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후는 시신이 부패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하며,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의 징표로 여겨진다. 가톨릭에서는 시신 검사를 통해 유물의 수집을 허용하며, 불후성은 시신의 보존 상태와는 구별된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자연적인 미라화와 초자연적인 불후를 구분하며, 많은 성인들의 시신이 부패하지 않은 채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 유대교에서도 바룩의 시신이 부패하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기타 종교 및 문화에서도 관련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적 - 성모 발현
    성모 발현은 기독교 역사에서 성모 마리아가 나타났다는 주장으로, 개인적 경험에서 시작하여 대규모 발현으로 발전했으며, 가톨릭 교회는 엄격한 평가를 통해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 예술, 문학, 사회 운동 등에 영향을 미치지만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기적 - 홍해의 기적
    홍해의 기적은 출애굽기에 기록된 이스라엘 백성의 탈출 사건으로, 모세의 인도로 홍해를 건너 이집트 군대의 추격을 피했다는 이야기이며, 역사적 논쟁과 다양한 해석, 문화적 영향을 가지고 있다.
  • 기독교 성인 - 모든 성인 대축일
    모든 성인 대축일은 기독교 축일로, 모든 성인과 순교자를 기념하며, 서방 교회에서는 11월 1일에, 동방 교회에서는 오순절 다음 주일에 기념하고, 많은 국가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어 묘지를 방문하여 고인을 기리는 풍습이 있다.
  • 기독교 성인 - 성인전
    성인전은 기독교를 포함한 여러 종교에서 성인으로 존경받는 인물들의 삶과 업적을 기록한 전기적 문헌으로, 신앙심 고취, 역사적 정보 제공, 지역 및 국가 숭배 장려, 순례 개발 등에 기여했으며, 과거 사회의 사상과 세계관을 반영하는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미라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미라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불후
일반 정보
정의일부 가톨릭과 정교회 성인의 시신이 기적적으로 보존되었다고 여겨지는 현상
설명시신이 부패하지 않거나, 부패 속도가 매우 느리다고 여겨짐
관련 종교가톨릭교
정교회
특징기적적인 현상으로 여겨짐
역사적 관점
초기 기독교순교자의 유해는 존경받고 신성하게 여겨짐
중세 시대성인의 유해는 기적과 권위의 상징으로 숭배됨
현대과학적 조사와 종교적 믿음 사이의 논쟁이 지속됨
가톨릭교
공식 입장부패하지 않음은 성덕의 징표로 간주될 수 있지만, 필수적인 조건은 아님
관련된 성인성녀 가타리나 라부레
성녀 테레사 데 아빌라
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
성녀 베르나데트 수비루
성녀 체칠리아
성녀 리타
성녀 마리아 고레티
정교회
공식 입장부패하지 않음은 성덕의 표징으로 여겨지지만, 절대적인 기준으로 간주되지는 않음
관련된 성인성 세라핌
성 알렉산드르 스비르스키
성 니키타
성 요한 막시모비치
기타 정보성인의 유해는 종종 향기로운 기름을 흘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과학적 관점
설명환경 조건, 시신 보존 처리, 또는 자연적인 화학 반응 등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음
일부 사례는 밀랍화와 같은 자연적 보존 과정의 결과일 수 있음
추가 정보
관련 용어성유
참고 문헌Quigley, Christine (2005). The Corpse: A History. McFarland. p. 254. ISBN 978-0786424498.

2. 가톨릭

가톨릭에서는 시신이 사후에 부패하지 않는 현상을 성인임을 나타내는 징표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교회법은 이러한 시신을 유물로 간주하여 검사하고 보존하는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2] 검사를 통해 확인된 유물은 특별한 방식으로 처리되어 보존되며, 때로는 공개적인 공경을 위해 전시되거나 제단 아래에 안치되기도 한다. 시신 전체가 아닌 일부만 부패하지 않는 경우도 보고된다.[3][4]

2. 1. 성인의 유해

가톨릭교회에서는 시신이 사후에 부패하지 않는 현상을 성인의 징표로 여기는 전통이 있다. 교회는 이러한 시신을 유물로 공경하며, 교회법에 따라 검사 및 보존 절차를 진행한다.[2] 유물 검사 후에는 시신을 공개 성유물함에 안치하여 공경을 받도록 전시하거나, 제단 아래에 묻어 그 위에서 미사를 거행하기도 한다.

