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짜기개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짜기개미는 불개미 아과에 속하는 개미의 한 속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한다. 이들은 'Oecophylla' 속에 속하며, 잎을 엮어 둥지를 짓는 독특한 습성으로 유명하다. 베짜기개미는 두 종, Oecophylla longinoda와 Oecophylla smaragdina를 포함하며, 멸종된 종도 존재한다. 이 개미들은 12개의 마디로 이루어진 더듬이와 강력한 턱을 가지며, 둥지 건설, 먹이 사냥, 군체 방어 등 사회적 행동을 한다. 베짜기개미는 농업에서 해충 방제에 활용되기도 하며, 식용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베짜기개미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학명 | Oecophylla |
명명자 | Smith, 1860 |
상위 분류 | 불개미아과 |
속 명명자 | Emery, 1895 |
모식종 | Formica virescens (Oecophylla smaragdina의 이명) |
다양성 | 현존하는 3종, 멸종된 15종 |
![]() | |
생물학적 특징 | |
크기 | 8 ~ 10 mm |
하위 종 | |
현존 종 | 푸른베짜기개미(O. smaragdina) 아프리카베짜기개미(O. longinoda) O. leakeyi |
멸종 종 | †Oecophylla aethes †Oecophylla atavia †Oecophylla bartoniana †Oecophylla brischkei †Oecophylla eckfeldiana †Oecophylla grandis †Oecophylla harrisiana †Oecophylla homoioptera †Oecophylla kraussei †Oecophylla macroptera †Oecophylla megera †Oecophylla obesa †Oecophylla perdita †Oecophylla praeclara †Oecophylla ungeri |
2. 분류
베짜기개미는 불개미아과에 속하며, 상대적으로 오래된 속이다. 베짜기개미속(''Oecophylla'')은 아프리카에 사는 종과 아시아에 사는 종으로 나뉜다.[1] 베짜기개미는 자체 족인 '''Oecophyllini'''에 속하며 멸종된 속인 Eoecophylla영어를 포함한다. 베짜기개미 속(''Oecophylla'')은 비교적 오래되었으며, 시신세에서 중신세 퇴적물까지 15개의 화석 종이 기술되어 있다.[2][7] Oecophyllini와 ''Oecophylla''의 가장 오래된 구성원은 북서 북아메리카의 중기 이프르절 에오세 오카나간 고지에서 묘사된 화석이다.[8] Polyrhachis와 Camponotus도[9][10] 유충의 실을 둥지 건설에 사용하지만, 이들의 둥지 건설 및 구조는 베짜기개미속(''Oecophylla'')보다 간단하다.[11]
이 속의 일반적인 특징은 길쭉한 첫 번째 곤봉 마디, 후방엽의 존재, 복부 마디 3의 중간 높이에 있는 헬시움, 가슴부 위로 반사될 수 있는 가스터가 있다. 수컷은 흔적기관의 전족 발톱을 가지고 있다.[12]
2. 1. 현존하는 종
베짜기개미속(''Oecophylla'')에는 다음 두 종이 현존한다.[1]종 | 명명자 및 명명 연도 | 분포 지역 |
---|---|---|
Oecophylla longinoda | 라트레이유, 1802 | 아프리카 |
Oecophylla smaragdina | 파브리치우스, 1775 | 아시아 |
Oecophylla kolhapurensis | Kurane 외, 2015 |
2. 2. 멸종된 종
베짜기개미속(''Oecophylla'')에는 멸종된 종도 포함되어 있다. 시신세에서 중신세 퇴적물까지 15개의 화석 종이 기술되어 있다.[2][7]- †''Oecophylla atavina''
- †''Oecophylla bartoniana''
- †''Oecophylla brischkei''
- †''Oecophylla crassinoda''
- †''Oecophylla eckfeldiana''
- †''Oecophylla grandimandibula''
- †''Oecophylla kraussei''
- †''Oecophylla leakeyi''
- †''Oecophylla longiceps''
- †''Oecophylla megarche''
- †''Oecophylla obesa''
- †''Oecophylla praeclara''
- †''Oecophylla sicula''
- †''Oecophylla superba''
Eoecophylla영어속 또한 멸종된 속이다.
