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볼음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볼음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섬이다. 조선 인조 때 임경업이 머물며 둥근 달을 보았다는 데서 유래하여 만월도로 불리다가 보름달의 발음을 따라 볼음도로 개칭되었다.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볼음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화군의 지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강화군의 지리 - 교동도
    교동도는 한강과 임진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역사적,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간척 사업과 왕족 유배지로 이용되다가 2014년 교동대교 개통으로 강화도와 연결되어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볼음도
지도
기본 정보
한글볼음도
한자乶音島
로마자 표기Boreum-do
가타카나포르
히라가나후쓰온토; ]])」+「乙(; 우)」=「乶(; )」。よって、日本語での음독도 가칭 「甫」의 「」와 「乙」의 「이」를 합쳐서 「후쓰」라고 했다.}}
어원"만월도"에서, "(음력) 15일" 즉 "만월의 날"을 의미하는 "(포름)"의 "섬"에서 유래
위치황해
군도강화군 부속 도서
면적6.57km²
해안선 길이16.0km
최고 높이103m
최고봉요옥산 (; 요오산)
인천광역시
강화군
면/리서도면볼음도리

2. 역사

볼음도는 조선 인조임경업명나라로 가던 중 풍랑을 만나 이 섬에 머물렀다는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섬의 지형은 북쪽의 봉화산(봉화산|烽火山한국어, 83m)과 서북쪽의 요옥산(요옥산|要玉山한국어, 103m)을 중심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그 사이는 낮고 평탄하여 취락이 형성되었다.[1][2] 해안은 대체로 완만하지만 요옥산 부근은 급경사를 이룬다. 과거 복잡했던 해안선은 간척 사업으로 단순해지고 농경지가 증가했다.[1]

섬의 중앙, 봉화산과 요옥산 사이의 낮은 지역에는 안말(안말한국어), 샛말(샛말|새로운 마을한국어), 당아래(당아래|堂 아래한국어) 마을 등이 모여 있다.[1] 2009년 기준 인구는 280명(남 143명, 여 137명), 157세대이며,[1] 1999년에는 124세대, 284명이 거주했다.[2] 주민들은 주로 농업이나 어업에 종사한다.[1][2]

토지 이용 현황은 논 1.52km2, 밭 0.64km2, 임야 3.74km2이다.[1] 쌀, 보리, 콩, 감자, 마늘, 고추 등이 주요 농산물이며,[1][2] 백합, 새우, 점성어, 꽃게 등도 생산된다.[1] 백합 양식도 활발하다.[2]

대한민국 지정 천연기념물 제304호 은행나무가 섬 북서쪽에 있으며,[1][2] 강화군 외포리에서 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1] 서도 초·중·고등학교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분교가 각각 1개교씩 있다.[1]

볼음도 주변은 얕은 바다와 넓은 갯벌 덕분에 검은머리갈매기, 저어새 등 20여 종의 새들이 찾는 낙원이다.[2][7]

2. 1. 지명 유래

볼음도는 조선 인조명나라로 간 임경업이 풍랑을 만나 이 섬에 머무는 동안 둥근 달을 보았다고 하여 만월도(만월도|萬月島한국어)라고 불렀다고 전해진다.[1][2] 이후 둥근 달인 보름달(보름달|보름달한국어)의 발음을 따라 볼음도(볼음도|볼음도한국어)로 개칭되었고,[1][2] 발음에 따라 한자화가 이루어졌다.[1][2] 지금도 임경업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 있다.[1]

3. 지리

볼음도는 북쪽에 봉화산(83m), 서북쪽에 요옥산(103m) 등 높은 산지가 있고, 그 사이는 대체로 낮고 평탄하다.[1][2] 해안은 대부분 완만하지만, 요옥산 부근은 급경사를 이룬다.[1] 과거에는 해안선이 복잡했지만, 간척 사업으로 단순해졌고 농경지가 크게 늘었다.[1]

남쪽 사빈 해안은 영뜰 해수욕장과 조개골 해수욕장으로 이용된다.[1] 영뜰 해변은 자연 학습장으로, 조개골 해수욕장에서는 조개 채취(갯벌 체험)가 가능하다.[2]

