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코 카디예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코 카디예비치는 유고슬라비아의 군인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방 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합류하여 활동했으며,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에 가입했다. 1988년 국방 장관에 임명되었고,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해체 후에는 공산주의자 동맹 유고슬라비아 운동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유고슬라비아 연방 수호를 주장하며 슬로베니아 독립에 반대했으나,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 헬리콥터 격추 사건에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이후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의 소환을 피해 러시아로 도주, 러시아 시민권을 얻어 모스크바에서 거주하다가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의 장군 - 라트코 믈라디치
라트코 믈라디치는 보스니아 내전 당시 스릅스카 공화국군 총사령관으로서 전쟁 범죄와 집단 학살 혐의로 ICTY에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MITC에 의해 최종 확정되어 헤이그에서 복역 중이다. - 유고슬라비아의 장군 - 프라뇨 투지만
프라뇨 투지만은 1922년 크로아티아에서 태어나 군인, 정치인, 역사학자로 활동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소장 진급,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 창설 및 크로아티아 독립 운동 주도, 대통령 재임, 시장 경제 전환 추진 등의 행적을 보였다.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관련자 - 블라디미르 바르톨
블라디미르 바르톨은 슬로베니아의 작가로, 철학, 심리학, 생물학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했으며 대표작 《알라무트》는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슬로베니아 파르티잔에 참여했으며 슬로베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준회원을 역임했다.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관련자 - 요시프 브로즈 티토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크로아티아 출신의 유고슬라비아 혁명가이자 정치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르티잔을 이끌고 유고슬라비아를 해방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수립하고 비동맹 운동을 주도하여 국제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벨코 카디예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책 | 유고슬라비아 인민국방장관 |
임기 시작 | 1988년 5월 15일 |
임기 종료 | 1992년 1월 8일 |
전임 | 브란코 마물라 |
후임 | 블라고예 아지치(직무 대행) |
출생일 | 1925년 11월 21일 |
출생지 |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이모트스키 (현재 크로아티아) |
사망일 | 2014년 11월 2일 |
사망지 | 러시아 모스크바 |
정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1990년까지) 공산주의자 동맹-유고슬라비아 운동 (1990년~1994년) |
국적 | 유고슬라비아 러시아 |
배우자 | 오즈렌카 보리치 |
자녀 | 1명 |
원어 이름 언어 | sr-Cyrl |
군사 경력 | |
소속 | 유고슬라비아 |
군 종류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
복무 기간 | 1943년~1992년 |
최종 계급 | 육군 원수 |
지휘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
근무 | 유고슬라비아 지상군 |
참전 | 유고슬라비아 전선 10일 전쟁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2. 어린 시절
벨코 카디예비치는 1925년 11월 21일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칭) 이모트스키 근처 글라비나 도냐(Glavina Donja)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두샨 카디예비치는 세르브인으로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여 1936년 스페인에서 사망했고, 어머니 야냐 파트를은 크로아트인이었다.[43][44] 카디예비치는 스스로를 "친유고슬라비아 세르브인"이라고 칭했다.[45]
카디예비치는 1988년 5월 15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제5대 국방장관이 되었다.[43]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이 붕괴된 후, 공산주의자 동맹-유고슬라비아 운동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 되었다.