불후성은 단순히 시신의 보존 상태가 좋거나 미라화된 것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불후의 시신은 종종 달콤하거나 과 같은 기분 좋은 향기를 발산하며, 이를 성인의 향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모든 성인의 시신이 부패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신자들은 불후성을 초자연적 현상으로 보지만, 현대 가톨릭교회에서는 이를 더 이상 성인으로 인정받기 위한 필수적인 기적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5]

또한, 인위적인 방부 처리를 거친 시신은 불후의 시신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교황 요한 23세의 시신은 발굴 당시 매우 온전한 상태를 유지했지만, 교회 관계자들은 시신이 방부 처리되었으며[6] 밀봉된 삼중 관 속에 산소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7]

2. 1. 1. 대표적인 불후의 시신

가톨릭교회에서는 시신이 사후 부패하지 않는 현상을 성인임을 나타내는 징표 중 하나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교회법은 유물 수집을 위해 시신 검사를 허용하며, 검사 후 유물은 왁스로 밀봉하고 시신은 다시 안치해야 한다. 이러한 검사는 주교만이 집행할 수 있으며, 교황청 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하다.[2] 검사 후에는 시신을 공개 성유물함에 안치하여 신자들이 공경할 수 있도록 전시하기도 한다. 가톨릭 법에 따라 성인의 시신은 제단 아래에 묻힐 수 있으며, 이 경우 시신 위에서 미사를 거행할 수 있다.

시신 전체가 아닌 일부만 부패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파도바의 안토니오는 혀와 턱만 보존되었는데, 1263년 시신 발굴에 참여했던 보나벤투라는 이를 안토니오가 "하느님의 사랑의 메신저"라는 증표로 해석했다.[3] 다른 성인전에서는 혀가 보존된 것을 "혀를 통해 형성된 가르침의 완벽함"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4]

베르나데트 수비루의 유해는 여러 차례 검사를 거쳤고, 교회 재판소는 시신이 보존되었다고 보고했다. 1919년과 1925년에 관이 개봉되었으나,[8] 얼굴과 손은 보존 상태 문제로 왁스 마스크로 덮여 있다.[9]

가톨릭 교회에서 불후 상태로 인정받거나 알려진 대표적인 성인들의 시신은 다음과 같다.

성녀 카시아의 리타 (1381 – 1457년 5월 22일)의 시신. 불후 상태로 알려져 있다.


성녀 카트린 라부레 (1806년 5월 2일 – 1876년 12월 31일)의 시신. 불후 상태로 알려져 있다.

2. 2. 평가

가톨릭교회에서는 시신이 사후 부패하지 않는 현상, 즉 불후(不朽)를 해당 인물이 성인임을 나타내는 징표 중 하나로 여기기도 한다. 그러나 불후성은 시신의 보존 상태가 좋은 것이나 미라화된 것과는 구별된다고 여겨진다. 불후의 시신은 종종 달콤하거나 과 같은 기분 좋은 향기, 이른바 성인의 향기를 풍긴다고 알려져 있다.

모든 성인이 불후의 시신을 갖는 것은 아니며, 신자들은 불후성을 초자연적 현상으로 보지만, 더 이상 성인으로 인정받기 위한 필수적인 기적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5]

방부 처리된 시신은 불후의 시신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교황 요한 23세의 시신은 발굴 당시 놀랍도록 온전한 상태였으나, 이는 시신이 방부 처리되었고[6] 밀봉된 삼중 관 속에 산소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설명되었다.[7]

시신의 일부만 부패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파도바의 안토니오의 경우, 혀와 턱만 보존되고 나머지 시신은 부패했다. 1263년 시신 발굴에 참여했던 보나벤투라는 이를 안토니오가 "하느님의 사랑의 메신저"였다는 증표로 해석했다.[3] 다른 성인전에서는 혀가 보존된 것을 "혀를 통해 형성된 가르침의 완벽함"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4]

베르나데트 수비루의 유해는 여러 차례 검사를 거쳐 교회 재판소에서 시신이 보존되었음을 확인했다.[8] 그러나 현재 공개된 모습은 얼굴과 손이 왁스 마스크로 덮여 있다.[9]

3.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에서는 시신의 상태를 자연적인 미라화와 초자연적인 불후의 상태로 구분하여 이해한다. 비록 시신이 썩지 않는 불후의 상태가 성인으로 인정받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지만, 많은 동방 정교회 성인들의 시신이 부패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어 큰 존경을 받고 있다. 이러한 불후의 시신은 신앙의 중요한 증거이자 성인의 특별한 징표로 여겨지기도 한다.

