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인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창건된 사찰로, 초조대장경을 봉안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 시대에는 초조대장경을 제작하여 보관하였으나,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 임진왜란과 6.25 전쟁을 거치면서 여러 차례 소실과 중건을 반복하였다. 현재는 대웅전, 선덕묘 등을 갖추고 있으며, 과거 승시가 열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화사의 말사 - 운문사
운문사는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된 오갑사에서 유래하여 고려 태조 왕건이 운문선사라는 이름을 내린 경상북도 청도군의 사찰로, 많은 문화유산과 천연기념물이 있으며 비구니 승가대학으로도 알려져 있다. - 동화사의 말사 - 대구 북지장사
대구 북지장사는 485년에 창건되어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쳐 중창과 중수를 거듭했으며, 현재 대웅전과 요사채를 건립하여 중흥을 이루었고, 삼층석탑, 석조지장보살좌상, 아미타삼존불좌상, 금고 등 다수의 문화재와 보물 제805호 지장전을 소장하고 있는 사찰이다. - 대구광역시의 절 - 파계사
파계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어 아홉 갈래 물줄기를 모아 기운을 보존한다는 의미를 지닌 사찰로, 조선시대 왕실의 보호를 받았으며, 현재 다양한 전각과 여러 지정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절 - 동화사
대구 팔공산에 위치한 동화사는 493년 유가사로 창건되어 832년 동화사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임진왜란 승병 근거지이자 현재 조계종 직할사찰로서 대웅전 등 문화재와 통일대불, 승시 축제로 유명하다. - 대구 동구의 건축물 - 동대구역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철도역이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환승역으로, 고속철도 개통과 복합환승센터 개장으로 동남부 지역의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철도 노선과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 대구 동구의 건축물 - 대구파티마병원
1956년 파티마의원으로 개원한 대구파티마병원은 다양한 진료과를 갖춘 수련병원으로 성장하여 국제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과 지역 사회 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부인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사찰 이름 | 부인사 |
| 건립 연대 | 646년(신라 선덕여왕 15년) |
| 창건자 | 선덕여왕 |
| 종파 | 대한불교조계종 |
| 별칭 | 선덕여왕 추모 사찰 |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967-28 |
| 꼬리표 | 대구 부인사 |
2. 역사
창건 관련 내용은 부인사 연기설화(緣起說話)를 따르기로 한다.
창건과 선덕여왕신라 선덕여왕의 추모사찰이다. 부인사 연기설화(緣起說話)에 의하면 선덕여왕이 황룡사 9층 목탑을 건립하고, 이듬해에 부인사를 창건했다고 한다.[2] 예전부터 선덕묘(善德廟)라는 사당이 있어, 선덕여왕이 창건했다는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2]
646년(신라 선덕여왕 15년)에 선덕여왕이 창건하였다.[4] 임진왜란으로 불에 탔던 것을 1930년대 초에 선덕여왕숭모전(善德女王崇慕殿)으로 중건하였다.[3] 현재 부인사에는 선덕여왕의 어진을 모시고, 매년 음력 3월 보름에 신무동 주민과 사찰측 및 경주 김씨 종중에서 선덕여왕 숭모제를 지내고 있다.[4]
고려 시대고려 시대에 요나라(거란)의 침입을 부처의 힘으로 격퇴하기 위하여 도감(都監)을 설치하였다. 고려 현종이 시작하여, 고려 선종에 이르러 초조대장경이 완성되었다.[5]
1013년(고려 현종 4년) 초조대장경의 제작이 시작되었고, 1087년(선종 4년) 완성되어 부인사에 소장되었다.[7] 1203년(신종 6년)에는 무신 정권에 반대하는 ‘부인사(符仁寺) 승도의 난(僧徒의 亂)’이 일어났다.[8]
하지만 몽골의 침입으로 부인사와 초조대장경 모두 불타버렸다.[8] 다시 제작한 팔만대장경(재조대장경)은 현재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다. 1232년(고려 고종 19년) 몽골의 제2차 침입 때 경주의 황룡사 9층 목탑과 함께 초조대장경이 불타버렸다.
