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화사는 팔공산에 위치한 사찰로, 오동나무 꽃이 아름다운 절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493년 극달화상에 의해 유가사로 창건되었으며, 832년 심지조사가 중창하며 동화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중창과 개축을 거쳤으며, 임진왜란 때는 사명대사가 승병을 지휘하기도 했다. 주요 전각으로는 통일대불, 대웅전, 봉서루, 영산전, 조사전, 금당암, 비로암 등이 있으며,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등 다수의 보물을 소장하고 있다. 현재는 템플스테이, 승시 축제 등 다양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화사 - 안일사
안일사는 927년 영조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독립운동의 거점으로 활용되었으며, 대구 안일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등 볼거리가 있고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동화사 - 은적사 (대구 남구)
은적사는 대구광역시 남구에 있는 사찰로, 926년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이후 중창과 재건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다양한 활동과 함께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좌상 등을 보유하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사적 -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은 1907년 개원하여 현재 진료과와 특성화센터를 운영하며,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 등을 운영하고 연구중심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공공보건의료 활동과 산하 기관 운영을 통해 지역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구광역시의 사적 - 계산성당
대구에 위치한 계산성당은 천주교 대구대교구의 주교좌 성당으로, 고딕 양식의 건축물이며 경상도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성당 건축물로서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교황이 방문하기도 했다.
동화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이름 | 동화사 |
한자 표기 | 桐華寺 |
로마자 표기 | Donghwasa |
위치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201길 41 (도학동) |
종교 | 조계종 |
소속 |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
역사 | |
창건 연도 | 493년 (신라 소지 마립간 15년) |
창건자 | 극달 |
중창 연도 | 흥덕왕 시대 (826년 - 836년) |
중창자 | 심지 (헌덕왕의 셋째 아들) |
건축 | |
![]() | |
본존불 | 석가모니불 |
주요 건축물 | 통일약사대불 |
추가 정보 | |
특징 | 팔공산에 위치 조선 31본산 중 하나 (일제강점기) |
관련 문화재 관람료 | 2023년 5월 4일부터 문화재청과 조계종 협약에 따라 관람료 면제 |
웹사이트 | 동화사 홈페이지 |
2. 이름의 유래
동화사(桐華寺)의 '동(桐)'은 오동나무를 뜻하고, '화(華)'는 "빛나다, 화려하다, 꽃"이라는 뜻이 있으므로, 동화사는 오동나무 꽃이 아름다운 절이라는 뜻이다.
동화사는 삼국시대 493년(소지왕 15년)에 극달화상이 유가사(瑜伽寺)란 이름으로 창건하였으므로, 처음에는 오동나무와 관련이 없었다. 이후 통일신라 시대 832년(흥덕왕 7년) 심지조사가 절을 다시 지으면서 동화사(桐華寺)로 이름을 바꾸었다.
동화사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 '''심지대사가 던진 지팡이가 자란 오동나무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가 있다.)[6] 심지대사는 이후 유가사란 이름을 동화사로 바꾸었다.
- '''원래 유가사에 심어져 있던 오동나무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심지조사가 절을 다시 지을 당시, 유가사에 오동나무가 있었는데, 겨울인데도 오동나무가 꽃을 피운 것을 보고 상서로운 징조로 여겨 동화사(桐華寺)로 이름을 고쳤다고 한다.[7]

3. 역사
493년 극달 화상이 유가사(瑜伽寺)라는 이름으로 동화사를 처음 창건하였다.[10] 1931년에 세워진 동화사 사적비에 따르면, 832년 심지조사가 동화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동화(桐華)'라는 이름은 당시 겨울에도 오동나무 꽃이 피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으며, 사람들은 이를 상서로운 징조로 여겼다.
