했고, 이는 1923년 헌법과 1924년 법률로 입법화되었다.[13] 그러나 1918년에서 1924년 사이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러시아 제국 출신 유대인들이 루마니아에 불법적으로 침투했다는 구실로, 옥타비안 고가 정부는 헌법과 루마니아의 국제적 의무를 위반하며 1938년 1월 21일 시민권 개정에 관한 법령 제169호를 공포했다. 이 법령에 따라 루마니아 유대인 시민들은 1924년 법에 따라 시민권을 문서로 증명해야 했다. 그 결과, 검토 대상이 된 617,396명의 유대인 중 225,222명(36.50%)이 시민권을 잃었다. 시민권을 상실한 유대인들은 1년 유효 기간의 신분증을 받았으며, 연장이 가능했지만 사실상 여권 없는 외국인으로 간주되어 법적 보호를 받지 못했다.[14]

이는 루마니아 국가가 유대인 시민들을 배제하고 기본적인 시민권을 박탈하는 차별적 법률의 시작이었으며, 민족 청소 정책의 일환으로 채택되었다. 유대인 소수 민족은 폭압적인 지역 공무원들의 자의적인 처분에 놓였고, 국외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유대인 출신 루마니아 지식인과 산업가들이 루마니아를 떠나면서 루마니아 경제와 문화는 큰 타격을 입었으며, 주요 지식인들은 이에 격렬하게 항의했다.[15][16]

1938년 1월 영국 신문 ''데일리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카롤 2세 국왕과 고가 총리는 각각 25만 명과 50만 명의 유대인을 "불법" 체류자로 언급했다. 고가는 50만 명의 소위 "부랑자" 유대인을 루마니아 시민으로 간주할 수 없다고 말하며, 이들을 마다가스카르로 추방할 것을 제안했다. 당시 외무부 장관 이스트라테 미체스쿠는 "우리 뒷마당을 청소하는 것이 시급하며, 우리나라에서 이 모든 쓰레기를 용납하는 것은 쓸모가 없다"고 발언했다.[17][18]

고가 총리는 나치 독일 및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동맹을 맺고 그들의 정책을 채택하려 했으며, 유대인 인구의 법적 권리를 부인하는 반유대주의 정책을 추진했다.[19][20] 합스부르크 억압 하의 루마니아 소수 민족 출신이었던 그는 정치인이 되어 다수 민족의 지도자가 된 후, 오히려 소수 민족을 억압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외국인 혐오적인 극단주의자였으며, 파시스트적이고 명백한 반유대주의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역사학자 플로린 콘스탄티니우는 고가가 "스스로 루마니아의 '두체' 또는 '퓌러'가 되기를 믿고 원했다"고 평가했다.[21]

국민 기독교당의 준군사 조직인 Lănceri|런체리ro("창기병"이라는 의미)는 유대인과 철위대 구성원을 공격하며 사회 혼란을 가중시켰다.

카롤 2세는 고가 정부의 극단적인 정책과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가 이끄는 철위대와의 선거 협정(1938년 2월 8일)이 왕권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여 쿠데타를 준비했다. 1938년 2월 10일, 카롤 2세는 고가에게 조기 선거 연기를 지시했고, 이에 고가는 총리직에서 사임했다. 그는 국왕이 임명한 국민 통합 정부 참여를 거부하고 트란실바니아 치우체아의 자택으로 물러났으며, 그곳에서 1938년 5월 5일 뇌졸중을 겪고 이틀 후인 5월 7일에 사망했다.

5. 수상

1906년 3월 21일, 옥타비안 고가는 데뷔 시집으로 "나스투렐-헤레스쿠" 상을 수상하며 루마니아 아카데미의 인정을 받았다. 같은 해 2월 티투 마요레스쿠는 그의 시집에 대한 보고서를 루마니아 아카데미 전체 회의에 제출하기도 했다.[23]

1920년에는 루마니아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게오르게 코슈북에 관한 내용으로 수락 연설을 했다. 1924년에는 국가 시 상과 산문 부문 미하일 사도베아누 상을 받았다.

참조

[1] 서적 Anthology of contemporary Romanian poetry https://books.google[...] Owen 1969
[2] 웹사이트 OCTAVIAN GOGA http://www.primaria-[...] Primăria Rășinari 2023-12-19
[3] 서적 Octavian Goga Editura Minerva 1975
[4] 간행물 Revista Ilustrată 1898
[5] 간행물 Revista Familia 1898
[6] 웹사이트 Octavian Goga https://jurnalul.ro/[...] 2023-12-20
[7] 서적 Ciucea lui Octavian Goga Casa Cărții de Știință 2003
[8] 서적 Domnul notar: dramă în trei acte din viața Ardealului https://archive.org/[...] Bucharest: Flacăra
[9] 서적 Petőfi in Romanian Literature Kriterion Publishing House 1980
[10] 서적 Octavian Goga
[11] 서적 O scurtă istorie a românilor povestită celor tineri Ed. Humanitas 2010
[12] 서적 Caracterul antinațional și antipopular al activității Partidului Național Creștin Dacia Publishing House 1978
[13] 웹사이트 Evreii di România (1939-1944) http://www.itcnet.ro[...] 2023-12-20
[14]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the Holocaust in Romania http://www.ushmm.org[...] 2023-12-20
[15] 서적 Mircea Eliade, prisoner of history Humanitas 2003
[16] 서적 Cioran, Eliade, Ionesco: L'Oubli Du Fascism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002-04-03
[17] 웹사이트 Madagascar Plan https://www.thoughtc[...] 2023-12-20
[18] 웹사이트 I. STATUTUL LEGAL AL EVREILOR ÎN ROMÂNIA (1800-1944) http://www.romanianj[...] 2023-12-20
[19] 뉴스 The New York Times 1938-01-20
[20] 뉴스 The New York Times 1938-01-13
[21] 서적 O istorie sinceră a poporului român ed. Univers Enciclopedic 1997
[22] 서적 Ordinul Masonic Român Horia Nestorescu-Bălcești 1932
[23] 웹사이트 Quote about Octavian Goga, at Wikicitat http://ro.wikiquote.[...]
[24] 뉴스 Jews Spurned in Rumania http://nla.gov.au/nl[...] 1938-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