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미푸트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미푸트라는 말레이시아에서 말레이계 및 원주민에게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는 정책으로, 압둘 라작 후세인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정책은 헌법 제153조에 근거하며, 경제, 교육, 공공 부문에서 부미푸트라에게 특혜를 제공한다. 그러나 부미푸트라 정책은 차별 논란, 실효성 논란, 사회적 갈등 유발, 국제사회의 비판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리콴유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민족 - 말레이시아인
    말레이시아인은 말레이시아 인구와 이민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고 말레이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며 이슬람교를 국교로 한다.
  • 말레이시아의 민족 - 오랑 아슬리
    오랑 아슬리는 말레이시아 반도의 원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세망, 세노이, 원말레이 세 그룹으로 나뉘지만, 빈곤과 차별, 토지 소유권 문제 등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부미푸트라
부미푸트라 정책 개요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광장에 걸린 부미푸트라 정책을 지지하는 배너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광장에 걸린 부미푸트라 정책을 지지하는 배너
목표말레이시아의 경제적 불균형 해소 및 사회적 평등 증진
시행 국가말레이시아
대상 인구말레이인
오랑 아슬리 (말레이시아 원주민)
사라왁 원주민
사바 원주민
내용교육, 취업,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부미푸트라 우대 정책 시행
경제적 지원 및 할당제 적용
시행 시기1971년 (신경제정책)
주요 지지 정당통일말레이국민조직 (UMNO)
비판 및 논란인종 차별 논란
경제적 비효율성 문제 제기
소수 민족의 불만 야기
배경
역사적 배경말레이시아 독립 후 경제적 불균형 심화
1969년 5·13 사건 발생 (인종 간 갈등)
경제적 불균형말레이인의 낮은 경제적 지위
화교의 경제력 집중
사회적 불안인종 간 갈등 심화 및 사회적 불안정 증대
주요 내용
경제기업 지분 할당제 (부미푸트라 지분율 목표 설정)
정부 조달 시 부미푸트라 기업 우대
저금리 융자 및 사업 지원
교육대학 입학 정원 할당제 (부미푸트라 학생 우선 선발)
장학금 및 학자금 지원
고용공무원 채용 시 부미푸트라 우대
민간 기업 고용 권장
주택저렴한 주택 공급 및 주택 구매 지원
긍정적 효과
경제적 평등 증진말레이인의 경제적 지위 향상에 기여
사회 안정인종 간 갈등 완화 및 사회 안정 도모
교육 기회 확대부미푸트라의 교육 접근성 향상
비판 및 논란
인종 차별소수 민족에 대한 역차별 논란
능력 중심 사회 구현 저해
경제적 비효율성경쟁력 저하 및 부패 문제 발생
경제 성장 잠재력 저해
사회적 불만소수 민족의 불만 증가 및 사회 통합 저해
현황 및 전망
정책 변화정책 완화 및 개혁 시도
경제 상황 변화에 따른 정책 조정
사회적 요구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 및 사회 통합 요구 증대
미래 전망지속 가능한 발전 및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 방향 모색 필요
관련 용어
영어Affirmative action
한국어적극적 차별 해소 조치
관련 법률말레이시아 연방 헌법 153조

2. 공식 정의

압둘 라작 후세인이 말레이시아의 부미푸트라(Bumiputera) 민족 개념을 만들었다. 제153조는 말레이시아인의 "특별한 지위"를 인정하지만, 헌법은 부미푸트라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말레이인"과 "원주민"(제160조(2)),[5] 사라왁의 "원주민"(제161A조(6)(a)),[6] 사바의 "원주민"(제161A조(6)(b))만을 정의한다.[6] 이처럼 부미푸트라의 정의는 기관, 단체, 정부 부처마다 다르다.