863년(경문왕 3년) 경문왕의 명에 따라 동화사 비로암에 3층 석탑과 석조 비로자나불이 건립되어, 9세기 말에는 이미 사찰이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934년 후백제가 신라를 공격했을 때, 신라의 구원 요청에 응한 왕건이 이끄는 고려군 1만 명이 동화사에 머물며 후백제군과 싸웠으나 고려는 참패를 겪었다.
1036년 정종의 왕명에 따라 동화사는 개경의 영통사와 숭법사, 대구의 부인사와 함께 승려들의 경전 및 율장 시험 장소로 지정되었다. 1190년에는 보조국사가 동화사에 머물며 대대적인 중창을 감독했고, 1298년에는 홍진 국사의 열반 유언을 기려 다시 사찰을 중창했다.
조선 시대에도 여러 차례 중창이 이루어졌다. 1606년 사명대사가 임진왜란 때 입은 피해를 복구했고, 1677년과 1732년에는 상성, 관허, 낙빈 등 승려들에 의해 다시 중창되었다. 대웅전을 포함한 동화사의 주요 법당들이 이 시기에 건립되었다. 임진왜란 (1592–1597) 동안 사명대사는 동화사에 머물면서 승병을 지휘했다.
조선 태종 때인 1407년(태종 7년)과 세종 때인 1424년(세종 6년)의 불교 탄압 당시 존속이 허가된 사찰 목록에 동화사의 이름은 없어, 이 시기에는 폐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화사가 위치한 팔공산 지역은 과거 승시(전통적인 승려 시장)가 열리던 곳이었으며, 인근 산의 사찰들이 생필품을 교환했다. 이 전통 시장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초까지 열렸다. 최근 사찰은 이 전통을 부활시켜 매년 10월 일주일 동안 "승시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1911년, 사찰령 시행 규칙에 의해 조선 31본산으로 지정되었다 (1924년 이후에는 조선 31본산).
2011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 전쟁 당시 금괴가 대웅전에 숨겨져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발굴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동화사의 인지도가 높아져 방문객이 급증했으나, 발굴은 문화재 보호를 이유로 당국에서 허가하지 않았다.[3]
3. 1. 창건과 중창 (삼국시대 ~ 고려시대)
493년(신라 소지왕 15년) 극달 화상(極達和尙)이 유가사(瑜伽寺)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었다.[8] 대한불교조계종 조계종은 이때 창건된 유가사를 동화사의 전신이라고 주장한다.832년(통일신라 흥덕왕 7년) 심지조사(心地祖師)가 중창하면서 동화사로 이름을 바꾸었다.[8] 진표에게서 불골간자를 받은 영심(永深)은 다시 심지조사에게 간자 두 개를 전했다. 심지조사는 간자를 봉안할 땅을 찾기 위해 중악(中岳, 팔공산)의 두 신과 함께 산꼭대기에 올라가 서쪽으로 던졌는데, 간자는 바람에 날려 동화사에서 작은 개울을 건넌 참당(籤堂) 북쪽의 작은 우물에 떨어졌다. 심지조사는 그곳에 강당을 짓고 간자를 봉안했으며, 이곳이 지금의 동화사 금당선원(금당암) 자리이다.[9] 심지왕사가 절을 재건했을 때, 겨울임에도 오동나무 꽃이 피어 '동화사'라고 이름 붙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863년(통일신라 경문왕 3년) 비로암에 3층 석탑과 석조 비로자나불을 조성하여, 9세기 말에는 이미 사찰이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928년(신라 경순왕 1년) 영조선사(靈照禪師)가 동화사의 부속 암자인 염불암을 지었다.
934년(신라 경순왕 7년) 동화사를 중창하였다. 후백제가 신라를 공격했을 때, 신라의 구원 요청에 응한 왕건이 이끄는 고려군 1만 명이 동화사에 머물며 후백제군과 싸웠으나 고려는 참패를 겪었다.