조선 시대와 그 이후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 1930년대 초 비구니 허상득(許相得)이 원래 부인사가 있던 절터에서 서북쪽으로 약 400m 올라와 암자가 있던 터에 현재 부인사를 중창하였다. 6.25 전쟁 때 다시 불탔으나, 1959년에 중건하였다.
2. 1. 창건과 선덕여왕
신라 선덕여왕의 추모사찰이다. 부인사 연기설화(緣起說話)에 의하면 선덕여왕이 황룡사 9층 목탑을 건립하고, 이듬해에 부인사를 창건했다고 한다.[2] 예전부터 선덕묘(善德廟)라는 사당이 있어, 선덕여왕이 창건했다는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2]646년(신라 선덕여왕 15년)에 선덕여왕이 창건하였다.[4] 임진왜란으로 불에 탔던 것을 1930년대 초에 선덕여왕숭모전(善德女王崇慕殿)으로 중건하였다.[3] 현재 부인사에는 선덕여왕의 어진을 모시고, 매년 음력 3월 보름에 신무동 주민과 사찰측 및 경주 김씨 종중에서 선덕여왕 숭모제를 지내고 있다.[4]
2. 2.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 요나라(거란)의 침입을 부처의 힘으로 격퇴하기 위하여 도감(都監)을 설치하였다. 고려 현종이 시작하여, 고려 선종에 이르러 초조대장경이 완성되었다.[5]1013년(현종 4년) 초조대장경의 제작이 시작되었고, 1087년(선종 4년) 완성되어 부인사에 소장되었다.[7] 1203년(신종 6년)에는 무신 정권에 반대하는 ‘부인사(符仁寺) 승도의 난(僧徒의 亂)’이 일어났다.[8]
하지만 몽골의 침입으로 부인사와 초조대장경 모두 불타버렸다.[8] 다시 제작한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은 현재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다. 1232년(고종 19년) 몽골의 제2차 침입 때 경주의 황룡사 9층 목탑과 함께 초조대장경이 불타버렸다.
2. 3. 조선 시대와 그 이후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 1930년대 초 비구니 허상득(許相得)이 원래 부인사가 있던 절터에서 서북쪽으로 약 400m 올라와 암자가 있던 터에 현재 부인사를 중창하였다. 6.25 전쟁 때 다시 불탔으나, 1959년에 중건하였다.3. 옛 부인사터(부인사지)
원래의 부인사가 있던 절터에는 지금은 포도밭 여러 개가 들어서 있다.
부인사가 경사진 산 비탈에 있었기에 건물터마다 축대를 쌓아 땅을 평평하게 하여 건물을 지었는데, 이런 곳곳마다 포도나무가 자라고 있다.
현재 부인사에서 200m 남쪽에 당간지주가, 팔공산 순환도로 남쪽에 금당좌로 추정되는 유적이 남아 있어 원래 거대했던 규모를 추정해볼 수 있다.
4. 주요 전각 및 유물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상과 아미타불상, 관세음보살상을 안치하고 있다. 선덕묘에서는 선덕여왕의 어진을 모시고 있다.
5. 승시(僧市)
신라와 고려시대에는 80여 동의 건물과 39개 암자를 거느리고 약 2,000명 승려가 수도하는 대사찰이었던 부인사에서 국내 유일의 승시(僧市)가 열렸었다.[6] 현재는 인근 동화사에서 매년 승시축제가 열린다.
6. 문화재
참조
[1]
두산백과사전
부인사
https://terms.naver.[...]
[2]
웹인용
부인사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4-28
[3]
웹인용
부인사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4-28
[4]
웹인용
부인사 선덕여왕 숭모재 "축제 승화된 호국불교 정신"
http://news.bbsi.co.[...]
BBS불교방송(재)
2023-04-28
[5]
웹인용
부인사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4-28
[6]
웹인용
부인사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4-28
[7]
웹인용
‘초조대장경’ 디지털로 나투다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23-04-28
[8]
웹인용
부인사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