3. 형태
''베짜기개미''는 12개의 마디로 이루어진 더듬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른 몇몇 개미 속과 공유하는 특징이다. 턱은 각각 10개 이상의 이빨을 가지고 있고, 끝에서 네 번째 이빨이 세 번째와 다섯 번째 이빨보다 길다. 촉수는 짧으며, 위턱 촉수는 5마디, 아래턱 촉수는 4마디로 되어 있다. 중흉배판은 협착되어 있고 (등쪽에서 볼 때) 앞가슴과 프로포데움보다 좁다. 페티올의 마디는 낮고 둥글다.
4. 분포 및 서식지
베짜기개미는 아프리카 열대구에 분포하는 ''O. longinoda''와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시작하여 동남아시아를 거쳐 호주 북부와 멜라네시아까지 분포하는 ''O. smaragdina''가 있다.[14] 호주에서 ''Oecophylla smaragdina''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브룸에서 노던 준주의 해안 열대 지역을 거쳐 퀸즐랜드주의 옙푼까지 분포한다.[15]
5. 생태
베짜기개미는 협동하여 둥지를 짓고 잎을 이용해 둥지를 만드는 독특한 생태로 유명하다.
5. 1. 군체 형성과 사회 구조
군체는 하나 이상의 수정된 암컷인 여왕개미로부터 생겨난다.[44] 여왕개미는 풀잎에 알을 낳고 그 알들이 성체가 될 때까지 키운다. 일개미들은 잎으로 둥지를 지어 여왕을 보호하고 여왕이 알을 낳는 일을 돕는다. 일개미의 수가 늘어가면서 더 많은 둥지를 짓게 되고 이에 따라 군체의 생산력과 크기는 상당히 커진다. 베짜기개미는 다른 일개미들을 동원하기 위하여 페로몬을 이용하거나 병렬주행을 이용한다.
베짜기개미 군체는 한 마리 이상의 교미한 암컷 (여왕개미)에 의해 시작된다.[16] 여왕개미는 잎에 첫 번째 알 덩어리를 낳고, 애벌레가 성숙한 일개미로 발달할 때까지 보호하고 먹이를 준다. 그런 다음 일개미는 잎 둥지를 만들고 여왕개미가 낳은 새로운 새끼를 기르는 것을 돕는다. 일개미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둥지가 건설되고 군체의 생산성과 성장이 크게 증가한다. 일개미는 먹이 찾기, 둥지 건설, 군체 방어를 포함하여 군체 생존에 필수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일개미-일개미 상호 작용 중에 발생하는 정보 교환 및 일개미 행동 조절은 화학적 및 촉각적 통신 신호를 사용하여 촉진된다. 이러한 신호는 주로 먹이 찾기 및 군체 방어 상황에서 사용된다. 성공적인 먹이 찾기 일개미는 다른 일개미가 새로운 먹이원에 합류하도록 돕는 페로몬 흔적을 남긴다. 페로몬 흔적은 또한 영토 침입자에 맞서 일개미를 모집하기 위해 순찰대에 의해 사용된다. 화학적 신호와 함께 일개미는 주의 집중 및 몸 흔들기와 같은 촉각적 통신 신호를 사용하여 신호 수신자의 활동을 자극한다. ''Oecophylla'' 베짜기개미의 다중 모드 통신은 군체의 자기 조직화에 중요하게 기여한다.[17][18] 다른 많은 개미 종과 마찬가지로, ''Oecophylla'' 일개미는 모집 과정의 일환으로 사회적 운반 행동을 보여주는데, 한 일개미가 다른 일개미를 턱으로 물어 주의가 필요한 위치로 운반한다.
