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능력주의는 시험, 성과, 지능, 학력 등을 통해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을 중시하는 사회 사상이다. 고대 중국에서 행정 관료 선발에 활용된 사례가 있으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도 능력주의를 옹호했다. 그러나 능력주의는 능력 평가의 어려움, 불평등 심화, 사회 계층 고착화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적극적 우대조치 - 소수 권리
소수자 권리는 민족, 종교, 언어적 소수 집단 및 원주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개념으로, 국제 회의와 법률 제정을 통해 발전해 왔으며, 국제 인권법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 적극적 우대조치 - 흑인 경제권 강화 제도
흑인 경제권 강화 제도(BEE)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아파르트헤이트 시절의 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흑인 경제 참여 확대를 목표로 시행되는 정책으로, BBBEE 법안을 통해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스코어카드 시스템을 도입했으나, 소수 혜택 집중, 부패, 역차별, 투자 저해 등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 정치 신조어 - 유럽중심주의
유럽중심주의는 유럽의 문화, 역사, 가치관을 세계의 표준으로 간주하고 다른 문화권을 유럽 중심으로 해석하는 사상으로, 서구 우위와 식민지 확장을 배경으로 강화되었으나 탈식민화 이후 비판받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대안적 관점이 등장하였고 현대에도 여러 영역에서 영향력과 비판적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정치 신조어 - 큰 정부
큰 정부는 예산 규모, 공무원 수, GDP 대비 정부 지출 비중 등으로 측정되는 정부의 크기 및 경제·사회 개입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고복지·고부담을 특징으로 하며 높은 세금, 개인 자유 제약, 관료 조직 비대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 1950년대 신조어 - 로큰롤
록앤롤은 1950년대 중반 시작된 국제적인 음악 스타일로, 가스펠, 블루스, 스윙 음악의 영향을 받아 미국 남부에서 시작되었으며, 알란 프리드, 엘비스 프레슬리, 척 베리, 빌 헤일리 등의 활약으로 대중화되어 십대 문화를 형성하고 사회적 변화를 반영했으나 1950년대 후반 쇠퇴 후 록 음악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 1950년대 신조어 - 고도를 기다리며
《고도를 기다리며》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두 인물이 고도를 기다리는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고독과 실존적 고뇌, 삶의 부조리함을 드러내는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이다.
| 능력주의 | |
|---|---|
| 구글 지도 | |
| 기본 정보 | |
| 용어 | 능력주의 |
| 로마자 표기 | neungnyeokjuui |
| 어원 | (가치) (힘, 통치) |
| 정의 | 전문성을 바탕으로 자본을 할당하는 정치 체제 |
| 역사 및 비판 | |
| 개념 창시 | 마이클 영 |
| 창시 목적 |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풍자 및 비판 |
| 사회적 영향 | 사회적 이동성과 불평등에 대한 논쟁 중심 |
| 비판 | 사회적 불평등 심화 가능성 엘리트주의 조장 가능성 |
| 현대적 관점 | |
| 현대적 정의 |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기반한 사회적 지위 결정 방식 공정한 경쟁과 기회균등 강조 |
| 주요 특징 | 교육적 성취 중시 시험과 자격 증명 강조 성과 기반 보상 |
| 연구 동향 | 사회학적 관점에서 불평등 심화 요인 분석 철학적 관점에서 정의와 공정성 논의 |
| 추가 정보 | |
| 참고 서적 | Against Meritocracy: Culture, Power, and Myths of Mobility |
| 관련 기사 | Michael Young, 86, Scholar; Coined, Mocked 'Meritocracy' |
