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거리 백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거리 백신은 볼거리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신으로, 20세기 중반 성인 남성의 고환 염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가 시작되었다. 1960년대에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었으며, 머크사의 모리스 힐먼은 딸의 이름을 딴 제릴린 균주를 개발하여 최초의 효과적인 백신인 멈프스박스를 개발했다. 멈프스박스는 MMR 백신에 포함되어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균주를 기반으로 한 백신이 존재한다. 볼거리 백신은 2회 접종 시 85% 이상의 예방 효과를 보이며, 대부분의 부작용은 경미하다. 한국에서는 MMR 백신이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생후 12~15개월에 1차, 만 4~6세에 2차 접종을 권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거리 - 고환염
    고환염은 세균 감염이나 바이러스로 인해 고환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혈정액, 혈뇨, 심한 통증, 고환 부종 등의 증상을 보이며, 혈액, 소변, 초음파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항생제나 통증 완화제로 치료한다.
  • 볼거리 - 모리스 힐먼
  • 약독화 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은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능동 면역 백신으로,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이후 개발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제조 방식의 3가 또는 4가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유행하는 균주에 맞춰 재구성되지만 효능은 변동될 수 있고 부작용 가능성이 존재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약독화 백신 - 홍역 백신
    홍역 백신은 1~2회 접종으로 높은 예방 효과를 나타내며 홍역 발생 감소, 질병 예방에 기여하고 MMR 백신 형태로 전 세계에서 널리 사용된다.
  • 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은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능동 면역 백신으로,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이후 개발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제조 방식의 3가 또는 4가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유행하는 균주에 맞춰 재구성되지만 효능은 변동될 수 있고 부작용 가능성이 존재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백신) - 콜레라 백신
    콜레라 백신은 콜레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신으로, 세계보건기구는 질병이 풍토병인 지역에서 예방적 및 대응적 사용을 권장하며 경구 백신과 주사형 백신이 있고, 최근에는 생산 비용을 절감한 새로운 제형의 백신이 개발되어 전 세계 콜레라 백신 공급량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볼거리 백신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백신 정보
MMR 백신은 볼거리에 대한 보호 기능을 포함하고 있음
MMR 백신은 볼거리에 대한 보호 기능을 포함하고 있음
대상볼거리
백신 종류약독화
MedlinePlusa601176
식별자
ChemSpider IDnone
UNII47QB6MX9KU
ATC 코드J07BE01
일반 정보
볼거리 바이러스 백신백신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백신
효능
효능1회 투여 시 80%, 2회 투여 시 90% 이상의 효과가 있음
지속 기간장기간
부작용
일반적인 부작용주사 부위 통증 및 발열
심각한 부작용뇌염과 같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임신 중 사용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음
사용
사용1960년대에 처음 사용됨
필수 의약품 목록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됨
기타
비용2014년 기준 도매가 기준 0.24 ~ 1.10 USD

2. 역사

20세기 중반, 아이들 사이에서 볼거리 감염은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로 여겨지지는 않았지만, 성인 남성에게는 고환 염증을 유발하여 쇠약하게 만들 수 있었고, 이는 전쟁 시기에 밀집된 공간에 있던 군인들에게 특히 어려움을 초래했다. 이에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 정부는 볼거리를 과학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4]

최초의 실험용 볼거리 백신은 1948년에 허가되었으나, 불활성화 백신이라 단기적인 효과만 있었다.[3] 이후 1960년대에 개선된 백신이 상용화되었다.[1] 모리스 힐먼은 자신의 딸에게서 채취한 바이러스 샘플로 제릴린 백신 균주를 개발했는데, 이는 배아 닭의 알과 병아리 배아 세포 배양에서 개발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바이러스는 인간 세포에 덜 적합하도록 약독화되었고, 인간 신경세포에 덜 독성을 띠어 '신경 약독화'라고 불렸다.[6][7] 힐먼의 연구로 1967년 멈프스박스(Mumpsvax)가 허가되었으며, 이는 4년 만에 개발되어 백신 개발 속도 기록을 세웠다.[4]

