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인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인전은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등 종교에서 숭배 대상인 성인의 삶을 기록한 문학 장르이다. 초기 기독교 교회에서 중요한 문학 장르였으며, 영감을 주는 이야기와 전설, 역사적 정보를 제공했다. 기독교에서는 순교자들의 전설을 기록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지역 또는 국가 숭배를 장려하고 순례를 개발하는 데 사용되었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10세기부터 시메온 메타프라스테스에 의해 도덕적이고 찬양적인 성격을 부여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오리엔트 정교회와 이슬람교, 유대교에서도 고유한 성인전 전통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성인 - 모든 성인 대축일
    모든 성인 대축일은 기독교 축일로, 모든 성인과 순교자를 기념하며, 서방 교회에서는 11월 1일에, 동방 교회에서는 오순절 다음 주일에 기념하고, 많은 국가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어 묘지를 방문하여 고인을 기리는 풍습이 있다.
  • 기독교 성인 - 교회학자
    교회학자는 기독교 신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탁월한 학문과 삶의 성화, 교회의 선포라는 조건을 충족하며, 그들의 저술과 가르침은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고, 가톨릭교회 외 다른 교파에서도 인정하며, 서방 교회의 4대 라틴 교회학자와 동방 교회의 주요 학자들이 대표적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성인전

2. 기독교

성행전(Hagiography)은 초기 기독교 교회에서 중요한 문학 장르였으며, 영감을 주는 이야기와 전설, 그리고 역사적 정보를 함께 제공했다. 성인에 대한 성행전적 기록은 전기(''vita''), 성인의 행적이나 기적에 대한 묘사, 성인의 순교에 대한 기록(''passio'') 등을 포함한다.

4세기경 성인들의 삶에 대한 목록에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었다.


  • 메나이온(''menaion''): 연간 달력 목록 또는 설교에서 읽을 성인들의 전기. (그리스어 μηναῖονgrc, 은 "월간의"(형용사, 중성)를 의미하며, 문자 그대로 "달의"를 의미함)
  • 시낙사리온(''synaxarion''): 날짜별로 정리된 성인들의 삶에 대한 간략한 버전. ("모으는 것"; 그리스어 συναξάριονgrc, σύναξιςgrc, 즉 "모임", "수집", "편찬"에서 유래)
  • 파테리콘(''paterikon''): 목록 편집자가 선택한 특정 성인들의 전기. ("아버지들의 것"; 그리스어 πατερικόνgrc;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paterla는 "아버지"를 의미함)


서유럽에서는 성행전이 중세 시대 동안 영감을 주는 역사 연구의 중요한 수단 중 하나였다. 야코부스 드 보라지네의 황금전설(''Golden Legend'')은 기적 이야기에 강조점을 두고 많은 중세 성행전 자료를 편찬했다. 성인전은 종종 지역 또는 국가의 숭배를 장려하고 특히 유물을 방문하기 위한 순례를 개발하기 위해 쓰여졌다. 폴란드 그니에즈노 대성당의 청동 그니에즈노 문(Gniezno Doors)은 유럽에서 성인의 삶을 특징으로 하는 유일한 로마네스크 양식의 문이다. 대성당에 묻힌 성 프라하의 아달베르트의 삶은 18개의 장면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아마도 그의 삶에 대한 잃어버린 채색 사본을 기반으로 했을 것이다.

볼란디스트(Bollandists) 협회는 기독교 성인들의 삶과 관련된 자료의 연구, 학술 모임, 평가 및 출판을 계속하고 있다 (''Acta Sanctorum'' 참조).

10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사 시메온 메타프라스테스는 처음으로 성인들의 전기를 도덕적이고 찬양하는 성격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그의 성인전 목록은 서구 세계와 동구 세계의 성인전 작가들의 표준이 되었으며, 그들은 점차 실제 삶의 사실에서 벗어나 이상적인 성인들의 상대적 전기와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수년에 걸쳐 성인전 장르는 수많은 서사적 줄거리와 시적 이미지(종종 과 싸우는 것과 같은 기독교 이전의 기원을 가진 것들), 중세 우화, 단편 소설 및 일화들을 흡수하였다.

