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드피크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로드피크산은 파키스탄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 위치한 카라코람 산맥의 산으로, K2에서 약 8km 떨어져 있다. 브로드피크라는 이름은 1.5킬로미터가 넘는 정상부의 넓은 형태에서 유래되었으며, 8,000m급 봉우리 3개를 포함한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1957년 오스트리아 원정대가 서릉을 통해 초등에 성공했으며, 이후 다양한 등반 기록이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코람산맥의 8000미터 봉우리 - K2
K2는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험준한 지형과 기후로 등반이 매우 어렵고 많은 사망 사고가 발생하여 "무자비한 산"이라고 불리지만, 다양한 등반 시도와 함께 새로운 기록이 세워지고 있으며 환경 및 안전 문제가 중요한 산이다. - 카라코람산맥의 8000미터 봉우리 - 가셔브룸 2봉
가셔브룸 2봉은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8,034m 높이의 산으로, 카라코람산맥의 일부이자 가셔브룸 산군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며, 1956년 오스트리아 등반대에 의해 초등된 이후 다양한 등반 방식으로 도전받고 있다. - 중국-파키스탄 국경 - K2
K2는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험준한 지형과 기후로 등반이 매우 어렵고 많은 사망 사고가 발생하여 "무자비한 산"이라고 불리지만, 다양한 등반 시도와 함께 새로운 기록이 세워지고 있으며 환경 및 안전 문제가 중요한 산이다. - 중국-파키스탄 국경 - 가셔브룸 2봉
가셔브룸 2봉은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8,034m 높이의 산으로, 카라코람산맥의 일부이자 가셔브룸 산군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며, 1956년 오스트리아 등반대에 의해 초등된 이후 다양한 등반 방식으로 도전받고 있다. - 신장의 산 - 포베다산
포베다산은 톈산산맥에 위치한 해발 7,439m의 산으로, 키르기스스탄과 중국의 경계에 있으며, 톈산산맥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북위 39도 이북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1956년 소련 등반대가 첫 등정에 성공했다. - 신장의 산 - K2
K2는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험준한 지형과 기후로 등반이 매우 어렵고 많은 사망 사고가 발생하여 "무자비한 산"이라고 불리지만, 다양한 등반 시도와 함께 새로운 기록이 세워지고 있으며 환경 및 안전 문제가 중요한 산이다.
| 브로드피크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브로드피크 |
| 다른 이름 | 팔찬 캉그리 |
| 로마자 표기 (티베트어) | Falchan Kangri |
| 해발고도 | 8051m |
| 중요도 | 1701m |
| 산맥 | 카라코람산맥 |
| 위치 |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국-파키스탄 국경 |
| 등반 난이도 | 눈/얼음 등반 |
![]() | |
| 등반 정보 | |
| 최초 등반 | 1957년 6월 9일 오스트리아 팀 |
| 최초 동계 등반 | 2013년 3월 5일 마치에이 베르베카, 아담 비엘레츠키, 토마쉬 코발레프스키, 아르투르 마웨크 |
| 순위 | |
| 세계 최고봉 순위 | 12위 |
| 울트라 | 울트라 |
2. 지리
브로드피크산은 파키스탄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 위치한 발티스탄 지역의 가셔브룸 산괴에 속한다. 이 산은 카라코람 산맥에 자리 잡고 있으며, K2에서 약 8km 떨어져 있다.
브로드피크(Broad Peak)라는 이름은 정상부의 폭이 1.5km가 넘는 넓은 모습에서 유래했다. 원래는 K2 다음에 발견되었다는 의미로 '''K3'''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이후 조사 과정에서 넓은 정상의 특징이 밝혀지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현지 발티어로는 '''파이찬 강리'''(Faichan Kangri)라고 불리며,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는 '브로드피크'라는 이름이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있다.
브로드피크산은 총 5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3개는 높이 8000m가 넘는 8000미터급 봉우리이다. 주요 봉우리는 다음과 같다.