| 관련 학술지 | Meritocracy, Elitism and Inequality Recent Work on Meritocracy How meritocracy is defined today?: Contemporary aspects of meritocracy |
| 정치 체제 | |
| 정치 체제 분류 | 권력자의 종류 |
2. 정의
능력주의의 가장 일반적인 정의는 시험, 성과, 지능, 학력, 교육 등을 통해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IQ 테스트가 있다.[8]
능력주의라는 개념은 수 세기 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meritocracy"라는 용어 자체는 비교적 최근에 생겨났다. 1956년 사회학자 앨런 폭스(Alan Fox)가 처음으로 비판적인 의미로 사용했으며,[24] 이후 영국의 정치인이자 사회학자인 마이클 던롭 영(Michael Dunlop Young)이 1958년 풍자 에세이 ''능력주의의 부상(The Rise of the Meritocracy)''에서 사용했다.[25][26][27] 영의 에세이는 지능과 능력(merit)을 무엇보다 중시하는 정부의 통치하에 있는 영국을 묘사하고 있으며, 이 용어는 라틴어 "meritla"(mereōla에서 유래, "얻다"라는 뜻)와 고대 그리스 접미사 "" ("권력", "통치"라는 뜻)의 결합이다.[28]
능력주의는 실용주의나 공리주의와 같이 정부 관료나 특정 지도층을 선발하는 도구로 사용된다.[9]
대학 학위는 현대 능력주의의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은 없으며, 교육 외에도 경험, 숙련된 기술, 결과 등 다각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21][22][23]
3. 역사
한나 아렌트도 1958년에 작성된 에세이 "교육 위기(Crisis in Education)"[30]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는데, 영국의 교육 시스템에서 능력주의의 사용을 언급하며 역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했다. 다니엘 벨이 이 용어를 긍정적으로 사용한 것은 1972년이 되어서였다.[31]
고대 중국의 과거 제도는 능력주의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32][33][34][35] 서구 사회에서는 17세기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를 시작으로 능력주의에 기반한 공무원 제도가 도입되기 시작했다.[38] 이슬람 세계에서도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이 이루어졌다.[40][41]
1813년, 미국의 건국 아버지이자 대통령인 토머스 제퍼슨은 재산이나 세습된 지위가 아닌 재능과 덕성(능력)으로부터 통치할 권리가 주어지는 "자연적 귀족"이 존재한다고 선언했다.[49]
일본에서는 '성과주의' 또는 '능력주의'로 번역되어 기업 경영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며, 전후 일본 기업의 고용 관행과 관련이 깊다.
3. 1. 고대 중국
공자는 기원전 6세기에 "통치자는 세습 지위가 아닌 능력에 따라 통치해야 한다"는 개념을 제시했다.[36] 이는 과거 제도와 관료제의 창설을 촉진하여 시험을 통과한 자에게만 개방되었다.[36]
진와 한 왕조는 광대한 제국에 대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능력주의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따라 정부는 복잡한 관료 네트워크를 유지해야 했다.[37] 잠재적인 관리는 농촌 출신일 수 있었으며, 정부 직책은 귀족에게 제한되지 않았다. 계급은 과거 시험을 통해 능력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교육은 사회적 이동성의 핵심이 되었다.[37] 한나라 멸망 후, 삼국 시대에는 구품중정제가 수립되었다.
''프린스턴 미국 역사 백과사전''에 따르면, 기원전 2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한나라는 유교를 정치 철학 및 구조의 기반으로 채택했는데, 여기에는 혈통 귀족을 덕과 정직으로 대체한다는 혁명적 사상이 포함되어 있었고, 따라서 행정 임용은 오직 능력에 근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38] 이 시스템을 통해 시험을 통과한 사람은 누구든 정부 관리가 될 수 있었고, 이는 온 가족에게 부와 명예를 가져다주는 직책이었다.[38]
과거 제도는 능력에 따라 관리를 선발하는 대표적인 능력주의 제도로, 수나라 때 시작되어 이후 수 세기 동안 발전했다.
