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각운동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각운동량은 상대 위치 벡터와 상대 속도 벡터의 외적으로 정의되는 물리량이다. 비각운동량은 궤도면과 수직하며, 이상적인 조건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비각운동량의 보존은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행성 궤도의 타원 궤도, 면적 속도 일정, 조화의 법칙을 설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각운동량 - 방위 양자수
방위 양자수(ℓ)는 원자 내 전자의 궤도 각운동량을 양자화하는 0 이상의 정수 양자수로서, 궤도 각운동량의 크기와 모양을 결정하고 s, p, d, f 오비탈을 구분하며, 궤도 각운동량과 스핀 각운동량의 합인 전체 각운동량은 보존되는 양이다. - 각운동량 - 각운동량 연산자
각운동량 연산자는 양자역학에서 각운동량을 나타내는 연산자로 궤도, 스핀, 총 각운동량으로 나뉘며, 교환 관계, 양자화, 불확정성 원리와 관련되고 회전 변환 생성자 역할을 한다. - 천체동역학 - 호만 전이 궤도
호만 전이 궤도는 우주선을 낮은 원형 궤도에서 높은 원형 궤도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타원 궤도로, 두 번의 엔진 점화를 통해 궤도를 변경하며, 특정 조건 하에서 최소 에너지를 사용하는 궤도 전이 방법이다. - 천체동역학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 궤도 - 궤도면
궤도면은 인공위성과 발사체의 궤도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 지구 중력의 비구형성으로 인해 회전하며, 발사 시점은 목표 궤도면과 발사 기지의 교차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 궤도 - 다체 문제
다체 문제는 상호작용하는 여러 물체의 운동을 다루는 문제로, 특히 중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천체들의 운동을 예측하는 문제가 대표적이며, 삼체 문제부터는 해석적 해를 구하기 어려워 섭동 이론이나 수치 해석 등의 방법이 활용된다.
비각운동량 | |
---|---|
정의 | |
정의 | 천체 역학에서 비각운동량(Specific angular momentum) 또는 각운동량 벡터는 각운동량을 질량으로 나눈 값이다. 행성 궤도와 같은 문제에서 유용한 양이다. |
기호 | h |
공식 | |
공식 | h = r × v |
변수 설명 | r은 위치 벡터 v는 속도 벡터 |
특성 | |
보존 | 중심력 하에서 보존됨 |
궤도면 | 궤도면과 수직 |
궤도 요소와의 관계 | |
공식 | h = √(GMa(1 − e^2)) |
변수 설명 | GM은 중력 상수와 중심체 질량의 곱 a는 궤도 긴반축 e는 궤도 이심률 |
기타 | |
다른 이름 | 각운동량 벡터 |
2. 정의
상대 비각운동량은 상대 위치 벡터 과 상대 속도 벡터 의 외적으로 정의된다.
:
벡터는 항상 순간 회전 궤도면과 수직하며, 순간 회전 궤도면은 순간 섭동 궤도와 일치한다. 따라서 벡터는 수년간의 섭동이 포함된 평균 평면과는 수직하지 않는다.
벡터 의 크기는 로 표시된다.
:
비선형 상대 각운동량은 상대 위치 벡터 과 상대 궤도 속도 벡터 의 외적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은 각운동량 벡터이며, 로 정의된다.
벡터는 항상 순간적인 접촉 궤도 궤도면 (천문학)에 수직이며, 이는 순간적인 섭동 (천문학) 궤도와 일치한다.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 궤도면에 반드시 수직일 필요는 없다.
3. 이상적인 조건에서 상대 비각운동량이 일정하다는 증명
특정 조건 하에서 비각운동량이 일정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 증명을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전제 조건 ====
다음 증명은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에도 적용된 단순화 하에서만 유효하다.