카디예비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독일군이 유고슬라비아를 침공하자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합류하였다. 1943년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에 가입하였다. 파르티잔에서 중요한 임무를 맡았으며, 종전 후에도 군인으로 남아 베오그라드의 세르비아 사관학교와 미국 캔자스주 포트 레이븐워스의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CGSC)를 수료하였다.[46]
3. 국방장관 시절
1992년 1월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 헬리콥터 격추 사건으로 유고슬라비아 공군 사령관 즈본코 유레비치 준장이 정직 처분을 받자, 카디예비치는 이 사건에 대해 사과하고 국방장관직에서 사임하였다.[3]
3. 1. 유고슬라비아 전쟁 개입
카디예비치는 1988년 5월 15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제5대 국방장관이 되었다.[43] 1990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이 붕괴되자 공산주의자 동맹-유고슬라비아 운동의 발기인 중 한 명으로 합류하였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측근인 보리샤프 요비치는 1990년 6월 27일 카디예비치와 만나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를 유고슬라비아에서 강제로 쫓아내자고 제안했고, 이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요비치는 다음 날 밀로셰비치에게도 허가를 받았다고 말했다.[47] 하지만 카디예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연방에는 충성했지만, 대세르비아주의에는 찬동하지 않았다. 그는 슬로베니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하면 연방이 붕괴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요비치와 슬로베니아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유고 인민군을 동원할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으며, 탈퇴를 막기 위해선 탈퇴한 공화국과 전쟁도 불사할 것이라고 말했다.[48] 카디예비치는 유고슬라비아 내 정치 위기와 민족 갈등이 해외 정부, 특히 독일이 발칸반도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유고슬라비아를 붕괴시키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했다.[49] 그는 크로아티아의 투지만 정부가 파시스트적이라고 주장했으며, 세르비아인은 크로아티아의 "무장세력"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고 생각했다.[49]
1991년 3월 12일, 육군 수뇌부는 유고슬라비아의 대통령직과 회동하여 군부가 국가를 장악할 수 있도록 비상사태를 선포해 달라고 설득했다. 당시 총사령관이었던 카디예비치는 국가를 파괴하려는 음모가 도사리고 있다고 말했다.[50]
1991년 3월 요비치는 카디예비치와 육군이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방안으로 쿠데타를 모색했다가 4일 만에 철회했다고 말했다.[51] 카디예비치는 "요비치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라고 반박했다.[51] 그는 1991년 3월의 만남은 부크 드라슈코비치가 일으킨 베오그라드의 대규모 시위 이틀 후 요비치 집무실에서 밀로셰비치의 초청으로 이루어졌으며, 밀로셰비치가 군사 쿠데타를 통해 군대가 나라를 장악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주장했다.[51] 카디예비치는 밀로셰비치에게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으며, 군 수뇌부와 논의 후 요비치 집무실에 최종 결정을 알리겠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이후 카디예비치는 논의 끝에 쿠데타를 일으키지 않기로 결정하고, 이 결정을 서면으로 요비치 집무실에 통보했다고 주장했다.[51] 요비치는 그러한 서면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51]
안테 마르코비치는 대통령직 회의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자, 카디예비치가 이끄는 육군이 자신에게 분리주의를 선언한 공화국들을 상대로 쿠데타를 일으키겠다고 제안했다고 말했다.[52] 마르코비치는 회의 도중 카디예비치에게 "밀로셰비치를 체포하는 데 실패했다"라고 말했고, 카디예비치는 "유고슬라비아를 위해 싸우는 사람은 그(밀로셰비치) 혼자이다. 그가 없었다면 우리는 이런 제안을 할 수도 없었을 것"이라고 답했다. 마르코비치는 군사 동원 계획을 거부했고, 이후 카디예비치와 마르코비치의 관계는 단절되었다.[52]
카디예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수호를 주장하며, 1991년 5월 연방과 공화국 관료들에게 "스스로 평화를 보장하는 데 실패한다면, 유고슬라비아군이 스스로 평화를 강제로 만들 것이다"라고 발언했다.[53] 1991년 중순 슬로베니아가 독립을 선언하면서 10일 전쟁이 발발하자, 6월 30일 카디예비치는 예상 밖의 강한 저항을 뚫기 위해 유고슬라비아 연방 대통령직에 슬로베니아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제안했다. 그러나 대통령직의 세르비아 대표 보리사브 요비치는 세르비아가 슬로베니아에 대한 추가 군사 행동을 지지하지 않겠다고 밝혀 군에 큰 충격을 주었다.[54]
3. 2. 밀로셰비치와의 관계
카디예비치는 1988년 5월 15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제5대 국방장관이 되었다.[43] 1990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이 붕괴되자 공산주의자 동맹-유고슬라비아 운동의 발기인 중 한 명으로 합류하였다.