3. 2. 고대 그리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두 능력주의를 옹호했다.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가장 현명한 자가 통치해야 하며, 따라서 통치자는 철인 정치가여야 한다고 주장했다.[39]
3. 3. 이슬람 세계
라쉬둔 칼리파 시대에는 능력 있는 사람들이 슈라 회의에 모여 실력을 기반으로 칼리파를 선출하는 방식이었다.[40] 아부 바크르와 그의 세 후계자들은 군주가 아니었으며, 실력에 근거하여 선출되었다.[40]
오스만 제국 메흐메드 2세의 개혁 이후, '데브쉬르메' 제도를 통해 어린 기독교 신도들을 징발하여 이슬람으로 개종시킨 후 행정부나 예니체리 군대에 등용했다.[41] 이 시기 졸업생 5명 중 4명이 그랜드 베지어가 될 정도로 능력 위주였다.[41] 자가노스 파샤와 그의 후계자 마흐무드 파샤 안젤로비치는 데브쉬르메 출신이었다.[42] 당시 유럽 방문객들은 "술탄은 재산이나 계급을 고려하지 않고 실력으로 승진시킨다"고 언급했다.[43]
사파비 페르시아는 관리들을 능력과 공적을 바탕으로 임명하는 능력주의 사회였다.[44] 귀족의 아들들은 아버지의 계승을 존중받았지만, 자신의 자격을 증명해야 했다.[44] 이는 굳어진 귀족 사회나 카스트 제도를 피하게 했다.[44] 능력으로 고위직에 오른 평민에 대한 기록이 많이 남아있다.[45]
3. 4. 17세기 이후 서구 사회
17세기 영국령 인도에서는 성공적인 능력주의 공무원 제도가 시행되었다. 영국 회사 관리들은 부패와 편파를 방지하기 위해 경쟁 시험을 기반으로 직원을 채용하고 승진시켰다.[38] 영국 식민 행정관들은 이 시스템을 영연방의 다른 지역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주장했는데, 그중 가장 "지속적"이었던 인물은 중국 광저우 영국 영사였던 토머스 테일러 메도스였다. 메도스는 1847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Desultory Notes on the Government and People of China''에서 "중국 제국의 장구한 지속은 오로지 그리고 전적으로 재능과 공적이 있는 사람들의 승진으로 이루어지는 선정(善政) 때문이다"라고 주장하며, 영국은 공적자격주의적인 제도를 만들어 공무원 제도를 개혁해야 한다고 성공적으로 논증했다.[46]
19세기 미국에서는 1881년 제임스 A. 가필드 대통령이 암살당하는 사건을 계기로 능력주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2년 후인 1883년, 펜들턴 공무원 개혁법이 제정되어 미국 연방 관료제의 임용 시스템이 개편되었다. 이 법은 정치적 유착이 아닌 경쟁 시험을 통해 능력에 따라 정부 직책을 수여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또한 정치적 이유로 정부 직원을 해고하거나 강등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했으며, 이를 위해 미국 공무원위원회를 설립했다.[50]
3. 5. 현대
싱가포르는 국가 정책 수립에 있어 능력주의를 공식적인 지침 원칙 중 하나로 삼고, 학력을 능력의 객관적인 척도로 강조한다.[53]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 하에서 싱가포르 사회의 계층화가 심화되고, 인구의 일부 소수로부터 엘리트 계층이 형성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54] 싱가포르에서는 아동 대상 과외 수업이 증가하고 있으며,[55] 최고 과외 강사의 급여는 학교 교사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55][56][57]
싱가포르 학자들은 능력주의를 이념적 도구로서 적용하는 방식과 그것이 집권당의 목표를 포괄하도록 확장되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재검토하고 있다. 리콴유 공공정책대학원의 케네스 폴 탄 교수는 "능력주의는 근본적으로 불평등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표면적으로 동일하게 취급함으로써 '능력'을 고립시키려고 시도하면서, 본질적으로 불평등한 사회의 다양한 부문에 불균등하게 분포된 실질적인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을 무시하거나 심지어 은폐하는 관행이 될 수 있으며, 사실상 이러한 근본적인 불평등을 영속화하는 관행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능력주의에 의해 능력이 있다고 선정된 사람들은 이미 처음부터 불공정한 이점을 누렸을 수 있으며, 차별 금지 원칙에 따라 무시된다"고 주장한다.[58]
에콰도르 노동부에는 싱가포르 정부의 기술 자문 아래 에콰도르 능력주의 연구소가[61] 설립되었다.
4.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
마이클 영은 "능력주의(meritocracy)"라는 단어를 비판적인 의미로 사용했지만, 이 단어는 그의 의도와 달리 긍정적인 의미로 영어권에서 자리 잡았다. 그는 2001년 ''가디언(The Guardian)''지에 기고한 글에서 토니 블레어(Tony Blair) 하의 노동당이 이 단어를 긍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그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직위를 임명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하지만 특정한 종류의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을 위한 자리가 없는 새로운 사회 계급으로 굳어지는 것은 그 반대이다."라고 말했다.[78] 제프 덴치(Geoff Dench)는 저서 『능력주의의 부상과 부상(The Rise and Rise of Meritocracy)』(2006)에서 노동당이 능력주의를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선포한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79]
크리스 헤이즈(Chris Hayes)는 2012년 저서 『엘리트의 황혼: 실력주의 이후의 미국(Twilight of the Elites: America After Meritocracy)』에서 능력주의로의 움직임이 광범위한 불평등과 부패를 야기하여 미국 사회 기관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렸다고 주장했다.