성인전 장르는 9세기 후반과 10세기 초 제1 불가리아 제국의 슬라브 세계에 소개되었으며, 최초의 독창적인 성인전이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오흐리드의 클레멘트 및 프레스라프의 나움에 대해 제작되었다. 불가리아인들은 이 장르를 키예프 루스서기와 함께 그리고 그리스어에서 번역을 통해 전파하였다. 11세기, 그들은 자신들의 최초 성인들, 예를 들어 보리스와 글레브, 키예프의 테오도시우스 등에 대한 독창적인 이야기를 편찬하기 시작하였다. 16세기, 모스크바의 총대주교 마카리우스는 러시아 성인들의 목록을 확장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편찬하는 과정을 감독하였다. 이들은 일 년의 각 달에 따라 12권으로 구성된 ''벨리키예 체트이-미네이'' 목록(Великие Четьи-Минеи, 또는 대 메나이온 독서)에 편찬되었다. 이들은 1684년에서 1705년 사이에 성 로스토프의 드미트리에 의해 개정 및 확장되었다.

오늘날 성인전 장르의 작품들은 귀중한 역사적 자료와 과거의 다양한 사회적 사상, 세계관 및 미학적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동방 정교회(Oriental Orthodox Churches) 역시 자신들만의 성인전(hagiographic traditions)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헤도 교회의 성인전은 게에즈어로 쓰여 있으며, 가들(gadl, Saint's Life)이라고 불린다.[19]

2. 1. 발전

성행전(Hagiography)은 초기 기독교 교회에서 중요한 문학 장르였으며, 영감을 주는 이야기와 전설, 그리고 역사적 정보를 제공했다. 성인에 대한 기록은 전기(''vita''), 행적이나 기적 묘사, 순교 기록(''passio'')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성인들의 삶에 대한 장르는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 순교자들의 전설이 기록되면서 시작되었다. 4세기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유형의 성인 목록이 있었다.

유형설명
메나이온(menaion)설교에서 읽을 성인들의 전기. 연간 달력 목록 형태.
시낙사리온(synaxarion)날짜별로 정리된 성인들의 삶에 대한 간략한 버전.
파테리콘(paterikon)목록 편집자가 선택한 특정 성인들의 전기.



초기 성인들의 삶은 사막의 교부(Desert Fathers)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으며, 알렉산드리아의 안토니우스의 삶이 이 유형의 첫 번째 예로 여겨진다.[9]

서유럽에서는 야코부스 드 보라지네의 황금 전설(''Golden Legend'')이 중세 성행전 자료를 집대성했다. 성인전은 지역 숭배를 장려하고 순례를 유도하기 위해 쓰여지기도 했다. 폴란드 그니에즈노 대성당의 청동 그니에즈노 문(Gniezno Doors)은 성 프라하의 아달베르트의 삶을 18개의 장면으로 묘사하고 있다.

볼란디스트(Bollandists) 협회는 기독교 성인들의 삶과 관련된 자료를 연구하고 출판하는 ''Acta Sanctorum''을 간행하고 있다.

중세 잉글랜드에서는 앵글로-노르망어로 쓰여진 성행전이 많았다. 7-8세기 라틴어 문학이 소개되면서 성인의 일생을 다룬 장르가 인기를 얻었다. 이는 ''베오울프''와 같은 영웅 서사시와 유사점을 가지지만, 성인은 영적인 인물이라는 차이가 있다.

앵글로색슨 시대와 중세 잉글랜드에서 성행전은 문맹자들을 가르치는 중요한 문학 장르였다. 에인샴의 앨프릭 수도원장은 ''성인들의 삶''[10]을 통해 많은 성인들의 삶을 묘사했다.

잉글랜드에서는 성인 메리아섹과 키아의 삶을 다룬 콘월어 작품인 ''베우난스 메리아섹''과 ''베우난스 케''가 방언극으로 각색되기도 했다.[11]

다른 성행전 예로는 휴 캔디더스의 ''연대기'',[12] 세이건 사본,[13][14] 존 릴랜드의 목록,[15][16] 성인 카독의 책 ''삶'',[17] 치체스터의 리처드의 ''Vita Sancti Ricardi Episcopi et Confessoris Cycestrensis''/삶(랄프 보킹 저),[18] 마저리 켐프의 책 등이 있다.

《오엔구스의 순교록》 1월 1일과 2일 항목


아일랜드는 중세 시대에 방대한 성인전 자료를 제작했다. 아일랜드 성인전 작가들은 주로 라틴어로 저술했지만, 일부는 아일랜드어로 쓰여졌다. 성 패트릭, 성 콜롬바, 성 브리짓/브리기드의 전기가 주목할 만하며, 가장 오래된 현존 전기는 코기토수스가 저술했다. 탈라의 순교록과 펠리레 오엔구소와 같은 성인전 달력도 중요한 자료이다.

