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량대수는 한자 문화권의 명수법에서 사용되는 큰 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원나라의 주세걸이 쓴 『산학계몽』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불교 용어에서 유래했다. 일본에서는 『진겁기』에서 처음 등장하며, 시대에 따라 무량대수가 나타내는 값이 다르다. 무량대수는 최대의 수사로 여겨지며, 은하수에 포함된 원자의 총수가 대략 1무량대수에 가깝다고 생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무량대수 | |
---|---|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無量大數 |
로마자 표기 | Muryangdaesu |
의미 | 셀 수 없이 큰 수 |
수학적 정의 | |
값 | 10^68 또는 10^88 (나라에 따라 다름) |
용도 | 큰 수의 단위, 불교 용어 |
기원 및 역사 | |
유래 | 불교 용어에서 유래 |
사용 국가 |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
수 체계 | |
한국의 수 체계 | 10^68 |
중국/일본의 수 체계 | 10^88 |
관련 수 | 자 해 경 개 항하사 아승기 나유타 불가사의 무가승수 |
2. 역사
무량대수는 원의 주세걸이 쓴 『산학계몽』에서 극 이상의 다른 단위와 함께 처음 등장한 '''무량수'''에서 유래한다. 무량수는 불교 용어에서 유래했다. 당시에는 이미 중수가 사용되었으며, 무량수는 불가사의(10120)의 만만의 배로 10128이 된다.
일본에서는 『진겁기』를 통해 무량대수가 처음 등장한다.
한자 문화권에서 정착된 명수법에서는 무량대수(무량수)가 최대의 수사이자, 무량대수보다 큰 수에도 독자적인 이름이 붙여졌다.
은하수에 포함된 원자의 총수가 대략 1무량대수에 가깝다고 생각된다.
2. 1. 일본의 무량대수
일본에서는 진겁기의 간에이 8년 판에서 무량대수로 처음 등장한다. 이 판에서는 재까지를 만진, 극 이상을 만만진으로 했기 때문에 무량대수는 불가사의(1080)의 만만의 배로 1088이 된다.[2] 간에이 11년 판에서 만진으로 통일되었고, 무량대수는 불가사의(1064)의 만 배인 1068이 되었다.[2] 다만, 오늘날에도 간에이 8년 판을 근거로 무량대수를 1088로 하는 사람도 있다.진겁기에서는 판을 거듭할수록 「무량」과 「대수」 사이에 생긴 간격이 넓어져, 후의 판에서는 「무량」과 「대수」라는 다른 수로 여겨지게 되었다.[2] 이 경우, 「무량」이 1068, 「대수」가 1072가 된다.[2] 현재 「무량」과 「대수」가 다른 수로 소개되기도 하지만, 「무량대수」로 하나의 수로 하는 쪽이 일반적이다.[2]
3. 표기법 및 값
무량대수는 원의 주세걸이 쓴 『산학계몽』에서 극 이상의 다른 단위와 함께 처음 등장한 '''무량수'''에서 유래한다. 무량수는 불교 용어에서 유래했다.
일본에서는 『진겁기』 간에이 8년 판에서 무량대수로 처음 등장한다. 다만, 오늘날에도 간에이 8년 판을 근거로 무량대수를 1088으로 하는 사람도 있다. 『진겁기』에서는 판을 거듭할수록 「무량」과 「대수」 사이에 생긴 간격이 넓어져, 후의 판에서는 「무량」과 「대수」라는 다른 수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 경우, 「무량」이 1068, 「대수」가 1072가 된다. 현재 「무량」과 「대수」가 다른 수로 소개되기도 하지만, 「무량대수」로 하나의 수로 하는 쪽이 일반적이다[2]。
한자 문화권에서 정착된 명수법에서는 무량대수(무량수)가 최대의 수사이자, 무량대수보다 큰 수에도 독자적인 이름이 붙여졌다. 은하수에 포함된 원자의 총수가 대략 1무량대수에 가깝다고 생각된다.
무량대수의 자리 및 전후 자리에 있는 명수는 다음과 같다. 하수(下數)・상수(上數)가 행해지던 시대에는 무량수・무량대수는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여기에는 게재하지 않았다.
