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가설불가설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가설불가설전은 당나라 시대에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에 등장하는 매우 큰 수이다. 80권 화엄경에서는 107×2122, 즉 10의 37간 제곱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며, 40권 화엄경과 60권 화엄경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정의되지만, 경전에 따라 값에 차이가 있다. 불가설불가설전은 무량대수나 구골보다 훨씬 큰 수이며, 깨달음의 공덕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수는 이중 지수 함수의 증가를 보이거나, 테트레이션 수준에 근접할 정도로 거대한 수를 나타낸다.

2. 정의

나라의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 (팔십 화엄)』[1] 제45권 「아승기품 제30」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2]

100낙차(10만을 의미)를 1구지로 한다. 구지의 구지 배(2승)를 1아유타로 한다. 아유타의 아유타 배를 1나유타로 한다. 나유타의 나유타 배를 1빈바라로 한다. (중략) 불가설전의 불가설전 배를 1불가설불가설로 한다. 이것을 다시 불가설불가설 배를 1불가설불가설전으로 한다.

즉, 락샤(10만)의 100배 (107 = 천만)인 구지를 기준으로, 구지의 2승 (107×21 = 1014 = 백조)을 아유타, 아유타의 2승 (107×22 = 1028 = )을 나유타 (일반 수사의 나유타(1060)와는 다름), 나유타의 2승 (107×23 = 1056 = 아승기)을 빈바라로 하는 식으로, 이 계열의 마지막(122번째)이 불가설불가설전이다. 불가설불가설전은 다음 수식으로 나타낸다.

1불가설불가설전 = 107×2122 = 1037218383881977644441306597687849648128 (≒ 10의 37 승)[3]

이처럼 단위를 2승하면 새로운 단위가 되는 것을 상수라고 하며, 이중 지수 함수에 해당하는 증가 방식이다.

화엄경 제45권 아승지품(阿僧祇品) 제30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4]

100낙차(洛叉;10만을 의미)를 1 구저(倶胝)로 한다. 구저구저(구저*구저)를 1 아유다(阿庾多)로 한다. 아유다*아유다를 1 나유타(那由他)로 한다. 나유타*나유타를 1 빈파라(頻波羅)로 한다. (중략) 불가설전*불가설전을 1 불가설불가설로 한다. 이 불가설불가설*불가설불가설을 1 불가설불가설전으로 한다.

즉, 구저에서 시작하여 그 전에 등장한 단위를 모두 사용하여 새로운 수를 표현할 말이 없을 때, 새로운 단위를 만들어(이것을 상수(上數)라 칭함)가는 식으로 하여, 불가설불가설전은 제122번째에 속하는 것으로

1불가설불가설전=10^{7\times 2^{122}}=103721838388197764521939659768784964812810^{3.7\times 10^{37}}

이다. 즉, 약 10의 37간(澗)제곱이다.

나라의 『화엄경(사십화엄)』에는 팔십화엄과는 다른 체계의 수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경전에서는 105를 락차, 100락차(107)를 구지(倶胝)로 하고, 구지 이상을 상수로 하여 144개의 수명이 열거되어 있다. 그 체계에서 최대의 수명도 "불가설불가설전"이라고 칭하지만, 팔십화엄의 것과는 값이 다르다.

화엄경 제45권 아승지품(阿僧祇品) 제30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5]

100낙차(洛叉;10만을 의미)를 1 구저(倶胝)로 한다. 구저구저(구저*구저)를 1 아유다(阿庾多)로 한다. 아유다*아유다를 1 나유타(那由他)로 한다. 나유타*나유타를 1 빈파라(頻波羅)로 한다. (중략) 불가설전*불가설전을 1 불가설불가설로 한다. 이 불가설불가설*불가설불가설을 1 불가설불가설전으로 한다.

즉, 구저에서 시작하여 그 전에 등장한 단위를 모두 사용하여 새로운 수를 표현할 말이 없을 때, 새로운 단위를 만들어(이것을 상수(上數)라 칭함)가는 식으로 하여, 불가설불가설전은 제122번째에 속하는 것으로

1불가설불가설전=10^{7\times 2^{122}}=103721838388197764521939659768784964812810^{3.7\times 10^{37}}

이다. 즉, 약 10의 37간(澗)제곱이다.

동진의 『화엄경 (육십 화엄)』(번역: 불타발타라)에는 또 다른 체계의 명수가 기재되어 있으며,[5] 이 경전에서는 1010을 구리(拘梨)로 하고, 구리 이상을 상수로 하여 121개의 명수가 열거되어 있다. 그 체계에서 최대의 명수는 "불가설불가설전"이 아닌 "불가설전전"이라 칭하며, 값은 1010×2120=1013292279957849158729038070602803445760 ≒ 101.3×1037이다.

2. 1. 80권 화엄경 (팔십화엄)

나라의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 (팔십 화엄)』[1] 제45권 「아승기품 제30」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2]

100낙차(10만을 의미)를 1구지로 한다. 구지의 구지 배(2승)를 1아유타로 한다. 아유타의 아유타 배를 1나유타로 한다. 나유타의 나유타 배를 1빈바라로 한다. (중략) 불가설전의 불가설전 배를 1불가설불가설로 한다. 이것을 다시 불가설불가설 배를 1불가설불가설전으로 한다.

