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여객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항여객터미널은 부산항의 여객 운송을 담당하는 터미널이다. 1973년 연안여객터미널 개장 이후, 1978년 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하며 국제 해상 교통의 거점으로 성장했다. 2015년 북항의 국제여객터미널로 이전하여 시설을 현대화하고 수용 능력을 확대했다. 현재는 주로 일본을 연결하는 국제선과 제주항을 연결하는 연안선을 운항하며, 부산역과 터미널 간 순환버스가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객선 터미널 -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은 중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국제 여객 및 화물 운송 터미널로, 다양한 중국 도시로 향하는 정기 노선을 운영하며 버스와 인천 도시철도 1호선으로 접근 가능하다. - 여객선 터미널 -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은 인천광역시 중구 연안동에 위치하며 옹진군 관내 섬으로 향하는 여객선 노선을 이용할 수 있고, 과거 제주도 노선도 있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으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용이하다. - 부산광역시의 항구 - 부산항
부산항은 1876년 개항하여 동북아시아 주요 항만으로 성장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국제 무역항으로, 세계 5위 컨테이너 항만이자 부산항만공사에서 관리하며 북항 재개발 사업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항구 - 부산신항
부산신항은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를 해결하기 위해 가덕도 일대에 건설된 대규모 컨테이너 터미널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민간 기업과 부산항만공사의 참여로 개발되어 현대화된 항만 시설을 제공한다. - 1978년 설립 - 휴먼 라이츠 워치
휴먼 라이츠 워치는 1978년 설립된 국제 NGO로, 전 세계 인권 침해를 조사 및 보고하고 인권 보호 정책을 옹호하며, 객관적이고 철저한 보고서로 신뢰를 얻고 있지만, 미국 정부와의 관계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978년 설립 -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은 1978년 사우르 혁명으로 수립된 공산주의 국가로, 소련의 지원 아래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이슬람 세력의 반발과 내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1992년 붕괴되었다.
부산항여객터미널 | |
---|---|
지도 | |
일반 정보 | |
![]() | |
개항 | 1912년 |
주소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구 충장대로 206 (초량동) |
좌표 | 35°06′22″N 129°02′56″E |
운영 | |
운영 주체 | 부산항만공사 |
시설 규모 | |
부지 면적 | 9만 3797㎡ |
건축 면적 | 3만 1338㎡ |
연면적 | 11만 7277㎡ |
계류 시설 | 10만톤급 5선석 |
주요 시설 | CIQ시설, 출국 대합실, 입국 대합실, 면세점, 식당, 편의점, 주차장 등 |
운항 노선 | |
국제선 | 일본: 후쿠오카, 시모노세키, 오사카, 히타카쓰, 후쿠에, 키타큐슈 중국: 상하이, 톈진, 웨이하이, 칭다오, 다롄, 옌타이, 스다오 |
국내선 | 제주도: 제주 |
기타 정보 | |
이전 | 2015년 8월 31일 (중앙동에서 이전) |
2. 역사
1973년 4월 28일 연안여객터미널이 개장하면서 부산항 7곳에 분산되었던 연안 항로 여객선 운영이 통합되었다.[1] 1978년 3월 3일 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되어 3300톤급 카페리 1척과 1000ton급 선박 5척 등 총 11척을 동시에 접안할 수 있게 되었고, 연간 170만 명의 여객과 300000ton의 화물 처리가 가능해졌다.[2] 2015년 8월 31일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이 북항에 신축 개장하면서 이전하였다.[2]
2. 1. 연안여객터미널 개장 (1973년)
1973년 4월 28일 부산항 '''연안여객터미널'''이 개장하면서, 기존에 부산항 7곳에 분산되어 있던 연안 항로 여객선 운영이 통합되어 이용객들의 불편이 해소되었다.[1]2. 2. 국제여객터미널 개장 (1978년)
1978년 3월 3일 부산항에 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하였다. 당시 규모는 3300톤급 카페리 1척과 1000ton급 선박 5척 등 총 11척을 동시에 접안할 수 있었으며, 연간 170만 명의 여객과 300000ton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었다.[2] 준공 당시 명칭은 부산항 연안 여객선터미널이었다.[2]2. 3.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이전 (2015년)
2015년 8월 31일 부산항 북항에 새로 개장한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로 이전하였다.[2] 이는 시설 현대화와 수용 능력 확대를 통해 부산항이 동북아시아 해상 교통 허브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3. 운항 노선
부산항여객터미널은 국제여객터미널과 연안여객터미널로 나뉘어 운항 노선을 제공한다.
국제여객터미널에서는 일본 하카타, 시모노세키, 오사카, 대마도 (히타카쓰, 이즈하라)행 여객선을 운항한다.
연안여객터미널에서는 제주항행 여객선을 운항한다. 과거 거제도행 노선은 거가대교 개통으로 2011년부터 운항이 중단되었다. 세월호 사고 등의 영향으로 제주 노선도 중단되었다가 2017년 재개되었으나, 현재는 선박 1척만 운항한다.[1]
3. 1. 국제여객터미널 운항 노선
운항편 | 행선지 | 선사 |
---|---|---|
뉴 카멜리아 | 후쿠오카 | 카멜리아 라인 |
퀸비틀 | 후쿠오카 | JR큐슈고속선 |
코비호 | 후쿠오카*(운휴중), 히타카츠 | 미래고속 |
니나 | 히타카츠, 이즈하라 | 미래고속 |
성희호 | 시모노세키 | 부관훼리 |
하마유 | 시모노세키 | 관부 훼리 |
팬스타드림 | 오사카, 히타카츠 | 팬스타라인닷컴 |
팬스타쓰시마링크 | 히타카츠·이즈하라 | 팬스타라인닷컴 |
- 팬스타 드림호는 현해탄크루즈로 히타카츠항 인근에 묘박하는 상품이다.
- 2022년부터 비틀이 퀸비틀로 대체되었으며 하카타항을 정기 운항하지만 대마도 노선은 운항하지 않는다.
- 팬스타의 인수로 오션플라워호가 팬스타쓰시마링크호로 개편되었다.
3. 2. 연안여객터미널 운항 노선
행선지 | 선사 |
---|---|
제주항 | 동북아카페리 |
- 부산↔거제(장승포, 옥포, 고현) 노선은 거가대교 개통으로 2011년 1월부터 운항이 중단되었다.[1]
제주 노선은 세월호 사고와 운영 재정 악화 등으로 중단되었다가 2017년 동북아카페리가 재개하였으나, 선박 2척 중 1척은 2018년 선령 만료로 외국에 매각하여 현재 1척만 운항 중이다.[1]
4. 여객터미널 순환버스
부산역과 부산항여객터미널을 순환하는 순환버스가 있다. 총 2대의 버스가 10분 ~ 2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부산역 승강장은 역 광장 남쪽에 있으며, 여객인이 동반하는 6세 미만 소아 2인까지 무료이며, 환승할인이 된다. 저상버스 1대와 중형버스 1대가 운행한다.
5. 함께 보기
참조
[1]
뉴스
연안 여객들 이용 종합터미널 개장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73-04-30
[2]
뉴스
카페리호 등 11척 동시 접안 시설 부산항연안여객선 종합터미널 준공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78-03-04
[3]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4]
보고서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5]
데이터셋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www.data.go.[...]
[6]
문서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7]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