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리 마우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리 마우르는 웨일스 신화와 중세 문학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 이름의 기원은 논쟁의 대상이다. 가장 유력한 가설은 골어와 브리튼 신의 이름인 벨레누스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며, 존 T. 코크는 기원전 280-279년 마케도니아를 침공한 켈트족 족장 벨기우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또한 그위네드 왕국의 창시자 쿠네다 가문의 수장으로 여겨지며, 웨일스 왕족 가문의 족보에 등장한다. 벨리는 중세 문학 작품, 특히 《브란웬 페르치 르》, 《브루트 어 브렌히네드》, 몬머스의 제프리의 《브리타니아 열왕사》 등에 등장하며, 역사적 인물인 쿠노벨리누스와 혼동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일스의 남신 - 아라운
    아라운은 웨일스 신화 마비노기 제1가지에 등장하는 안눈의 왕으로, 프위르와 몸을 바꾸는 이야기와 사냥 관련 존재로 알려져 있으며, 후대 문학 작품에서 죽음의 군주로 재해석되기도 했다.
  • 웨일스의 남신 - 구이디온 밥 돈
    구이디온 밥 돈은 웨일스 신화에 등장하는 마법, 전쟁, 레우 라우 기페스의 탄생과 관련된 인물이며, 남쪽과의 전쟁을 일으키고 블로데우에드와의 갈등을 겪으며 나무들의 전투에서 활약하고 현대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재해석된다.
  • 브리튼인의 신화적 왕 - 마그누스 막시무스
    4세기 후반 서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마그누스 막시무스는 브리타니아 주둔 로마군에 의해 추대되어 갈리아를 정복하고 서로마 황제로 인정받았으나, 이탈리아 지배를 시도하다 테오도시우스 1세에게 패배하여 처형되었으며, 이단 박해와 브리튼 및 브르타뉴 지역 역사, 웨일스 전설과 관련된 영웅적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 브리튼인의 신화적 왕 - 카라칼라
    카라칼라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아들이자 공동 황제로서 권력을 누렸으나 동생 게타를 살해하고 단독 황제가 되었으며, 자유민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안토니누스 칙령을 발표했지만 폭정과 잔혹 행위로 암살당한 로마 황제이다.
벨리 마우르
인물 정보
이름벨리 마우르
원어 이름 (웨일스어)Beli Mawr
원어 이름 (웨일스어, 전체)Beli Mawr
원어 이름 (해석)위대한 벨리
통치 정보
직책브리튼인의 왕
대수73
임기[[파일:Horned helmet.png|center|x30px]] 기원전 1세기
전임자디구엘리우스
후임자흘루드 맙 벨리 마우르

2. 이름의 기원과 해석

Beli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2] Beli Mawr는 4세기 후반 마그누스 막시무스 시대에 로마의 브리튼 통치 종식 이후 그위네드 왕국의 창시자인 쿠네다 윌레디그 계열에 의해 그위네드 가문의 수장으로 여겨진다.[8] 관련 족보는 웨일스 왕족 가문의 가장 오래된 문서화된 가계도인 할리안 가계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8] 웨일스 고전 사전(The Welsh Classical Dictionary)에 따르면 웨일스 전설에서 Beli Mawr는 기원전 120년에서 기원전 80년 사이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9]

2. 1. 벨레누스(Belenus)와의 연관성

'Beli'라는 이름의 기원은 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2]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Beli'가 골어 및 브리튼어군 신의 이름인 '벨레누스'(개인 이름으로도 증명됨)의 중세 웨일스어 반사형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더 최근에는 하버드 켈트학자 존 T. 코크가 제안한 대안이 있다. 그는 'Beli'가 기원전 280~279년 마케도니아를 침공한 골족 침공을 이끈 족장 중 한 명인 'Belgius' 또는 '볼기오스'라는 원시 켈트어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3][4]

코크는 이 위대한 지도자 'Belgius'가 강력한 브리튼족 및 골족 부족 집단인 벨가이의 이름이자 조상으로 여겨졌으며, Beli가 부족 왕조의 조상이라는 교리가 여기서 나왔을 것이라고 제안한다.[6] 벨가이족은 또한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에 대한 일기인 갈리아 전기에서 묘사했다.[7]

