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시 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시 열은 수열의 수렴성을 판단하기 위한 개념으로, 주어진 수열의 항들이 충분히 커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특징을 나타낸다. 실수, 거리 공간, 위상 벡터 공간 등 다양한 수학적 구조에서 정의되며, 특히 실수의 완비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시 열의 개념은 19세기 칸토어에 의해 실수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해석학의 여러 정리의 기초가 된다. 코시 수렴 판정법을 통해 극한값을 몰라도 수열의 수렴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급수의 수렴성 판정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렴 - 극한
    극한은 수학에서 함수의 값이나 수열의 항이 특정 값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기술하는 개념으로, ε-δ 논법으로 엄밀하게 정의되며 수렴, 연속성, 미적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하여 19세기에 현대적 정의가 완성되었다.
  • 수렴 - 절대 수렴
    절대 수렴은 급수의 각 항에 절댓값을 취한 급수가 수렴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실수 또는 복소수 급수에서 절대 수렴하면 원래 급수도 수렴하고, 바나흐 공간에서는 절대 수렴하는 급수가 수렴한다.
  • 오귀스탱 루이 코시 - 코시-리만 방정식
    코시-리만 방정식은 복소해석학에서 함수가 미분 가능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하며, 복소 평면에서 정의된 함수가 정칙 함수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과 관련된다.
  • 오귀스탱 루이 코시 - 코시 적분 정리
    코시 적분 정리는 복소해석학에서 유계하고 연결된 열린 집합에서 정의된 정칙 함수의 선적분 값이 0이 됨을 명시하는 기본 정리로서,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며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 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수열 - 등비수열
    등비수열은 첫째 항에 일정한 비율인 공비를 계속 곱하여 얻어지는 수열로, 공비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이며 지수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코시 열
정의
설명어떤 거리 공간의 점렬에서, 그 점렬의 항의 번호가 커질수록 그 항들의 값이 서로 가까워지는 점렬
관련 개념
공간거리 공간
바나흐 공간
힐베르트 공간
유클리드 공간
극한수렴
성질완비성
예시
수열번째 항 3e sin (5n)}}인 수열
번째 항 sin (5n)}}인 수열

2. 실수에서의 코시 수열

실수의 수열 x_1, x_2, x_3, \ldots이 모든 양수 ε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N이 존재하면, 이 수열을 코시 수열이라고 부른다.

:|x_m - x_n| < \varepsilon (단, m, n > N)

여기서 수직 막대는 절댓값을 나타낸다. 비슷하게 유리수복소수의 코시 수열도 정의할 수 있다. 코시는 이러한 조건을 무한대인 m, n의 모든 쌍에 대해 x_m - x_n무한소가 되는 것으로 공식화했다.

실수 r의 잘린 소수 확장 수열은 코시 수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r = π일 때 이 수열은 (3, 3.1, 3.14, 3.141, ...)이다. m < n을 가정하면 m번째와 n번째 항은 최대 10^{1-m}만큼 달라지며 m이 커짐에 따라 고정된 양수 ε보다 작아진다.

실수의 완비성은 최소 상한 공리를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데, 실수의 코시 수열은 유계 함수이고,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에 따라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가지기 때문에 그 자체로 수렴한다는 성질을 이용한다.

2. 1. 코시 수렴 계수

집합 X의 수열 (x_1, x_2, x_3, ...)에 대한 코시 수렴 계수는 자연수 집합에서 자신으로 가는 함수 \alpha로, 모든 자연수 km, n > \alpha(k)에 대해 |x_m - x_n| < 1/k를 만족한다. 코시 수렴 계수를 갖는 모든 수열은 코시 수열이며, 이는 자연수의 정렬 원리와 의존적 선택 공리로부터 유도된다. "정규 코시 열"은 주어진 코시 수렴 계수(보통 \alpha(k) = k 또는 \alpha(k) = 2^k)의 수열이다. 코시 수렴 계수를 갖는 모든 코시 열은 정규 코시 열과 동일하며, 이는 어떠한 형태의 선택 공리도 사용하지 않고 증명될 수 있다.