성녀 파라스케바의 회화적 성인전(페치 총대주교청(수도원), 1719~1720년)


그리스 정교회 회화적 성인전의 예시. 성소피아 대성당에 있는 12세기에 만들어진 만능의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 세례자 요한을 묘사한 모자이크.


10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사 시메온 메타프라스테스는 성인전을 도덕적이고 찬양하는 성격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그의 목록은 서구와 동구 성인전 작가들의 표준이 되었다. 성인전 장르는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서사적 줄거리와 시적 이미지, 중세 우화, 단편 소설, 일화들을 흡수하였다.

성인전 장르는 9세기 후반과 10세기 초 제1 불가리아 제국에서 슬라브 세계에 소개되었고, 키예프 루스를 거쳐 러시아로 전파되었다. 11세기, 보리스와 글레브, 키예프의 테오도시우스 등 최초의 러시아 성인들의 이야기가 편찬되었다. 16세기, 모스크바의 총대주교 마카리우스는 러시아 성인 목록을 확장하고 ''벨리키예 체트이-미네이'' 목록(대 메나이온 독서)을 편찬했다. 이는 로스토프의 드미트리에 의해 개정 및 확장되었다.

''알렉산더 네프스키의 전기''는 주목할 만한 성인전 작품이다.

오늘날 성인전은 역사적 자료, 사회적 사상, 세계관, 미학적 개념을 반영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동방 정교회(Oriental Orthodox Churches) 역시 고유의 성인전을 가지고 있다.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헤도 교회(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의 성인전은 게에즈어(Ge'ez language)로 쓰여졌으며, 가들(gadl, Saint's Life)이라고 불린다.[19] 토착 성인들에 관한 약 200편의 성인전이 있으며,[20] 이들은 중세 에티오피아(Medieval Ethiopian) 시대의 가장 중요한 서면 자료 중 하나이다.[21] 성인의 제자들이 쓴 것도 있고, 성인의 죽음 직후 또는 오랜 시간이 지나서 쓰여진 것도 있다.[22][23] 구누비아어(Old Nubian)로 쓰인 성 미카엘의 성인전 조각들이 남아 있다.[24]

2. 2. 중세 잉글랜드

7세기와 8세기에 라틴어 문학이 잉글랜드에 소개되면서 성인의 일생을 다룬 장르는 점점 인기를 얻었다.[9] ''베오울프''와 같은 인기 있는 영웅 서사시와 비교하면 특정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베오울프''에서 주인공은 그렌델과 그의 어머니와 싸우는 반면, 아타나시우스의 안토니우스(성행전 모티프의 원천 중 하나)나 구슬락과 같은 성인은 영적인 의미에서 그에 못지않은 존재들과 싸운다. 두 장르 모두 영웅-전사적 인물에 초점을 맞추지만, 성인은 영적인 성격을 띤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스도의 삶을 본받는 것이 성인을 평가하는 기준이었고, 성인의 삶을 본받는 것이 일반 대중이 자신을 평가하는 기준이었다. 앵글로색슨 시대와 중세 잉글랜드에서 성행전은 대부분 문맹이었던 독자들을 가르치는 데 가장 뛰어난 문학 장르가 되었다. 성행전은 사제들과 신학자들에게 고전적인 교본을 제공하여, 성인들의 삶의 모범을 통해 신앙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수사적 도구를 제공했다.[10]

영국 성행전 작가 중에서 이 장르의 중요성을 가장 잘 알고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사람은 에인샴의 앨프릭 수도원장이다. 그의 작품인 ''성인들의 삶''[10]은 예전에 영국 교회에서 지켰던 성인 축일에 관한 설교 모음집이다. 이 책은 라틴어와 고대 영어로 된 서문 두 개와 12월 25일 그리스도의 탄생으로 시작하여 성인 축일이 없는 세 편의 글로 끝나는 39개의 성인 일대기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일 년 내내 이어지며 영국과 유럽 대륙의 많은 성인들의 삶을 묘사하고 초기 교회의 가장 오래된 성인들 중 일부를 되짚어본다.

성인의 삶이 영국에서 방언극으로 각색된 사례는 두 가지가 알려져 있다. 이들은 성인 메리아섹과 키아의 삶을 다룬 콘월어 작품인 ''베우난스 메리아섹''과 ''베우난스 케''이다.[11]

잉글랜드의 다른 성행전의 예는 다음과 같다.