{| class="wikitable"
|-
! 수 표기
! 만진
(현행)
! 항하사 이후 만만진
(진겁기 간에이 8년 판)
! 모두 만만진
(산학계몽)
|-
! 정의
|
1068 | 일무량대수 |
1069 | 십무량대수 |
1070 | 백무량대수 |
1071 | 천무량대수 |
|
1088 | 일무량대수 |
1089 | 십무량대수 |
1090 | 백무량대수 |
1091 | 천무량대수 |
1092 | 일만무량대수 |
1093 | 십만무량대수 |
1094 | 백만무량대수 |
1095 | 천만무량대수 |
|
10128 | 일무량수 |
10129 | 십무량수 |
10130 | 백무량수 |
10131 | 천무량수 |
10132 | 일만무량수 |
10133 | 십만무량수 |
10134 | 백만무량수 |
10135 | 천만무량수 |
|}
3. 1. 산학계몽 (원나라)
원의 주세걸이 쓴 『산학계몽』에 극 이상의 다른 단위와 함께 처음 등장한 것은 '''무량수'''였다. 무량수는 불교 용어에서 유래했다. 당시에는 이미 중수가 사용되었으며, 무량수는 불가사의(10|십의 백이십제곱영어)의 만만의 배로 10|십의 백이십팔제곱영어이 된다.[2]{| class="wikitable"
|+ 산학계몽의 대수일람표
|-
! 표기법 !! 만진 !! 항하사 이후 만만진 !! (산학 계몽식)
|-
! 정의
|
한 불가사의 | |
---|---|
천 불가사의 | |
한 무량 대수 | |
십 무량 대수 | |
백 무량 대수 | |
천 무량 대수 |
|
만 불가사의 | |
---|---|
천만 불가사의 | |
한 무량 대수 | |
십 무량 대수 | |
백 무량 대수 | |
천 무량 대수 | |
만 무량 대수 | |
십만 무량 대수 | |
백만 무량 대수 | |
천만 무량 대수 |
|
한 불가사의 | |
---|---|
천만 불가사의 | |
한 무량 수 | |
십 무량 수 | |
백 무량 수 | |
천 무량 수 | |
만 무량 수 | |
십만 무량 수 | |
백만 무량 수 | |
천만 무량 수 |
|}
3. 2. 진겁기 (일본)
일본에서는 『진겁기』 간에이 8년 판에서 무량대수가 처음 등장한다. 이 판에서는 재(載)까지를 만진, 극(極) 이상을 만만진으로 했기 때문에 무량대수는 불가사의(1080)의 만만 배로 1088이 된다. 간에이 11년 판에서는 만진으로 통일되었고, 무량대수는 불가사의(1064)의 만 배인 1068이 되었다. 다만, 오늘날에도 간에이 8년 판을 근거로 무량대수를 1088으로 하는 사람도 있다.『진겁기』에서는 판을 거듭할수록 「무량」과 「대수」 사이에 생긴 간격이 넓어져, 후의 판에서는 「무량」과 「대수」라는 다른 수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 경우, 「무량」이 1068, 「대수」가 1072가 된다. 현재 「무량」과 「대수」가 다른 수로 소개되기도 하지만, 「무량대수」로 하나의 수로 하는 쪽이 일반적이다[2]。
3. 3. 현대 (대한민국)
무량대수는 불교 용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수 단위이다. 따라서 이 섹션에서는 무량대수가 현대 한국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실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또는 사용되지 않는지) 설명한다.현대 한국어에서 '무량대수'라는 단어는 실질적인 수치(數値)를 나타내기보다는, "굉장히 큰 수" 또는 "셀 수 없이 많은" 정도의 의미로 사용된다. 일상생활에서 이 단어를 접할 기회는 거의 없으며, 주로 문학적인 표현이나 과장된 비유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무량대수의 시간이 흘러도 변치 않는 사랑"과 같은 표현에서 무량대수는 정확한 숫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매우 오랜 시간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사실상 현대 한국어에서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내는 다른 표현들(예: 조, 경, 해 등)이 훨씬 널리 사용되며, 무량대수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4. 대수일람표
(현행)
! 항하사 이후 만만진
(진겁기(塵劫記) 간에이 8년식)
! 모두 만만진
(산학계몽식)
|-
! 정의
|
1064 | 일 불가사의 |
... | |
1067 | 천 불가사의 |
1068 | 일 무량대수 |
1069 | 십 무량대수 |
1070 | 백 무량대수 |
1071 | 천 무량대수 |
|
1080 | 일 불가사의 |
... | |
1087 | 천만 불가사의 |
1088 | 일 무량대수 |
1089 | 십 무량대수 |
1090 | 백 무량대수 |
1091 | 천 무량대수 |
1092 | 일만 무량대수 |
1093 | 십만 무량대수 |
1094 | 백만 무량대수 |
1095 | 천만 무량대수 |
|
10120 | 일 불가사의 |
... | |
10127 | 천만 불가사의 |
10128 | 일 무량수 |
10129 | 십 무량수 |
10130 | 백 무량수 |
10131 | 천 무량수 |
10132 | 일만 무량수 |
10133 | 십만 무량수 |
10134 | 백만 무량수 |
10135 | 천만 무량수 |
|}
5. 현대적 의의
17×17 격자 모양의 길에 대해, 같은 곳을 두 번 지나지 않는 경우의 수는 63무량대수 4481불가사의 4611나유타 2379아승기 6397항하사 1310극 2975재 4079정 5524간 4004구 4944양 3986𥝱 8664해 8069경 3646조 3693억 8785만 5336가지이다.[3]
참조
[1]
서적
巨人数入門
http://gyafun.jp/ln/[...]
[2]
문서
たとえば『日本国語大辞典』で、「無量」「大数」のどちらも数詞としては説明せず、「無量大数」の項では数詞としている
[3]
OEIS
A007764
http://oeis.org/A007[...]
[4]
문서
무량대수
글로벌 세계 대백과
[5]
웹인용
김병덕: 우리나라의 명수법
https://web.archive.[...]
2012-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