| 봉우리 이름 | 높이 (m) |
|---|---|
| 브로드피크 | 8051m |
| 로키 정상 | 8028m |
| 브로드피크 센트럴 | 8011m |
| 브로드피크 노스 | 7490m |
| 카루트 강리 | 6942m |
브로드피크산은 원래 K2 다음의 산이라는 의미로 '''K3'''라는 이름으로 불렸다.[2] 이 산은 K2에서 약 8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가셔브룸 산군에 속한다.[2] 이후 조사 과정에서 산 정상의 폭이 1.5km에 달하는 넓은 모습이 확인되면서 "넓은 봉우리"라는 뜻의 "브로드피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2]
브로드피크산의 초등반은 1957년 6월 9일 오스트리아 원정대에 의해 이루어졌다. 마르쿠스 슈묵이 이끈 이 원정대에는 프리츠 빈터스텔러, 쿠르트 디엠베르거, 헤르만 뷜이 참여했으며, 서릉 루트를 통해 정상에 올랐다. 이들은 5월 29일 첫 시도에서 전위봉(8030m)까지 도달했었다. 특히 이 등반은 당시 일반적이던 대규모 물자 투입 방식과 달리, 산소 보조 장치나 고소 포터의 도움 없이 대원들 스스로 짐을 운반하고 루트를 개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등반 역사상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받는다.[17]
3. 명칭 유래
영어 이름 "브로드피크"(Broad Peakeng)는 1892년 영국의 탐험가 마틴 콘웨이가 도입한 것으로, 알프스의 브라이트호른과 유사한 모습에서 착안한 이름이다.[2]
하지만 "브로드피크"를 발티어로 직역한 이름인 "팔찬 강리"(Falchan Kangribal)는 현지 발티족 사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현지어 이름은 '''파이찬 강리'''(Faichan Kangribal)이며, 이 역시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2]
4. 등반 역사
초등 이후 브로드피크는 전 세계 여러 등반가들의 도전 대상이 되었고, 최초 겨울 등반(2013년), 여성 최초 등반(1983년 크리스티나 팔모프스카), 단독 등반 등 다양한 기록이 세워졌다. 새로운 루트 개척 시도도 이어졌지만, 등반 과정에서 여러 산악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2006년 오스트리아 등반가 마르쿠스 크론탈러가 등정 후 하산 중 사망했고, 2007년 그의 시신이 수습되었다.[3] 2009년에는 크리스티나 카스타냐가 등반 중 사망했으며, 2013년 겨울 초등에 성공했던 마체이 베르베카와 토마시 코발스키가 하산 중 실종 후 사망 처리되었고, 같은 해 7월에는 신루트 개척에 성공했던 이란 등반가 아이딘 보조르기, 푸야 케이반, 모즈타바 자라히 역시 하산 중 실종되어 사망 처리되었다.[6]
한편, 서쪽의 일반적인 등반 루트(노멀 루트)를 이용할 경우, 주봉 직전에 위치한 전위봉(8035m)을 정상으로 오인하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전위봉까지만 오르고 하산하여 등정으로 인정받지 못한 사례도 있다.[18][19]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브로드피크 등정은 주봉(8051m) 등정을 의미한다.
4. 1. 주요 등반 기록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등정"은 주봉(8051m) 등정을 의미한다.
4. 2. 등반 루트
일반적인 등반 루트는 서쪽 능선을 이용하는 노멀 루트이다. 이 루트로 등반할 경우, 주봉에 도달하기 전에 전위봉(8035m)을 지나게 되는데, 이곳을 정상으로 오인하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18] 실제로 전위봉까지만 도달하고 하산하여 등정으로 인정받지 못한 사례도 있다.[18][19]
1957년 오스트리아 원정대의 초등반 역시 서릉 루트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당시 산소 보조나 고산 등반 포터의 도움 없이 진행되었다.[17]
2013년 7월에는 이란 등반가 5명이 남서쪽 면으로 새로운 루트 개척을 시도했다. 이들 중 3명(아이딘 보조르기, 푸야 케이반, 모즈타바 자라히)이 등정에 성공했으나, 하산 과정에서 실종되어 사망 처리되었다.[6]
4. 3. 윈디 갭
'''윈디 갭'''은 K2 동쪽, 브로드피크 북쪽, 스카이앙 강리 남쪽에 위치한 6111m 높이의 산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Broad Peak: 12th Highest Mountain in the World
https://web.archive.[...]
About.com
2011-08-20
[2]
서적
Climbing the World's 14 Highest Mountains: The History of the 8, 000-Meter Peaks
The Mountaineers
[3]
Webarchive
Broad Peak 2007
http://www.weltderbe[...]
2017-09-22
[4]
뉴스
Portrait of Elisabeth Revol
https://www.blueice.[...]
2017-01-04
[5]
웹사이트
Koroska 8000 - Broad Peak
https://web.archive.[...]
2016-03-14
[6]
웹사이트
Rescue attempts for Iranian climbers
http://altitudepakis[...]
[7]
웹사이트
Antoine Girard breaks 8,100m in Karakoram - Cross Country Magazine – In the Core since 1988
http://www.xcmag.com[...]
2016-07-26
[8]
Youtube
Broad Peak
https://www.youtube.[...]
2016-08-01
[9]
웹사이트
Antoine Girard - Objectif X-Alps 2017
http://www.antoinegi[...]
[10]
뉴스
17-Year-Old Becomes the Youngest Pakistani to Summit 8000m Mountain
https://propakistani[...]
2019-07-20
[11]
웹사이트
First ascent
http://www.broadpeak[...]
broadpeak.org
2013-07-24
[12]
서적
All 14 Eight-Thousanders
Mountaineers Books
[13]
웹사이트
The True Story of Netflix's 'Broad Peak': What Happened To Maciej Berbeka?
https://www.esquire.[...]
2022-09-13
[14]
웹사이트
Kurt Diemberger
https://www.tarragon[...]
2017-08-03
[15]
웹사이트
Broad Peak 8047m Austrian Karakoram Expedition 1957
http://broadpeak.org[...]
2017-10-23
[16]
웹사이트
Broad Peak first winter ascent by Polish expedition!
http://www.planetmou[...]
planetmountain.com
2013-05-03
[17]
문서
孤独の山
山と渓谷社
[18]
웹사이트
国立登山研修所「登山研修」
http://www.jpnsport.[...]
[19]
간행물
岳人
20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