  • 휴 캔디더스의 ''연대기''[12]
  • 세이건 사본[13][14]
  • 존 릴랜드의 목록[15][16]
  • 아마도 성인 카독의 책 ''삶''[17]
  • 치체스터의 리처드의 ''Vita Sancti Ricardi Episcopi et Confessoris Cycestrensis''/삶, 랄프 보킹 저.[18]
  • 마저리 켐프의 책은 주인공이 성행전 형식을 사용하여 자신의 삶을 기록한 자서전적 성행전(autohagiography)의 예이다.

2. 3. 중세 아일랜드



아일랜드는 풍부한 성인전(聖人傳) 전통과 중세 시대에 제작된 방대한 자료로 유명하다. 아일랜드의 성인전 작가들은 주로 라틴어로 저술했지만, 후대의 일부 성인전은 작가의 모국어인 아일랜드어로 쓰여졌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아일랜드의 세 수호성인인 성 패트릭, 성 콜롬바 및 성 브리짓/브리기드의 전기이다. 가장 오래된 현존 전기는 코기토수스가 저술했다. 또한, 성인 축일(때로는 순교록 또는 축일록이라고도 함)과 관련된 여러 아일랜드 달력에는 여러 출처에서 편찬된 성인전의 축약된 개요가 포함되어 있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탈라의 순교록과 펠리레 오엔구소가 있다. 이러한 성인전 달력은 대륙의 달력을 모방하여 아일랜드 출신 성인들의 목록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9]

2. 4. 동방 정교회

10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사 시메온 메타프라스테스는 성인들의 전기를 도덕적이고 찬양하는 성격으로 바꾸었다. 그의 성인전 목록은 모든 서구 세계와 동구 세계의 성인전 작가들의 표준이 되었으며, 실제 삶의 사실에서 벗어나 이상적인 성인의 모습을 만들어냈다.[9] 이후 성인전 장르는 수많은 서사적 줄거리와 시적 이미지, 중세 우화, 단편 소설 및 일화들을 흡수하였다.

성인전 장르는 9세기 후반과 10세기 초 제1 불가리아 제국의 슬라브 세계에 소개되었으며, 최초의 독창적인 성인전은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오흐리드의 클레멘트, 프레스라프의 나움에 대해 제작되었다. 불가리아인들은 이 장르를 키예프 루스에 전파하였고, 11세기에는 보리스와 글레브, 키예프의 테오도시우스 등에 대한 독창적인 이야기를 편찬하기 시작하였다. 16세기 모스크바의 총대주교 마카리우스는 러시아 성인들의 목록을 확장하고 이야기 편찬을 감독하여 12권으로 구성된 ''벨리키예 체트이-미네이'' 목록(대 메나이온 독서)을 만들었다. 이들은 1684년에서 1705년 사이에 성 로스토프의 드미트리에 의해 개정 및 확장되었다.

''알렉산더 네프스키의 전기''는 그 시대의 주목할 만한 성인전 작품이었다.

2. 5.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정교회는 고유한 성인전 전통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헤도 교회의 성인전은 게에즈어로 쓰였으며, 가들(성인의 생애)이라고 불린다.[19] 토착 성인들에 관한 성인전이 약 200편 정도 전해진다.[20] 이 성인전들은 중세 에티오피아 시대의 가장 중요한 기록물 중 하나이며, 일부는 정확한 역사적 정보를 담고 있다.[21] 성인들의 제자들이 직접 쓴 것도 있고, 성인이 사망한 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 쓰인 것도 있다.[22][23] 구누비아어로 쓰인 성 미카엘 성인전의 일부가 남아 있다.[24]

3. 이슬람교

이슬람교의 전기(傳記)는 8세기 이후 아랍어로 예언자 무함마드(Muhammad)에 대한 전기 작문으로 시작되었는데, 이는 시라(sīra)로 알려진 전통이다.[26] 10세기경부터는 일반적으로 마나키브(manāqib)로 알려진 장르가 등장했는데, 이는 샤리아(Sharia)에 대한 이슬람 사상의 여러 학파(madhhab)를 창시한 이맘(imam)(madhāhib)들과 수피 성인(Ṣūfī saints)들의 전기를 포함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피들과 그들의 기적에 대한 전기가 마나키브 장르에서 우세하게 되었다.[26]

마찬가지로 초기 이슬람 하디스 연구(Hadith studies)와 예언자에 대한 다른 전기 정보의 영향을 받아 페르시아 학자들은 11세기부터 주로 수피 성인들에 대한 페르시아어 전기(Persian hagiography)를 쓰기 시작했다.

