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종합운동장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천종합운동장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지나는 환승역이다. 2012년 10월 27일 7호선 온수 ~ 부평구청 연장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23년 7월 1일 서해선 소사 ~ 대곡 구간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7호선은 섬식 승강장, 서해선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부천종합운동장이 위치해 있으며, K리그2 부천 FC 1995의 홈구장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천시의 전철역 - 송내역
송내역은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급행열차가 정차하고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송내역 환승센터와 송내 로데오거리가 인근에 위치해 있다. - 부천시의 전철역 - 중동역 (부천)
중동역(부천)은 1987년 개업한 경인선 지상역으로,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급행/완행 열차가 운행하며, 중동신도시의 관문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 - 소사역
소사역은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위치한 경인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환승역으로, 1997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8년 서해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향후 여러 노선의 운영이 계획되어 있고 지상 3층의 1호선 승강장과 지하 2층의 서해선 승강장을 갖춘 7개의 출구가 있는 역이다. - 2023년 개업한 철도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2023년 개업한 철도역 - 김포공항역
김포공항역은 서울 강서구에 위치하며 5호선, 공항철도, 9호선, 김포 도시철도, 서해선이 지나고 김포국제공항 및 롯데몰과 연결되어 수도권 서부의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부천종합운동장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한국어) | 부천종합운동장역 |
역 이름 (한자) | 富川綜合運動場驛 |
로마자 표기 | Bucheon jonghap undongjang-yeok |
위치 | 경기도 부천시 |
운영 기관 | 인천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서울 지하철 7호선 서해선 |
역 번호 | 752 (7호선), S15 (서해선) |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3개 |
선로 | 4개 |
개업일 | 2012년 10월 27일 (7호선), 2023년 7월 1일 (서해선) |
7호선 정보 | |
관할 | 인천교통공사 7호선 운영사업단 부천관리역 |
승강장 형태 | 1면 2선 (섬식 승강장) |
영업 거리 | 장암 기점 50.3km |
이전 역 | 751 까치울 |
역간 거리 | 까치울역 1.2 km |
다음 역 | 753 춘의 |
역간 거리 (다음 역) | 춘의역 0.9 km |
부역명 | (부천우리병원) |
서해선 정보 | |
관할 (서해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부천관리역 |
승강장 형태 (서해선)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영업 거리 (서해선) | 일산 기점 22.5 km |
이전 역 (서해선) | S14 원종 |
역간 거리 (서해선) | 원종역 4.3 km |
다음 역 (서해선) | S16 소사 |
역간 거리 (다음 역, 서해선) | 소사역 2.7 km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지도 정보 | |
2. 역사
2012년 10월 27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 ~ 부평구청 연장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2023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 ~ 대곡 구간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4]
2. 1. 7호선
- 2012년 10월 27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 ~ 부평구청 연장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17년 5월 31일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운영 주체가 서울교통공사로 변경됨.
- 2022년 1월 1일 : 까치울 ~ 석남 구간의 운영권이 인천교통공사로 이관됨.
2. 2. 수도권 전철 서해선
2015년 12월 22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착공되었다.[6] 2023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 ~ 대곡 구간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고, 서해선 역으로서 운영을 시작했다.[4]3. 역 구조
7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고,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두 노선 승강장에는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총 5개가 있다.
3. 1. 7호선 승강장
7호선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3. 2. 수도권 전철 서해선 승강장
(일산 방면)(원시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