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제 효소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제 효소제는 북제의 제3대 황제이다. 535년에 태어나 561년에 사망했다. 그는 형인 북제 문선제의 치세 동안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문선제 사후 조서를 위조하여 황제에 즉위했다. 효소제는 인재를 등용하고 기강을 바로잡으려 노력했지만, 고은을 살해하고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제의 사공 - 곡률광
    곡률광은 북제의 장군으로 북주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우고 요직을 거쳤으나, 권력 다툼에 휘말려 모반 혐의로 처형되었다.
북제 효소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효소황제 (孝昭皇帝)
고연 (高演)
연안 (延安)
묘호숙종 (肅宗)
시호효소황제 (孝昭皇帝; "효성스럽고 뛰어난")
가족 성고(高)
왕조북제
출생535년
사망561년 11월 말경
매장지의정릉 (義靖陵)
통치
즉위560년 9월 8일
퇴위561년 11월 말경
이전 통치자폐제
다음 통치자무성제
연호황건 (皇建)
연호 기간560년–561년
가계
아버지고환
어머니누소군
배우자비 (妃)
배우자 유형정비
기타
존호황제

2. 생애

고연은 535년 동위의 최고 사령관이자 보하이 공작이었던 고환과 그의 아내 누소군의 여섯 아들 중 셋째로 태어났다. 형들로는 고징고양이 있었다. 그는 어린 시절 총명하여 어머니의 사랑을 받았으며, 538년 세 살의 나이에 창산 공작에 봉해졌다. 학문에 정진했으며, 특히 《한서》를 즐겨 읽었다고 한다. 중서시랑(中書侍郎) 이동궤(李同軌)를 스승으로 모셔 학문을 배웠다.[5]

550년 형인 문선제 고양이 북제를 세우자 상산왕으로 책봉되었다. 이후 554년 병성상서령(幷省尙書令), 557년 사공과 녹상서사(錄尙書事), 558년 대사마(大司馬)를 역임하며 출세했다. 유흥에 빠지고 잔혹한 행위를 좋아했던 문선제에게 조정에 참가하여 그의 폭정을 간하였다고 한다.[6]

559년 10월 문선제가 붕어하자 고은이 즉위하고, 양음, 연자헌, 송흠도 등이 보좌했으나, 고연은 조정에서 세력을 떨치며 태부, 태사로 전임되었다. 고은은 고연을 제거하려 했지만, 오히려 고연은 고담과 공모하여 조서를 위조해 양음이나 연자헌 등 고은의 측근을 살해하고[7], 대승상이 되어 권력을 장악했다. 560년 8월, 태황태후였던 누소군의 명을 빌려 고은을 폐위시키고 제남왕으로 강등했으며, 스스로 진양의 선덕전에서 황제에 즉위했다.[8]

효소제는 인재를 널리 구하고, 전대까지의 해이해진 조정의 재건에 힘썼다. 민중에 대해서는 세금 감면을 도모하고, 군사면에서는 고막해에 친정하는 등의 공적을 남겼다.

561년 9월, 점술가로부터 고은이 거주하는 업에 천자의 기운이 보인다는 점을 받자[9], 후환을 없애기 위해 폐제가 된 고은에게 칙사를 통해 독약을 마시도록 명했고, 이를 거부한 고은은 칙사의 손에 의해 교살되었으나, 곧 효소제는 이 일을 깊이 후회했다고 한다[10]

그 1개월 후인 10월, 사냥 중에 튀어나온 토끼에 놀란 말에서 떨어져 중상을 입었고, 이 때 어머니 누소군이 문병을 왔다. 그러나 그 자리에서 손자인 고은이 효소제에 의해 살해된 것을 알게 되자, 누소군은 "은은 어디에 있습니까?"라고 물었고, 대답하지 못하는 효소제에게 고은을 살해한 것을 비난하고 떠났다고 한다[11]