멈프스박스는 이후 머크의 복합 MMR 백신에 포함되어 볼거리 예방 접종이 일상화되었다. MMR 백신은 1971년에 허가되었고, 1974년까지 미국 어린이의 40%가 접종했다. 1977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12개월 이상 모든 어린이에게 볼거리 예방 접종을 권장했으며, 1998년에는 2회 접종을 권장하기 시작했다.[4]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은 일정 인구에게 투여하면 인구 전체의 감염이 감소한다.[24]。 90%의 인구에게 백신을 투여했을 경우, 약 85%의 인구에게 효과가 나타난다.[25]。 장기적인 효과를 위해서는 2회 접종이 필요하며,[24] 1차는 생후 12개월에서 18개월 사이,[24] 2차는 2세에서 6세 사이가 일반적이다.[24]。 면역이 없는 사람이 볼거리 바이러스와 접촉한 후에도 백신은 효과적이다.[26]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은 매우 안전하며 부작용은 경미하다.[24][26]。 경미한 부작용은 주사 부위의 통증이나 부어오름, 미열 정도이다.[24]。 심각한 부작용은 극히 드물며,[24] 백신에 의한 신경 조직 부작용의 증거는 명확하지 않다.[26]임신 중이거나 면역 억제 중인 사람은 백신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24]。 닭알의 세포 내에서 만들어진 백신이지만,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26]

일본을 제외한 선진국과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홍역 백신풍진 백신을 합친 MMR 백신이 예방 접종에 사용되고 있다.[24]미국에서는 MMR 백신에 수두 백신을 더한 4가 혼합 백신(MMRV 백신)도 있다.[26]。 2005년까지 110개국에서 예방 접종에 사용되고 있으며,[24] 백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지역에서는 90%의 면역 효과가 나타난다.[24]

초기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은 1948년에 인가되었지만, 불활성화 백신이라 효과가 단기간이었다.[26]。 1960년대에는 중화 항체가 지속되는 개량된 백신이 판매되었다. 초기 백신은 불활성화 백신으로 효과가 좋지 않아, 개량된 생백신이 사용되었다.[24]。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은 WHO 필수 의약품 모델 목록에 등재된, 기초적인 의료 제도에서 중요시되는 의약품이다.[27]。 2014년 MMR 백신의 세계 가격은 1회 투여당 0.24USD였다.[28]

1989년 일본에서 MMR 백신 정기 접종이 시작되었지만, 무균성 수막염 발생 문제로 1993년 중단되었다. 183만 명 이상이 접종했고 1754명이 수막염에 걸렸으며, 당시 사용했던 우메베 주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29]

일본에서는 연간 100만~200만 명이 볼거리에 감염되며, 계산상 연간 70~140명의 볼거리 난청이 발생하지만, 실제로는 200~400명의 볼거리 환자 중 1명꼴로 난청이 보고되어 발병률이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30]。 볼거리 바이러스에 의한 뇌사 사례도 보고되었다.[31]。 일본 소아과학회는 정기 접종화를 후생노동성에 요청하고 있다.[32]。 2011년 12월 보고서에 따르면, 약 30%의 낮은 접종률과 중증 사례를 우려하여 조사한 결과, 24시간 이상 입원이 필요했던 환자는 3년간 4,808명이었고, 입원 이유는 수막염, 뇌염·뇌증, 탈수증, 고환염, 난청, 췌장염 등이었으며, 소아 1명이 사망하고 11명이 심각한 후유증을 겪었다고 보고했다.[33]

2. 1. 초기 개발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당시 미국 정부는 볼거리를 과학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볼거리가 성인 남성에게 쇠약하게 만드는 고환 염증을 유발할 수 있었고, 전쟁 시기 밀집된 공간에 있던 군인들에게 특히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4] 최초의 실험용 볼거리 백신은 1948년에 허가되었으나, 불활성화 백신으로 개발되어 단기적인 효과만 있었다.[3]