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파인 보리샤프 요비치는 1990년 6월 27일 카디예비치와 만나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를 유고슬라비아에서 강제로 쫓아내자고 제안하는 데 동의하였고, 다음날 밀로셰비치에게도 허가를 받았다고 말했다.[47] 하지만 카디예비치는 유고슬라비아에 충성했지 대세르비아에 찬동하진 않았다. 그는 슬로베니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나가면 유고슬라비아가 붕괴될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요비치와는 국가 붕괴를 막기 위해 슬로베니아에 계엄령을 내리고 유고 인민군을 동원할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으며, 탈퇴를 막기 위해선 탈퇴한 공화국과 기꺼이 전쟁도 할 것이라고 말했다.[48]
1991년 3월 12일, 카디예비치는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과 회동하여 군부가 국가를 장악할 수 있도록 비상사태를 선포해 달라고 설득하면서, 국가를 파괴하려는 음모가 도사리고 있다고 말했다.[50]
1991년 3월 요비치는 카디예비치와 육군이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쿠데타를 모색했다가 4일 만에 마음을 바꿨다고 말했으나,[51] 카디예비치는 "요비치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라고 답했다.[51] 카디예비치는 1991년 3월 만남은 베오그라드의 거대 시위가 일어난 지 이틀 후 요비치 집무실에서 밀로셰비치의 초청으로 이루어졌으며, 밀로셰비치가 군사 쿠데타를 통해 군대가 나라 전역을 장악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51] 카디예비치는 밀로셰비치에게 단호하게 자기 혼자서 그러한 결정을 내릴 수 없으며, 군 수뇌부와 논의한 후 나중에 요비치 집무실에 최종 결정을 알리겠다고 답했으며, 이후 논의 끝에 정부를 전복하겠다는 시도는 하지 않겠다고 결정하고 이 결정을 서면으로 요비치 집무실에 통보했다고 하였다.[51] 그러나 요비치는 그러한 서면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51]
안테 마르코비치는 대통령직 회의가 원하는데로 이루어지지 못하자 카디예비치의 육군이 마르코비치를 만나 분리주의를 행하는 공화국을 상대로 쿠데타를 일으키겠다고 제안했다고 말했다.[52] 마르코비치는 회의 도중 카디예비치에게 "밀로셰비치를 체포하는데 실패"하였다고 말했고, 카디예비치는 "유고슬라비아를 위해 싸우는 사람은 그(밀로셰비치) 혼자이다. 그가 없었다면 우리는 이런 제안을 할 수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르코비치는 군사 동원 계획을 거부하면서 이후 카디예비치와 마르코비치가 결렬하게 되었다.[52]
카디예비치는 1991년 5월 연방과 공화국 관료들에게 "스스로 평화를 보장하는 데 실패한다면, 유고슬라비아군이 스스로 평화를 강제로 만들 것이다"라고 발언하기도 하였다.[53] 1991년 중순 슬로베니아가 독립하는 10일 전쟁이 일어나자 6월 30일, 국방장관 카디예비치는 슬로베니아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제안하였으나, 세르비아 대표 보리사브 요비치는 세르비아가 슬로베니아에 대한 추가 군사 행동을 지지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군에 큰 충격을 주었다.[54]
3. 3. 사임
카디예비치는 1988년 5월 15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제5대 국방장관이 되었다.[43] 1990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이 붕괴되자 공산주의자 동맹-유고슬라비아 운동의 발기인 중 한 명으로 합류하였다.