같은 해 11월, 죽음을 직감한 효소제는, 자신이 조카 고은을 해쳤을 때와 마찬가지로, 황태자인 아들 고백년이 동생 고담에 의해 해를 입을 것을 두려워하여, 미리 백년을 폐하고 제위를 담에게 양위하고, 백년의 목숨만은 살려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사망했다. 그러나 그 후, 고담도 후환을 없애기 위해, 불과 9살인 백년을 죽음에 이르게 했다.[12]

2. 1. 초기 생애

고연은 535년 동위의 최고 사령관이자 보하이 공작이었던 고환과 그의 아내 누소군의 여섯 아들 중 셋째로 태어났다. 형들로는 고징고양이 있었다.[3] 그는 어린 시절에 총명했다고 전해지며, 어머니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538년 세 살의 나이에 창산 공작에 봉해졌다. 그는 학문에 정진했으며, 특히 《한서》를 즐겨 읽었다고 한다.

538년 상산군공(常山郡公)으로 책봉되었다.[5] 중서시랑(中書侍郎) 이동궤(李同軌)를 스승으로 모시고 학문을 배웠다. 550년 형인 문선제 고양이 북제를 세우자 상산왕으로 책봉되었다.

2. 2. 문선제 치세

538년 상산군공(常山郡公)으로 책봉되었다.[5] 550년 형인 북제 고양(文宣帝 高洋)이 북제를 건국하자 상산왕으로 책봉되었다. 554년 병성상서령(幷省尙書令)에 임명되었다. 557년 사공과 녹상서사(錄尙書事)가 되었다. 558년 대사마(大司馬)로 승진되었다. 고양은 정사를 멀리하는 것에 대해 여러 차례 충고를 하였다.

문제는 통치 초기에 북제를 부지런히 다스렸지만, 통치 후반인 554년경부터는 관료와 자신의 가족 구성원들에게 변덕스럽고 잔혹하게 행동하기 시작했다. 한번은 문제의 연회에 초대받아 그의 얼굴에 슬픔과 불안감이 감돌았는데, 문제는 그가 자신의 음주와 여색에 대한 집착을 비난한다고 추측하고 술을 끊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술을 끊은 것은 며칠에 불과했다. 문제는 또한 궁궐 내에서 불경하고 때로는 부도덕한 놀이를 좋아했지만, 고연이 참석하면 그의 행동을 자제했고, 문제 황제는 종종 귀족 가문을 방문하여 그들의 여자와 성관계를 맺었지만, 고연의 집에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이 기간 동안 고연은 황제의 행동 변화를 시도하는 몇 안 되는 개인 중 한 명이 되었지만, 종종 일시적인 효과만 있었다. 한번은 고연이 문제 황제가 바꿔야 할 행동들을 열거한 청원을 올렸는데, 이로 인해 문제는 그에게 매우 분노하여 그를 죽이겠다고 위협했고, 청원에 기여했다고 의심되는 고연의 수석 고문 왕희(王唏)에게 중노동을 선고했다. 나중 사건에서 문제 황제는 술에 취해 고연에게 시녀를 하사한 후, 술에서 깨어나자 그 사실을 잊고 고연이 시녀를 훔쳤다고 비난하며 칼자루로 심하게 구타했다. 고연은 분노하여 단식 투쟁을 했다. 문제는 고연을 달래기 위해 왕희를 중노동에서 해방시켜 고연의 관저로 돌려보내는 데 동의했다.

문제는 동위의 원(元) 황실을 불신했는데, 고연의 아내 원씨 공주가 그 일족이었기 때문에 고연에게 원씨 공주와 이혼하도록 하려 했지만, 고연은 거절했다. 559년에 문제 황제가 원씨 일족을 학살했을 때, 고연의 간절한 간청으로 문제 황제는 원씨 공주의 아버지 원만(元蠻)과 그의 가족을 살려주었다.