전근대 사회에서는 사회적 지위가 출신이나 혈연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귀족만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었고, 인도의 카스트 제도처럼 직업이 세습되기도 했다. 근대화 이후, 평등 사상이 확산되면서 능력에 따라 지위가 결정되어야 한다는 의식이 퍼졌다. 19세기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사회다윈주의의 영향도 있었다. 하지만 중국의 과거제나 이슬람 세계의 맘루크, 예니체리처럼 전근대에도 능력주의가 나타난 사례가 있다.[94]
능력주의에 대한 주요 비판은 다음과 같다.
- 능력 과시 경쟁: 높은 지위에 오르기 위해 능력을 과시해야 하므로, 실제 능력보다 능력 과시에 능한 사람이 유리할 수 있다.[94]
- 능력 평가의 불확실성: 능력 판단 기준이 모호하면 불만이 쌓이거나 부적격자가 채용될 수 있다.[94]
- 과거 실적 의존: 과거 실적만으로 평가하면 현재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높은 지위에 오를 수 있다.[94]
- 피터 원칙: 승진을 거듭하다 결국 무능력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 시험의 한계: 교육에 돈을 투자할 수 있거나 문화자본이 풍부한 집안 출신이 유리하여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94]
4. 1. 능력주의의 함정
다니엘 마르코비츠는 그의 저서에서 "능력주의의 함정"이라는 개념을 소개했다. 그는 능력주의가 급진적 불평등을 초래하고 가속화한다고 주장한다.[6] 하지만, 능력주의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으며, 문제를 다소 적절하게 타협하도록 권장한다.마르코비츠는 능력주의를 피하기 위해서는 경쟁사회를 조장하지 않으며 사회경제적으로 삶의 편의성을 모두에게 분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지속적인 경쟁 환경을 조성하는 대신, 자신이 하는 일에서 충분히 성공한 사람들에게 사회경제적 편의를 자유롭게 분배하는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중산층 노동자들을 위해 소득, 근무 시간, 사회적 지위의 재분배에 개입함으로써 증가하는 불평등 격차를 줄이기 위해 경제적 역할, 조직 및 제도의 개혁을 촉구한다.[81][82]
2019년 출간된 그의 저서 『능력주의의 함정』은 능력주의가 사회 계층화를 악화시켜 대다수 일반 대중에게 해를 끼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엘리트 노동자와 중산층 사이의 격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눈덩이 불평등(snowball inequality)"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엘리트들은 뛰어난 능력을 바탕으로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하며, 일자리를 독점하고 중산층 노동자들을 핵심 경제 활동에서 몰아낸다. 엘리트들은 높은 소득을 이용하여 자녀들에게 최고의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동등한 기회를 갖지 못한 사람들보다 경쟁 우위를 점하고 직장 생활을 시작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순환은 세대를 거듭하며 계속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산층은 개인의 번영과 재정적 성공을 위한 기회가 감소한다. 이러한 사회적 격차가 중산층에 미치는 정확한 영향을 정량화하기는 어렵지만, 오피오이드 위기, 급증하는 "절망의 죽음"(절망의 질병)[80](자살, 정신 건강 문제, 알코올 중독), 그리고 이러한 능력주의 사회에서의 기대 수명 감소 등이 그 결과로 자주 언급된다. 그러나 능력주의의 부정적 영향은 중산층만이 겪는 것이 아니다. 사회 엘리트들은 고된 직장 생활에 상당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 양질의 개인 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능력,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 부족 등을 호소한다. 사회 엘리트의 자녀들은 어린 시절부터 고도로 경쟁적인 교육 환경에 놓이며, 이는 학교, 대학, 직장 생활 전반에 걸쳐 지속된다. 저자는 이러한 주장을 통해 능력주의가 사회에서 가장 숙련되고 성실한 구성원을 평가하고 보상하는 공정한 수단이라는 생각을 비판한다.