1965년 11월 13일 의회 토론에서 툰쿠 압둘 라만 총리는 림 충 유(Lim Chong Eu)로부터 "부미푸트라"라는 용어의 "법적 및 헌법적 정의"가 있는지, 그리고 1963년 8월 31일 이후 출생한 말레이시아 시민의 자녀도 "부미푸트라"의 모든 권리를 가지는지 질문을 받았다. 툰쿠는 "'부미푸트라'라는 용어는 말레이 반도 원주민과 보르네오 주 원주민을 가리키는 것 외에는 법적 의미가 없습니다."라고 답했다. 그는 나중에 제153조에 따른 혜택은 "다른 말레이시아인들보다 덜 발전되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말레이시아 원주민"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7]

2. 1. 말레이 반도

말레이시아 고등 교육부는 2007/2008 학년도 공립 고등 교육 기관 입학 안내서에서 지원자의 출신 지역에 따라 부미푸트라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8]

  • 부모 중 한 명이 말레이시아 연방 헌법 제160조(2)에 명시된 대로 무슬림 말레이인/오랑 아슬리[9]인 경우, 자녀는 부미푸트라로 간주된다.

2. 2. 사바

자녀가 사바에서 태어났거나 아버지가 출생 당시 사바에 주소를 두고 있었고, 부모 중 한 명이 말레이시아 연방 헌법 제161A조(6)(b)에 명시된 사바 원주민인 경우, 그 자녀는 부미푸트라로 간주된다.[6]

2. 3. 사라왁

부모 모두 말레이시아 연방 헌법 제161A조(6)(a)에 명시된 사라왁 원주민인 경우, 그들의 자녀는 부미푸트라로 간주된다.[6]

2. 4. 광범위한 정의

말레이시아 헌법하의 부미푸트라의 특별한 지위 다이어그램


부미푸트라에 대한 광범위한 정의에는 인도네시아 원주민, 말레이시아 태국인,[10] 무슬림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페라나칸, 그리고 포르투갈-유라시아계 후손인 크리스탕 사람들과 같은 집단이 포함된다.[11] 이들 대부분은 청나라에서 대규모 중국계 이민이 오기 전인 영국 식민 통치 시대 이전에 동남아시아에 정착한 공동체들이다. 일각에서는 부미푸트라의 모든 자녀를 포함하는 정의를 선호하기도 한다.

사라왁에서는 부미푸트라 부모 한 명과 비부미푸트라 부모 한 명을 둔 사람들이 비부미푸트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었으나,[8] 2022년에 법이 변경되었다.[12]

3. 역사적 배경

1957년 말레이시아가 영국 식민 통치에서 독립할 당시, 인구 구성은 1세대 또는 2세대 이민자(계약 노동자)와 부유한 중국 상인 및 정착민들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주로 도시 지역에 정착한 중국계 이민자들은 상업 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상업 부문의 상당 부분은 부유한 중국 상인들이 장악했다.[13] 말레이시아 공동체 연락 위원회(Communities Liaison Committee, CLC)는 비말레이계의 정치적 평등을 조건으로 말레이계의 경제적 평등을 증진하는 것을 지지했다. CLC 회원인 E.E.C. 투라이싱엄(E.E.C. Thuraisingham)은 "말레이계가 비말레이계와 동등해지도록 지원하여 평등한 통합 말레이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고 말했다.[13]

헌법 제153조는 양 디-페르투안 아궁이 말레이시아인과 사바, 사라왁 주의 원주민의 특별한 지위와 다른 공동체의 정당한 이익을 보호할 책임이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헌법 제160조는 말레이시아인을 이슬람 신앙을 고백하고, 말레이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며, 말레이시아 관습에 따르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헌법 제8조는 모든 말레이시아 시민은 법 앞에 평등하며, 헌법에서 명시적으로 허용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차별이 금지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제153조는 특정 형태의 차별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부미푸트라의 특별 지위 개념은 논란이 되어 왔다. 헌법을 초안한 리드 위원회(Reid Commission)는 제153조가 15년 후에 만료될 것을 제안했으나,[14] 최종 초안에서 삭제되었다. 1969년 5.13 사건 이후, 부미푸트라의 특별 지위에 일몰 조항을 두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이스마일 압둘 라만은 "말레이시아인이 교육을 받고 자신감을 얻으면서 스스로 이 '특별 지위'를 없앨 것"이라고 주장하며, 특별 지위가 "말레이시아인의 능력에 대한 모욕"이라고 믿었다.[15] 그러나 1970년 말레이시아 내각의 한 구성원은 말레이시아인의 특별 권리는 "앞으로 수백 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16]

1970년대, 정부는 말레이시아 신경제정책(Malaysian New Economic Policy, NEP)을 시행하여 부미푸트라 차별 철폐 조치를 강화했다. 제153조는 장학금, 공무원 직책 및 사업 허가 부여에 쿼터를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토지의 원주민 예약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NEP의 틀 안에서 시행되는 정책에는 부동산 구매 보조금, 공개 주식 쿼터 및 부미푸트라 기업에 대한 일반 보조금이 포함된다.