2. 2. 볼기오스(Bolgios)와의 연관성

Beli라는 이름의 기원은 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2]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Beli'가 골어 및 브리튼어군 신의 이름인 'Belenus'(개인 이름으로도 증명됨)의 중세 웨일스어 반사형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더 최근에는 하버드 켈트학자 존 T. 코크가 제안한 대안이 있다. 그는 'Beli'가 기원전 280~279년 마케도니아를 침공한 골족 침공을 이끈 족장 중 한 명인 'Belgius' 또는 'Bolgios'라는 원시 켈트어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3][4]

코크는 이 위대한 지도자 'Belgius'가 강력한 브리튼족 및 골족 부족 집단인 벨가이의 이름이자 조상으로 여겨졌으며, Beli가 부족 왕조의 조상이라는 교리가 여기서 나왔을 것이라고 제안한다.[6] 벨가이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에 대한 일기인 갈리아 전기에서도 묘사했다.[7]

3. 중세 웨일스 문학에서의 벨리 마우르

9세기 ''Historia Brittonum''에는 벨리 마우르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 벨리 마노간(Mynogan으로도 표기)의 아들 벨리가 등장한다. 이 벨리는 로마 이전 브리튼 족의 카투벨라우니 왕 쿠노벨리누스와 그의 아들 아드미니우스(또는 아미니우스)에서 파생되었다. 후기 고대 시대와 중세 초기의 여러 대중적인 책들을 거치면서 텍스트가 변조되어 쿠노벨리누스와 아드미니우스의 이름이 결합된 후 뒤섞이면서 새로운 벨리가 등장했고, "마노간의 아들"이라는 아버지의 이름이 붙었다.[10][11]


  • 수에토니우스 ''Caligula'', Ch. 44: Adminio, Cunobellini Brittannorum regis filio
  • 오로시우스, ''Historia Adversus Paganos'', vii 5.5: Minocynobellinum Britannorum regis filium
  • ''Historia Brittonum'', ch. 19: Bellinus, filius Minocanni


레이첼 브롬위치는 이러한 인물이 전통적인 이름/등장인물에서 기원했다고 썼다. "벨리 마우르는 웰시 전통에 너무나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서 그의 존재는 단순히 넨니우스의 벨리누스를 각색한 것으로 설명될 수 없다."[12]라고 언급했다.

따라서 벨리는 중세 위작 역사에서 쿠노벨리누스(웨일스어 ''Cynfelyn'', 셰익스피어의 심벌린)와는 별개의 인물이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로마의 침략 직전 시기에 통치한 왕으로 제시되었으며, 그의 "아들" 카시벨라우누스는 역사적인 인물이다.

3. 1. 족보 및 왕조의 시조

벨리(Beli)라는 이름의 기원은 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2]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Beli'가 골어 및 브리튼어군 신의 이름인 'Belenus'(개인 이름으로도 증명됨)의 중세 웨일스어 반사형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더 최근에는 하버드 켈트학자 존 T. 코크가 제안한 대안이 있다. 그는 'Beli'가 기원전 280~279년 마케도니아 (고대 왕국)를 침공한 골족 침공을 이끈 족장 중 한 명인 'Belgius' 또는 'Bolgios'라는 원시 켈트어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3][4]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클레오파트라)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세웠는데, 그는 그리스 장군이자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계승자였다.[5] 코크는 따라서 이 위대한 지도자 'Belgius'가 강력한 브리튼족 및 골족 부족 집단인 벨가이의 이름이자 조상으로 여겨졌으며, Beli가 부족 왕조의 조상이라는 교리가 여기서 나왔을 것이라고 제안한다.[6] 벨가이는 또한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에 대한 일기인 갈리아 전기에서 묘사했다.[7]

