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디 알락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디 알락 칸은 1524년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즉위하여 1547년 사망한 인물이다. 그는 다얀 칸의 후계자로 지명되었으나, 바르스 볼라트 사인 알락 진왕이 어린 그를 대신해 칸위에 올랐다. 이후 보디 알락 칸은 바르스 볼라트를 몰아내고 칸이 되었지만, 우리양카이 부족의 반란과 명나라와의 갈등으로 대칸의 권위가 약화되었다. 그는 44세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다라이순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하르부 - 링단 칸
    링단 칸은 몽골 차하르부의 칸이자 북원의 마지막 대칸으로, 분열된 몽골 부족들을 재통일하려 했으나 강압적인 통치와 후금과의 대립 끝에 천연두로 사망하여 북원의 해체를 초래했다.
  • 차하르부 - 투먼 자삭투 칸
    투먼 자삭투 칸은 1539년에 태어나 1558년 몽골 차하르의 칸이 되었으며, 우리양카이 등을 복속하고 불교 진흥에 힘썼으나 투메드부와의 갈등 끝에 1592년에 사망했다.
  • 1504년 출생 - 매슈 파커
    매슈 파커는 1504년에 태어나 1575년에 사망한 잉글랜드의 종교 지도자이며, 앤 불린의 사제로서 1559년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어 잉글리칸 교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학문적 업적과 사본 수집으로 알려져 있다.
  • 1504년 출생 - 패트릭 해밀턴
    패트릭 해밀턴은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가로, 루터의 사상을 접하고 교회 개혁을 주장하다가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했으며,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 1547년 사망 - 에르난 코르테스
    에르난 코르테스는 16세기 스페인의 콘키스타도르로, 멕시코 원정을 통해 아즈텍 제국을 정복했지만, 정복 과정에서의 잔혹 행위와 아즈텍 문명 파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1547년 사망 - 윤원로
    윤원로는 조선 중기 문정왕후의 친척이자 윤원형의 형으로, 급변하는 정치 상황 속에서 부침을 겪으며 윤임 등과의 갈등, 을사사화 연루, 동생 윤원형과의 정쟁 끝에 사사된 인물이다.
보디 알락 칸
기본 정보
칭호카간 (몽골 제국의 황제)
몽골어(알라그 칸)
몽골어 (로마자 표기)Alagh Khan
중국어阿剌克汗 (아락한)
다른 칭호보디 알락 칸
통치
칭호북원의 카간
재위 기간1519년–1547년
이전 통치자바르스 볼루드 지농
계승자다라이숭 고덴 칸
개인 정보
출생1504년
사망1547년
아버지투르볼라드 또는 우루스 볼라트
어머니차자안 낭낭 태후
가문
가문보르지긴 가문
왕조북원

2. 생애

1504년 다얀 칸의 장남 토로 볼라트와 차장 냥냥 태후 사이에서 태어났다(울루스 볼라트의 장남이라는 설도 있다).

1508년 숙부(또는 아버지)인 울루스 볼라트 진왕이 우익의 이브라힘 태사 등에 의해 살해되자, 다얀 칸은 좌익을 이끌고 보복하여 우익 삼 투멘을 모두 항복시켰다. 다얀 칸은 공을 세운 이에게 상을 내릴 때, 보디 알락에게 "나의 제위를 지키도록 하라"고 명했고, 보디 알락은 제위 계승을 약속받았다.

1523년 아버지(또는 백부)인 토로 볼라트가 사망했다.

1524년[2] 다얀 칸이 붕어했으나, 장남 토로 볼라트와 차남 울루스 볼라트 진왕이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삼남 바르스 볼라트 사인 알락 진왕은 보디 알락이 후계자로 지명되었음에도 "어리다"는 이유로 스스로 제위에 올랐다. 그러나 보디 알락은 곧 좌익 삼 투멘을 이끌고 바르스 볼라트 사인 알락 진왕에게 양위를 강요하며 격렬한 말로 질책했다. 바르스 볼라트 사인 알락 진왕은 과오를 인정하고 보디 알락에게 무릎을 꿇고 제위를 양위했다. 보디 알락은 팔백실(나이만 차간 게르: 칭기스 칸 묘)에 무릎 꿇고 제위에 올라 보디 알락 칸이 되었다.

이후 보디 알락 칸은 호르친부의 바토르 몰로자이와 협의하여 우익 삼 투멘을 해체, 병합하려 했으나, 어머니 차장 냥냥 태후가 "조부(다얀 칸)가 쌓은 대정을 깨뜨리려는 것입니까"라고 간언하여 우익 침공을 그만두었다.

1547년, 보디 알락 칸은 44세로 붕어했다.

2. 1. 출생과 가계

1504년 다얀 칸의 차남 토르 볼라드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다얀 칸에 의해 후계자로 지명되었다.[2] 1508년, 삼촌(혹은 아버지)인 울루스 볼라드 진왕이 우익의 이브라힘 타이시에게 살해되자, 다얀 칸은 보복에 성공하고 보디 알락에게 제위를 지킬 것을 명했다.

보디 알락 칸의 출신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존재한다.