문제의 태자는 그의 아들 고인이었는데, 그는 학문에 정진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한족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선비족의 무사 방식을 선호했던 문제는 고인이 자신의 생각에서 너무 한족적이라고 느껴 그를 여러 번 폐위할 것을 고려했다. 특히 술에 취하면 문제 황제는 종종 고연에게 왕위를 물려주겠다고 말했고, 재상 양인의 경고를 받은 후에야 그렇게 하지 않았는데, 이는 그의 발언이 잠재적으로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고양은 유흥에 빠지고 잔혹한 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고연은 조정에 참가하여 그의 폭정을 간하였다고 한다. 문제는 죽기 전에 고연이 자신의 아들인 고은으로부터 제위를 찬탈할 것을 예감하여, 죽기 직전에 "네가 아들 고은으로부터 제위를 찬탈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하지만 목숨까지 빼앗지는 말아주게"라고 유언했다.[6]

2. 3. 황제 즉위

550년 형인 문선제 고양이 북제를 건국하자 상산왕으로 책봉되었다. 554년 병성상서령(幷省尙書令)에 임명되었고, 557년 사공과 녹상서사(錄尙書事)를 거쳐 558년에는 대사마(大司馬)가 되었다. 559년 10월, 문선제가 죽고 고은이 즉위하자 양음, 연자헌, 송흠도(宋欽道) 등이 보좌했다. 고연은 스스로 조정에서 세력을 떨치며 11월에 태부가 되었고, 560년 2월에 태사가 되었다.[5]

고은은 고연을 제거하려 했지만, 오히려 고연은 고담과 공모하여 조서를 위조해 양음과 연자헌 등 고은의 측근을 살해하고[7], 대승상이 되어 권력을 장악했다. 그해 8월, 태황태후였던 누소군의 명을 빌려 고은을 폐위시키고 제남왕으로 강등했으며, 스스로 진양의 선덕전에서 황제에 즉위했다.[8]

2. 4. 죽음

고연은 재위 기간 동안 제2의 수도인 진양에 머물렀고, 예청에는 머물지 않았으며 예청은 고담의 통제하에 두었다. 고연은 고담이 지나치게 강력해지고 있다고 우려하여 고담의 권한 일부를 장군 후뤼셴(후뤼 진의 아들)에게 넘기려고 했지만, 고담은 자신의 권한을 이전하는 것을 거부했다.[9] 한편, 점술가들은 고연에게 황제의 아우라가 여전히 예청에 있다고 알렸고, 고연은 걱정했다. 고연은 언젠가 다시 왕위를 차지하고 자신에게 보복할 것이라고 우려한 고귀언은 고연에게 그의 조카를 제거해야 한다고 설득했고, 그래서 고연은 지난왕을 진양으로 소환하는 칙령을 내렸다. 고담은 고연이 자신을 황태자로 세우지 않은 것에 실망하여, 잠시 고은을 다시 황제로 선포하고 고연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킬 것을 고려했지만, 결국 그렇게 하지 않기로 했다. 그의 점술가들이 그가 언젠가 황제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알려주었기 때문이다. 그는 고은을 진양으로 보냈다.[9] 얼마 지나지 않아 고연은 암살자를 보내 독이 든 술을 고은에게 전달했다. 고은은 술을 거부했고, 암살자들은 그를 목졸라 죽였다. 고연은 곧 조카를 죽인 것을 후회했다.[10]

561년 겨울, 사냥을 하던 중 고연의 말이 토끼에 놀라 떨어져 갈비뼈가 부러졌다. 누태후가 그를 보러 왔을 때, 그녀는 그에게 고은이 어디에 있느냐고 물었고, 그는 대답할 수 없었다. 누태후는 분노하며 "네가 그를 죽였느냐? 내 말을 듣지 않았으니, 네가 죽어야 한다!"라고 말하고 그를 다시 보지 않고 떠났다.[11] 곧, 자신이 죽음에 임박했다고 믿은 그는 고백년이 왕위를 계승하기에는 너무 어리다는 칙령을 내리고, 대신 왕위는 고담에게 넘겨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고담에게 편지를 써서 "백년은 죄가 없다. 그에게 무엇이든 할 수 있지만, 그를 죽이지 말아 주세요!"라고 적었다. 그는 그날 늦게, 어머니를 남은 평생 모실 수 없음을 슬퍼하며 죽었다. 고담은 곧 진양에 도착하여 왕위를 차지했다 (무성 황제).[12]

3. 가족 관계

배우자자녀


3. 1. 황후

북제 효소제의 황후는 순성황후 원씨이다.[14]

봉호시호성씨재위 기간생몰년도
황후순성황후원씨560년 ~ 561년?


