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틀 (고속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틀(고속선)은 1990년 일본 규슈 여객철도가 하카타-부산 항로에 투입하여 운항을 시작한 고속선이다. 2005년 JR 규슈 고속선으로 이관되었으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운항이 중단되었다가 2022년 11월 한일 항로를 재개하며 퀸 비틀을 투입했으나, 2023년 선체 균열 발견 및 안전 문제로 인해 2024년 12월 선박 사업 철수를 발표하며 8월 12일을 마지막 운항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큐슈여객철도 - JR 규슈 버스
    JR 규슈 버스는 1987년 규슈 여객철도 자동차 사업부에서 시작하여 2001년 자회사로 이관되었으며,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고속버스와 일반 노선버스를 운영하고, 히타히코산선 BRT 사업에 참여하는 등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큐슈여객철도 - SUGOCA
    SUGOCA는 JR 큐슈에서 발행하는 교통 카드이자 전자 화폐로, 승차권 기능과 전자 화폐 기능을 제공하며, 후쿠오카현을 시작으로 규슈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고, 다른 교통 카드와 상호 호환된다.
  • 여객선 - RMS 타이타닉
    RMS 타이타닉은 1912년 처녀 항해 중 빙산과 충돌하여 침몰한 호화 여객선으로, 당시 세계 최대 크기를 자랑하며 2,200명 이상의 승객과 승무원을 태우고 뉴욕으로 향하다 침몰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억된다.
  • 여객선 - 제너럴 슬로컴
    제너럴 슬로컴은 1891년 건조된 미국의 외륜 증기선으로, 1904년 뉴욕 이스트 강에서 발생한 화재로 천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참사로 유명하며, 이 사고는 해상 안전 규정 강화에 기여했다.
비틀 (고속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선종고속선
운영 주체JR 큐슈 고속선
노선 기점하카타항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노선 종점부산항 (부산광역시)
노선 길이215 km
운항 시간약 3시간 40분 (2023년 기준)
사용 선박퀸 비틀 (Queen Beetle)
이전 사용 선박비틀 (Beetle), 코비 (KOBEE)
비고대한민국에서는 "비틀"이라고도 불림.
기술 정보
선박 종류쌍동선 (Twin-hull vessel)
추진 방식워터 제트
최고 속도37 노트
역사
운항 시작1991년 (Beetle)
선박 변경2020년 (Queen Beetle)

2. 역사

1991년 3월 25일 JR 큐슈가 부산후쿠오카를 잇는 하카타-부산 구간에 고속선 "비틀 2세"를 투입하면서 비틀호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승객 수가 적어 적자를 면치 못했으나, 2004년 TV 드라마 겨울연가의 인기에 힘입어 흑자 노선으로 성장했다.[2]

2005년 10월 1일부터는 JR 규슈 고속선이 비틀호의 운영을 맡게 되었다. 2006년에는 부산광역시의 미래고속과 업무 제휴를 맺고 공동 운항을 시작했으나, 2016년 4월 1일부로 계약이 종료되어 다시 JR 규슈 단독 운항 체제로 돌아왔다.

2018년 8월 27일, JR 규슈 고속선은 기존 비틀호를 대체할 신형 삼동선(쌍동선과 비슷한 개념)의 이름을 "퀸 비틀"로 정하고, 2020년 7월부터 취항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2020년 3월 9일부터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운항이 중단되었고, 2022년 11월 4일에 운항이 재개되면서 "퀸 비틀"이 국제 항로에 처음으로 투입되었다.

2023년에는 운항 중이던 "퀸 비틀"에서 침수 경보 장치가 작동하여 선체 균열이 발견되었으나, JR 큐슈 고속선은 국가에 보고하거나 법적 검사를 받지 않고 운항을 계속한 사실이 드러났다. 2024년에는 부산항 입항 직전 선수 침수가 확인되었고, 이후 침수 센서 조작 및 은폐 의혹이 제기되면서 결국 2024년 12월 23일, JR 큐슈는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선박 사업 철수를 발표했다. 이로써 2024년 8월 12일이 비틀호의 사실상 마지막 운항일이 되었다.