1036년(정종 2년) 왕명에 따라 개경(開京)의 영통사(靈通寺)와 숭법사, 대구의 부인사(符仁寺)와 동화사가 불교 경율(經律) 시험을 치르는 사찰로 지정되었다. (현재 인터넷 검색엔진에는 고려의 사찰명으로 숭법사가 전혀 검색되지 않으므로, 오타인지 검색되지 않는지는 확실치 않다. 다만, 다른 고려의 유명한 국찰로 숭교사(崇敎寺)와 귀법사(歸法寺)는 검색이 되므로, 이전 본 문단의 서술 내용인 숭법사가 숭교사와 귀법사를 합쳐 숭법사로 부른 것일 수도 있겠다는 추정도 가능하다고 본다.)
1190년(명종 20년) 조계종의 개조(開祖)인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이 동화사를 중창하였다.
1202년(신종 5년) 경주의 별초군이 난을 일으키자, 난에 가담하였다.
1298년(충렬왕 24년) 홍진국사(弘眞國師)가 동화사를 하안소(下安所)로 삼고 대구모로 중창하였다. 홍진국사를 기려 부도를 동화사에 세웠다.
3. 2. 조선시대
1592년(선조 25년) 대구부사가 동화사를 관군의 본부로 삼고, 벼슬아치들을 염불암에 들어가게 했다.[11] 사명대사 유정이 영남도총섭(嶺南都總攝)이 되어 영남치영아문(嶺南緇營牙門)을 설치하고 동화사 봉서루에 편액을 걸어 영남지방의 승병을 지휘하였다.[12]1606년(선조 39년) 사명대사 유정이 동화사를 다시 중창하였다.
1677년(숙종 3년) 상숭대사(尙崇大師)가 동화사를 중창하였다.
1732년(영조 8년) 관허(冠虛)와 운구(雲丘), 낙빈(洛濱), 청월(晴月) 등에 의해 동화사가 중건되었다. 현재 동화사의 대웅전, 천태각, 영산전, 봉서루, 심검당 등의 당우들은 영조 때 중창된 것이다.
임진왜란 (1592–1597) 동안 사명대사는 동화사에 머물면서 승병을 지휘했다.
조선 태종에 의한 1407년 (태종 7년) 불교 탄압 당시, 존속을 허가받은 88개의 사찰 안에 동화사의 이름은 없었고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세종에 의한 1424년(세종 6년)의 불교 탄압 때도, 존속을 허가받은 36개의 사찰 안에 이름이 없었고 계속 폐사 상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3. 3. 일제강점기
1911년 동화사에 아미산 포교당이 창건되었다.[1] 1919년 3.1 운동 당시 동화사는 31본산 중 하나였다.[2] 같은 해 3월 23일, 중앙학림의 지시로 윤학조가 대구에 와 동화사 지방학림(현재 동화사 승가대학) 학생인 권청학, 김문옥 등에게 불교계의 만세운동 참여 소식을 알렸다.[3] 1919년 3월 30일, 학림 학생들은 대구 덕산정시장(대구 남문시장)에서 3.30 대구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4] 이 당시 동화사 주지 김남파(金南坡)는 조선총독부에 비슬산 대견사를 없애자고 청원하는 등 친일에 앞장선 인물이었다.[4]일제강점기 1911년, 사찰령 시행 규칙(7월 8일)에 의해 조선 31본산으로 지정되었다 (1924년 이후에는 조선 31본산).[11]
3. 4. 대한민국
1992년 통일약사여래석조대불을 조성하고, 동화사의 많은 건물을 새롭게 지었다.대한불교조계종의 조계종은 신라 소지왕 시대인 493년(소지왕 15년)에 극달화상이 유가사를 창건했으며, 이 유가사가 동화사의 전신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흥덕왕(재위 826년 - 836년) 시대에 심지왕사가 절을 다시 지었을 때, 겨울임에도 오동나무 꽃이 피어 있어 '동화사'라고 이름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조선 태종 때인 1407년(태종 7년)의 불교 탄압 당시 존속이 허가된 88개 사찰, 세종 때인 1424년(세종 6년)의 불교 탄압 때 존속이 허가된 36개 사찰 목록에 동화사의 이름은 없어, 이 시기에는 폐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동화사는 1732년(영조 8년)에 다시 지어진 것이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 사찰령 시행 규칙(7월 8일)에 의해 조선 31본산으로 지정되었다(1924년 이후에는 조선 31본산).