자료명내용
《황사 (黃史)》, 《몽골원류 (蒙古源流)》다얀 칸의 장남 토르 볼라드의 아들이며, 다얀 칸의 차남 울루스 볼라드가 이브라힘 타이시에게 살해됐으며 자녀가 없다고 한다.
명나라 말기 서적 《북로세대 (北虜世代)》, 《북로세계 (北虜世系)》다얀 칸의 장남 치르파흐(토르 볼라드로 추정)에게 아들이 2명이 있어 장남 부체크(不地), 차남 야메(乜明)가 있고, 다른 아들은 울루스 타이지(五路士台吉, 兀魯思孛羅)인데 자녀가 없다고 한다.
청나라 문헌 《왕공표전 (王公表傳)》, 《부락요락 (藩部要略)》차하르부의 초대 수령은 칭기즈 칸의 제16세손 토르 볼라드(圖魯孛羅特)의 아들이라 기록되었다.
《황금사강 (黃金史綱)》다얀 칸의 차남 울루스 볼라드의 아들이고, 장남 토르 볼라드가 아들이 없었다는 설.


2. 2. 대칸위 계승

1523년 아버지 토르 볼라드가 죽고, 1524년 다얀 칸이 사망하자, 다얀 칸의 셋째 아들인 바르수볼라드 지농 카안은 보디 알락이 어리다는 이유로 스스로 칸위에 올랐다.[2] 바르수볼라드 지농 칸은 보디 알락이 대 몽골 제국을 다스리기에는 너무 어리고 경험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얀 칸의 다른 아들들이 반발했고, 특히 바르수볼라드 지농 칸의 쌍둥이 동생인 아르스볼라드가 반발했다.

보디 알락은 몽골 좌익 3만호를 다스렸고, 차하르, 할하부, 우리양카이 3위가 그의 영역이었다. 그는 좌익 3개 부대를 이끌고 바르수볼라드 지농 칸을 압박하여 3년간의 갈등 끝에 퇴위시키고 대칸위에 올랐다. 보디 알락은 팔백실(나이만 차간 게르: 칭기스 칸 묘)에 참배하고 스스로 대칸임을 선언했다.[2]

2. 3. 대칸의 권위 약화와 몽골 분열

1520년에서 1544년 우리양카이에서 봉기가 일어났으나, 보디 알락은 서부 몽골 부족의 지원으로 겨우 진압하였다.[2] 1521년 명나라 가정제 즉위 직후, 보디는 명나라-몽골 국경 다퉁 수호 병력이 일으킨 반란을 지원했으나 실패했다.

1536년부터 1541년까지 사촌 알탄 칸 등의 도움을 얻어 우리양카다이의 반란을 진압하고 지도자 헤르볼라드 칭상을 체포했다. 그 결과 우리양카이부는 분열되었고, 대칸의 권위는 약화되었다.

보디 알락 칸은 하르친부의 울란바토르 모로차이와 협의하여 우익 세 투멘을 해체, 병합하려 했으나, 어머니 차르잔 랑랑 태후가 반대하여 무산되었다.

이후 투메드부알탄 칸과 명나라에 통공교류를 청했으나 거절당하자, 명나라 국경을 지속적으로 침공했다. 1542년 알탄 칸명나라 변방 정복에 성공하고 투투 세첸 칸의 칭호를 받아 보디 알락 칸 다음 서열로 인정받았다. 이는 알탄 칸의 권위를 높여 훗날 후계자들에게 도전하는 기반이 되었다.

1544년 직할령인 차하르부를 설치하고 초대 칸이 되었다.[2]

2. 4. 사망

1547년 보디 알락 칸은 44세로 사망했다. 이듬해(1548년) 장남 다라이순 태자가 팔백실의 신전에서 칸위를 계승했다.[3] 그의 사후 몽골의 부족장들은 투메드부알탄 칸을 시작으로 스스로 칸을 자처하였다. 이후 카안(대칸, 카간)은 명목상 몽골의 대칸이었으나, 다른 투멘에 통치권을 행사하기 어려워졌고, 대칸의 실제 영향력은 직할 영지인 차하르부에 국한되었다.

3. 가족 관계

이름비고
다라이손 구덴 칸
코코추타이 타이지스니도부(Сөнөд) 분봉, 데므치그돈로브의 11대조. 증손 텡치시(腾机思)는 1641년 수니드좌익자사그투군왕, 증손 수사이(叟塞)는 1641년 청나라로부터 수니드우익자사그투두릉군왕에 봉해짐.
옹구츠타이우주무치부 분봉. 아들 다리차이는 1641년 청나라에 투항, 우주무치 우익기 자사그투화석세첸친왕(烏珠穆沁右翼旗扎薩克和碩車臣親王)직 세습.
움트
쿤트
다라이순 고덴 칸
콕주 테이 태자
옹곤 두랄


4. 기타

명나라에서는 보디 알락 칸과 그의 조부 다얀 카안을 혼동하여 '소왕자'로 불렀다.[5] 조선에서는 그가 토목의 변으로 몽골에 끌려간 천순제의 손자라는 소문이 유포되기도 했다.[5]

참조

[1] 논문 15世紀中葉前的北元可汗世系及政局 (Genealogy and political situation of the Northern Yuan Khans of the mid-15th century) 2000
[2] 서적 蒙古源流 1544
[3] 서적 2004
[4] 서적 2004
[5] 기록 승문원 제조 윤은보 등이 문견 사건에 부표하여 입계하다 1542-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