점질량 과 가 서로 거리 만큼 떨어져있으며, 중력에 의해 서로 의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거리에 관계없이 즉시 작용하며 계에 존재하는 유일한 힘이다. 좌표계는 관성의 법칙을 만족한다.[2]
추가적인 단순화를 위해 를 가정한다. 따라서 좌표계의 원점에서 은 중심체이며, 주위를 도는 위성이다. 이때 환산질량은 와 같다. 그리고 2체 문제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써진다.[2]
:
은 표준 중력 변수이며, 거리 벡터 (절대값: )은 위에서 가정한 조건에 의해 원점(중심체)에서 위성을 가리키게 된다.[2]
때때로 를 환산 질량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본 글의 표준 중력 변수 를 환산 질량과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2]
==== 증명 ====
2체 문제의 방정식을 거리 벡터 와 외적하면 상대 비각운동량을 얻는다.[3]
:
벡터 자체와의 외적(우변)은 0이다. 왼쪽은 곱의 미분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단순화된다.[3]
:
이는 가 일정함을 의미한다(따라서 이는 보존량이다). 그리고 이는 정확히 위성의 비각운동량이다.[3]
:
이 벡터는 궤도 평면과 수직이며, 각운동량은 바뀌지 않으므로 궤도 평면도 바뀌지 않는다.[3]
비행 경로 각도 의 정의와 그리고 속도 벡터의 횡단 및 반경 성분(오른쪽 그림 참조)을 통해 2체 문제에 대한 추가적인 통찰을 얻을 수 있다. 다음 세 공식으로도 상대 비각운동량 벡터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3]
이때 는 곡선의 원뿔 곡선 이라고 부른다.
다음은 이체 문제에서 시작하는 비각운동량의 증명이다. 이 증명은 만유인력의 법칙에서 유도된다.
여기서:
위치 벡터와 운동 방정식의 외적은 다음과 같다.
이므로 두 번째 항은 사라진다.
또한 다음을 유도할 수 있다.
이 두 방정식을 결합하면 다음과 같다.
시간 미분이 0이므로 는 상수이다. 위치 변화율 대신 속도 벡터 를 사용하고, 비각운동량을 로 나타낸다.
는 상수이다.
이것은 문제의 물체의 질량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운동량 구성인 와는 다릅니다.
3. 1. 전제 조건
다음 증명은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에도 적용된 단순화 하에서만 유효하다.
점질량 과 가 서로 거리 만큼 떨어져있으며, 중력에 의해 서로 의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거리에 관계없이 즉시 작용하며 계에 존재하는 유일한 힘이다. 좌표계는 관성의 법칙을 만족한다.[2]
추가적인 단순화를 위해 를 가정한다. 따라서 좌표계의 원점에서 은 중심체이며, 주위를 도는 위성이다. 이때 환산질량은 와 같다. 그리고 2체 문제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써진다.[2]
:
은 표준 중력 변수이며, 거리 벡터 (절대값: )은 위에서 가정한 조건에 의해 원점(중심체)에서 위성을 가리키게 된다.[2]
때때로 를 환산 질량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본 글의 표준 중력 변수 를 환산 질량과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2]
3. 2. 증명
2체 문제의 방정식을 거리 벡터 와 외적하면 상대 비각운동량을 얻는다.[3]
:
벡터 자체와의 외적(우변)은 0이다. 왼쪽은 곱의 미분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단순화된다.[3]
:
이는 가 일정함을 의미한다(따라서 이는 보존량이다). 그리고 이는 정확히 위성의 비각운동량이다.[3]
:
이 벡터는 궤도 평면과 수직이며, 각운동량은 바뀌지 않으므로 궤도 평면도 바뀌지 않는다.[3]
비행 경로 각도 의 정의와 그리고 속도 벡터의 횡단 및 반경 성분(오른쪽 그림 참조)을 통해 2체 문제에 대한 추가적인 통찰을 얻을 수 있다. 다음 세 공식으로도 상대 비각운동량 벡터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3]
이때 는 곡선의 원뿔 곡선 이라고 부른다.
다음은 이체 문제에서 시작하는 비각운동량의 증명이다. 이 증명은 만유인력의 법칙에서 유도된다.
여기서:
위치 벡터와 운동 방정식의 외적은 다음과 같다.
이므로 두 번째 항은 사라진다.
또한 다음을 유도할 수 있다.
이 두 방정식을 결합하면 다음과 같다.
시간 미분이 0이므로 는 상수이다. 위치 변화율 대신 속도 벡터 를 사용하고, 비각운동량을 로 나타낸다.