2. 1. 1990년대


  • 1990년 (헤이세이 2년)
  • * 5월 2일: 규슈 여객철도(JR 규슈)가 고속선 "비틀"을 하카타항 - 히라도 - 나가사키 네덜란드 마을 구간에 투입하여 운항을 시작하였다.
  • 1991년 (헤이세이 3년)
  • * 3월 14일: JR 규슈가 한국철도청과 고속선 운항 협정을 체결하였다.
  • * 3월 25일: 하카타 - 부산 구간에 고속선 "비틀 2세" 운항을 시작하였다.
  • 1992년 (헤이세이 4년)
  • * 3월 25일: 고속선 "비틀"의 항로를 하카타항 - 히라도 - 하우스텐보스 구간으로 변경하였다.
  • 1994년 (헤이세이 6년)
  • * 3월 31일: 하카타항 - 히라도 - 하우스텐보스 구간의 고속선 "비틀" 운항을 중단하였다.
  • 1998년 (헤이세이 10년)
  • * 5월 1일: 하카타 - 부산 항로에 비틀 2척 체제("비틀 2세", "제비")로 운항을 시작하였다.

2. 2. 2000년대

2000年|2000년일본어

  • 11월 28일: 비틀 신규 예약 시스템 "SHIPS2" 가동.

2001年|2001년일본어

  • 4월 6일: 비틀 3척 체제("비틀 2세", "비틀 3세", "제비")로 운항 시작.

2003年|2003년일본어

  • 7월 1일: 비틀 4척 체제("비틀 2세", "비틀 3세", "제비", "제비 2")로 운항 시작.
  • 11월 16일: 비틀 누적 승선 인원 200만 명 돌파.

2005年|2005년일본어

  • 8월 1일: JR 규슈 고속선 설립.
  • 10월 1일: 비틀, JR 규슈 고속선으로 이관. "제비", "제비 2" 선명을 "비틀 1세", "비틀 5세"로 변경.

선명 변경
기존 선명변경 선명
제비비틀 1세
제비 2비틀 5세



2006年|2006년일본어


  • 2월 5일: 고속 항행 중 대형 고래류와 충돌 사고 발생.
  • 2월 14일: 하카타항 - 부산항 항로 고속 여객선 "코비" 정기 운항사 미래고속(부산광역시)과 업무 제휴.
  • 3월 5일: 고속 항행 중 대형 고래류와 충돌, 6명 부상.
  • 3월 17일
  • * 미래고속과 공동 운항 시간표 채택, 승선권 공통화, 승선 창구 업무 통합, 부두 승하선 설비 공동 이용 시작.
  • * 쓰시마시 앞바다 고속 항행 중 대형 고래류와 충돌 사고 발생.
  • 7월 15일: 신 "비틀" 데뷔, 그린석 신설.

2. 3. 2010년대


  • 2011년 11월 1일, 고속선 비틀이 쓰시마 - 부산 간 신규 항로에 취항하였다.
  • 2012년 5월 12일, 여수 엑스포 기간 동안 하카타 - 여수 간 임시 운항을 하였다.(~8월 12일까지)
  • 2014년 3월, 비틀 누적 승선 인원이 50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4년 4월, 비틀 5세를 매각하고 3척 체제로 운영하였다.
  • 2016년 4월 1일, 미래고속과의 공동 운항 계약이 종료되고, JR 규슈 고속선 단독 운항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3월 5일, 오스탈(오스트레일리아)사와 삼동선 건조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18년 7월 23일, 규슈 유센하카타 - 히타카츠 항로에 쓰시마 혼승편 운항을 시작하였다.
  • 2018년 8월 27일, 새로운 삼동식 고속선의 이름을 퀸 비틀로 명명하고, 2020년 7월부터 취항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