1991년 5월, 카디예비치는 연방 및 공화국 관료들에게 "스스로 평화를 보장하는 데 실패한다면, 유고슬라비아군이 스스로 평화를 강제로 만들 것이다"라고 발언하기도 하였다.[53] 1991년 중순 슬로베니아가 독립하는 10일 전쟁이 일어나자, 6월 30일 국방장관 카디예비치는 예상 외로 심한 슬로베니아의 저항을 뚫기 위해 유고슬라비아 연방 대통령직에 슬로베니아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대통령직의 세르비아 대표 보리사브 요비치는 세르비아가 슬로베니아에 대한 추가 군사 행동을 지지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군에 큰 충격을 주었다.[54]
1992년 1월 유럽 공동체 감독 활동의 헬리콥터가 격추되는 사건으로 당시 유고슬라비아 공군 사령관이었던 즈본코 유레비치 준장은 정직 처분을 받았다. 카디예비치는 격추 사건에 대해 사과를 하고 사임하였다.[3]
4. 사임 이후
2001년 봄,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는 벨코 카디예비치를 소환하려 했으나, 그는 증인 소환장을 받은 지 수 시간 만에 러시아 모스크바로 도주하였다.[55] 그는 2001년부터 모스크바에 거주하며 2005년 난민 신청을 했고, 2008년 8월 13일 드미트리 메드베예프 러시아 대통령의 칙령으로 러시아 국적을 취득하였다.[56]
크로아티아 정부는 카디예비치가 러시아 시민권을 획득한 후, 러시아 연방 정부 당국에 카디예비치의 인도를 요구했지만, 러시아 측은 현재까지 응하지 않고 있다.[30]
4. 1. 크로아티아의 기소
카디예비치는 1992년 11월 벨로바르 지방법원에서, 2002년 부코바르 지방법원에서, 2006년 5월 오시예크바라냐주에서 총 3차례 기소되었다.[57] 2007년 3월 21일, 크로아티아 내무부는 카디예비치에게 "민간인을 상대로 한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장을 발부하였다.[10] 인터폴은 2007년 3월 23일 체포영장을 발부하였다.[11] 카디예비치가 러시아 국적을 취득하자 크로아티아 정부는 러시아에 카디예비치의 신병 인도를 요구하였으나,[12] 러시아 정부는 이를 거부하였다. 이후 카디예비치는 모스크바에서 거주하다 2014년 11월 2일 사망하였다.[59]마르코 아틸라 호어 전 국제유고전범재판소(ICTY) 직원에 따르면, 조사팀은 밀로셰비치, 카디예비치, 보리사브 요비치 등을 포함한 "공동 범죄 기업" 고위 간부들에 대한 기소를 준비했다. 그러나 카를라 델 폰테의 개입으로 이 초안들은 거부되었고, 기소는 밀로셰비치로 제한되었다.[13][14]
4. 2. 2007년 인터뷰
2007년에 카디예비치와 그의 행방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당시에는 그가 미국 플로리다에 살고 있다는 추측이 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5] 2007년 3월, 크로아티아 언론은 상반된 정보를 보도했는데, 카디예비치가 드미트리 야조프의 초청으로 모스크바에서 벙커를 찾는 미국 육군의 특별 고문으로 일하고 있다는 것이었다.[16] 2007년 3월 26일, 크로아티아 뉴스 포털은 카디예비치와의 인터뷰를 게재했는데, 그는 자신이 이라크 연합군의 군사 고문임을 확인했지만, "그곳에 영구적으로 거주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말하며 더 이상의 언급이나 설명을 하지 않았다.[17]2007년 10월 초, 카디예비치는 모스크바에 나타나 그의 최신 저서 ''콘트라우다르: 모이 포글레드 나 라스파드 유고슬라비예''(Kontraudar: Moj pogled na raspad Jugoslavije)의 출판 행사에 참석했다.[18] 이후 81세의 카디예비치는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언론 모두에 인터뷰를 했다. 2007년 11월 9일, 그는 세르비아 공영 방송 RTS의 저널리스트 올리베라 요비체비치와 인터뷰를 했고, 이 인터뷰는 2007년 11월 13일 프라임 타임에 그녀의 ''우피트니크''(Upitnik) 프로그램 특별판으로 방송되었다.[19] 바로 다음 날인 11월 14일, 크로아티아 라디오 텔레비전의 저널리스트 요시프 사리치가 카디예비치와 인터뷰를 진행했다.[20]
그 인터뷰에서 카디예비치는 2000년부터 러시아에서 난민으로 살았다고 밝혔다. 그는 부코바르 학살에 대해 퇴임 후에야 알게 되었는데, 정보부장 알렉산다르 바실리에비치 장군이 그에게 이 사건을 알리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15] 카디예비치는 자신과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당시 유일한 합법적인 무력이었으므로 구 유고슬라비아에서 어떤 전쟁 범죄도 저지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과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불법 무장을 막고 분리주의 준군사 세력으로부터 유고슬라비아를 지키려 노력했으며, 국제유고슬라비아전범재판소(ICTY)는 정치적 기관이며 그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21]