5. 2. 둥지 건설
베짜기개미는 둥지를 지을 때 보여주는 협동으로 유명하다. 이 개미들이 살아있는 잎으로 넉넉한 둥지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은 이들의 생태적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 둥지 건설의 첫 단계는 일개미들이 턱으로 가장자리를 당겨 둥지를 지을 만한 잎을 찾는 것이다. 몇몇 개미가 잎을 접거나 가장자리를 다른 잎으로 당기는 데 성공하면, 주변의 다른 일개미들이 돕기 시작한다. 이때 일개미가 함께 힘을 보탤 확률은 무리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무리가 클수록 더 많은 개미가 참여한다.[19]두 잎 사이의 거리가 멀어 한 마리가 닿을 수 없을 때는, 일개미들이 서로의 허리를 잡아 몸으로 사슬을 만든다. 여러 개의 사슬이 함께 작동하여 큰 잎을 함께 조이는 경우가 많다. 잎 가장자리가 가까워지면, 다른 일개미들은 기존 둥지에서 애벌레를 턱으로 물어 데려온다. 이음새에 도달하면, 이 일개미들은 애벌레의 머리를 두드려 실크를 분비하게 한다. 애벌레는 많은 양의 실크를 생산할 수 없으므로 고치 없이 번데기가 된다. 이후 일개미들은 잎 사이를 조화롭게 움직이며 잎을 함께 묶는다.[11]
베짜기개미의 둥지는 보통 타원형이며, 크기는 작은 잎 하나를 접어 만든 것부터 여러 잎으로 구성된 길이 50cm가 넘는 큰 둥지까지 다양하다. 둥지를 짓는 데 걸리는 시간은 잎의 종류와 최종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큰 둥지도 종종 24시간 안에 지을 수 있다. 베짜기개미의 둥지는 튼튼하고 방수가 되지만, 큰 군체에서는 일개미들이 낡고 죽어가는 둥지나 폭풍으로 손상된 둥지를 대체하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둥지를 짓는다.[20]
베짜기개미의 둥지 건설 행동에 대한 최초의 설명은 1768년 제임스 쿡 선장의 오스트레일리아 항해에 참여한 영국의 박물학자 조지프 뱅크스가 했을 가능성이 있다. 조지프 뱅크스의 ''Journal''에 따르면, 개미들은 사람 머리 크기에서 주먹 크기 사이의 둥지를 짓고 잎을 구부려 희끄무레한 종이 같은 물질로 풀칠하여 잎을 단단히 고정했다. 잎 네 개를 구부려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했는데, 수천 마리가 공동 작업에 동원되었다. 잎을 잡고 서로 옆에 서서 모두 힘껏 잡아당기는 모습을 보였고, 다른 개미들은 안에서 풀칠을 했다.[11]
6. 인간과의 관계
베짜기개미는 농업뿐만 아니라 식용 및 약용으로도 활용된다. 특히 베짜기개미 유충은 단백질과 지방산이 풍부하여 식용으로 가치가 높다.[34] 태국 북동부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고급 쇠고기보다 비싼 가격에 거래되는 진미로, 지역 경제에도 기여한다.[35][36][37] 인도네시아에서는 곤충을 먹는 새의 먹이로, 인도와 중국에서는 전통 의학 재료로도 사용된다.[39][40]
6. 1. 농업적 이용

베짜기개미는 농업에 이용되기도 한다. 베짜기개미는 절지동물(주로 다른 곤충)을 잡아먹어 해충을 방제하는 효과가 있지만, 깍지벌레나 매미충과 같은 수액을 먹는 곤충을 보호하여 나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6. 1. 1. 긍정적 영향
베짜기개미의 대규모 군체는 상당한 양의 먹이를 소비하며, 일개미들은 둥지 근처에서 다양한 절지동물(주로 다른 곤충)을 지속적으로 죽인다. 곤충은 일개미가 소비할 뿐만 아니라, 이 단백질원은 유충 발달에 필수적이다. 베짜기개미 일개미들은 잠재적으로 해로운 식물 해충을 사냥하고 죽이기 때문에, 베짜기개미를 품고 있는 나무는 초식 수준이 감소하여 이점을 얻는다.[21] 이들은 적어도 서기 400년부터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감귤 과수원에서 생물학적 방제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22][23]
많은 연구에서 베짜기개미를 농업 해충에 대한 자연적인 생물 방제 제재로 사용하는 효과가 입증되었다.[24] 특히 호주와 동남아시아에서 베짜기개미를 생물 방제 제재로 사용하는 것이 과일 농업에 효과적이었다.[25][26] 베짜기개미를 품고 있는 과일 나무는 더 높은 품질의 과일을 생산하고, 초식 동물에 의한 잎 손상이 적으며, 합성 살충제의 살포 횟수가 적다.[26][27] 반면에 베짜기개미는 자신들이 꿀을 얻기 위해 '우유를 짜는' 깍지벌레를 보호한다.