2. 4. 2020년대


  • 2020년 3월 9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한국발 선박 여객 운송이 중단되어 전편 운휴에 들어갔다. 이후 운휴는 계속되었으며, 장기 휴가 기간 등에 하카타와 쓰시마 간 국내 운항을 실시하였다.
  • 2021년 3월 20일: 오키노시마 유람 코스에 "퀸 비틀"이 처음으로 취항하였다.
  • 2022년
  • * 3월 12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한일 항로 재개가 어려워지고 국내 항로 사업을 확대하면서 "퀸 비틀"의 선적을 파나마에서 일본으로 변경하였다. 퀸 비틀은 파나마 선적이었기 때문에, 이 선박의 국내 유람 운항에 대해 카보타지 제도에 따른 내항 해운 업계의 반대 의견이 있었다.
  • * 11월 4일: 한일 항로 운항이 재개되면서 "퀸 비틀"이 국제 항로에 투입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 비틀 3척은 은퇴하였다.
  • 2023년
  • * 2월 11일: 항해 중이던 "퀸 비틀"에서 침수 경보 장치가 작동하여 다음 날 선체 균열이 발견되었다. 응급 처치 후 운항을 계속했으나, JR 큐슈 고속선은 국가에 보고하거나 법적 검사를 받지 않았다.
  • * 6월 23일: 국토교통성은 JR 큐슈 고속선에 대해 해상운송법 위반을 확인하고 행정 처분을 내렸다.
  • 2024년
  • * 5월 30일: 부산항 입항 직전 "퀸 비틀" 선수에서 침수가 확인되어 이후 결항이 결정되었다.
  • * 8월 9일: "퀸 비틀" 운휴 및 11월 25일까지 신규 예약 중지를 발표했다. 침수 센서 조작 및 은폐 의혹이 제기되었다.
  • * 12월 23일: JR 큐슈는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선박 사업 철수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같은 해 8월 12일이 사실상 마지막 운항이 되었다.

3. 보유 선박

가와사키 중공업 고베 조선소에서 건조된 제트포일인 비틀호는 전장 27.4m, 폭 8.5m, 항해 속력 43노트로 운항했다. 2017년 이후 정원은 191명(일반석 175석, 그린석 16석)이었으며, 그린석에는 RECARO사제 좌석이 채용되었다.[2]

한때 일본에서는 이 고속여객선을 이용하여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면세품 쇼핑을 하는 사람들을 '비틀족'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퀸 비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퀸 비틀 문단을, 과거 비틀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거 선박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3. 1. 퀸 비틀 (현재)

퀸 비틀은 2,300 국제 총 톤, 전장 83.5m, 전폭 20.2m, 항해 속력 36.5노트의 여객선이다. 여객 정원은 502명이며, 오스탈에서 건조한 트리마란(삼동선)이다.[39]

당초 2020년 7월 15일 취항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항로가 운휴되면서 취항일이 미정이었다. 선박 건조 자체도 늦어졌지만 2020년 9월 29일에 인도되어 10월 15일에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하카타항에 도착했다.[39]

처음에는 파나마 선적이었으나, 한일 정기 항로 재개 전망이 불투명해지자 재개될 때까지 국내 유람 운항에 대해 일본 국토교통성으로부터 연안 수송 특허를 얻어 2021년 3월부터 오키노시마 유람 코스에 취항했다. 그러나 제약이 커 2022년 3월에 일본 선적으로 변경하고 4월부터 하카타항 - 기타큐슈시 모지구 모지항, 하카타항 -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나가사키항 간 항로 운항을 시작했다.[39]

2022년 11월 4일부터 대한민국 부산광역시부산항과 하카타항을 잇는 항로 운항을 시작했다.[39] 2024년 6월에 입거하여 7월 10일까지 운휴 후, 7월 11일부터 운항을 재개했지만, 8월 13일부터 다시 운휴했다. 2024년 12월 23일, JR 큐슈가 한일 항로에서 철수를 공식 발표하면서[39] 선체는 매각 또는 폐선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2024년 8월 12일이 사실상 마지막 운항일이 되었다.

