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요한 게오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게오르크는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프리드리히의 아들로, 스트라스부르크의 개신교 교구 감독을 역임했으며, 30년 전쟁에 참여했다. 그는 15세에 스트라스부르크의 감독이 되었고, 로렌의 샤를을 후계자로 지명했다. 슐레지엔 영유권을 주장한 아버지로부터 크르노프 공국을 상속받았으며, 보헤미아의 개신교 군대를 지원하여 프리드리히 5세를 도왔다. 30년 전쟁 중 화이트 마운틴 전투에서 패배하여 영지를 빼앗겼으며, 뷔르템부르크의 에바 크리스티네와 결혼하여 자녀를 낳았으나 모두 요절하고, 아들 에른스트 역시 일찍 사망하여 후계가 끊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7년 출생 - 베아트리체 첸치
베아트리체 첸치는 아버지의 학대를 견디다 가족과 함께 아버지를 살해하고 처형된 16세기 로마의 귀족 여성이다. - 1577년 출생 - 크리스토파노 알로리
크리스토파노 알로리는 베네치아 화풍의 색채와 피렌체 화풍의 드로잉 기법을 융합한 16세기 후기 피렌체 마니에리스모 화가로, 메디치 가문의 궁정 화가로 활동하며 자연에 대한 정확한 묘사와 섬세한 기법으로 유명해졌고, 대표작인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든 유딧"은 현대에도 재해석되며 여성의 강인함을 보여주는 예술가로 평가받는다. - 1623년 사망 - 김예직
김예직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의 동생이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했고 무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광해군 시대 탄핵을 받았으나 인조반정 이후 포상을 받았고 김종필의 12대 조상이다. - 1623년 사망 - 구로다 나가마사
구로다 나가마사는 일본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 인질 생활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 참전을 거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후쿠오카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임진왜란 참전과 잔혹 행위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요한 게오르크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요한 게오르크 폰 브란덴부르크 |
로마자 표기 | Yohan Geogeu Pon Beurandendeubeurekeu |
출생 | 1577년 12월 16일 |
출생지 | 볼미르슈테트 |
사망 | 1624년 3월 2일 (46세) |
사망지 | 볼미르슈테트 |
매장지 | 베를린 대성당 |
가문 | |
가문 | 호엔촐레른 가문 |
아버지 | 요아힘 프리드리히 |
어머니 |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 |
배우자 | 예거른도르프의 에르트무테 |
경력 | |
직업 | 육군 원수 |
종교 | |
종교 | 칼뱅주의 |
2. 생애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프리드리히와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한 지기스문트의 동생이다. 그는 15세의 나이에 스트라스부르크의 개신교 교구 감독이자 평신도 관리자로 임명되었다. 아버지 요아힘 프리드리히가 1603년 게오르그 프리드리히로부터 상속받은 슐레지엔의 크르노프 공국은 아버지 사후 요한 게오르크에게 계승되었다.
30년 전쟁이 시작되자, 요한 게오르크는 보헤미아의 프로테스탄트 귀족들이 로마 가톨릭 신자인 오스트리아의 대공 페르디난트 2세에 대항하여 일으킨 봉기를 지지하였다. 그는 보헤미아 개신교 군대의 지휘관으로 활동하며, 팔라틴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가 새로운 보헤미아 국왕으로 추대되는 것을 지원했다. 그러나 1620년 11월 8일 화이트 마운틴 전투에서 개신교 군대가 크게 패배하면서 전세는 불리해졌다. 결국 1622년, 요한 게오르크는 황제 페르디난트 2세에 의해 크르노프 공국 영지를 몰수당했으며, 이 영지는 황제의 지지자인 리히텐슈타인의 카를 1세에게 넘어갔다.
뷔르템부르크의 에바 크리스티네와 결혼하여 슬하에 1남 4녀를 두었으나, 아들 에른스트 폰 브란덴부르크크르노프를 제외한 네 딸은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유일하게 성년까지 성장한 아들 에른스트마저 25세의 나이로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요한 게오르크의 직계 후계는 단절되었다.
2. 1. 초기 생애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프리드리히와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의 후작 요한 폰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의 둘째 딸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형은 훗날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가 되는 요한 지기스문트이다. 아버지 요아힘 프리드리히는 요아힘 1세 네스토르의 손자였고, 어머니 카타리나는 요아힘 1세 네스토르의 아들인 요한 폰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의 딸로, 두 사람은 5촌 관계였다.15세의 어린 나이에 스트라스부르크의 개신교 교구 평신도 관리자로 임명되었다. 이후 스트라스부르크 감독 자리를 두고 가톨릭 후보자와 갈등이 생기자, 로렌의 샤를을 후계자로 지명했다.
아버지 요아힘 프리드리히는 1603년 친척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로부터 슐레지엔에 있는 크르노프 공작직과 공국을 상속받았으나, 1606년 사망했다. 아버지 사후 요한 게오르크는 크르노프 공국을 상속받아 크르노프 공작이 되었다.
1619년 30년 전쟁이 발발하자, 보헤미아의 프로테스탄트 귀족들이 합스부르크 가문의 페르디난트 2세에 대항하여 팔츠의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를 새로운 국왕으로 추대하는 보헤미아 반란에 가담했다. 요한 게오르크는 개신교 군대의 지휘관으로 프리드리히 5세를 지원했으나, 1620년 11월 8일 화이트 마운틴 전투에서 크게 패배했다. 이 전투의 패배로 1622년 제국에 의해 크르노프 공국을 포함한 영지를 몰수당했고, 이 영지는 리히텐슈타인의 카를 1세에게 넘어갔다.