말레이시아 의회는 1965년부터 "부미푸트라"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마즐리스 아마나 라야트(Majlis Amanah Rakyat, MARA)를 설립하는 법안에 대한 논의에 이어, 정부는 부미푸트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기관을 설립했다.[17]

4. 주요 내용

부미푸트라 정책은 경제, 교육, 공공 부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말레이계와 원주민에게 특혜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든 부미푸트라 정책이 차별적 우대 조치는 아니지만, 말레이시아 신경제정책(NEP)은 인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차별적 요소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부미푸트라들은 재정 상태에 관계없이 고급 주택을 포함한 주택이나 부동산에 대해 7% 할인을 받을 수 있지만, 저소득 비부미푸트라는 그러한 혜택을 받지 못한다.[15][19]

이러한 정책의 예로는 정부 교육 기관 입학, 공적 장학금 자격, 대학교 시험 답안 채점, 대학교 학기말 시험 전 부미푸트라 전용 특별 수업, 정부 직책, 기업 소유권 등이 있다.[15] 대부분의 정책은 NEP 기간에 수립되었으며, 기업 지분의 부미푸트라 지분을 최소 30%로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15]

미국 국무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우대 정책이 불투명하며, 정책과 관행이 다양하게 나타나 잠재적 투자자에게 모호성을 남긴다고 지적했다.[19]

2000년 이후 정부는 특정 차별적 우대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능력주의"를 재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해왔다. 2003년에는 대학 입학에 "말레이시아 모델 능력주의" 시스템을 도입했지만, 예비 과정 학생에게 더 유리하다는 비판이 있었다.

말레이시아는 영국 식민지 시대부터 중국인도 등에서 온 이민자가 많아 다민족 사회였다. 독립 후 경제적으로 풍족한 중국계와 말레이인의 대립이 심화되어 5·13사건과 같은 민족 갈등이 발생했다. 이러한 갈등의 원인이 경제적 격차였기 때문에, 말레이인을 경제적으로 우대하는 부미푸트라 정책이 시행되었다.

말레이 연방을 거쳐 말레이시아가 성립되는 과정에서 말레이인 우대 정책이 시행되었고, 이에 대해 리콴유 싱가포르 초대 총리는 화교와 말레이인 모두 같은 말레이시아인이라는 입장을 주장했다. 그러나 화교와 말레이인의 대립은 계속되었고, 인구의 70% 가까이를 차지하는 말레이계의 정치적 힘이 강해 부미푸트라 정책은 민족 차별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폐지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부미푸트라 정책의 우대 대상은 말레이인 외에도 오랑 아슬리 등 대부분의 토착 소수민족도 포함되지만, 실제 혜택은 주로 말레이계 사업가 등 부유층에게 돌아가고 있다.

이 정책으로 정치·행정에서 말레이인의 우위를 확립했지만, 정책을 추진한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전 총리는 저서에서 말레이인의 근면성 부족 등을 언급하기도 했다.