코시 수렴 계수는 어떠한 형태의 선택도 사용하지 않으려는 구성주의 수학자들에 의해 사용된다. 코시 수렴 계수를 사용하면 구성주의 해석학에서 정의와 이론을 모두 단순화할 수 있다. 정규 코시 열은 에렛 비숍(Errett Bishop)의 구성적 해석학 기초(https://books.google.com/books?id=Z7I-AAAAIAAJ&dq=intitle:Foundations+intitle:of+intitle:constructive+intitle:analysis&lr=&as_brr=0&pgis=1 Foundations of Constructive Analysis)와 더글러스 브리지(Douglas Bridges)의 비구성적 교과서에서 사용되었다.

3. 거리 공간에서의 코시 수열

거리 공간 (X, d)에서 수열 x_1, x_2, x_3, \ldots이 주어졌을 때, 모든 양의 실수 \varepsilon > 0에 대해, 모든 양의 정수 m, n > N에 대해

:d\left(x_m, x_n\right) < \varepsilon.

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 N이 존재하면 이 수열을 코시 수열이라고 한다.[4]

이는 수열의 항들이 점점 더 가까워져서, ''X''에 극한이 존재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극한이 항상 ''X'' 안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코시 수열이 공간 내에서 수렴하는 공간의 성질을 ''완비성''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거리 공간 (X, d) 내의 점열 (x_n)에 대해서도 코시 수열을 정의할 수 있다. (x_n)이 코시 수열이라는 것은, 거리 함수 d를 사용하여,

:\lim_{n,m\to\infty}d(x_n,x_m)=0

을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4. 완비성

모든 코시 수열이 ''X''의 원소로 수렴하는 거리 공간(''X'', ''d'')을 완비 거리 공간이라고 한다.[4] 실수는 일반적인 절댓값에 의해 유도된 거리 아래에서 완비이며, 실수의 구성 가운데 하나는 유리수의 코시 열을 포함한다. 이 구조에서 특정한 꼬리 행동을 가진 유리수의 코시 열의 각 동치류, 즉 서로 임의로 가까워지는 수열의 모임은 실수이다.

유리수 '''Q'''는 일반적인 거리에서 완비가 아니다.[5] 무리수 '''R'''에 수렴하는 일련의 유리수들이 있는데, 이들은 '''Q'''에 극한이 없는 코시 열들이다. 실수 ''x''가 무리수인 경우에 ''n''번째 항이 ''x''의 소수점 확장에서 ''n''번째 항이 잘린 소수점 자리인 수열(''x''''n'')은 무리수인 극한 ''x''를 가진 유리수의 코시 열을 제공한다. 무리수는 확실히 '''R'''에 존재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x_0=1, x_{n+1}=\frac{x_n+\frac{2}{x_n}}{2}에 의해 정의된 수열은 정의로부터 유리수로만 구성된 수열임이 명확하지만, 이는 바빌로니아 법으로 \sqrt{2}를 임의의 정밀도로 근사하는 수열이므로 수열은 어떤 유리수로 수렴하지 않는다.
  • 연속된 피보나치 수의 비의 수열인 x_n = F_n / F_{n-1}는 만약 그것이 수렴한다면 \phi^2 = \phi+1를 만족하는 극한 \phi로 수렴하는데, 어떤 유리수도 이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것을 실수 수열로 생각한다면 무리수인 황금비 \varphi = (1+\sqrt5)/2로 수렴한다.
  • 지수, 사인, 코사인 함수 exp(''x''), sin(''x''), cos(''x'')의 값은 ''x''≠0인 모든 유리수의 값에 대해 무리수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각각 테일러 급수를 사용하는 유리수의 코시 열의 극한으로 정의될 수 있다.

5. 일반화

위상 벡터 공간이나 위상군, 균등 공간 등에서도 코시 수열과 유사한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위상 벡터 공간 $X$에서 0의 국소기저 $B$를 선택했을 때, 수열 $(x_k)$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코시 수열이다.


  • 각 $V \in B$에 대해, $n, m > N$이면 $x_n - x_m$이 $V$의 원소가 되는 $N$이 존재한다.


$X$의 위상이 평행이동 불변 거리 함수 $d$와 호환되는 경우, 이 정의는 거리 공간에서의 코시 수열 정의와 일치한다.

위상군 $G$에서 수열 $(x_k)$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코시 수열이다.

  • $G$의 항등원의 모든 열린 근방 $U$에 대해, $m, n > N$이면 $x_n x_m^{-1} \in U$가 되도록 하는 $N$이 존재한다.


군 $G$에서도 코시 수열을 정의할 수 있다. $H = (H_r)$가 $G$의 유한 지표를 갖는 감소하는 정규 부분군들의 수열일 때, $G$의 수열 $(x_n)$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코시 수열(w.r.t. $H$)이다.