2011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 전쟁 당시 금괴가 대웅전에 숨겨져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발굴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동화사의 인지도가 높아져 방문객이 급증했으나, 발굴은 문화재 보호를 이유로 당국에서 허가하지 않았다.[3]
4. 주요 전각 및 시설
동화사의 주요 전각 및 시설은 다음과 같다.[13]
- '''대웅전 (大雄殿)''' : 석가모니를 주불로 모시고 있으며, 선조 39년 학인이 건물을 세웠다.
- '''봉서루 (鳳棲樓)''' : 봉황의 기운이 서린 누각으로, 대웅전으로 들어가는 입구이다.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가 승병을 지휘했던 곳으로, '''영남치영아문(嶺南緇營牙門)''' 현판이 걸려 있다.
- '''영산전 (靈山殿)''' : 영산회상 모습을 재현한 석가삼존불과 십육나한상이 배치되어 있다. 조선 현종 10년에 세워졌고 1920년에 중건되었다.
- '''조사전 (祖師殿)''' : 동화사를 거쳐간 역대 고승들의 진영을 모신 곳으로, 대웅전 뒤편 서쪽에 있다.
- '''금당암 (金堂庵)''' :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이 있는 곳으로, 현재는 선원으로 사용되어 '''금당선원'''이라고 불린다. 부처님오신날을 제외하고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는다.
- '''비로암 (毘盧庵)''' : 동화사 주차장과 바로 붙어있는 동화사의 율원이다. 863년 통일신라 민애왕을 위해 건립되었으며, 현재 대적광전이라고 불리는 비로전이 있다.
- '''기타 전각''' : 산신을 모신 '''산신각''', 칠성신을 모신 '''칠성각''' (철종 8년 탱화),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모신 '''옹호문'''(2003년 건립), 옛길에 위치한 '''봉황문''', 참선이나 불경 강설용 건물인 '''심검당'''(1605년 건립, 1919년 대구 3·1 운동 계획 장소) 등이 있다.
- '''통일대불 (統一大佛)''' 과 '''통일기원대전 (統一祈願大展)''' : 1992년 점안식을 올린 약사여래불상인 통일대불은 높이 33m로, 정주영 전 현대그룹 회장 등이 시주하였다. 통일기원대전은 통일대불 맞은편에 위치하며, 지하에는 부처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다.
4. 1. 대웅전 (大雄殿)
- 조선 세조 10년 : 대웅전을 수리하였다.
- 선조 39년 : 학인이 현존하는 대웅전 건물을 세웠다.
- 숙종 3년 : 대웅전을 한 번 수리하였다.
- 조선 영조 3년 ~ 영조 8년 : 대웅전을 수리했다.
- 헌종 4년 : 대웅전을 다시 수리하였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이다. 지붕은 다포계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축대 아래 양쪽에는 한 쌍의 괘불대와 노주가 있고, 법당으로 오르는 층계는 정면에 반원형으로 쌓아 올렸다.