여러 경우에 베짜기개미의 사용은 화학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고 동시에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부들에게 순이익 증가와 보다 지속 가능한 해충 방제를 제공한다.[28] 베짜기개미 사육은 동남아시아에서 흔하며, 농부들은 잠재적 경쟁자로부터 군체를 보호하기 위해 은신처와 먹이를 제공하고 베짜기개미가 서식하는 나무 사이에 밧줄을 설치한다.[29]
6. 1. 2. 부정적 영향
베짜기개미는 깍지벌레 및 매미충과 같은 수액을 먹는 곤충을 보호하여 나무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31][32] 이들은 꿀을 얻기 위해 이 곤충들을 '젖 짜듯이' 이용하며, 포식자로부터 보호하여 개체 수를 늘리고 나무에 가하는 피해를 증가시킨다.[33]
또한, 베짜기개미 군체의 존재는 포유류와 조류에 의한 과일 제거를 줄여 종자 분산을 감소시키고, 꽃가루 매개자를 포함한 날아다니는 곤충의 꽃 방문율을 낮춤으로써 숙주 식물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30][31]
6. 2. 식용 및 약용
베짜기개미는 인간이 소비하는 가장 가치 있는 식용 곤충 중 하나이다(인간 곤충 섭식). 베짜기개미는 식물 생산을 증가시키는 생물학적 방제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단백질 및 식품 공급원으로 직접 활용될 수 있는데, 개미(특히 개미 유충)가 인간에게 식용 가능하며 단백질과 지방산이 풍부하기 때문이다.[34] 일부 국가에서는 베짜기개미가 대량으로 수확되는 매우 귀중한 진미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지역 사회 경제에 기여한다.[35] 태국 북동부에서는 베짜기개미 유충 가격이 고급 쇠고기의 두 배이며, 태국 한 지방에서 연간 620000USD 상당의 개미 유충이 수확된다.[36][37] 또한 베짜기개미 수확이 열대 농장의 해충 방제를 위해 개미를 동시에 사용하면서 유지될 수 있음이 밝혀졌는데, 수확의 주요 대상인 여왕 유충과 번데기가 식민지 생존에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이다.[38]
베짜기개미 유충은 또한 인도네시아에서 곤충을 먹는 새들에게 비싼 먹이로 상업적으로 수집된다.
인도와 중국에서는 일개미가 전통 의학에 사용된다.[39][40]
7. 갤러리
참조
[1]
AntCat
2015-01-30
[2]
논문
New middle Eocene formicid species from Germany and the evolution of weaver ants
[3]
논문
Dimorphism in the African ''Oecophylla'' worker and an anomaly (Hym.: Formicidae)
http://antbase.org/a[...]
[4]
논문
A fossil ant colony: new evidence of social antiquity
http://psyche.entclu[...]
2008-07-23
[5]
논문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ison apparatus secretions of the African weaver ant, ''Oecophylla longinoda'', and their role in behaviour
[6]
논문
"''Oecophylla smaragdina''. Agric"
http://www.cabdirect[...]
[7]
논문
Molecular phylogeny among local populations of weaver ant ''Oecophylla smaragdina''
[8]
논문
Fossil weaver ants (Hymenoptera, Formicidae, Oecophyllini) of the early Eocene Okanagan Highlands of far-western North America
[9]
논문
A tree island approach to inferring phylogeny in the ant subfamily Formicinae, with especial reference to the evolution of weaving
http://www.agapow.ne[...]
[10]
논문
New records of three Neotropical arboreal ant species of Camponotus, subgenus Dendromyrmex (Hymenoptera: Formicidae) for the southern Amazon, including biological information
[11]
서적
The ants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Synopsis and Classification of Formicidae
Memoirs of the American Entomological Institute, Vol. 71. Gainesville, FL.