뷔르템베르크의 에바 크리스티네와 결혼하여 1남 4녀를 두었다. 하지만 아들 에른스트 폰 브란덴부르크크르노프를 제외한 네 딸은 모두 어려서 사망했다. 유일하게 성년까지 성장한 아들 에른스트마저 25세에 후사 없이 사망하여 요한 게오르크의 직계 후계자는 단절되었다.
2. 2. 스트라스부르크 교구 감독
쾰른의 개신교 감독이 아그네스 폰 맨스필드(Agnes von Mansfeld) 여백작과 결혼하면서 스트라스부르크의 개신교 교구 감독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요한 게오르크는 15세의 나이에 스트라스부르크의 개신교 교구 감독이자 평신도 관리자로 임명되었다. 이후 스트라스부르크의 다음 감독 자리를 놓고 갈등이 발생하자, 가톨릭 후보자가 스트라스부르크를 점령하는 것을 우려한 지역 주민들의 뜻에 따라 로렌의 샤를을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했다.2. 3. 크르노프 공작
브란덴부르크의 선제후였던 아버지 요아힘 프리드리히는 일찍부터 슐레지엔의 영유권을 주장하였다. 1603년 요아힘 프리드리히는 안스바흐와 쿨름바흐의 후작이자 자신의 종조부뻘 되는 게오르그 프리드리히가 남자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그의 영지였던 크르노프 공국을 상속받았다. 아버지 요아힘 프리드리히가 1608년 사망하면서 요한 게오르크가 크르노프 공작위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요한 게오르크는 보헤미아의 개신교 귀족들이 로마 가톨릭 신자인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2세에 대항하여 일으킨 반란을 지지하였다. 그는 보헤미아 개신교 군대의 지휘관으로 활동하며, 팔라틴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가 페르디난트 2세를 몰아내고 새로운 보헤미아의 국왕으로 추대되는 것을 도왔다. 이로 인해 1619년부터 시작된 30년 전쟁에 개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1620년 11월 8일, 화이트 마운틴 전투에서 개신교 군대는 황제군에게 크게 패배하였다. 결국 1622년, 요한 게오르크는 황제 페르디난트 2세와 그의 지지자인 리히텐슈타인의 카를 1세에 의해 크르노프 공국 영지를 몰수당했다. 페르디난트 2세는 몰수한 영지를 리히텐슈타인의 카를 1세에게 넘겨주었다.
2. 4. 30년 전쟁 참여와 최후
요한 게오르크는 보헤미아의 개신교 귀족들이 로마 가톨릭 신자인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2세에 대항하여 일으킨 반란을 지원했다. 당시 보헤미아인들은 팔라틴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를 새로운 국왕으로 추대하려 했으며, 요한 게오르크는 프리드리히 5세가 페르디난트 2세를 몰아내고 보헤미아의 국왕이 될 수 있도록 보헤미아 개신교 군대의 지휘관으로 나섰다.이러한 결정으로 요한 게오르크는 1619년부터 시작된 30년 전쟁에 개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1620년 11월 8일 벌어진 화이트 마운틴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5세를 지지하던 군대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군에게 크게 패배하였다. 전투 패배의 결과로, 1622년 요한 게오르크는 황제 페르디난트 2세에 의해 크르노프 공국 영지를 압수당했다. 황제는 몰수한 영지를 자신의 측근인 리히텐슈타인의 카를 1세에게 넘겨주었다.
개인적인 삶에서도 불운이 따랐다. 요한 게오르크는 뷔르템부르크의 에바 크리스티네와 결혼하여 딸 카타리나 질비(1611-1612), 아들 게오르크(1613-1614), 아들 알브레히트(1614-1620), 딸 카타리나(1615년 출생 및 사망) 등 1남 3녀를 두었지만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1617년에 태어난 아들 에른스트 폰 브란덴부르크크르노프가 유일하게 성년까지 성장했으나, 그 역시 25세의 나이로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요한 게오르크의 직계 남자 후계는 단절되었다.
3. 가족 관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프리드리히와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의 후작 요한 폰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의 둘째 딸인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5촌 당고모와 조카뻘이 되는 근친혼 관계였다. 아버지 요아힘 프리드리히는 요아힘 1세 네스토르의 장남 요아힘 2세 헥토르의 손자이자 요한 게오르크의 아들이었고, 어머니 카타리나는 요아힘 1세 네스토르의 차남 요한 폰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의 딸이었다. 요한 지기스문트는 그의 친형이다.
뷔르템부르크의 에바 크리스티네(Eva Christine von Württemberg)와 결혼하여 2남 3녀를 두었으나, 아들 에른스트를 제외하고 모두 요절했다. 유일하게 성년까지 성장한 아들 에른스트 폰 브란덴부르크크르노프마저 25세의 나이로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결국 그의 직계는 단절되었다.
이름 | 출생 연도 | 사망 연도 | 비고 |
---|---|---|---|
카타리나 질비 | 1611 | 1612 | 요절 |
게오르크 | 1613 | 1614 | 요절 |
알브레히트 | 1614 | 1620 | 요절 |
카타리나 | 1615 | 1615 | 출생 후 같은 해 사망 |
에른스트 폰 브란덴부르크크르노프 | 1617 | 1642년경 | 25세에 요절, 후계 단절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