대웅전 내부 불단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좌측에 아미타불, 우측에 약사여래불을 모셨다. 또 천장에는 세 마리의 용과 여섯 마리의 봉황이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동화사 뒤뜰은 기가 좋은 곳으로 주민들이 복을 빌러 가는 곳이라고 한다.[18]
6.25 전쟁 당시, 동화사 대웅전 뒤뜰에 40kg의 금괴가 묻혀있다고 주장한 사람이 2011년에 나타났었다. 한국은행까지 가세하여 6.25 전쟁 당시 도난당한 금괴인지 확인하려고 하여 발굴 직전까지 갔으나, 동화사 측이 문화재를 허튼 주장으로 훼손할 수 없다하여 없던 일로 하였다.[19]
4. 2. 봉서루 (鳳棲樓)
봉황의 기운이 서린 누각이라는 뜻이다. 봉서루는 동화사의 누문(樓門)으로, 대웅전이 있는 곳으로 들어가려면 꼭 지나가야 한다.[20]네모난 돌기둥을 세워 누문을 만들고, 그 위에 정면 5칸의 목조 누각을 세운 독특한 건축양식을 가졌다.[20] 팔공산은 봉황의 모습으로 대구광역시를 감싸 안고 있으며, 동화사는 풍수지리적으로 봉황의 아기궁이 자리이다.
누각으로 오르는 계단 중간에는 널찍한 자연석이 하나 놓여 있는데, 흔히 이 부분을 '봉황의 꼬리'라 부른다. 누각 오른쪽 귀퉁이에 있는 세 개의 둥근 돌은 '봉황의 알'을 상징한다. (예전에는 큰 바위가 봉황의 알이라고도 했었다.)[21]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가 영남도총섭(嶺南都摠攝)으로서 동화사에서 승병(치병)을 지휘했던 까닭에 따라 봉서루 안에는 '''영남치영아문(嶺南緇營牙門)'''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22]
4. 3. 영산전 (靈山殿)
동화사의 영산전은 절에 따라 나한전 또는 응진전이라고도 불린다. 대웅전 동편 뒤 담장으로 둘러싸인 별채에 있으며, 안에는 불경의 영산회상 모습을 재현한 석조 석가삼존불을 중심으로 십육나한상이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현판 글씨는 서예가 해사 김성근이 썼다. 맞배지붕에 겹처마 형식의 건축 양식을 갖춘 현재의 영산전은 현종 10년(1669년)에 학찬(學贊)이 세웠던 것을 1920년에 중건한 것이다.
오른쪽에는 요사채가 있는데, 조실채로 사용하고 있다.
4. 4. 조사전 (祖師殿)
조사전(祖師殿)은 동화사를 거쳐간 역대 고승들의 진영을 봉안한 곳이다. 대웅전 뒤편 서쪽에 있으며 18세기 건물이다.동화사를 처음 세웠다는 극달 화상과 보조국사, 사명대사, 세장, 두여, 의첨, 지화, 총륜, 조계종 초대 종정을 지낸 석우 스님 등의 진영이 봉안되어 있다.
현재는 진영을 모두 복사본으로 봉안해 놓았다.
4. 5. 금당암 (金堂庵) - 선원 (禪院)
금당암(金堂庵)은 동화사에서 개울만 건너면 바로 볼 수 있다. 금당(金堂)은 아미타불을 모신 전각으로, 극락전이라고도 부른다. 원래 금당암은 아미타불을 모시고 극락왕생을 빌던 암자였지만, 현재는 선원이 있어 금당선원이라고 더 많이 부른다.[24]선원은 승려들이 참선수행을 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매년 음력 4월 8일 부처님오신날을 제외하고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는다.[24] 신라 법상종의 개조로 알려진 진표대사가 미륵보살 수계의 징표인 간자(簡子)를 영심대사에게 전해주었고, 이를 다시 동화사 중창자인 심지대사가 전해받았다.[25]
심지대사가 간자(簡子)를 봉안할 곳을 찾으려고 팔공산에서 간자(簡子)를 던지자, 날아가 우물가에 떨어졌는데 현재의 금당선원 자리라고 한다.[26]