튀르키예 지역의 이슬람화는 13세기부터 시작하여 16세기경에 가속화된 성인들의 튀르키예어(Turkish) 전기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1925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Mustafa Kemal Atatürk)(1938년 사망)가 수피 수도회에 금지령을 내릴 때까지, 전기 작문에 대한 학문적 발전과 발맞춰 역동적인 생산이 유지되었다. 1950년대와 1980년대에 튀르키예가 이슬람 관행에 대한 법적 제한을 완화함에 따라 수피들은 전기 출판을 재개했고, 이러한 경향은 21세기에도 계속되고 있다.[27]

4. 유대교

탈무드카발라 문헌, 그리고 후대의 하시디즘 운동에서는 유대교 성인에 대한 전기적 글들을 흔히 볼 수 있다.[25]

5. 기타

사이언톨로지 교회가 편찬한 L. 론 허버드의 가공된 전기는 일반적으로 과장된 미화 전기로 여겨진다.[28][29]

6. 주요 성인전 목록


  • 키프리아누스의 『Acta Proconsularia』[30][31]
  • 『이그나티우스 순교록』[30][31]
  • 『폴리카르푸스 순교록』[30][31]
  • 야코부스 데 보라지네의 『레겐다 아우레아(황금전설)』 - 별명 『성인전(레겐다 산크툼)』[30][31]
  • 『성 알렉시우스전』[30][31]

참조

[1] 사전 hagiography
[2] 서적 Hagiography and Religious Truth: Case Studies in the Abrahamic and Dharmic Tradition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3] 서적 Beyond Parochial Faith: A Catholic Confesse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4] 서적 Byzantine Religious Culture Brill Academic
[5] 서적 Buddhist Hagiography in Early Japan Routledge
[6] 서적 Who Invented Hinduism? Yoda Press
[7] 서적 To Live as Long as Heaven and Earth: A Translation and Study of Ge Hong's Traditions of Divine Transcenden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서적 Archive and manuscripts: contents and use: using the sources Department of Information Studies, Aberystwyth University
[9] 웹사이트 Hagiography https://academic.oup[...] 2024-04-21
[10] 서적 The Lives of the Saints http://www.bl.uk/man[...] 2018-12-01
[11]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11-23
[12] 서적 Nunneries and the Anglo-Saxon Royal Houses https://books.google[...] Continuum
[13] 웹사이트 Stowe MS 944 http://www.bl.uk/man[...]
[14] 서적 Dissertatio Epistolaris in Linguarum veterum septentrionalium thesaurus grammatico-criticus et archeologicus Oxford
[15] 서적 The Collectanea of British affairs http://translate.goo[...]
[16] 학술지 The Year's Work in Old English Studies http://www.oenewslet[...] Medieval Institute, Western Michigan University
[17] 학술지 The Dates of the Arthurian Saints' Legends
[18] 서적 Saint Richard of Chichester : the sources for his life Sussex Record Society
[19] 서적 A Companion to Medieval Ethiopia and Eritrea https://books.google[...] Brill 2020
[20] 서적 Saints and Monasteries in Ethiopia Commercial Printing Press
[21] 서적 Hagiographies and the Reconstruction of Medieval Ethiopian History https://books.google[...] 1970
[22] 웹사이트 Lives of Ethiopian Saints http://web.linkethio[...] 2017-03-04
[23] 서적 The Life and Struggles of Our Mother Walatta Petros: A Seventeenth-Century African Biography of an Ethiopian Woma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Old Nubian Texts from Attiri https://library.oape[...] punctum books 2016
[25] 웹사이트 Hagiography https://www.jewishvi[...]
[26] 백과사전 Manāḳib Brill
[27] 백과사전 Hagiography, Persian and Turkish Brill
[28] 서적 Another Gospel: Cults, Alternative Religions, and the New Age Movement Zondervan
[29] 서적 The Invention of Sacred Tradi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8-08
[30] 웹사이트 聖人伝とは https://kotobank.jp/[...]
[31] 웹사이트 聖人伝とは https://www.weblio.j[...]
[32] 서적 Buddhist Hagiography in Early Japan Routledge
[33] 서적 Who Invented Hinduism? Yoda Press
[34] 서적 Archive and manuscripts: contents and use: using the sources Department of Information Studies, Aberystwyth Univers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