[13]
웹사이트
Key to Australian Genera of Formicinae - AntWiki
https://antwiki.org/[...]
2023-04-05
[14]
논문
A masterpiece of evolution – ''Oecophylla'' weaver ants (Hymenoptera: Formicidae)
[15]
논문
The Distribution of the Weaver Ant, ''Oecophylla smaragdina'' (Fabricius) (Hymenoptera, Formicidae) in Northern Australia
[16]
논문
How many queens are there in mature colonies of the green ant, ''Oecophylla smaragdina'' (Fabricius)?
[17]
논문
Multimodal signals in ant communication
[18]
논문
Territorial behavior in the green tree ant (''Oecophylla smaragdina'')
[19]
논문
Dynamics of aggregation and emergence of cooperation
https://www.biodiver[...]
[20]
논문
The use of artificial nests by weaver ants: A preliminary field observation
http://www.asian-myr[...]
[21]
논문
Observations on the Ecology of Weaver Ants (''Oecophylla smaragdina'' Fabricius) in a Thai Mangrove Ecosystem and Their Effect on Herbivory of Rhizophora mucronata Lam.
2004
[22]
논문
The oldest practice of biological control: The cultural and efficacy of ''Oecophylla smaragdina'' Fabr in orange orchards
1991
[23]
논문
Traditional knowledge and rationale for weaver ant husbandry in the Mekong delta of Vietnam
1996
[24]
논문
A historical review of research on the weaver ant ''Oecophylla'' in biological control
2008
[25]
논문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he weaver ant ''Oecophylla smaragdina'' on citrus farmers' pest perceptions and management practices in the Mekong Delta, Vietnam
2002
[26]
논문
The effect of the weaver ant, (Hymenoptera: Formicidae), on the mango seed weevil, (Coleoptera: Curculionidae), in mango orchards in the Northern Territory of Australia
2007
[27]
논문
The dimpling bug, ''Campylomma austrina'' Malipatil (Hemiptera: Miridae): the dam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ants in mango orchards in the Northern Territory of Australia
2008
[28]
논문
Ants as tools in sustainable agriculture
[29]
논문
Weaver ants help farmers to capture organic markets
[30]
논문
The influence of aggressive ants on fruit removal in the tropical tree, ''Ficus capensis'' (Moraceae)
[31]
논문
Asian weaver ants, ''Oecophylla smaragdina'', and their repelling of pollinators
[32]
논문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dimorphism in the African ant, ''Oecophylla''
https://archive.org/[...]
[33]
논문
Interactions between weaver ants ''Oecophylla smaragdina'', homopterans, trees and lianas in an Australian rain forest canopy
[34]
논문
Fatty acids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eight Thai edible terricolous insects
[35]
서적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http://www.fao.org/d[...]
FAO
[36]
논문
The importance of weaver ant (''Oecophylla smaragdina'' Fabricius) harvest to a local community in Northeastern Thailand
http://www.asian-myr[...]
[37]
논문
"''Oecophylla smaragdina'' food conversion efficiency: prospects for ant farming"
[38]
논문
Sustainable weaver ant (''Oecophylla smaragdina'') farming: harvest yields and effects on worker ant density
http://www.asian-myr[...]
[39]
논문
Provisioning services from ants: food and pharmaceuticals
http://www.asian-myr[...]
[40]
간행물
Harvesting and commercialisation of kroto (''Oecophylla smaragdina'') in the Malingpeng area, West Java, Indonesia. In: Forest products, livelihoods and conservation. Case studies of non-timber product systems (Kusters K, Belcher B, eds), Center for International Forestry Research, Bogor, 61-77
[41]
서적
"''The ants''"
메사추세츠, 켐브리지: 하버드대학교 출판부
[42]
저널
A Fossil Ant Colony: New Evidence of Social Antiquity.
http://psyche.entclu[...]
2010-03-10
[43]
저널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ison apparatus secretions of the African weaver ant, Oecophylla longinoda, and their role in behaviour
[44]
저널
How many queens are there in mature colonies of the green ant, Oecophylla smaragdina (Fabrici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