Beli Mawr는 4세기 후반 마그누스 막시무스 시대에 로마의 브리튼 통치 종식 이후 그위네드 왕국의 창시자인 쿠네다 윌레디그 계열에 의해 그위네드 가문의 수장으로 여겨진다.[8] 족보는 할리안 가계도에 나와 있는데, 이는 웨일스 왕족 가문의 가장 오래된 문서화된 가계도이다.[8] 웨일스 고전 사전에 따르면 웨일스 전설에서 Beli Mawr는 기원전 120년에서 기원전 80년 사이에 태어났다.[9]

3. 2. 《브리튼인의 역사》(Historia Brittonum)

9세기 ''Historia Brittonum''에는 벨리 마우르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 벨리 마노간(Mynogan으로도 표기)의 아들 벨리가 등장한다. 이 벨리는 로마 이전 브리튼 족의 카투벨라우니 왕 쿠노벨리누스와 그의 아들 아드미니우스(또는 아미니우스)에서 파생되었다. 후기 고대 시대와 중세 초기의 여러 책들을 거치면서 텍스트가 변조되어 쿠노벨리누스와 아드미니우스의 이름이 결합된 후 뒤섞이면서 새로운 벨리가 등장했고, "마노간의 아들"이라는 아버지의 이름이 붙었다.[10][11]

  • 수에토니우스, ''Caligula'', Ch. 44: Adminio, Cunobellini Brittannorum regis filio
  • 오로시우스, ''Historia Adversus Paganos'', vii 5.5: Minocynobellinum Britannorum regis filium
  • ''Historia Brittonum'', ch. 19: Bellinus, filius Minocanni


레이첼 브롬위치는 이러한 인물이 전통적인 이름/등장인물에서 기원했다고 썼다. "벨리 마우르는 웰시 전통에 너무나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서 그의 존재는 단순히 넨니우스의 벨리누스를 각색한 것으로 설명될 수 없다. 게다가 로스는 마노간 자체가 켈트 이름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보여주었는데, Monocan이 Cartulaire de Redon(RC LI, p. 10; Chr. Br., p. 152)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켈트 자료에 나타나는 이 이름의 두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Jes. Gen. XVIII Manogan m. Pascen m. Cadell; Ogham 비문 MINNACCANNI(Macalister, Corpus Inscriptionum Insularum Celticarum I, no. 135)."[12]

따라서 벨리는 중세 위작 역사에서 쿠노벨리누스(웨일스어 ''Cynfelyn'', 셰익스피어의 심벌린)와는 별개의 인물이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로마의 침략 직전 시기에 통치한 왕으로 제시되었으며, 그의 "아들" 카스왈라운은 역사적인 카시벨라우누스이다.

12세기의 잉글랜드 역사학자 헌팅던의 헨리는 1129년에 처음 출판된 그의 저서 《잉글랜드사》(Historia Anglorum)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타니아 침공에 대한 논의에서 《브리튼인의 역사》(Historia Brittonum)를 따랐다. 그는 '미노칸누스'의 아들로 묘사된 '벨리누스'와 '카시벨라(우)누스'의 형제에 대해 언급하지만, 텍스트의 후기 개정판에서는 (그리고 몬머스의 제프리의 영향으로) '리우드' (또는 '루이드') (참고: 류드 라우 에런트)가 언급되었다.[13][14]

3. 3. 몬머스의 제프리의 《브리타니아 열왕사》(Historia Regum Britanniae)

몬머스의 제프리의 역사서 《브리타니아 열왕사》(1130년대)에서 벨리는 영국의 왕 헬리(Heli)로 등장한다. 헬리는 디게일루스의 아들이자 루드, 카시벨라우누스, 넨니우스의 아버지로 묘사된다.[15] 그는 40년 동안 왕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 아들 루드(Llud)가 왕위를 계승했다고 전해진다.[15] 제프리의 작품을 중세 웨일스어로 번역한 《브루트 어 브렌히네드》에서는 헬리의 이름이 벨리[16]로 복원되었고, 그의 아버지는 마노간으로 개명되었다.