즉, 락샤(10만)의 100배 (107 = 천만)인 구지를 기준으로, 구지의 2승 (107×21 = 1014 = 백조)을 아유타, 아유타의 2승 (107×22 = 1028 = )을 나유타 (일반 수사의 나유타(1060)와는 다름), 나유타의 2승 (107×23 = 1056 = 아승기)을 빈바라로 하는 식으로, 이 계열의 마지막(122번째)이 불가설불가설전이다. 불가설불가설전은 다음 수식으로 나타낸다.

1불가설불가설전 = 107×2122 = 1037218383881977644441306597687849648128 (≒ 10의 37 승)[3]

이처럼 단위를 2승하면 새로운 단위가 되는 것을 상수라고 하며, 이중 지수 함수에 해당하는 증가 방식이다.

2. 2. 40권 화엄경 (사십화엄)

화엄경 제45권 아승지품(阿僧祇品) 제30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4]

100낙차(洛叉;10만을 의미)를 1 구저(倶胝)로 한다. 구저구저(구저*구저)를 1 아유다(阿庾多)로 한다. 아유다*아유다를 1 나유타(那由他)로 한다. 나유타*나유타를 1 빈파라(頻波羅)로 한다. (중략) 불가설전*불가설전을 1 불가설불가설로 한다. 이 불가설불가설*불가설불가설을 1 불가설불가설전으로 한다.

즉, 구저에서 시작하여 그 전에 등장한 단위를 모두 사용하여 새로운 수를 표현할 말이 없을 때, 새로운 단위를 만들어(이것을 상수(上數)라 칭함)가는 식으로 하여, 불가설불가설전은 제122번째에 속하는 것으로

1불가설불가설전=10^{7\times 2^{122}}=103721838388197764521939659768784964812810^{3.7\times 10^{37}}

이다. 즉, 약 10의 37간(澗)제곱이다.

나라의 『화엄경(사십화엄)』에는 팔십화엄과는 다른 체계의 수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경전에서는 105를 락차, 100락차(107)를 구지(倶胝)로 하고, 구지 이상을 상수로 하여 144개의 수명이 열거되어 있다. 그 체계에서 최대의 수명도 "불가설불가설전"이라고 칭하지만, 팔십화엄의 것과는 값이 다르다.

2. 3. 60권 화엄경 (육십화엄)

화엄경 제45권 아승지품(阿僧祇品) 제30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5]

100낙차(洛叉;10만을 의미)를 1 구저(倶胝)로 한다. 구저구저(구저*구저)를 1 아유다(阿庾多)로 한다. 아유다*아유다를 1 나유타(那由他)로 한다. 나유타*나유타를 1 빈파라(頻波羅)로 한다. (중략) 불가설전*불가설전을 1 불가설불가설로 한다. 이 불가설불가설*불가설불가설을 1 불가설불가설전으로 한다.

즉, 구저에서 시작하여 그 전에 등장한 단위를 모두 사용하여 새로운 수를 표현할 말이 없을 때, 새로운 단위를 만들어(이것을 상수(上數)라 칭함)가는 식으로 하여, 불가설불가설전은 제122번째에 속하는 것으로

1불가설불가설전=107×2122=1037218383881977645219396597687849648128≒103.7×1037

이다. 즉, 약 10의 37간(澗)제곱이다.

동진의 『화엄경 (육십 화엄)』(번역: 불타발타라)에는 또 다른 체계의 명수가 기재되어 있으며,[5] 이 경전에서는 1010을 구리(拘梨)로 하고, 구리 이상을 상수로 하여 121개의 명수가 열거되어 있다. 그 체계에서 최대의 명수는 "불가설불가설전"이 아닌 "불가설전전"이라 칭하며, 값은 1010×2120=1013292279957849158729038070602803445760 ≒ 101.3×1037이다.

3. 다른 큰 수와의 비교

1무량대수는 1068, 구골은 10100이다. 불가설불가설전은 이들 기존의 큰 수에 비해 훨씬 큰 수이다. 무량대수의 약 5400구(溝) 제곱이 1불가설불가설전이 된다.

1불가설불가설전의 270나유타 제곱이 약 1구골플렉스가 된다. 이것은 불가설불가설전이 1구골플렉스(10^구골)보다는 많이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실용적인 값이 아니라, 계산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한 수를 나타내어, 깨달음의 공덕의 크기를 나타내는 의도가 있다. 이중 지수 함수의 증가를 보이거나, 테트레이션 레벨에 근접할 정도로 거대한 수를 상정하고 있으며, 화엄경이 쓰여진 당시의 몇 안 되는 예 중 하나이기도 하다.

4. 현대적 해석 및 의의

참조

[1] 서적 新訳華厳経 大正蔵
[2] 웹사이트 華厳経第45巻、阿僧祇品第三十 http://www.buddhist-[...] buddhist-canon.com 2021-05-20
[3] 웹사이트 記数法の単位(日中対照) https://www.gaoshuka[...] www.gaoshukai.com 2015-01-24
[4] 서적 貞元経 大正蔵
[5] 서적 旧訳華厳経 大正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