볼음도가 속한 인천광역시, 특히 강화군 주변은 얕은 바다가 넓게 펼쳐져 갯벌이 많다. 특히 서도면, 볼음도 주변은 새들의 낙원이 되어 검은머리갈매기, 저어새 등 20여 종의 새들이 먹이를 찾아 많이 모여든다.[2][7]

3. 1. 기후

볼음도의 1월 평균 기온은 -3.0°C, 8월 평균 기온은 24.2°C, 연 강수량은 1,448 mm이다.[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4-3071216192120144-1
평균 최저 기온 (℃)13815202424262319126
강수량 (mm)234231999398455291166577642

[8]

3. 2. 인구

볼음도한국어의 인구는 2009년 기준으로 280명(남 143명, 여 137명)이며, 157세대가 거주하고 있다.[1] 1999년 12월 말에는 124세대, 284명이 거주했었다.[2] 주민들은 대부분 섬 중앙의 봉화산(볼음도)과 요옥산(볼음도) 사이에 있는 낮고 평탄한 지역에 모여 살며, 안말, 샛말, 동부의 당아래 등의 자연 마을을 중심으로 밀집해 있다.[1][2]

3. 3. 취락

볼음도의 취락은 대부분 섬 중앙, 봉화산과 요옥산 사이에 있는 낮고 평탄한 지역에 위치한다.[1][2] 자연 마을인 안말(안쪽 마을), 샛말(새로운 마을), 동부의 당아래(사당 아래) 마을을 중심으로 밀집되어 있다.[1]

2009년 현재, 인구는 280명(남 143명, 여 13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57세대이다.[1] 1999년 12월 말에는 124세대, 284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다.[2]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이나 어업에 종사한다.[1][2]

토지 이용 현황은 논 1.52km2, 밭 0.64km2, 임야 3.74km2이다.[1] 주요 농산물은 쌀, 보리, 콩, 감자, 마늘, 고추 등이다.[1][2] 해산물은 미미하지만[2], 백합, 새우, 점성어, 꽃게 등의 생산량이 많다.[1] 백합 양식도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2]

4. 산업

볼음도 주민들은 농업이나 어업에 종사한다.[1][2]

4. 1. 농업

볼음도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이나 어업에 종사한다.[1][2]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콩·감자·마늘·고추 등이다.[1][2] 토지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1]

구분면적
1.52km2
0.64km2
임야3.74km2


4. 2. 어업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이나 어업에 종사한다.[1][2] 해산물은 많지 않지만,[2] 백합과 새우, 점성어, 꽃게 등의 생산량이 많다.[1] 백합 양식도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2]

4. 3. 관광

볼음도 남쪽 해안은 영뜰 해수욕장과 조개골 해수욕장으로 이용되고 있다.[1] 영뜰 해변은 자연 학습장으로, 조개골 해수욕장에서는 갯벌 체험을 통해 조개 채취가 가능하다.[2] 섬 북서쪽 해안 부근에는 대한민국 지정 천연기념물 제304호 은행나무가 있다.[1][2]

5. 문화

볼음도에는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304호로 지정된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가 있다.[1] 또한 서도 초·중·고등학교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분교가 각각 1개교씩 있다.[1]

5. 1. 천연기념물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304호로, 볼음도 북서쪽 해안 부근에 있다.[1]

5. 2. 교육

서도 초·중·고등학교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분교가 각각 1개교씩 있다.[1]

6. 교통

강화군 외포리에서 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1]

7. 어항

참조

[1] 웹사이트 볼음도(乶音島) http://encykorea.aks[...] 韓国学中央研究院 2020-01-02
[2] 웹사이트 볼음도 [ 乶音島 ]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20-01-04
[3] Kotobank 望の日
[4] 웹사이트 '영뜰': NAVER韓国語辞書 https://ko.dict.nave[...] ネイバー 2020-01-04
[5] 웹사이트 '영정': NAVER韓国語辞書 https://ko.dict.nave[...] ネイバー 2020-01-04
[6] 웹사이트 지명의 유래 / 서도면 볼음도리(볼음도리) http://www.incheon.g[...] 仁川広域市 2020-01-03
[7] 웹사이트 江華干潟とヘラサギ繁殖地 http://www.ganghwa.g[...] 江華郡庁 2019-11-20
[8] 웹사이트 NASA Earth Observations Data Set Index http://neo.sci.gsfc.[...] NASA 2016-01-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