4. 2. 사회진화론의 연장
켄 램퍼트는 그의 저서 ''Meritocratic Education and Social Worthlessness''에서 교육적 능력주의는 사회 다윈주의의 포스트모더니즘적 변형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94] 능력주의 지지자들은 이 이론이 사회적 불평등을 능력주의적이라고 정당화한다고 주장한다. 이 사회 이론은 다윈의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 이론이 단순히 개체군 내 생물학적 특성 발달의 모델일 뿐만 아니라 인간 사회 제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기존의 사회 제도는 암묵적으로 규범적인 것으로 선언된다.[94] 사회 다윈주의는 초기 진보주의와 그 뿌리를 공유하며, 19세기 후반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가장 인기 있었다. 다윈은 그의 이론을 생물학적 의미에서만 제시하려 했고, 다윈의 모델을 규범적으로 인간의 불평등한 야망에 적용한 것은 다른 사상가들과 이론가들이다.[94]4. 3. 능력주의는 전제정치
마이클 샌델은 그의 저서에서 능력주의를 전제정치와 유사하다고 보며, 이것이 사회적 계층 이동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불평등을 심화시킨다고 주장한다.[6] 샌델은 능력주의가 사회를 포퓰리즘으로 이끄는 분노와 불안의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한다.마이클 영(Michael Young)은 "능력주의(meritocracy)"라는 용어를 비판적으로 사용했지만, 이 단어는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졌다.[13] 그러나 샌델은 능력주의적 이상이 현대 사회의 도덕적, 정치적 문제를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개인의 성공이 오로지 능력과 노력에만 기반한다는 믿음이 공동선을 훼손하고 연대를 약화시키며 불평등을 증가시킨다고 비판한다.[84]
샌델은 능력주의가 경제적 "승자와 패자" 간의 격차 확대, 시민 참여 감소, 포퓰리즘 부상의 원인이라고 분석한다. 그는 능력주의의 약속이 사회와 단절된 엘리트를 만들어냈다고 주장하며, 이들이 미덕과 권력에 대한 감각을 타락시켰다고 비판한다.[85]
샌델은 "오늘날 능력주의는 불평등에 대한 대안이라기보다는 그 주요 정당성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하며, 복지 국가에 대한 논의를 통해 성공과 공동선에 대한 이해를 재고해야 한다고 말한다.[86] 그는 분배적 정의를 넘어 기여적 정의, 즉 "모든 사람이 공동선에 기여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진보적인 조세 정책과 같은 공공 정책을 제안한다.[84]
4. 4. 과장된 신화
칭기즈 칸의 사례처럼 능력주의가 과장된 신화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비판이 있다.[8] 칭기즈 칸은 자신에게 충성하지 않는 이복형제를 살해했고, 사회적 신분이 낮더라도 자신에게 충성하면 높은 지위를 주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자무카와 같은 예외를 제외하면 능력이 뛰어난 적들도 몰살하여 많은 유목민들을 죽였고, 신분과 관계없이 칭기즈 칸에게 충성하지 않았던 자들은 대부분 제거되었다. 반면 귀족들은 오히려 이전보다 더 강한 힘과 권위를 얻었다.[8]4. 5. 실질적 평등과의 충돌
능력주의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보상을 배분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실질적 평등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87] 일본 사회학자 아라키 사토시는 미국의 경제적 결과가 개인의 기술 수준과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여 이러한 가정에 의문을 제기했다.[87] 그는 교육 자격 자체에 대한 경제적 수익이 인지 능력에 대한 수익보다 훨씬 크며, 세대 간 불평등이 능력보다는 자격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을 발견했다.[87] 아라키는 현대 미국이 능력 중심의 능력주의가 아닌 자격 중심 사회이며, 사람들이 자신의 사회가 능력주의적이라고 잘못 믿도록 유도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러한 상황을 "상상 속의 능력주의(imagined meritocracy)"라고 부른다.[87]4. 6. 능력 평가의 어려움
"능력"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은 능력주의에 대한 주요 문제점으로 꼽힌다.[88] 어떤 자질이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지는 의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어떤 "능력"이 가장 높고, 어떤 기준이 "최고"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능력주의의 효과는 공무원의 능력에 달려있기 때문에, 능력 기준은 임의적일 수 없으며 역할에 필요한 역량을 반영해야 한다.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시스템의 신뢰성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능력주의 시스템은 능력 기준에 따라 사람들을 측정하고 비교하므로, 평가된 능력이 실제 잠재력을 정확하게 반영하는지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표준화된 시험은 능력주의적 분류 과정의 대표적인 예시이지만, 학생들의 다양한 가치 있는 자질과 잠재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는다. 교육 이론가 빌 에이어스는 표준화된 시험이 주도성, 창의력, 상상력, 개념적 사고, 호기심, 노력, 풍자, 판단력, 헌신, 뉘앙스, 선의, 윤리적 성찰 등 많은 가치 있는 특성들을 측정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89]