4. 1. 경제 분야

말레이시아 신경제정책(NEP)에 따라 기업 설립, 세금 감면, 주택 구매 보조금, 주식 쿼터 등에서 부미푸트라에게 유리한 조건이 제공된다.[15] 예를 들어, 부미푸트라는 재정 상태와 관계없이 고급 주택을 포함한 주택이나 부동산에 대해 7% 할인을 받을 수 있다.[19]

쿠알라룸푸르 증권거래소 상장 요건으로 부미푸트라 지분 30% 보유 의무가 있었으나, 2009년에 폐지되었다.[20] 자동차 수입 허가(AP) 제도에서 부미푸트라 기업에게 특혜가 제공되어, 이들이 차량을 수입할 수 있도록 우대했다. AP는 부미푸트라 소유가 70% 이상인 회사에 발급되었다.[21]

이러한 정책으로 라피다 아지즈(Rafidah Aziz) 전 통상산업부 장관의 말처럼 "우뚝 솟은 말레이인"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21]

하지만, 부미푸트라 정책의 혜택은 주로 말레이계 사업가 등 부유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말레이인은 국립대학에 우선적으로 입학할 수 있어, 다른 민족들은 해외 유학을 갈 수밖에 없으며, 이것이 말레이시아 국공립 대학의 수준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33]

4. 2. 교육 분야

부미푸트라 정책에서는 공무원 채용뿐 아니라, 국립대학 입학에서도 말레이인이 우선권을 가진다. 이 때문에 다른 민족들은 싱가포르오스트레일리아 등 해외로 유학을 갈 수밖에 없게 되었고,[33] 이는 말레이시아 국공립 대학의 수준 저하를 야기한다는 지적도 있다.

4. 3. 공공 부문

부미푸트라 정책에 따라 공무원 채용 시 말레이계 주민은 우대를 받는다.[33] 말레이인은 국립대학에 우선 입학할 수 있으며[33], 이로 인해 다른 민족들은 싱가포르오스트레일리아 등 해외 유학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33] 이는 말레이시아 국공립 대학의 수준 저하를 야기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33]

5. 비판과 논란

부미푸트라 정책은 민족 차별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특히 화교와 인도계 주민들의 불만을 야기해 왔다. 이 정책은 말레이 연방을 거쳐 말레이시아가 성립되는 과정에서 시행되었는데, 싱가포르 초대 총리이자 화교인 리콴유는 화교와 말레이인 모두 같은 현지인이며, 둘 다 말레이시아인이라는 입장을 주장하며 이에 반대했다.

말레이시아 헌법 제153조는 양 디-페르투안 아궁(국왕)이 말레이시아인과 사바, 사라왁 주의 원주민의 특별한 지위와 다른 공동체의 정당한 이익을 보호할 책임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헌법 제8조는 모든 말레이시아 시민이 법 앞에 평등하며, 종교, 인종, 혈통 또는 출생지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의회는 1965년부터 "부미푸트라"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1970년대에는 제153조보다 더 적극적인 부미푸트라 차별 철폐 조치인 말레이시아 신경제정책(NEP)을 시행했다. 이러한 정책에는 부동산 구매 보조금, 공개 주식 쿼터, 부미푸트라 기업에 대한 일반 보조금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실효성에 대한 논란과 함께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영국미국 등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정책의 혜택이 주로 말레이계 사업가 등 부유층에게 집중되고, 다른 민족들은 해외 유학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국공립 대학의 수준 저하를 초래한다는 지적도 있다. 전 총리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는 "말레이인에게는 근면성이 부족하다"며 정책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5. 1. 차별 논란

말레이시아 신경제정책(NEP)으로 인해 시행된 부미푸트라 정책은 특정 민족에게 특혜를 제공하여 다른 민족의 기회를 제한하고 불평등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15] 예를 들어, 부미푸트라는 재정 상태와 관계없이 고급 주택을 포함한 주택이나 부동산에 대해 7% 할인을 받을 수 있지만, 저소득 비부미푸트라는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한다.[15]

이러한 정책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정책내용
주택 할인부미푸트라는 모든 개발 사업의 신규 주택 구매 시 최소 7% 할인 혜택. 소득 수준 무관. 일정 기간 후 미분양 주택은 비부미푸트라에게 판매 가능.
정부 운영 상호 펀드부미푸트라만 구매 가능한 아마나 사함 나시오날(ASN)은 지역 상업 은행보다 약 3~5배 높은 수익률 제공.
정부 입찰많은 정부 입찰 프로젝트는 부미푸트라 소유 기업만 참여 가능. 비부미푸트라는 "알리 바바" 관행을 통해 부미푸트라 기업과 제휴하여 프로젝트 획득.
자동차 승인 허가(AP)부미푸트라에게 차량 수입 우선권 제공. 자동차 회사는 AP를 통해 차량 수입. AP는 부미푸트라 소유 70% 이상 회사에 발급.[21]