  • 임의의 $r$에 대해, $m, n > N$이면 $x_n x_m^{-1} \in H_r$이 되는 $N$이 존재한다.


이는 $H$가 국소기저인 $G$의 위상에 대한 코시 수열과 동일하다. 이러한 코시 수열들의 집합 $C$는 군을 이루며, 영 수열들의 집합 $C_0$은 $C$의 정규 부분군이다. 몫군 $C/C_0$은 $H$에 대한 $G$의 완비화라고 불리며, 이는 수열 $(G/H_r)$의 역극한과 동형이다. p진수 완비화가 이러한 구조의 예시이다.[9]

초실수에서도 코시 수열을 정의할 수 있다. 실수열 $\langle u_n : n\in \mathbb{N} \rangle$은 자연수 $n$뿐만 아니라 초자연수 $H$에 대해서도 정의된 초실수 확장 $H$를 갖는다. 이 수열이 코시 수열이 되는 것은 모든 무한 초자연수 $H$와 $K$에 대해 $u_H$와 $u_K$가 무한히 가까운 경우, 즉 $\mathrm{st}(u_H-u_K)= 0$인 경우이다. 여기서 "st"는 표준부분 함수이다.

범주론에서도 코시 완비화의 개념이 존재한다.[9]

6. 역사적 배경

19세기에는 오일러 등에 의해 크게 발전한 해석학에 더 높은 엄밀성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볼차노코시는 연속과 수렴을 명확하게 정의하였지만, 실수의 본질은 여전히 불분명했다. 19세기 후반, 실수를 산술적으로 정의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칸토어는 현재 코시 수열이라고 불리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칸토어는 1872년에 코시의 수렴 판정법을 만족하는 수열, 즉 코시 수열을 이용하여 실수를 정의하는 방법을 발표하였다. 실수는 코시 수열의 극한으로 정의되었다.

20세기에는 프레셰가 함수 공간 연구에서 거리를 사용하여 코시 수열을 재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극한과 관련된 개념은 거리와 코시 수열로 정의되게 되었다.

7. 코시의 수렴 판정법

실수열 또는 실 유클리드 공간 내의 점열이 수렴하는 것과 코시 수열인 것은 동치이다. 코시 수열의 개념을 이용하면, 극한값을 모르더라도 수열의 수렴성을 판정할 수 있다.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데에도 코시 수렴 판정법이 사용된다.[5]


  • 수렴하는 모든 수열(극한값을 s라고 하자)은 코시 수열이다. 임의의 실수 ε > 0에 대해, 어떤 고정된 점 이후로 수열의 모든 항은 s와 ε/2의 거리 이내에 있으므로, 수열의 임의의 두 항은 서로 ε의 거리 이내에 있다.
  • 임의의 거리 공간에서, 코시 수열 xn은 유계이다.
  • 임의의 거리 공간에서, 극한값이 s인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갖는 코시 수열은 그 자체로 수렴한다(같은 극한값을 가짐).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하이네-보렐 정리는 실수의 완비성에 대한 표준 증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실수의 코시 열은 유계이고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에 의해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갖기 때문에 그 자체를 스스로 수렴한다. 실수의 완전성에 대한 이 증거는 암묵적으로 최소 상한의 공리를 이용한다.

코시 수열을 사용하고 완비성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보여주는 표준적인 예시 중 하나는 실수(또는 더 일반적으로 임의의 완비 노름 선형 공간 또는 바나흐 공간의 원소)의 무한급수의 합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급수 \sum_{n=1}^{\infty} x_n는 부분합의 수열 (s_{m})이 수렴하는 경우에만 수렴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여기서 s_m = \sum_{n=1}^{m} x_n이다.

실수열이 코시 성질을 갖는지 여부를 그 수렴성의 판정에 사용할 때, '''코시의 수렴 판정법'''이라고 한다.

참조

[1] 서적 Numbers Springer 1991
[2] 서적 数学辞典 朝倉書店 1993
[3] 서적 大学理工系 解析要論 理工学社 1979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서적 Algebra Addison-Wesley Pub. Co. 1993
[8] 서적 Methods of Modern Mathematical Physics, Vol. 1: Functional Analysis Academic press inc. 1980
[9] 논문 Completing perfect complexes: With appendices by Tobias Barthel and Bernhard Keller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