그는 또한 자신과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유고슬라비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군사 쿠데타를 조직할 생각조차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22] 이는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보리사브 요비치의 발언과 대조적인데, 요비치는 카디예비치와 군대가 위기 탈출구로 쿠데타를 제안했지만 나흘 후에 마음을 바꿨다고 주장했다.[22]
이에 대한 카디예비치의 반응은 "요비치는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카디예비치는 1991년 3월 9일 부크 드라슈코비치가 베오그라드 거리에서 조직한 1991년 시위 이틀 후인 1991년 3월 요비치의 사무실에서 있었던 회의를 언급했는데, 카디예비치에 따르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카디예비치를 초대하여 군대가 군사 쿠데타를 통해 국가를 장악할 것을 요청했다는 것이다. 카디예비치는 밀로셰비치에게 자신은 혼자서 그런 결정을 내릴 수 없으며, 군 지도자들과 이 문제를 논의한 후 요비치의 사무실에 그들의 결정을 알리겠다고 말했다. 카디예비치는 그들의 결정은 쿠데타에 반대하는 것이었고 그는 서면으로 요비치의 사무실에 이를 알렸다. 요비치는 그런 문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2]
5. 서훈
유고슬라비아 적성띠훈장 사회주의 노동영웅 훈장 유고슬라비아 적기띠훈장 공화국 황금화관훈장 인민군 왕관훈장 유고슬라비아 금성군사수훈훈장 형제애와 통일 황금화관훈장 인민군 금성훈장 용맹훈장 유고슬라비아 금검군사수훈훈장 파르티잔 소총적성훈장 유고슬라비아 은검군사수훈훈장
참조
[1]
웹사이트
Monograph Reports
https://www.rand.org[...]
2024-01-07
[2]
웹사이트
Smrt Jugoslavije/Učesnici događaja
http://mmc.et.tudelf[...]
2005-08-09
[3]
서적
The Devil's Garden: A War Crimes Investigator's Stor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
웹사이트
Veljko Kadijević
https://www.vecernji[...]
2021-08-26
[5]
서적
Identifying Potential Ethnic Conflict: Application of a Process Model
https://books.google[...]
RAND Corporation
[6]
서적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7]
웹사이트
The Yugoslav Peoples's Army: Between Civil War and Disintegration
http://fmso.leavenwo[...]
2005-07-04
[8]
웹사이트
Veljko Kadijević dobio rusko državljanstvo
http://www.seebiz.eu[...]
2008-09-29
[9]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Ф от 13.08.2008 No 1219
http://document.krem[...]
[10]
웹사이트
Arrest warrant by Croatian police
http://www.mup.hr/ma[...]
[11]
웹사이트
Interpol arrest warrant for Kadijević
http://www.interpol.[...]
[12]
웹사이트
Russia won’t extradite ex-Yugoslav defense minister
http://www.b92.net/e[...]
2011-06-07
[13]
웹사이트
Florence Hartmann's "Peace and Punishment"
http://greatersurbit[...]
Wordpress.com
2011-04-09
[14]
웹사이트
The Capitulation of the Hague Tribunal
http://www.glypx.com[...]
BalkanWitness
2011-04-09
[15]
웹사이트
Partial interview with Kadijević on HTV
http://vijesti.hrt.h[...]
2007-11-15
[16]
웹사이트
March 2007 article on Kadijević's whereabouts
http://www.net.hr/vi[...]
[1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Kadijević
http://www.business.[...]
2011-07-21
[18]
웹사이트
Kadijević in Moscow
http://www.politika.[...]
[19]
Youtube
RTS interview with Veljko Kadijević, November 2007
https://www.youtube.[...]
[20]
웹사이트
"Kadijević HTV-u naplatio intervju?"
http://www.net.hr/vi[...]
[21]
웹사이트
Rusija bi trebala uhapsiti Kadijevića
http://www.net.hr/vi[...]
[22]
Youtube
RTS interview with Veljko Kadijević, November 2007
https://www.youtube.[...]