교사의 의견에 따라 능력을 결정하는 방식은 표준화된 시험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자질들을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교사의 의견, 통찰력, 편견, 기준이 매우 다양하여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평가 시스템이 부패하거나, 투명하지 않거나, 주관적이거나, 잘못된 경우 능력에 대한 판단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능력주의 사회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교육 수준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교육받을 여유가 있는 사람들에게만 권력 지위에 오를 기회가 제한될 수 있다. 중국의 홍수전은 과거 시험 예비 시험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추가 교육을 받을 형편이 되지 않아 결국 관리가 되지 못했다.[90] 무상 교육이 제공되더라도, 과외, 시험 준비, 고등 교육 중 생활비 지원 등 부모가 제공할 수 있는 자원은 학생의 교육과 사회적 지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능력주의 시스템의 공정성과 정의를 제한한다.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은 많은 계층적 조직이 멘토링, 구전 기회 등 비공식적인 지원을 과도하게 받은 개인을 선호하며, 이러한 지원을 받는 사람들만이 조직을 능력주의적이라고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91]
4. 7. 불평등 심화
오늘날 능력주의 사회에서, 교육은 능력 판단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지만, 이는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교육에 많은 돈을 투자할 수 있는 부유한 가정 환경이나, 어릴 때부터 교육과 문화에 자연스럽게 노출될 기회가 많은, 즉 문화자본이 풍부한 가정 환경이 유리하다.[94] 이러한 출신 배경의 차이는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결과적으로, 능력주의는 가난한 집안의 아이가 능력을 발휘하여 높은 지위에 오르는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부유한 집안의 아이들이 더 좋은 교육 기회를 통해 높은 지위를 얻고 더욱 부유해지는, 즉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효과를 낳을 수 있다. 다니엘 마르코비츠(Daniel Markovits)는 저서 『능력주의의 함정(The Meritocracy Trap)』에서 능력주의가 사회 계층화를 악화시켜 대다수 일반 대중에게 해를 끼치고 있다고 주장한다.[80] 그는 엘리트 노동자와 중산층 사이의 격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눈덩이 불평등(snowball inequality)" 현상을 지적하며, 엘리트들이 높은 소득을 이용하여 자녀들에게 최고의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동등한 기회를 갖지 못한 사람들보다 경쟁 우위를 점하고 직장 생활을 시작하게 한다고 설명한다.
싱가포르는 능력주의를 공공 정책의 주요 원칙으로 삼고 학력을 능력의 객관적 척도로 강조하지만,[53] 이로 인해 사회 계층화가 심화되고 소수의 엘리트 계층이 형성된다는 비판을 받는다.[54] 싱가포르에서는 과외 수업이 성행하고, 최고 과외 강사의 급여가 학교 교사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55][56][57]
4. 8. 기타 비판
능력주의는 여러 비판과 의문을 받아왔다. 높은 지위에 오르기 위해서는 자신의 능력을 타인에게 과시하고 인정받아야 하는데, 이로 인해 각 개인이 능력 과시에만 몰두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실제로 능력이 뛰어난 사람보다 능력 과시에 능숙한 사람이 높은 지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94]능력 판단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면 평가받는 쪽에 불만이 쌓이거나, 해당 지위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이 채용될 수 있다. 과거의 실적으로 능력을 측정하기 때문에, 실적이 없는 유능한 인재는 과소평가될 수 있다. 반대로 과거 실적만으로 높은 지위에 올랐지만 현재 당면한 문제에 대한 능력이 부족하여 업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94]
피터 원칙처럼, 능력주의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능력을 입증하며 승진하지만, 결국에는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에 도달하여 무능력한 상태로 머무르게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는 사회 운영 주체의 능력이라는 능력주의 시스템의 실질적인 이점을 저해한다.