3. 1. 대표적인 불후의 시신

유지된 상태의 안토니, 요한, 에우스타티오스 유해, 빌뉴스의 성령 정교회에 있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자연적인 미라화와 초자연적인 불후의 상태로 여겨지는 것을 구분한다. 불후의 상태가 일반적으로 성인이 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시신이 부패하지 않은 채 발견되어 존경받는 동방 정교회 성인이 많이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알렉산드르 스비르: 이 성인의 부패하지 않은 유해는 여러 차례 압수 시도가 실패한 후, 1918년 12월 20일 볼셰비키에 의해 스비르 수도원에서 옮겨졌다. 유해는 페트로그라드의 군사 의학 아카데미로 보내져 거의 80년 동안 보관되었다. 성 알렉산드르의 유해는 1997년 12월에 다시 발견되어 스비르 수도원으로 반환되었다.[10]
  • 성 안토니, 요한, 에우스타티오스
  • 성 디오니시오스 자킨토스
  • 성 엘리자베스
  • 성 게라시무스 케팔로니아
  • 성 이오아사프 벨고로드: 1918년 볼셰비키는 성 이오아사프의 유해를 벨고로드의 성 삼위일체 대성당에 있는 그의 신사에서 옮겼고, 약 70년 동안 행방을 알 수 없었다. 1927년에는 대성당 자체가 철거되었다. 1980년대 후반, 유해는 레닌그라드의 종교 및 무신론 박물관에서 발견되었고, 1991년 9월 16일 알렉시 2세 총대주교가 참석한 가운데 벨고로드의 새로운 주님 변모 대성당으로 장엄하게 반환되었다.[11]
  • 성 요브 포차예프
  • 성 요한 막시모비치 상하이 및 샌프란시스코
  • 성 요한 러시아
  • 성 넥타리오스 아이기나
  • 성 파라스케바 발칸
  • 스피리돈 성인, 케르키라(코르푸) 섬
  • 성 테오도라 황후, 케르키라(코르푸) 섬
  • 비사리온 장로 (+1991) 그리스 아가톤 성모 수도원
  • 복녀 수녀 에이리니 미르티디오티사, 오이누세이 섬, 그리스
  • 성 조시마
  • 드미트리 로이스터 대주교[12]

4. 유대교

랍비 루이 긴즈버그는 그의 저서 《유대인의 전설》(4권, 10장)에서 유대교 외경과 아가다를 근거로 하여, 성경의 인물인 바룩 벤 네리야의 시신이 부패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언급한다. 바룩은 예레미야의 서기관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무덤은 이라크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13] 이와 비슷한 이야기는 후대의 하레디 유대교 성자들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리즈헨스크의 엘리멜레크와 같은 인물들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참조

[1] 서적 The Corpse: A History McFarland
[2] 웹사이트 The Re-Vesting of the Relics of St. John of Shanghai & San Francisco http://www.pravoslav[...]
[3] 웹사이트 The opening of St. Anthony’s tomb and the ‘Feast of the Tongue’ – EWTN Global Catholic Television Network https://ewtn.co.uk/a[...] 2024-06-13
[4] 웹사이트 St. Anthony of Padua https://www.catholic[...]
[5] 웹사이트 The Incorruptibles https://archive.toda[...] Discover 2001-06
[6] 웹사이트 Blessed John XXIII's Remains Are Now On View At St Peter's http://www.christian[...] 2001-06-01
[7] 간행물 Preserving the Pontiff: an account of the body preservation methods used by the Roman Catholic Church https://www.research[...]
[8] 웹사이트 The Body of Saint Bernadette http://www.catholicp[...]
[9] 웹사이트 The Incorrupt Body of Saint Bernadette Soubirous | Miracles | ANF Articles https://www.american[...]
[10] 웹사이트 The Marvelous Wonderworker of All Russia, Holy Venerable Alexander of Svir. St. Petersburg: Holy Trinity Monastery of St. Alexander of Svir, 2002. http://www.theorthod[...]
[11] 웹사이트 ST. IOSAF THE DIVINE PROTECTOR https://www.angelfir[...]
[12] 웹사이트 PHOTOS: PERSONAL TESTIMONY TO ARCHBISHOP DIMITRI'S INCORRUPT RELICS https://orthochristi[...] 2016-03-07
[13] 웹사이트 The Legends of the Jews By Louis Ginzberg. Volume 4. Chapter 10. 1909. http://www.gutenberg[...]
[14] 문서 左側の聖職者は白い[[クロブーク]]を被っており水色のマンティヤを着用しているため、[[府主教]]。右側の聖職者は、クロブークを被りエピタラヒリを着用している一方で、このような時に通例[[主教]]職が着用するマンティヤは着用していないため、[[掌院]]、[[典院]]、[[修道司祭]]のいずれかであると推測でき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