3. 4. 기타 문학 작품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역사서인 《브리타니아 열왕사》(1130년대)에 따르면 벨리는 영국의 왕 헬리(Heli)로 등장하며, 디게일루스의 아들이자 루드, 카시벨라우누스, 넨니우스의 아버지이다. 그는 40년 동안 왕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 아들 루드(Llud)가 왕위를 계승했다고 전해진다.[15] 제프리의 작품을 중세 웨일스어로 번역한 《브루트 어 브렌히네드》에서는 헬리의 이름이 벨리[16]로 복원되었고, 그의 아버지는 마노간으로 개명되었다.

벨리는 다음 작품에도 등장한다.

  • ''브란웬 페르치 르''
  • ''브레우드위드 맥센 웰레디그'' ("맥센 웰레디그의 꿈")
  • ''키프랑크 루드 아 레벨리스'' ("루드와 레벨리스)
  • 웨일스 삼제시
  • ''브루트 어 브렌히네드''
  • 제프리 오브 몬머스, ''브리타니아 열왕사'', 루이스 소프 번역, ''제프리 오브 몬머스. 브리튼 왕들의 역사''. 하몬즈워스, 1968.

4. 역사적 인물과의 혼동

9세기 ''Historia Brittonum''에 처음 등장하는 벨리 마노간(Mynogan으로도 표기)의 아들 벨리는 벨리 마우르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이 벨리는 로마 이전 브리튼 족의 카투벨라우니 왕 쿠노벨리누스와 그의 아들 아드미니우스(또는 아미니우스)에서 파생되었다. 후기 고대 시대와 중세 초기의 여러 대중적인 책들을 거치면서 텍스트가 변조되어 쿠노벨리누스와 그의 아들 아드미니우스의 이름이 결합된 후 뒤섞이면서 새로운 벨리가 등장했고, "마노간의 아들"이라는 아버지의 이름이 붙었다.[10][11]

레이첼 브롬위치는 이러한 인물이 전통적인 이름/등장인물에서 기원했다고 썼다. 벨리 마우르는 웰시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서 넨니우스의 벨리누스를 각색한 것으로 설명할 수 없다. 로스는 마노간 자체가 켈트 이름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하였으며, Cartulaire de Redon에 Monocan이 나타난다. 켈트 자료에 나타나는 이 이름의 두 가지 예는 Jes. Gen. XVIII Manogan m. Pascen m. Cadell; Ogham 비문 MINNACCANNI이다.[12]

벨리는 중세 위작 역사에서 쿠노벨리누스(웨일스어 ''Cynfelyn'', 셰익스피어의 심벌린)와는 별개의 인물이 되었지만, 로마의 침략 직전 시기에 통치한 왕으로 제시되었으며, 그의 "아들" 카스왈라운은 역사적인 카시벨라우누스이다.

4. 1. 쿠노벨리누스(Cunobelinus)

중세 웨일스 문학에 등장하는 또 다른 벨리는 9세기 ''Historia Brittonum''에 처음 등장하며, 중세 및 현대 자료에서 벨리 마우르와 혼동되거나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 벨리 마노간(Mynogan으로도 표기)의 아들 벨리이다. 이 벨리는 실제로는 로마 이전 브리튼 족의 카투벨라우니 왕 쿠노벨리누스와 그의 아들 아드미니우스(또는 아미니우스)에서 파생되었다. 후기 고대 시대와 중세 초기의 여러 대중적인 책들을 거치면서 텍스트가 변조되어 쿠노벨리누스와 그의 아들 아드미니우스의 이름이 결합된 후 뒤섞이면서 새로운 벨리가 등장했고, "마노간의 아들"이라는 아버지의 이름이 붙었다.[10][11]

다음은 그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들이다.

자료명내용
수에토니우스, Caligula, Ch. 44Adminio, Cunobellini Brittannorum regis filio
오로시우스, Historia Adversus Paganos, vii 5.5Minocynobellinum Britannorum regis filium
Historia Brittonum, ch. 19Bellinus, filius Minocanni