해방 이후 석우, 효봉 대종사를 비롯, 성철 등 불교 정화의 주체가 된 많은 승려들이 이곳에서 결사를 세웠다. 1974년 5월 증개축 불사로 정비되었으며, 사찰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삼층 석탑 2기(보물 제248호)가 극락전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27] 1600년(선조 33년)에 금당선원 중건이 시작됐고, 그중 극락전을 제일 먼저 건립했다.[28] 수마제전은 금당선원의 극락전 뒤쪽에 있으며, 고금당(古金堂)이라고 전해진다. 1465년(세조 11년)에 건립되었고, 임진왜란 뒤 1702년(숙종 28년)에 중창되었다.[29]


4. 6. 비로암 (毘盧庵) - 율원 (律院)
비로암은 동화사 주차장과 바로 붙어있으며 동화사의 율원이다. 863년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민애왕을 위해 건립한 천년고찰이다.[30]『동화사사적기(桐華寺寺蹟記)』에는 비로암이 아니라 비로전이라고 하고 있어, 원래 같은 사찰로 생각했었던 것 같다.[30] 현재는 비로전을 대적광전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율원으로서의 역사는 그리 길지 못하다. 팔공총림 동화사 율학승가대학원(율원)은 2013년에 설립되어 2015년 2월에 1기 졸업생을 배출하였다.[31]
4. 7. 기타 전각
산신각은 산신을 모신 전각이고, 칠성각은 칠성신을 모신 전각이다. 칠성각의 탱화는 1857년(철종 8년)에 그려진 것이다.[23]동화사 옹호문(擁護門)은 불법(佛法)을 호위하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모셔둔 곳이다. 2003년 12월 1일에 예전 옹호문 자리에 새로 건립하여 낙성식을 가졌다.[32]
1633년 조선 선조 11년에 최초로 건립되었으며, 1965년에 원래 동화사 옹호문 자리에서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33]
봉황문은 흔히 옛길로 부르는 경로에 위치한 동화사의 문이다. 현재는 새로운 큰 길에 동화문이 새로 생겨, 버스가 통과할 정도로 큰 동화문에 비해 봉황문은 왕래가 뜸하다.
심검당은 '지혜의 칼을 찾는 집'이라는 뜻으로, 참선이나 불경 강설용으로 쓰이는 건물에 주로 붙이는 이름이다. 동화사 심검당은 조선 선조 38년(1605년)에 천령(天靈)에 의해 지어졌다.
1919년 3.30 대구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영남 지방학림의 승려 아홉 명이 당시 만세운동 계획을 결의하고 수립했던 장소이다. 현재의 건물은 1978년에 중건된 것으로, 동화사 승려들의 생활 주거 공간으로 쓰이고 있다.
4. 8. 통일대불 (統一大佛)과 통일기원대전 (統一祈願大展)
통일대불은 1990년 10월 26일에 착공하여 1992년 11월 27일에 점안식을 올렸다. 당시 대선 기간이어서 김영삼 전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 정주영 전 현대그룹 회장이 참석했었다.[14]통일대불의 높이는 총 33m이다. (불상 높이 17m, 좌대 높이 13m, 지하 암반에서 참배단까지 높이 3m)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석공 108명이 7개월 동안 황등석 2,000톤으로 불상을, 3,000톤으로 좌대를 만들어 팔공산 동화사로 옮겼다.[15]
약사여래불을 통일대불로 만든 이유는 한반도 통일에 걸림돌이 되는 갈등을 약사여래불이 하루 속히 치유하여 통일을 이루고 한반도에 평화를 가져오자는 뜻이라고 한다.[16]
통일대불 조성에 정주영 전 현대그룹 회장이 많은 시주를 하였고, 부인인 변중석 여사도 15000평을 매입해 주차장 부지로 시주하였다.[17] 통일기원대전은 통일대불 맞은편에 있으며, 전각 안에서 유리를 통해 바로 통일대불의 얼굴을 마주할 수 있다. 지하에는 부처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는 법화경 법당이 있고, 나머지 공간은 박물관과 참선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가는 길은 두 가지가 있는데, 108계단 쪽으로 가면 힘은 들지만 다 올라서서 뒤를 돌아보면 아찔한 희열을 느낄 수 있다.