2. 2. 제릴 린 균주 개발

1963년, 머크 앤 컴퍼니(Merck & Co.)의 모리스 힐먼(Maurice Hilleman)은 볼거리 바이러스에 감염된 자신의 딸 제릴 린에게서 바이러스 샘플을 채취했다.[4][5] 힐먼은 이 바이러스 샘플을 이용하여 제릴린 백신(Jeryl Lynn) 균주를 개발했다.[4][5]

당시 소아마비홍역 백신 개발의 발전을 바탕으로, 볼거리 바이러스 균주는 배아 닭의 알과 병아리 배아 세포 배양에서 개발되었다.[4] 이렇게 만들어진 바이러스 균주는 인간 세포에 덜 적합하도록 '약독화'되었다.[6] 이 균주는 야생 균주보다 인간 신경세포에 덜 독성을 띠기 때문에 '신경 약독화'라고 불리기도 한다.[6][7]

힐먼의 연구는 최초의 효과적인 볼거리 백신인 멈프스박스(Mumpsvax) 개발로 이어졌다. 1967년에 허가된 이 백신은 4년 만에 개발되어 새로운 백신 개발 속도 기록을 세웠다.[4]

2. 3. MMR 백신 도입

1971년 머크의 복합 MMR 백신에 멈프스박스(Mumpsvax)가 포함되면서 볼거리 예방 접종이 일상화되기 시작했다.[4][2][9] MMR 백신은 홍역, 볼거리, 풍진을 표적으로 하며 1971년에 허가되었다. 1974년까지 미국 어린이의 40%가 이 복합 백신을 접종받았다. 1977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12개월 이상 모든 어린이에게 MMR 백신의 일부로 볼거리 예방 접종을 권장했으며, 1998년에는 CDC가 MMR 백신 2회 접종을 권장하기 시작했다.[4]

2. 4. 한국의 볼거리 백신 도입

한국에서는 1980년대 초 MMR 백신이 도입되면서 볼거리 예방 접종이 시작되었다.[24] 1985년부터 1987년까지는 MMR 백신 대신 MR (홍역, 풍진) 백신과 단독 볼거리 백신이 사용되었다. 1988년부터 MMR 백신이 국가필수예방접종에 포함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1989년 일본에서는 MMR 백신 접종 후 무균성 수막염 발생률이 높아져 1993년 접종이 중단되기도 했다.[29] 이는 백신 균주와 관련된 문제였으며, 한국에서는 해당 균주를 사용하지 않아 문제가 되지 않았다.

2000년대 초반 MMR 백신 안전성 논란이 있었으나, 이는 근거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3. 종류

볼거리 백신은 1940년대에 처음 개발되었는데, 초기에는 불활성화 바이러스를 사용했지만 1960년대 이후에는 약독화된 생 바이러스를 사용하고 있다.[1] 세계 보건 기구(WHO)의 필수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며,[10][11] 2007년 기준으로 여러 종류의 백신이 사용되고 있다.[1]

일본을 제외한 여러 선진국개발도상국에서는 홍역 백신, 풍진 백신과 함께 MMR 백신 형태로 접종하며,[24] 미국에서는 수두 백신을 추가한 MMRV 백신도 사용된다.[26] 2005년까지 110개국에서 예방 접종에 사용되고 있으며, 백신이 널리 사용되는 지역에서는 90%의 면역 효과를 보인다.[24]

1989년 일본에서 통일주 접종이 시작되었으나, 수막염 문제로 1993년에 중단되었다. 당시 사용했던 우메베 주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29] 2021년 현재 일본에서는 혼합 백신이 승인되지 않아 볼거리 백신 단독 접종이나 수입 MMR 백신 접종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주요 균주는 다음과 같다.