3. 2. 과거 선박

하카타만을 질주하는 비틀 2세 (2009년 8월 3일)


'퀸 비틀'을 제외한 이전 선박들은 모두 가와사키 중공업 고베 조선소에서 건조된 제트포일이다.[26] 전장 27.4m, 폭 8.5m, 항해 속력 43노트였다. 2017년 이후 정원은 191명(일반석 175석, 그린석 16석)이었으며, 그린석에는 RECARO사제 좌석이 사용되었다. 2022년 '퀸 비틀' 취항과 함께 모두 은퇴했다.[27]

  • 비틀: 1990년 준공. 164 총톤. 1994년 나가사키 항로 휴지 후, 해상 액세스 "사파이어 윙", 1998년 한국고속해운 "제비"로 운항, 2005년 JR 큐슈 고속선으로 복귀하여 선명도 비틀로 되돌아갔다.
  • 비틀 2세: 1991년 준공. 165 총톤. 후쿠오카-부산 항로 첫 번째 배였다.
  • 비틀 3세: 1989년에 일본해양고속 "나가사키"로 준공. 165 총톤. 1994년에 해상 액세스 "펄 윙", 1997년에 오키나와 마린 제트 관광 "마린"으로 운항, 2001년 JR 큐슈에 취항했다.
  • 비틀 5세: 1994년에 해상 액세스 "크리스탈 윙"으로 준공. 165 총톤. 2001년에 한국고속해운 "제비 II"로 부산 하카타 항로에 취항했다. 2006년에 JR 큐슈에 전속되어 비틀 5세가 되었다. 2014년 은퇴, 도카이 기선에 매각되어 2015년 1월 "세븐 아일랜드 다이료"로 개명되었다.

4. 특징 및 운항 정보

JR 큐슈 고속선 비틀은 2024년 8월 12일까지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하카타항대한민국 부산광역시부산항을 잇는 국제 항로를 운항했다. 나가사키현 쓰시마시히타카쓰항과 부산항을 잇는 항로도 있었다. JR 큐슈 초대 사장 이시이 유키타카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나, 초기에는 적자 노선이었다. 그러나 2004년 TV 드라마 겨울연가의 인기를 계기로 흑자 노선으로 성장하여, 여객기로부터 수송 점유율을 빼앗고 수송 수요 자체를 늘리는 데 성공했다.[2]

4. 1. 편의 시설

비틀은 두 개의 좌석 공간(일반석, 그린석)과 면세점을 제공한다.

4. 2. 운항 정보 (과거)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하카타항대한민국 부산광역시부산항을 잇는 항로는 약 3시간 40분이 소요되었으며, 1일 1왕복했다.[2] 나가사키현 쓰시마시히타카쓰항과 부산항을 잇는 항로는 약 1시간 10분 거리로, 1일 1~2편 운항되었다.[2] 이 노선은 국제 항로로 운임 형태가 독립되어 있어서, "세이슌 18 티켓"으로는 승선할 수 없었다.

4. 3. 출입국 절차

일본 입국에 필요한 입국 카드는 페리에서 제공되며, 한국 출국 카드와 동시에 작성할 수 있다.

한국 출국 카드는 한국어 또는 영어로 작성해야 하며, 일본 입국 카드는 한자 또는 영어로 작성해야 한다.

고가 상품이나 귀중품(카메라, 시계, 보석, 모피 제품)을 소지한 여행객은 세관 신고서에 품목, 수량, 가격을 신고해야 하며, 해당 서류는 귀국 시까지 보관해야 한다.