5. 부속 암자
- 비로암: 예전에 노스님들이 주석하였고, 지금은 율원이 되었다.
- 부도암
- 양진암: 비구니 암자이다.
- 내원암: 비구니 암자이다.
- 염불암
6. 문화재
동화사와 연관된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 목록은 다음과 같다.[35] 문화재 지정번호는 2021년 11월 19일부터 표기하지 않기로 법이 개정되어 현재는 쓰지 않는다.[36]
지정 종류 | 명칭 | 시대 | 지정일 |
---|---|---|---|
보물 |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 신라 | 1963년 1월 21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신라 | 1963년 1월 21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 신라 | 1963년 1월 21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 신라 | 1963년 1월 21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당간지주 | 신라 | 1963년 1월 21일 |
보물 | 대구 도학동 승탑 | 미상 | 1975년 8월 4일 |
보물 | 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 | 통일신라 | 1982년 12월 7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 | 조선 | 2006년 12월 29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대웅전 | 조선 | 2008년 4월 28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 | 조선 | 2009년 2월 23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 | 조선 | 2009년 2월 23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 | 조선 | 2010년 2월 24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 조선 | 2012년 8월 24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 | 조선 | 2012년 8월 24일 |
보물 | 대구 동화사 봉황문 | 조선 | 2022년 12월 28일 |
동화사는 국가지정문화재 14점, 대구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11점, 문화재자료 8점을 소장하고 있다.
7. 기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 전쟁 당시 금괴가 대웅전에 숨겨져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발굴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이 때문에 사찰의 인지도가 높아져 방문객이 급증했으나, 발굴은 문화재 보호를 이유로 당국에서 허가하지 않았다.[3]
7. 1. 동화사 승시 축제
팔공산 일대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 산지에 위치한 사찰끼리 서로 필요한 물품을 물물교환 형식으로 거래하던 승려들의 시장인 승시가 열리던 곳이었다. 동화사는 이 승시를 재현한 '팔공산 승시축제'를 2010년부터 개최하고 있다.
승시라는 독특한 전통을 계승하고 불교문화를 대중화하기 위해, 동화사는 승시와 관련된 학술 세미나, 승시 물물교환 재현, 승려들이 제작한 불교용품 자선바자회를 열고 있다. 또한, 사찰 음식 시연, 영산재, 극달화상 영정이운식, 승무 시연, 판각 및 탁본 체험, 단청 및 불화(탱화) 그리기, 염주, 목탁, 컵 만들기 등 체험 행사와 외국 불교문화 소개 행사도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전통문양 활용 패션 경연대회, 찬불가 경연, 요일별 풍물공연, 줄타기, 널뛰기, 청소년 댄스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2013년부터는 승려들의 씨름 경기인 ‘동화사 주지스님배 씨름대회’도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개최되고 있다.
7. 2. 템플스테이
동화사에서는 내·외국인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37]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도 제공한다.[2]7. 3. 동사심승(桐寺尋僧)
'''동사심승(桐寺尋僧)'''은 "동화사 승려를 찾았다"는 뜻으로, 조선 전기 문종, 세조, 성종을 섬긴 문신 서거정이 지은 시이다.대구십경 중 7경인 동화사 가는 길을 노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uddhism Day to be seen again in 1997, today
http://www.btnnews.t[...]
[2]
웹사이트
Donghwasa Temple stay program
http://eng.templesta[...]
2016-01-24
[3]
뉴스
「韓国の寺に金塊40キロ埋めた」命がけ脱北、発掘に執念燃やす男性の運命は…
https://web.archive.[...]
MSN
2012-02-04
[4]
웹인용
세계최대 동화사 통일약사대불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2-28
[5]
웹인용
4일부터 조계종 산하 사찰 문화재 관람료 면제
https://www.korea.kr[...]
문화체육관광부
2023-05-02
[6]
웹인용
다송문고(茶松文稿) / 茶松文稿卷第一
https://kabc.dongguk[...]