이 외에도 정부 교육 기관 입학, 공적 장학금 자격, 대학교 시험 답안 채점, 대학교 학기말 시험 전 부미푸트라 전용 특별 수업, 정부 직책, 기업 소유권 등에서 부미푸트라에게 유리한 할당제가 적용된다.[15]

2000년 이후 정부는 특정 차별적 우대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능력주의" 재도입을 논의해왔다.[21] 그러나 여전히 많은 우대 정책이 불투명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정책과 관행이 달라 잠재적 투자자에게 많은 모호성을 남긴다는 지적이 있다.[19]

화교리콴유 싱가포르 초대 총리는 화교와 말레이인 모두 같은 말레이시아인이라는 입장을 주장하며 이러한 정책에 반대했다. 부미푸트라 정책은 민족 차별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지만, 말레이계 민족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여 정치적 힘이 강하기 때문에 폐지는 어렵다고 여겨진다.[33]

5. 2. 정책의 실효성 논란

말레이시아 신경제정책(NEP)은 인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모든 부미푸트라 정책이 차별적 우대 조치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부미푸트라들은 재정 상태에 관계없이 고급 주택을 포함한 주택이나 부동산에 대해 7%의 할인을 받을 수 있지만, 저소득 비부미푸트라는 그러한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한다.[15]

미국 국무부 경제 및 사업국(Bureau of Economic and Business Affairs)이 발표한 "2012 투자 환경 보고서 – 말레이시아"에서는 부미푸트라 정책의 현실에 대해 "많은 우대 정책은 불투명하며, 이행 세부 사항은 각 부처와 해당 부처 내 공무원에게 크게 맡겨져 있다. 정책과 관행은 크게 다르다. 일부 관행은 명시적이며 법률이나 규정에 포함되어 있지만, 다른 관행은 비공식적이어서 잠재적 투자자에게 많은 모호성을 남긴다."라고 설명한다.[19]

이러한 정책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쿠알라룸푸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들은 상장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과거에는 지분의 30%를 부미푸트라가 소유해야 했다. 말레이시아에서 운영되는 외국 기업도 이 요건을 준수해야 했다. 이 정책은 2009년에 취소되었다.[20]
  • 제한된 기간 동안, 모든 개발 사업의 신규 주택 일정 비율은 부미푸트라에게 판매되어야 했다. 주택 개발업체는 해당 토지의 부미푸트라 구매자에게 최소 7%의 할인을 제공해야 한다. 이는 잠재적 구매자의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요구된다.
  • 부미푸트라만 구매할 수 있는 정부 운영(이익 보장) 상호 펀드가 있다. ''아마나 사함 나시오날''(ASN)은 지역 상업 은행보다 약 3~5배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 많은 정부 입찰 프로젝트는 입찰 제출 기업이 부미푸트라 소유 기업이어야 한다. 이 요건은 비부미푸트라가 "알리 바바" 관행에서 부미푸트라 기업과 제휴하여 프로젝트를 획득하게 했다.
  • 부미푸트라 계약자에게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프로젝트가 할당되었다.
  • 자동차 승인 허가(AP)는 부미푸트라가 차량을 수입할 수 있도록 우대한다. 2004년, 비즈니스 신문인 ''더 에지''(The Edge)는 AP의 가치가 각각 약 35000MYR라고 추산했다.


이러한 정책의 결과로, 좋은 인맥을 가진 많은 부미푸트라는 빨리 백만장자가 되었다. 전 통상산업부 장관인 라피다 아지즈(Rafidah Aziz)는 이 정책이 "우뚝 솟은 말레이인"을 만드는 것이었다고 말했다.[21]

2000년 이후 정부는 특정 차별적 우대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능력주의"를 재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해왔다. 2003년 대학 입학에 "말레이시아 모델 능력주의"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국립 대학 입학은 SAT이나 A-Levels와 같은 공통 시험이 아니라 예비 과정 또는 STPM(말레이시아 고등 학교 졸업장) 프로그램의 두 가지 평행 시스템을 기반으로 했다. 부미푸트라는 예비 과정 입학생의 압도적인 대다수를 차지한다.