균주명특징비고
제릴 린머크의 멈프스박스(Mumpsvax)와 MMR 백신에 사용, 미국 표준 백신2009년 멈프스박스 단독 생산 중단[15][16]
RIT 4385제릴 린 균주에서 유래, 글락소스미스클라인 MMR 백신에 사용
레닌그라드-3소련에서 개발, 러시아 등에서 사용
L-자그레브레닌그라드-3 균주에서 유래, 크로아티아, 인도 등에서 사용
우라베일본에서 개발, 수막염 발생률이 높아 여러 국가에서 사용 중단
루비니스위스에서 사용, 낮은 효능으로 현재 사용되지 않음
호시노, 토리이일본에서 현재 시판되는 백신



서구에서는 2회 정기 접종을 통해 볼거리 환자 수가 99% 감소하고 있다. 2001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우라베주를 포함한 시판 볼거리 백신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했다.

3. 1. 제릴 린 (Jeryl Lynn) 균주

머크(Merck & Co.)의 멈프스박스(Mumpsvax)와 MMR 백신에 사용되는 균주로, [12][13][14] 미국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볼거리 백신 균주이다.[14]

제릴 린(Jeryl Lynn) 균주는 피하 주사로 투여하며,[13] 백신 생산 과정에서 SPGA(수크로스, 인산염, 글루탐산염, 인간 혈청 알부민)와 네오마이신을 사용하여 배지 199에서 배양한다.[13] 인간 알부민 처리에는 Cohn 냉 에탄올 분획 방법이 사용된다.[13]

머크사의 홍역, 볼거리, 풍진 백신에는 제릴 린(JL)주가 사용된다.

3. 2. RIT 4385 균주

RIT 4385는 모리스 힐먼이 자신의 딸인 제릴 린에게서 얻은 제릴 린 균주를 이용하여 개발한 균주이다.[2]

3. 3. 레닌그라드-3 (Leningrad-3) 균주

레닌그라드-3 (Leningrad-3) 균주는 스므로딘체프와 클랴치코가 기니피그 신장 세포 배양을 통해 개발했으며, 1950년부터 구 소련 국가에서 사용되었다.[17] 이 백신은 러시아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크로아티아인도에서 사용되는 L-자그레브 균주는 레닌그라드-3 균주를 추가 계대배양하여 파생되었다.[17] 인도에서 제조되는 MMR 백신에는 L-자그레브(Leningrad-Zagreb, LZ)주가 사용된다.

3. 4. L-자그레브 (L-Zagreb) 균주

L-자그레브(L-Zagreb) 균주는 레닌그라드-3 균주를 추가 계대배양하여 파생되었으며, 크로아티아인도에서 사용된다.[17] 인도에서 제조되는 MMR 백신에는 Leningrad-Zagreb(LZ)주가 사용된다. L-자그레브 균주는 호시노주, 토리이주와 무균성 수막염 합병률이 동등하다.

3. 5. 우라베 (Urabe) 균주

우라베 균주는 일본에서 도입되었으며, 이후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허가되었다. 그러나 이 균주는 수막염 발생률이 더 높은 것(제럴린 린 균주의 경우 1/227,000에 비해 1/143,000)과 관련이 있어 여러 국가에서 사용이 중단되었다.[18] 영국에서는 MMR 백신으로 제형화되었다.

2001년 세계보건기구(WHO)의 평가에서는 5억 회분의 세계 접종 결과에서 우라베주를 포함한 시판 볼거리 백신은 허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3. 6. 루비니 (Rubini) 균주

루비니 균주는 스위스에서 주로 사용된 균주로, 닭 배아를 통해 더 많은 횟수의 계대배양을 거쳐 약독화되었다.[19] 1985년에 도입되었으나,[17] 낮은 효능을 갖는 것으로 밝혀져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19]

3. 7. 호시노, 토리이 균주

일본에서 현재 시판되는 볼거리 백신은 호시노주와 토리이주 2종이다.[1]

4. 효능 및 안전성

볼거리 백신은 매우 효과적이며, 2회 접종 시 약 85%의 예방 효과를 보인다.[25] 장기적인 효과를 위해서는 2회 접종이 필요하며,[24] 1차는 생후 12개월에서 18개월 사이,[24] 2차는 2세에서 6세 사이에 접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4] 면역이 없는 사람이 볼거리 바이러스와 접촉한 후에도 백신은 효과적이다.[26]