[23]
웹사이트
http://www.rand.org/[...]
[24]
웹사이트
Smrt Jugoslavije / Učesnici događaja
http://mmc.et.tudelf[...]
2005-08-09
[25]
웹사이트
The Yugoslav Peoples's Army: Between Civil War and Disintegration
http://fmso.leavenwo[...]
2005-07-04
[26]
웹사이트
Veljko Kadijević dobio rusko državljanstvo
http://www.seebiz.eu[...]
2008-09-29
[27]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Ф от 13.08.2008 No 1219
http://document.krem[...]
[28]
웹사이트
Arrest warrant by Croatian police
http://www.mup.hr/ma[...]
[29]
웹사이트
Interpol arrest warrant for Kadijević
http://www.interpol.[...]
[30]
웹사이트
"Russia won’t extradite ex-Yugoslav defense minister"
http://www.b92.net/e[...]
[31]
웹사이트
Florence Hartmann’s ‘Peace and Punishment’
http://greatersurbit[...]
Wordpress.com
2011-04-09
[32]
웹사이트
The Capitulation of the Hague Tribunal
http://www.glypx.com[...]
BalkanWitness
2011-04-09
[33]
웹사이트
Partial interview with Kadijević on HTV
http://vijesti.hrt.h[...]
[34]
웹사이트
March 2007 article on Kadijević's whereabouts
http://www.net.hr/vi[...]
[35]
웹사이트
Interview with Kadijević on business.hr
http://www.business.[...]
[36]
뉴스
Kadijević in Moscow
http://www.politika.[...]
[37]
Youtube
RTS interview with Veljko Kadijević, November 2007
https://www.youtube.[...]
[38]
뉴스
Kadijević HTV-u naplatio intervju?
http://www.net.hr/vi[...]
[39]
뉴스
Rusija bi trebala uhapsiti Kadijevića
http://www.net.hr/vi[...]
[40]
Youtube
RTS interview with Veljko Kadijević, November 2007
https://www.youtube.[...]
[41]
간행물
https://www.rand.org[...]
[42]
웹인용
Smrt Jugoslavije/Učesnici događaja
http://mmc.et.tudelf[...]
2005-08-09
[43]
웹인용
The Devil's Garden: A War Crimes Investigator's Stor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4]
웹인용
Veljko Kadijević
https://www.vecernji[...]
2016-12-01
[45]
서적
Identifying Potential Ethnic Conflict: Application of a Process Model
https://books.google[...]
RAND Corporation
[46]
서적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47]
서적
Poslednji dani SFRJ
Politika
[48]
서적
Milosevic: A Biography
Bloomsbury Publishing
[49]
서적
Thinking about Yugoslavia: Scholarly Debates about the Yugoslav Breakup and the Wars in Bosnia and Kosovo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기타
The Death of Yugoslavia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BBC)
[51]
Youtube
RTS interview with Veljko Kadijević, November 2007
https://www.youtube.[...]
[52]
서적
State Collapse in South-Eastern Europe: New Perspectives on Yugoslavia's Disintegration
Purdue University Press
[53]
웹인용
The Yugoslav Peoples's Army: Between Civil War and Disintegration
http://fmso.leavenwo[...]
2005-07-04
[54]
기타
"The Yugoslav Army and the Post-Yugoslav Armies", in ''Yugoslavia and After — A Study in Fragmentation, Despair and Rebirth''
Longman, London
[55]
웹인용
Veljko Kadijević dobio rusko državljanstvo
http://www.seebiz.eu[...]
2008-09-29
[56]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Ф от 13.08.2008 No 1219
http://document.krem[...]
2008-10-02
[57]
웹사이트
Arrest warrant by Croatian police
http://www.mup.hr/ma[...]
2007-06-09
[58]
뉴스
Russia won’t extradite ex-Yugoslav defense minister
http://www.b92.net/e[...]
2011-06-07
[59]
웹인용
UMRO VELJKO KADIJEVIĆ General JNA koji je 1991. godine vodio napade na Vukovar i Dubrovnik
http://www.jutarnji.[...]
Jutarnji list
2014-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