부미푸트라 정책에서 우대 대상이 되는 “부미푸트라(Bumiputra)”는 말레이인 외에도, 고원지대나 보르네오 섬 등에 거주하는 오랑 아슬리(Orang Asli) 등 대부분의 토착 소수민족도 포함된다. 하지만 부미푸트라 정책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것은 말레이계 사업가 등 부유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부미푸트라 정책에서는 기업 설립 및 세금 감면 등 경제 활동뿐만 아니라 공무원 채용에서도 말레이계 주민이 우대받고 있다. 또한 말레이인은 국립대학에 우선적으로 입학할 수 있다. 때문에 다른 민족들은 불가피하게 싱가포르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등 해외로 유학을 갈 수밖에 없다.[33] 이것이 말레이시아 국공립 대학의 수준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 정책으로 정치·행정에서 말레이인의 우위를 확립하는 데 성공했지만, 정책을 추진한 전 총리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Mahathir bin Mohamad)는 최근 저서에서 "말레이인에게는 근면성이 부족하다" 등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5. 3. 사회적 갈등 유발

부미푸트라 정책은 민족 간 갈등을 심화시키고, 사회 통합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정책에 대한 불만으로 인해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33]

부미푸트라 정책의 혜택은 주로 말레이계 사업가 등 부유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업 설립 및 세금 감면 등 경제 활동뿐만 아니라 공무원 채용에서도 말레이계 주민이 우대받고 있다. 또한 말레이인은 국립대학에 우선적으로 입학할 수 있다. 때문에 다른 민족들은 싱가포르나 오스트레일리아 등 해외로 유학을 갈 수밖에 없으며, 이것이 말레이시아 국공립 대학의 수준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33]

이 정책은 주로 말레이인과 중국인의 대립 결과이기 때문에, 인도계 민족은 제3자의 입장에 놓여 있으며, 그러한 현실에 불만을 품고 인도계 주민에 의한 시위도 발생하고 있다.

이 정책으로 정치·행정에서 말레이인의 우위를 확립하는 데 성공했지만, 정책을 추진한 전 총리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는 최근 저서에서 "말레이인에게는 근면성이 부족하다" 등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5. 4. 국제사회의 비판

영국미국 등은 부미푸트라 정책이 고용 기회 평등 원칙에 위배된다며 비판했다.[33]

6. 부미푸트라 정책에 대한 반대

말레이시아 공동체 연락 위원회(Communities Liaison Committee, CLC)는 비말레이계의 정치적 평등을 조건으로 말레이계의 경제적 평등 증진을 지지했다. CLC 회원 E.E.C. 투라이싱엄(E.E.C. Thuraisingham)은 "뒤처진 말레이계에게 더 나은 대우를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13]

헌법 제153조는 양 디-페르투안 아궁(Yang di-Pertuan Agong)에게 말레이시아인과 원주민의 특별한 지위, 그리고 다른 공동체의 정당한 이익을 보호할 책임을 부여하고 있다. 헌법 제160조는 말레이시아인을 이슬람 신앙을 고백하고, 말레이어를 사용하며, 말레이시아 관습을 따르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헌법 제8조는 모든 말레이시아 시민은 법 앞에 평등하며, 인종, 혈통 등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으나, 제153조는 예외적으로 특정 형태의 차별을 허용한다.[14]

부미푸트라의 특별 지위 개념은 논란의 대상이었다. 리드 위원회(Reid Commission)는 제153조가 15년 후에 만료될 것을 제안했으나, 이 조항은 삭제되었다. 1969년 5.13 사건(13 May Incident) 이후, 정부는 부미푸트라 특별 지위에 일몰 조항(sunset clause)을 두는 문제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이스마일 압둘 라만(Ismail Abdul Rahman)은 특별 지위가 "말레이시아인의 능력에 대한 모욕"이라고 비판했지만, 1970년 내각의 한 구성원은 이 특별 권리가 "앞으로 수백 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16]