볼거리 백신은 매우 안전하며, 부작용은 대부분 경미하다.[24][26] 주사 부위의 통증이나 부어오름, 미열 등이 나타날 수 있다.[24] 심각한 부작용은 매우 드물다.[24] 백신에 의한 신경 조직 부작용의 증거는 명확하지 않다.[26] 임신 중이거나 면역 억제 상태인 사람에게는 투여해서는 안 된다.[24]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26]

일본을 제외한[24] 여러 국가에서는 홍역 백신, 풍진 백신과 함께 MMR 백신 형태로 접종한다.[24] 미국에서는 수두 백신을 추가한 MMRV 백신도 사용된다.[26]

무균성 수막염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이는 매우 드물며 백신 균주에 따라 발생률에 차이가 있다. 1989년 일본에서 183만 명 이상이 접종한 우라베주는 수막염 발병 문제로 1993년 사용이 중지되었다.[29]

다음은 각 백신 균주별 무균성 수막염 합병률에 대한 정보이다.

백신 균주무균성 수막염 합병률
제릴린 (JL)주극히 낮음
호시노주, 토리이주레닌그라드-자그레브(LZ)주와 동등



2001년 WHO의 평가에서는 5억 도즈의 세계 접종 결과에서 우라베주를 포함한 시판 볼거리 백신은 허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5. 접종

볼거리 백신은 생후 12~15개월에 1차 접종을, 만 4~6세에 2차 접종을 권장한다.[24] 1차 접종은 생후 12개월에서 18개월 사이가 좋다고 여겨지며, 2차는 2세에서 6세 사이가 일반적이다.[24] 일본 소아과학회에서는 MR 백신과 동시 시기(5세 이상 7세 미만으로 초등학교 입학 전 1년)에 2차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37]

성인의 경우, 면역이 없는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이 볼거리 바이러스와 접촉한 후에도 백신은 효과적이다.[26] 그러나 임신 중이거나 면역 억제 중인 사람은 백신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24]

일본에서는 정기 접종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임의 접종 생백신이다.[36] 지역 유행 상황에 따라 MR 백신 또는 수두 백신과의 접종 순서나 동시 접종을 검토한다. 예방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28일 이후에 2차 접종이 필요하다.

5. 1. 접종 대상

볼거리 백신은 생후 12~15개월에 1차 접종을, 만 4~6세에 2차 접종을 권장한다.[24] 1차 접종은 생후 12개월에서 18개월 사이가 좋다고 여겨지며, 2차는 2세에서 6세 사이가 일반적이다.[24] 일본 소아과학회에서는 MR 백신과 동시 시기(5세 이상 7세 미만으로 초등학교 입학 전 1년)에 2차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37]

성인의 경우, 면역이 없는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이 볼거리 바이러스와 접촉한 후에도 백신은 효과적이다.[26] 그러나 임신 중이거나 면역 억제 중인 사람은 백신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24]

일본에서는 정기 접종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임의 접종 생백신이다.[36] 지역 유행 상황에 따라 MR 백신 또는 수두 백신과의 접종 순서나 동시 접종을 검토한다. 예방 효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28일 이후에 2차 접종이 필요하다.

5. 2. 한국의 접종 현황

한국에서는 MMR 백신이 국가필수예방접종에 포함되어 있어, 대부분의 어린이가 접종을 받는다. 2010년대 초반 MMR 백신 접종률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기도 했으나, 이후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불어민주당은 MMR 백신을 포함한 국가필수예방접종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백신 접종률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6. 저장 및 안정성

볼거리 백신은 일반적으로 냉장 보관해야 하지만, 23°C에서 65일이라는 긴 반감기를 갖는다.[17] 백신 접종,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콜드 체인 유지가 중요하다.