5. 기타

한때 일본에서는 부산에 면세품 쇼핑을 하러 이 고속여객선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ビートル族|비틀족일본어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2020년 7월부터는 비틀호가 기존의 고속선 대신 500여 명의 정원을 가진 '''퀸 비틀호'''로 바뀔 예정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신규 취항이 2021년 안으로 연기되었으며, 이후 검역체제 완화로 2022년 11월 4일 운항을 재개하였다. (당분간은 토, 일 한정 운행)

JR 서일본 미야지마 페리(JR 서일본의 자회사)의 미야지마 항로와 달리, 비틀호는 국제 항로이며 운임 형태가 독립되어 있어서, "세이슌 18 티켓"으로는 승선할 수 없었다.

초대 "비틀"은 "바다를 나는 사슴벌레"로 광고되었다. 이는 헐본(ハルボーン)에서의 격납 상태(수중익의 부력으로 고속 항주할 때는 "포일본", 속력에 의한 수중익의 양력이 없는 상태를 "헐본"이라고 한다)의 전방 수중익을 사슴벌레의 뿔에 비유한 것으로, 선체 도색도 전체가 갈색이었다.

5. 1. 비틀족

과거 일본에서는 부산에 주로 면세품 쇼핑을 하기 위해 이 고속여객선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ビートル族|비틀족일본어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

5. 2. JR 큐슈의 운항 시작 배경

JR 큐슈 초대 사장 이시이 유키타카의 주도로 비틀호 운항이 시작되었지만, 취항 초기에는 승객 수가 늘지 않아 적자 노선이었다. 그러나 2004년 TV 드라마 『겨울연가』의 인기를 계기로 흑자 노선으로 성장했다.[2] JR 큐슈는 선박 운항 경험과 선원이 없는 상태에서 JR 시코쿠의 지원을 받아 운항을 시작했다. JR 시코쿠를 퇴직한 오시마 료조 부장을 필두로 우코 연락선에 종사했던 선원들을 파견받았다.[40] 취항 10년 후에는 전직 철도원으로부터 항해 경험을 쌓아 JR 큐슈 출신 선원을 배출했다.[40]