1970년대, 정부는 말레이시아 신경제정책(Malaysian New Economic Policy, NEP)을 시행하여 부미푸트라 차별 철폐 조치를 더욱 강화했다. 이후 압둘라 아흐마드 바다위(Abdullah Ahmad Badawi)와 마하티르 모하마드(Mahathir Mohamad) 전 총리는 말레이시아인이 정부 지원에 덜 의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의회는 1965년부터 "부미푸트라"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7] 2017년 나집 라작(Najib Razak) 총리는 이슬람계 인도 공동체의 부미푸트라 인정 요청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18]

6. 1. 초기 반대

1965년 말레이시아 의회 회기에서 당시 싱가포르의 총리였던 리콴유는 부미푸트라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밝혔다.[22] 그는 말레이시아인들의 삶의 질 개선과 관련된 질문을 던지며, 경제, 사회, 교육 정책의 실패를 말레이시아인의 권리에 반대하는 다른 민족 탓으로 돌리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 리콴유는 말레이시아인들이 비말레이시아인 사회가 만들어낸 수준의 교육과 훈련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23]

6. 2. 지속적인 반대

2004년, 여당 연합의 최대 구성원인 말레이시아 통일 말레이 국민조직(UMNO)은 부미푸트라 특권에 대한 질문을 경계했다.[24] UMNO 부의장 바드루딘 아미룰딘(Badruddin Amiruldin)은 "다른 인종의 누구도 이 땅에서 말레이시아인의 권리를 질문해서는 안 된다. 종교에 대해 질문하지 마라. 이것은 이 땅에서 나의 권리다."라고 말하며 대표들의 찬성을 얻었다.[24] 같은 해, 모하마드 조하리 바하룸(Mohd. Johari Baharum) 총리부 의회 비서관은 공공 서비스부(PSD) 장학금이 여전히 할당제를 기반으로 할 것이며, 실력 중심 제도로 전환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25]

2009년, 범말레이시아 이슬람당(PAS)의 종교 지도자 니크 아브둘 아지즈 니크 마트(Nik Abdul Aziz Nik Mat)는 부미푸트라 정책이 인종차별적이며, 이 정책으로 인해 다른 인종이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27]

2015년, 스위스 학자 타릭 라마단(Tariq Ramadan)은 비무슬림이 2등 시민으로 취급받는 방식에 대해 언급하며, "죄송하지만 이 나라에서 무슬림이 아닌 여러분의 동포 시민들은 이러한 차별과 불의에 직면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28]

7. 현재 상황

2006년, 무스타파 모하마드 고등교육부 장관은 공립대학들이 "세계적 수준의 기관을 목표로" 비(非)부미푸트라 학계 직원을 더 많이 채용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이는 학계에서 인종 차별이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대학 입학은 여전히 부미푸트라를 우대하여 다른 인종의 고등교육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29]

제조업 부문은 외국인투자위원회(FIC) 지침에서 제외되며, 모든 (제조업) 하위 부문에 대한 의무적인 30% 부미푸트라 지분 및 시장 진입 제한이 삭제되었다.[30] 부미푸트라 정책에서 우대 대상이 되는 “부미푸트라(Bumiputra)”는 말레이인 외에도, 고원지대나 보르네오 등에 거주하는 오랑 아슬리 등 대부분의 토착 소수민족도 포함된다. 하지만 부미푸트라 정책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것은 말레이계 사업가 등 부유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부미푸트라 정책에서는 기업 설립 및 세금 감면 등 경제 활동뿐만 아니라 공무원 채용에서도 말레이계 주민이 우대받고 있다. 또한 말레이인은 국립대학에 우선적으로 입학할 수 있다. 때문에 다른 민족들은 불가피하게 싱가포르오스트레일리아 등 해외로 유학을 갈 수밖에 없다.[33] 이것이 말레이시아 국공립 대학의 수준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 정책은 주로 말레이인과 중국인의 대립 결과이기 때문에, 인도계 민족은 제3자의 입장에 놓여 있으며, 그러한 현실에 불만을 품고 인도계 주민에 의한 시위도 발생하고 있다.