는 상수이다.
이것은 문제의 물체의 질량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운동량 구성인 와는 다릅니다.
4.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은 위의 관계를 사용하여 거의 직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 제1법칙: 타원 궤도의 법칙 ====
이체 문제의 방정식에서 증명이 시작된다. 방정식에 상대 비각운동량을 외적하면 다음과 같다.[4]
:
좌변은 각운동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와 같다.
우변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두 식을 같게 놓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분하면 다음을 얻는다.(적분 상수 고려)[4]
:
이 방정식에 을 내적하고 재배열하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4]
:
마지막 식을 정리하면 궤도 방정식을 얻는다.[4][1]
:
이것은 반통경 와 이심률 일 때 극좌표계에서 원뿔 단면의 방정식이다. 이는 곧 요하네스 케플러의 제1법칙과 같다.[4]
요하네스 케플러는 ''행성의 궤도는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이다.''라고 했다.[5]
==== 제2법칙: 면적 속도 일정의 법칙 ====
두 번째 법칙은 상대 비각운동량의 절댓값을 계산하는 세 방정식 중 두 번째 방정식을 사용하면 즉시 도출된다.[6][1]
두 번째 방정식에 의해 도출된 식 과 무한소의 각도에서 궤도 내부 영역을 나타내는 식인 을 다음과 같이 통합할 수 있다.
:
위 식은 케플러가 "행성을 태양에 연결하는 선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면적을 쓸어낸다."라고 표현했다.[5]
==== 제3법칙: 조화의 법칙 ====
케플러 제3법칙은 두 번째 법칙에서 바로 유도된다. 위 식을 1회전에 걸쳐 적분하면 공전 주기를 얻을 수 있다.[6]
:
는 타원의 면적이다. 단반경에 를 대입하고, 상대 비각운동량에 를 대입하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6]
:
따라서 위성의 장반경과 공전 주기 사이 관계는 표준 중력 상수만 관여한다. 이는 케플러 제3법칙과 동일하다.[6]
4. 1. 제1법칙: 타원 궤도의 법칙
이체 문제의 방정식에서 증명이 시작된다. 방정식에 상대 비각운동량을 외적하면 다음과 같다.[4]:
좌변은 각운동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와 같다.
우변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두 식을 같게 놓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분하면 다음을 얻는다.(적분 상수 고려)[4]
:
이 방정식에 을 내적하고 재배열하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4]
:
마지막 식을 정리하면 궤도 방정식을 얻는다.[4][1]
:
이것은 반통경 와 이심률 일 때 극좌표계에서 원뿔 단면의 방정식이다. 이는 곧 요하네스 케플러의 제1법칙과 같다.[4]
요하네스 케플러는 ''행성의 궤도는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이다.''라고 했다.[5]
4. 2. 제2법칙: 면적 속도 일정의 법칙
두 번째 법칙은 상대 비각운동량의 절댓값을 계산하는 세 방정식 중 두 번째 방정식을 사용하면 즉시 도출된다.[6][1]두 번째 방정식에 의해 도출된 식 과 무한소의 각도에서 궤도 내부 영역을 나타내는 식인 을 다음과 같이 통합할 수 있다.
:
위 식은 케플러가 "행성을 태양에 연결하는 선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면적을 쓸어낸다."라고 표현했다.[5]
4. 3. 제3법칙: 조화의 법칙
케플러 제3법칙은 두 번째 법칙에서 바로 유도된다. 위 식을 1회전에 걸쳐 적분하면 공전 주기를 얻을 수 있다.[6]:
는 타원의 면적이다. 단반경에 를 대입하고, 상대 비각운동량에 를 대입하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6]
:
따라서 위성의 장반경과 공전 주기 사이 관계는 표준 중력 상수만 관여한다. 이는 케플러 제3법칙과 동일하다.[6]
5. 한국의 우주 개발 및 인공위성 운용에의 적용
6. 참고 문서
- 궤도 비에너지는 2체 문제에서 보존되는 또 다른 양이다.
- 특정 각운동량
참조
[1]
서적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and application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1
[2]
문서
[3]
서적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
[4]
서적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
[5]
서적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
[6]
서적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