3. 2. 후궁

봉호이름(성씨)비고
빈(嬪)상씨(桑氏)
빈(嬪)양씨(楊氏)
부인(夫人)모씨(毛氏)


3. 3. 황자

순번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낙릉왕(樂陵王)고백년556년 ~ 564년황후 원씨[15]
2양성왕(襄城王)고량상씨
3여남왕(汝南王)고언리(高彦理)
4시평왕(始平王)고언덕(高彦德)
5성양왕(城陽王)고언기(高彦基)
6정양왕(定陽王)고언강(高彦康)[16]
7여양왕(汝陽王)고언충(高彦忠)


  • 고백년은 차남이자 적장자로 여겨지나,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 고량은 서장자이다.
  • 고언리는 셋째 아들이다.
  • 고언덕, 고언기, 고언강, 고언충은 각각 넷째, 다섯째, 여섯째, 일곱째 아들이다. 572년에 각각 시평왕, 성양왕, 정양왕, 여양왕에 봉해진 이후의 소식은 기록에 없다.

3. 4. 황녀

560년 북제 효소제의 딸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고선덕(高善德)이다. 어머니는 상씨이다. 606년에 사망했으며, 향년 47세였다.[13] 육씨(陸氏)와 혼인하였으나 자녀는 확인되지 않는다.

4. 평가

효소제는 정사에 근면하여 황제가 된 후 웬쉬안 황제의 법과 규정을 살피며 부적절하거나 가혹한 법을 개정하려고 노력했고,[3] 루 태후에게 효심이 깊고 형제들을 사랑했다고 한다.[3] 그러나 세부 사항에 지나치게 집착한다는 평가를 받았으며,[3] 점술가의 말에 걱정하고 조카 가오인을 죽인 것을 후회하는 등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보이기도 했다.[1]

4. 1. 긍정적 평가

효소제는 정사에 근면하여, 황제가 된 후 웬쉬안 황제의 법과 규정을 하루 종일 살펴보며 부적절하거나 너무 가혹한 법을 개정하려고 노력했다.[3] 그는 근면함으로 칭찬을 받았지만, 세부 사항에 지나치게 집착한다는 비판도 받았다.[3] 그는 또한 루 태후에게 효심이 깊고 형제들을 사랑했다고 한다.[3]

4. 2. 부정적 평가

효소제는 법과 규정을 개정하고 장기적인 전략 계획을 세우는 등 근면한 모습을 보였지만, 세부 사항에 지나치게 집착한다는 평가를 받았다.[1] 그는 황제의 아우라가 여전히 예청에 있다는 점술가의 말에 걱정하고, 조카 가오인을 죽인 것을 후회하는 등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보이기도 했다.[1]

5. 연호

연호원년2년
서력560년561년
간지경진신사
황건원년2년


참조

[1] 서적 Gao Yan's biography in Book of Northern Qi
[2] 서적 Bei Qi Shu
[3] 논문 Some Remarks on the Chinese "Bulgar" https://www.jstor.or[...] 1998
[4] 문서
[5] 서적 北斉書
[6] 서적 北斉書
[7] 서적 北斉書
[8] 서적 北斉書
[9] 서적 北斉書
[10] 서적 北斉書
[11] 서적 北斉書
[12] 서적 大唐帝国 中国の中世
[13] 문서 建昌長公主高善徳墓誌
[14] 문서 상산왕비(常山王妃)/순성황후(順成皇后)/효소황후(孝昭皇后)
[15] 문서 상산왕세자(常山王世子)/황태자(皇太子)
[16] 문서 정릉왕(定陵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