참조

[1] 문서 「ジェットフォイル」とは[[ボーイング]]社が開発した民間旅客用水中翼船の個別商品名であり、水中翼船の一般名ではない。
[2] 서적 人口減少と鉄道 朝日新聞出版
[3] 뉴스 鉄道マン、玄界灘に航路を開く 成功の陰に笑いあり(4)九州旅客鉄道会長 唐池恒二氏 https://reskill.nikk[...] 日経産業新聞 2016-04-18
[4] 뉴스 日韓高速船、トラブル続きの航海 成功の陰に笑いあり(5)九州旅客鉄道会長 唐池恒二氏 https://reskill.nikk[...] 日経産業新聞 2016-04-19
[5] 뉴스 「ビートル」の航路ハウステンボスへ JR九州が変更 交通新聞社 1992-03-17
[6]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4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4-07-01
[7]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社 1998-07
[8]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2-07-01
[9]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4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4-07-01
[10] 뉴스 またクジラ?高速船が衝突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06-03-17
[11] PDF 第1節 海難の発生 https://www.mlit.go.[...] 海難審判庁 2007-07
[12] 뉴스 高速船が海洋生物と衝突か 釜山発博多行き、10人けが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6-01-08
[13] 뉴스 191人乗り高速船、クジラ?と衝突8人けが、ひき返す 韓国・釜山→博多 http://www.sankei.co[...] 産経WEST 2016-01-08
[14] 문서 参議院会議録情報 第190回国会 予算委員会 第8号 https://kokkai.ndl.g[...]
[15] 웹사이트 九州郵船 http://www.kyu-you.c[...]
[16] 웹사이트 JR九州高速船 http://www.jrbeetle.[...]
[17] 뉴스 公明新聞 博多 - 釜山間の国際航路経由地 長崎・対馬 国内客「混乗便」初の就航 https://www.komei.or[...]
[18] 뉴스 「クイーン」就航、来年7月15日 JR九州高速船、釜山航路に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9-07-30
[19] 뉴스 【新型コロナウィルス関連】2020年3月9日(月)~3月31日(火)期間中の運休について https://www.jrbeetle[...] JR九州高速船 2020-03-06
[20] 뉴스 【News Release】QUEEN BEETLE 3/20(土)21(日)27(土)に沖ノ島遊覧コースを運航します。 JR九州高速船株式会社 2021-03-10
[21] 보도자료 クイーンビートル 3/20(土)21(日)27(土)に沖ノ島遊覧コースを運航します https://www.jrbeetle[...] JR九州高速船 2021-03-10
[22] 웹사이트 JR九州子会社が運用する高速船「クイーンビートル」、船籍をパナマから日本に変更する理由 https://newswitch.jp[...] 2021-12-27
[23] 웹사이트 「クイーンビートル」日本船籍に 博多港と門司港間に来月就航 https://www.fbs.co.j[...] 2022-03-12
[24] 웹사이트 内航総連・栗林会長、カボタージュ規制堅持を。外国籍客船、国内運航 特措要望に https://www.jmd.co.j[...] 日本海事新聞 電子版 2020-12-11
[25] 웹사이트 海員組合、外国籍旅客船の国内運航 特例措置「断固反対」 https://www.jmd.co.j[...] 日本海事新聞 電子版 2021-03-15
[26] 웹사이트 JR九州の高速船「クイーンビートル」、釜山へ初出航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11-08
[27] 웹사이트 「博多~韓国・釜山の高速船」運航再開 クイーンビートル国際航路デビュー https://rkb.jp/news-[...] RKB毎日ホールディングス 2022-11-08
[28] 뉴스 船首に“亀裂”のまま3日間も運航した旅客船「クイーンビートル」法定の“臨時検査”せず https://www.youtube.[...] 2023-06-26
[29] 웹사이트 「輸送の安全の確保に関する命令」を発出しました ~海上運送法第19条第2項に基づく行政処分~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6-23
[30] 웹사이트 「輸送の安全確保に関する命令」に対する改善報告書の提出について https://www.jrbeetle[...] JR九州高速船 2023-08-03
[31] 뉴스 クイーンビートルで浸水 釜山に到着直前に確認 緊急点検と修理のため当面欠航 博多と韓国を結ぶ高速船 https://www.youtube.[...] 2024-05-31
[32] 웹사이트 船舶の緊急点検(ドック入渠)に伴うQUEEN BEETLEの運休について (2024年6月14日16:00現在) https://www.jrbeetle[...] JR九州高速船 2024-06-14
[33] 웹사이트 QUEEN BEETLEの運航再開について (2024年7月5日現在) https://www.jrbeetle[...] JR九州高速船 2024-07-05
[34] 뉴스 【再び】「本当にがっくり」再開の翌日に欠航 高速船クイーンビートル 13日に運航再開へ 福岡 https://www.youtube.[...] 2024-07-12
[35] 뉴스 【注目ニュース】クイーンビートルで“不法出国”の男逮捕 非常用小型艇に潜んでいたか https://www.youtube.[...] 2024-08-12
[36] 웹사이트 8月13日(火)以降の運休及び新規予約の受付停止について(2024年8月9日19:45現在) https://www.jrbeetle[...] JR九州高速船 2024-08-09
[37] 뉴스 クイーンビートル”浸水隠し”運航発覚 今月13日から運休へ https://www.youtube.[...] 2024-08-10
[38] 웹사이트 【お詫び】安全確保に関する重大な問題の発生について {{!}} お知らせ {{!}} 福岡から韓国(釜山)に行くならビートル(BEETLE) {{!}} JR九州高速船 https://www.jrbeetle[...] 2024-12-23
[39] 뉴스 JR九州、日韓航路撤退を決定 クイーンビートル浸水防ぐ補修難しく https://www.asahi.co[...] 2024-12-23
[40] 서적 鉄客商売 JR九州大躍進の極意 PHP研究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