시험이 능력 판단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교육에 많은 돈을 투자할 수 있거나, 대대로 교육 및 문화적 기회를 누릴 수 있는 (문화자본이 풍부한) 집안 출신이 유리하다. 이러한 출신 배경의 차이는 개인의 노력만으로 극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능력주의가 가난한 집안 출신을 높은 지위로 발탁하는 효과보다 부유층 자녀들이 더 높은 지위를 얻고 부를 축적하는 불평등 심화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94]
5. 한국 사회와 능력주의
メリトクラシー|메리토쿠라시일본어(meritocracy)는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성과주의" 또는 "능력주의"로 번역된다. 이는 기업 경영 분야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기업의 연공서열 임금과 종신고용, 학력(출신 대학)에 의한 선발이라는 고용 관행에서 노동자의 경력 형성 특징을 가리킨다. 2000년대에 도입이 시도되고 있는 성과주의 임금도 메리토크라시를 근본으로 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eritocracy
http://dictionary.re[...]
2016-02-14
[2]
서적
Against Meritocracy: Culture, Power, and Myths of Mobility
Routledge
[3]
뉴스
Michael Young, 86, Scholar; Coined, Mocked 'Meritocracy'
https://www.nytimes.[...]
2002-01-25
[4]
논문
Meritocracy, Elitism and Inequality
2020
[5]
논문
Recent Work on Meritocracy
2023
[6]
논문
How meritocracy is defined today?: Contemporary aspects of meritocracy
2017
[7]
논문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and the march towards substantive equality in European Union anti-discrimination law
2020
[8]
서적
Education and Sociology: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9]
웹사이트
Definition of Meritocracy
http://oxforddi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Fontana Press
[11]
서적
Pol. 2.1261b
[12]
서적
Politics
[13]
논문
Meritocracy
2014
[14]
논문
Capitalism, Meritocracy, and Social Stratification: A Radical Reformulation of the Davis-Moore Thesis
[15]
서적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6]
서적
Against Meritocracy: Culture, Power and Myths of Mobility
Routledge
2018
[17]
서적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8]
논문
The paradox of inequality: income inequality and belief in meritocracy go hand in hand
2021
[19]
서적
Against Meritocracy: Culture, Power and Myths of Mobility
Routledge
[20]
서적
Against Meritocracy: Culture, Power and Myths of Mobility
Routledge
2018
[21]
서적
What's College For?: The Struggle To Define American Higher Education
[22]
간행물
Journal of College Teaching & Learning – May 2008 Volume 5, Number 5 AACSB Accreditation
[23]
서적
Higher education and social justice
Open University Press
2009-06-01
[24]
뉴스
Down with meritocracy: The man who coined the word four decades ago wishes Tony Blair would stop using it
https://www.theguard[...]
2001-06-29
[25]
서적
The Cambridge cultural history of Britai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just meritocracy: IQ, class mobility, and American social policy
Praeger
[27]
서적
Understanding Social Divisions
Sage
[28]
웹사이트
"meritocracy" in the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9]
서적
The rise of the meritocracy, 1870-2033: An essay on education and inequality
Thames & Hudson
1958
[30]
웹사이트
Crisis in Education
http://www.institute[...]
[31]
뉴스
Meritocracy: the great delusion that ingrains inequality
https://www.theguard[...]
2017-03-20
[32]
서적
One of the oldest examples of a merit-based civil service system existed in the imperial bureaucracy of China.
[33]
서적
India and China: twenty centuries of civilization interaction and vibration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4]
서적
Unsettled: an anthropology of the Jews
https://archive.org/[...]
Viking Compass
[35]
논문
Touching the Depths of Things: Cultivating Nature in East Asia
Harvard Divinity School
[36]
서적
Encyclopedia of the Ancient World
Salem Press
[37]
서적
Burbank and Cooper
[38]
서적
Kazin, Edwards, and Rothman
[39]
서적
Estlund
[40]
서적
Islam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41]
서적
The Ottoman Centuries
[42]
백과사전
Meḥemmed II
http://referencework[...]
[43]
서적
Politics of Piety: The Ottoman Ulema in the Postclassical Age (1600–1800)
[44]
서적
Iran under the Safavids
[45]
서적
Sir Anthony Sherley and his Persian Adventure
[46]
웹사이트
China: A Teaching Workbook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2012-08-05
[47]
서적
The higher civil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quest for reform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48]
서적
History of Africa
St. Martin's Press
[49]
잡지
Jefferson, Adams, and the SAT's New Adversity Factor
https://www.newyorke[...]
