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셀 부등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셀 부등식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위의 내적 공간에서 정규 직교 집합에 대해 성립하는 부등식이다. 임의의 벡터 v에 대해, 정규 직교 집합의 원소 e와의 내적의 제곱의 합은 v의 노름 제곱보다 작거나 같다. 힐베르트 공간에서 베셀 부등식의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는 정규 직교 기저일 때이며, 이를 파르스발 항등식이라고 한다. 이 부등식은 프리드리히 베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푸리에 급수 이론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힐베르트 공간 - 모멘트 문제
모멘트 문제는 측도 공간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적분 가능 함수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유일한지 묻는 문제로, 고전적인 형태로는 실수선 위의 측도와 수열을 다루며, 유일성 판별에는 칼레만 조건과 크레인 조건 등이 사용된다. - 힐베르트 공간 - 유니터리 작용소
유니터리 작용소는 힐베르트 공간에서 내적을 보존하며 에르미트 수반과의 곱이 항등 작용소가 되는 유계 선형 작용소로, 양자역학이나 푸리에 변환 등에서 활용되고 유한 차원에서는 유니터리 행렬로 표현된다. - 부등식 - 구매력 평가
구매력 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하여 국가 간 물가 수준을 비교하고 환율을 계산하는 경제 이론으로, GDP 비교나 환율 예측 등에 활용되지만 여러 한계점도 존재한다. - 부등식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는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등 짝을 이루는 물리량들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두 물리량의 불확정성은 플랑크 상수에 의해 제한된다.
베셀 부등식 | |
---|---|
정의 | |
설명 | 힐베르트 공간에서 정규 직교 집합에 대한 부등식임. |
내용 | 힐베르트 공간 H 에서 정규 직교 집합 {eₖ}ₖ이 주어졌을 때, H 안의 모든 벡터 x 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 ∑ₖ |⟨x, eₖ⟩|² ≤ ||x||². |
의미 | 이 부등식은 벡터 x 를 정규 직교 기저에 투영했을 때, 그 투영된 성분들의 제곱의 합이 원래 벡터의 제곱의 크기를 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함. |
일반화 | |
파르스발 항등식 | 만약 {eₖ}ₖ이 완전 정규 직교 집합 (즉, 정규 직교 기저)이라면, 베셀 부등식은 등식으로 성립하며, 이를 파르스발 항등식이라고 함. |
푸리에 급수 | 베셀 부등식은 푸리에 급수의 수렴성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활용 | |
신호 처리 | 신호 처리 분야에서 신호의 에너지가 주파수 성분으로 어떻게 분산되는지 분석하는 데 사용됨. |
양자 역학 | 양자 역학에서 상태 벡터를 기저 상태에 투영했을 때 확률의 합이 1을 넘지 않음을 나타냄. |
추가 정보 | |
관련 항목 | 정규 직교 기저 파르스발 항등식 푸리에 급수 |
참고 문헌 | Bessel inequality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Bessel inequality Beginning Functional Analysis (Karen Saxe, 2001) Mathematical Analysis II (Vladimir A. Zorich & R. Cooke, 2004) Foundations of Signal Processing (Martin Vetterli, Jelena Kovačević, Vivek K. Goyal, 2014) |
2. 정의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위의 내적 공간 속의 정규 직교 집합 가 주어졌다고 하자. '''베셀 부등식'''에 따르면, 임의의 벡터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5][6][7][8]
:
(특히, 인 는 오직 가산 개만이 존재한다.)
만약 가 힐베르트 공간일 경우, 베셀 부등식에서 항등식이 성립할 필요충분조건은 가 의 정규 직교 기저인 것이며, 이를 '''파르스발 항등식'''이라고 한다. 이 경우 항상
:
이다. 반면, 만약 가 정규 직교 기저가 아닐 경우 위 급수는 (베셀 부등식에 따라 부분합이 코시 열이므로) 수렴하지만, 합이 가 아닐 수 있다.
2. 1. 증명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위의 내적 공간 속의 정규 직교 집합 가 주어졌다고 하자.만약 가 유한 집합이라면, 내적의 쌍선형성과 정규 직교 집합의 정의에 따라 자명하게 성립한다.
만약 가 (가산 또는 비가산) 무한 집합이라면, 임의의 유한 집합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3. 성질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위의 내적 공간 속의 정규 직교 집합 에 대해, 임의의 벡터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5][6][7][8]
:
(특히, 인 는 오직 가산 개만 존재한다.)
만약 가 힐베르트 공간일 경우, 이 부등식에서 등식이 성립할 필요충분조건은 가 의 정규 직교 기저인 것이며, 이를 파르스발 항등식이라고 한다.
3. 1. 파르스발 항등식
힐베르트 공간에서 베셀 부등식이 등식으로 성립할 필요충분조건은 가 의 정규 직교 기저인 것이며, 이를 '''파르스발 항등식'''이라고 한다.[5][6][7][8] 이 경우 항상 다음이 성립한다.:
반면, 가 정규 직교 기저가 아닐 경우 위 급수는 (베셀 부등식에 따라 부분합이 코시 열이므로) 수렴하지만, 그 합이 가 아닐 수 있다.
4. 역사
프리드리히 베셀의 이름을 땄다.[1]
참조
[1]
웹사이트
Bessel inequality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https://www.encyclop[...]
[2]
서적
Beginning Functional Analysi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1-12-07
[3]
서적
Mathematical Analysis II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4-01-22
[4]
서적
Foundations of Signal Process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9-04
[5]
서적
Measure Theory and Probability Theory
[6]
서적
Beginning Functional Analysi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1-12-07
[7]
서적
Foundations of Signal Process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9-04
[8]
서적
Mathematical Analysis II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4-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