이 정책으로 정치·행정에서 말레이인의 우위를 확립하는 데 성공했지만, 정책을 추진한 전 총리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는 최근 저서에서 "말레이인에게는 근면성이 부족하다" 등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8. 국가 신분증 시스템과 부미푸트라

말레이시아는 국민들이 마이카드(MyKad)라는 주민등록증을 소지하도록 요구한다. 이 스마트카드는 소지자를 무슬림 또는 비무슬림으로 구분한다.[31] 주민등록증에는 소지자가 부미푸트라인지 여부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

참조

[1] 뉴스 The slaughter of sacred cows http://www.economist[...] 2003-04-03
[2] 뉴스 A Never Ending Policy https://www.economis[...] 2013-04-27
[3] 웹사이트 Malaysia ethnic tribes 'forced to convert' https://www.youtube.[...]
[4] 웹사이트 Quickiepedia | Outcasts in their own land – The Orang Asli https://www.youtube.[...]
[5] 웹사이트 Part XII: General and Miscellaneous, Constitution of Malaysia (Articles 152–160) http://www.helplinel[...] 2007-05-30
[6] 웹사이트 Part XIIA: Additional Protections for States of Sabah and Sarawak, Constitution of Malaysia (Articles 161 – 161h) http://www.helplinel[...] 2007-05-30
[7] 간행물 Parliamentary Debates, Dewan Ra'ayat (House of Representatives), Official Report, Second Session of the Second Parliament of Malaysia, vol. II, Session 1965–1966 GPO 1965-11-13
[8] 뉴스 Being 'mixed' is no privilege https://web.archive.[...] 2009-10-29
[9] 웹사이트 Takrifan Bumiputera (The definition of Bumiputera) https://web.archive.[...] Ministry of Higher Education (Malaysia) 2012-02-27
[10] 웹사이트 Siamese community now regarded as Bumiputeras https://www.malaysia[...] 2012-02-25
[11] 웹사이트 Malaysia: The People of Malaysia http://www.tripadvis[...]
[12] 웹사이트 Of Mixed Marriages And Recognition Of Native Status https://www.newsaraw[...] 2022-02-20
[13] 서적 Nation-building in Malaysia 1946–1974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Lim Kit Siang: Defying the Odds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15] 뉴스 Snag in policy implementation 2006-12-31
[16] 서적 Time Bombs in Malaysia Democratic Action Party
[17] 서적 Without Fear or Favour Eastern Universities Press
[18] 웹사이트 Putrajaya to study Indian Muslims' call to be recognised as Bumiputera https://www.todayonl[...]
[19] 웹사이트 Malaysia https://2009-2017.st[...] State.gov
[20] 웹사이트 Scrapped – 30% bumi equity rule http://www.theedgema[...] 2009-07-01
[21] 웹사이트 UMNO https://archive.toda[...]
[22] 뉴스 Memoirs of Lee Kwan Yew http://edition.cnn.c[...]
[23] 서적 The Singapore Story Federal Publications
[24] 뉴스 Abdullah stirs a hornets' nest https://web.archive.[...] 2004-10-02
[25] 웹사이트 malaysiakini.com http://www.malaysiak[...] malaysiakini.com 2004-10-07
[26] 웹사이트 temiar.com http://www.temiar.co[...] temiar.com
[27] 뉴스 Nik Aziz says 'bumiputera' term is racist https://web.archive.[...] 2009-03-01
[28] 웹사이트 Look in the mirror, Muslim don tells Malaysians critical of Western discrimination https://www.malaymai[...] 2015-02-01
[29] 웹사이트 Archives | The Star Online https://web.archive.[...] Thestar.com.my 2006-08-30
[30] 웹사이트 amfta-Mansurpapar https://web.archive.[...]
[31] 웹사이트 Easy step to amend religion in MyKad, The Star On-Line, BY M. Krishnamoorthy, Friday December 23, 2005 https://web.archive.[...] Thestar.com.my 2005-12-23
[32] 문서 ブミプトラ 大辞泉
[33] 간행물 マレーシアとシンガポールにおける言語政策 https://web.archive.[...] 大島商船高等専門学校 2006-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