2019-05-23
[50]
웹사이트
Civil Service Reform
http://www.digitalhi[...]
University of Houston
2016-02-19
[51]
잡지
Extending the educational franchise: the social contract of Australia's public universities, 1850-1890
[52]
서적
Understanding Schooling: An Introductory Sociology of Australian Educatio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53]
웹사이트
Speech by Singapore Ambassador to France
http://app.mfa.gov.s[...]
2008-08-28
[54]
웹사이트
Singapore's elites
http://www.littlespe[...]
Little Speck
2006-10-28
[55]
뉴스
Growing trend of uplifting education business in Singapore
http://www.wyomingfr[...]
2016-10-25
[56]
뉴스
$1 billion spent on tuition in one year
http://news.asiaone.[...]
2016-10-25
[57]
뉴스
2015 Private Tuition Rates in Singapore Epigami Blog
http://www.epigami.s[...]
2015-01-21
[58]
학술지
Meritocracy and Elitism in a Global City: Ideological Shifts in Singapore
2008-01
[59]
뉴스
Opinion How Singapore is fixing its meritocracy
https://www.washingt[...]
[60]
학술지
The Ideology of Pragmatism: Neo-liberal Globalisation and Political Authoritarianism in Singapore
2011-12-09
[61]
웹사이트
Web page of "Instituto Nacional de Meritocracia de Ecuador"
https://web.archive.[...]
2013-03-12
[62]
서적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63]
서적
Confucius and the Chinese Way
Harper & Brothers
[64]
서적
Confucius: a Life of Thought and Politics
Yale University Press
2008
[65]
서적
China: The Political Philosophy of the Middle Kingdom
Zed Books
[66]
학술지
The challenge of Confucian political meritocracy: A critical introduction
2020
[67]
서적
Just Hierarc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
[68]
서적
Against Political Equality: The Confucian Cas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69]
서적
The China Model: Political Meritocracy and the Limits of Democra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70]
서적
Virtue Politics: Soulcraft and Statecraft in Renaissance Italy
Belknap Press
[71]
서적
A Confucian Constitutional Order: How China's Ancient Past Can Shape Its Political Fu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72]
서적
Confucian Perfectionism: A Political Philosophy For Modern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73]
서적
Confucian Democracy in East Asia: Theory an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
서적
Confucian Democracy: A Deweyan Reconstruc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5]
학술지
Political meritocracy and its betrayal
https://philarchive.[...]
2020
[76]
학술지
Can meritocracy replace democracy? A conceptual framework
2020
[77]
학술지
Political meritocracy versus ethical democracy: The Confucian political ideal revisited
2020
[78]
뉴스
Young, Michael, ""Down with meritocracy""
https://www.theguard[...]
2024-05-16
[79]
서적
The Rise and Rise of Meritocracy
Blackwell
[80]
서적
Deaths of Despair and the Future of Capit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81]
서적
The Meritocracy Trap
https://www.penguinr[...]
Penguin Random House
2021-04-30
[82]
웹사이트
The Meritocracy Trap, explained
https://www.vox.com/[...]
2021-04-30
[83]
웹사이트
Rule of the Princelings
https://www.brooking[...]
[84]
서적
The Tyranny of Merit: What's Become of the Common Good?
Allan Lane
2020
[85]
웹사이트
Michael Sandel: Why the elites don't deserve their status
https://unherd.com/t[...]
2022-05-24
[86]
학술지
How Meritocracy fuels Inequality - Part I
2021
[87]
학술지
Beyond 'Imagined Meritocracy': Distinguishing the Relative Power of Education and Skills in Intergenerational Inequality
2023
[88]
서적
Meritocracy and Economic Inequality
1999
[89]
서적
To teach: the journey of a teacher
Teachers College Press
1993
[90]
웹사이트
Death by Degrees
https://nplusonemag.[...]
n+1 Foundation, Inc.
2015-01-20
[91]
학술지
Critical Approaches to Continental Philosophy: Intellectual Community, Disciplinary Identity, and the Politics of Inclusion
https://www.academia[...]
2019-02-17
[92]
서적
Princeton University Press
[93]
간행물
Laudate Deum
https://www.vatican.[...]
2024-06-10
[94]
서적
The higher civil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quest for reform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