참조

[1] 논문 Mumps virus vaccines 2007-02
[2] 논문 Mumps 2008-03
[3] 서적 Mumps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https://www.cdc.gov/[...] Public Health Foundation 2012-05
[4] 웹사이트 How a New Vaccine Was Developed in Record Time in the 1960s https://www.history.[...] 2020-11-17
[5] 논문 Experiences with Jeryl Lynn strain live attenuated mumps virus vaccine in a pediatric outpatient clinic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967-11
[6] 웹사이트 Immunization, Vaccines and Biological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7] 논문 Changes in mumps virus gene sequence associated with variability in neurovirulent phenotype 2003-11
[8] 웹사이트 The fastest vaccine in history https://connect.ucla[...] 2020-12-10
[9] 논문 MMR and MMRV vaccines 2018-08
[10] 서적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11] 서적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2nd list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12] 논문 Live, attenuated mumps-virus vaccine 1968-02
[13] 웹사이트 MUMPSVAX (Mumps Virus Vaccine Live) Jeryl Lynn Strain http://www.merck.com[...] Merck Co.
[14] 웹사이트 M-M-R II (Measles, Mumps, and Rubella Virus Vaccine Live) http://www.merck.com[...] Merck Co.
[15] 웹사이트 Vaccines: Vac-Gen/Shortages/MMR single dose vaccine shortage questions https://www.cdc.gov/[...]
[16] 뉴스 Single mumps vaccine production stops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Limited 2009-11-24
[17] 웹사이트 Immunizations, Vaccines and Biologicals - The Mumps Vaccin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8] 웹사이트 MMR Vaccine http://www.pediatric[...] Pediatric Oncall 2006-01-07
[19] 웹사이트 Eurosurveillance report on Portugal outbreak. http://www.eurosurve[...]
[20] 뉴스 Single mumps vaccine production stops https://www.telegrap[...] 2009-11-24
[21] 서적 Essential Community Medicine: (including relevant social servic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22] 논문 Mumps vaccines--current status 1994-07
[23] 웹사이트 Pavivac ineffective. CMO's letter HSSMD33-02 http://www.dhsspsni.[...] 2002-11
[24] 논문 Mumps virus vaccines. http://www.who.int/w[...] 2007-02-16
[25] 논문 Mumps 2008-03
[26] 서적 Mumps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http://www.cdc.gov/v[...] Public Health Foundation 2012-05
[27] 웹사이트 WHO Model List of EssentialMedicines http://apps.who.int/[...] 2013-10
[28] 웹사이트 Vaccine, Measles-Mumps-rubella http://erc.msh.org/d[...]
[29] 웹사이트 ムンプスとムンプスワクチン https://www.eiken.co[...] モダンメディア
[30] 웹사이트 ムンプス難聴について http://idsc.nih.go.j[...] 2003-05
[31] 웹사이트 おたふく風邪で“脳死状態” 3歳で余命宣告を受けた女の子 その時、家族は… https://newsdig.tbs.[...] OBSオンライン 2022-07-13
[32] 웹사이트 要 望 書 おたふくかぜワクチンの早期定期接種化について https://www.jpeds.or[...] 9-19
[33] 웹사이트 ムンプスウイルスおよび水痘・帯状疱疹ウイルス感染による重症化症例と重篤な合併症を呈した症例についての調査 https://www.jpeds.or[...] 2003-05
[34] 웹사이트 ムンプスワクチンの有効性と安全性 https://www.niid.go.[...] 2013-08-23
[35] 웹사이트 ムンプスとムンプスワクチン https://www.eiken.co[...] モダンメディア
[36] 웹사이트 おたふくかぜワクチン http://www.know-vpd.[...]
[37] 웹사이트 日本小児科学会が推奨する予防接種スケジュールの変更点 http://www.jpeds.or.[...] 日本小児科学会 2016-10-01
[38] 논문 Mumps virus vaccines. http://www.who.int/w[...] 2007-02-16
[39] 논문 Mumps 2008-03
[40] 서적 Mumps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https://www.cdc.gov/[...] Public Health Foundation 2012-05
[41] 웹인용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http://www.who.int/m[...] 2015-04
[42] 웹인용 Vaccine, Measles-Mumps-rubella http://mshpricegui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