레이첼 브롬위치는 이러한 인물이 전통적인 이름/등장인물에서 기원했다고 썼다. "벨리 마우르는 웰시 전통에 너무나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서 그의 존재는 단순히 넨니우스의 벨리누스를 각색한 것으로 설명될 수 없다. 게다가 로스는 마노간 자체가 켈트 이름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보여주었는데, Monocan이 Cartulaire de Redon(RC LI, p. 10; Chr. Br., p. 152)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켈트 자료에 나타나는 이 이름의 두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Jes. Gen. XVIII Manogan m. Pascen m. Cadell; Ogham 비문 MINNACCANNI(Macalister, Corpus Inscriptionum Insularum Celticarum I, no. 135)."[12]

따라서 벨리는 중세 위작 역사에서 쿠노벨리누스(웨일스어 ''Cynfelyn'', 셰익스피어의 심벌린)와는 별개의 인물이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로마의 침략 직전 시기에 통치한 왕으로 제시되었으며, 그의 "아들" 카스왈라운은 역사적인 카시벨라우누스이다.

4. 2. 아드미니우스(Adminius)

중세 웨일스 문학에 등장하는 또 다른 벨리는 9세기 ''Historia Brittonum''에 처음 등장하는 벨리 마노간(Mynogan으로도 표기)의 아들 벨리이다. 이 벨리는 로마 이전 브리튼 족의 카투벨라우니 왕 쿠노벨리누스와 그의 아들 아드미니우스(또는 아미니우스)에서 파생되었다. 후기 고대 시대와 중세 초기의 여러 대중적인 책들을 거치면서 텍스트가 변조되어 쿠노벨리누스와 그의 아들 아드미니우스의 이름이 결합된 후 뒤섞이면서 새로운 벨리가 등장했고, "마노간의 아들"이라는 아버지의 이름이 붙었다.[10][11]

텍스트 변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원문출처
Adminio, Cunobellini Brittannorum regis filio수에토니우스, Caligula, Ch. 44
Minocynobellinum Britannorum regis filium오로시우스, Historia Adversus Paganos, vii 5.5
Bellinus, filius MinocanniHistoria Brittonum, ch. 19



레이첼 브롬위치는 이러한 인물이 전통적인 이름/등장인물에서 기원했다고 썼다. "벨리 마우르는 웰시 전통에 너무나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서 그의 존재는 단순히 넨니우스의 벨리누스를 각색한 것으로 설명될 수 없다. 게다가 로스는 마노간 자체가 켈트 이름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보여주었는데, Monocan이 Cartulaire de Redon(RC LI, p. 10; Chr. Br., p. 152)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켈트 자료에 나타나는 이 이름의 두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Jes. Gen. XVIII Manogan m. Pascen m. Cadell; Ogham 비문 MINNACCANNI(Macalister, Corpus Inscriptionum Insularum Celticarum I, no. 135)."[12]

따라서 벨리는 중세 위작 역사에서 쿠노벨리누스(웨일스어 ''Cynfelyn'', 셰익스피어의 심벌린)와는 별개의 인물이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로마의 침략 직전 시기에 통치한 왕으로 제시되었으며, 그의 "아들" 카스왈라운은 역사적인 카시벨라우누스이다.

참조

[1] 서적 The Mabinogion Penguin
[2]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ditions Errance
[3] 서적 Celtic Culture: A-Celti https://books.google[...] ABC-CLIO 2022-09-11
[4] 간행물 Military Institutions and State Formation in the Hellenistic Kingdoms, Galaterschlacht and Royal Legitimacy https://dukespace.li[...] Department of History, Duke University
[5] 서적 The Ptolemies Knopf Publisher 2004-05-11
[6]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7] 웹사이트 Caesar's Gallic War http://www.perseus.t[...] Harper & Brothers
[8] 웹사이트 The Dynasty of Cunedag and the 'Harleian Genealogies' https://journals.lib[...] Honourable Society of Cymmrodorion 1908
[9] 웹사이트 People in History and Legend up to about A.D.1000 https://archive.org/[...] National Library of Wales
[10] 서적 A Welsh Classical Dictionary National Library of Wales
[11] 서적 Trioedd Ynys Prydein
[12] 서적 Trioedd Ynys Prydein
[13] 서적 The Arthurian Material in the Chronicles Harvard University
[14] 서적 Historia Anglorum
[15] 서적 Historia Regum Britanniæ
[16] 문서 The Celtic Lan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