불교문화기록유산 아카이브
2023-03-02
[7]
웹인용
동화사 (桐華寺)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3-02
[8]
웹인용
대구 동화사 사적비 (大邱 桐華寺 事蹟碑) 탁본
http://museum.buddhi[...]
불교중앙박물관
2023-03-02
[9]
서적
삼국유사
1281
[10]
웹인용
동화사 - 연혁
http://www.donghwasa[...]
팔공총림 동화사
2023-03-02
[11]
웹인용
대구하면 '사과, 더위'라는 분들께 추천하는 기사
https://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23-04-25
[12]
웹인용
사명대사의 호국정신 되새겨...동화사에서 추모 다례재
http://news.bbsi.co.[...]
BBS불교방송(재)
2023-04-25
[13]
웹인용
동화사 - 가람배치도
http://www.donghwasa[...]
팔공총림 동화사
2023-03-02
[14]
웹인용
세계최대 동화사 통일약사대불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19
[15]
웹인용
세계최대 동화사 통일약사대불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19
[16]
웹인용
세계최대 동화사 통일약사대불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19
[17]
웹인용
팔공총림 동화사 방장 의현 대종사 "호국불교 다시 꽃 피우는 것이 제 마지막 소임"
https://news.imaeil.[...]
매일신문
2023-05-19
[18]
웹인용
"6·25때 금괴 40㎏ 묻혔다"···한은도 가세, 동화사 소동 전말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3-05-20
[19]
웹인용
"6·25때 금괴 40㎏ 묻혔다"···한은도 가세, 동화사 소동 전말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3-05-20
[20]
웹인용
봉서루(동화사-가람배치도)
http://www.donghwasa[...]
팔공총림 동화사
2023-05-19
[21]
웹인용
봉서루(동화사-가람배치도)
http://www.donghwasa[...]
팔공총림 동화사
2023-05-19
[22]
웹인용
봉서루(동화사-가람배치도)
http://www.donghwasa[...]
팔공총림 동화사
2023-05-19
[23]
웹인용
'[사찰기둥에 걸린 법문 .12] 동화사 칠성각'
https://www.yeongnam[...]
영남일보
2023-05-19
[24]
웹인용
금당암
http://daegudonggu.g[...]
한국중앙학연구원
2023-05-19
[25]
웹인용
간자 (簡子)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19
[26]
웹인용
금당선원
http://www.donghwasa[...]
팔공총림 동화사
2023-05-19
[27]
웹인용
금당선원
http://www.donghwasa[...]
팔공총림 동화사
2023-05-19
[28]
웹인용
칠곡 송림사 대웅전‧대구 동화사 극락전 및 수마제전 ‘보물‘ 지정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23-05-19
[29]
웹인용
칠곡 송림사 대웅전‧대구 동화사 극락전 및 수마제전 ‘보물‘ 지정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23-05-19
[30]
웹인용
비로암
http://daegudonggu.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19
[31]
웹인용
율원소개
http://www.donghwasa[...]
팔공총림 동화사
2023-05-19
[32]
웹인용
'[사찰기둥에 걸린 법문. 33] 동화사 옹호문'
https://www.yeongnam[...]
영남일보
2023-05-19
[33]
웹인용
동화사 봉황문 ‘보물’ 지정 예고
http://news.bbsi.co.[...]
BBS불교방송(재)
2023-05-16
[34]
웹인용
'[大邱十景] ⑦동화사 스님을 찾음'
https://news.imaeil.[...]
매일신문
2023-05-19
[35]
웹인용
동화사 - 주요문화재
http://www.donghwasa[...]
팔공총림 동화사
2023-03-02
[36]
웹인용
국보·보물, ‘지정번호’ 안쓴다…국보 1호 숭례문→‘국보 숭례문’으로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3-05-16
[37]
웹사이트
동화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http://templestay.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