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아 나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아 나노는 VIA에서 개발한 x86-64 명령어 집합을 사용하는 프로세서이다. 2008년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인텔 아톰 프로세서와 경쟁했다. VIA 나노는 여러 세대를 거치며 성능을 개선했으며, 2009년에는 3000 시리즈, 2011년에는 듀얼 코어 X2 프로세서를 출시했다. 주요 특징으로는 x86-64 명령어 집합 지원, 65nm 또는 40nm 공정, 1GHz~2GHz 클럭 속도, 슈퍼스칼라 아웃오브오더 실행, MMX, SSE, SSE2, SSE3, SSSE3 및 SSE4 명령어 집합 지원 등이 있다. VIA 나노는 넷탑, 넷북, 임베디드 시스템 등에 사용되었으며, 델, HP, 조텍 등에서 관련 제품을 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아 테크놀로지스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 비아 코어퓨전
    비아 코어퓨전은 비아 테크놀로지스에서 개발한 임베디드 시스템용 칩셋 플랫폼으로, CPU와 GPU를 통합하여 전력 효율성을 높였으나, 낮은 성능과 가격 경쟁력 부족으로 시장 경쟁력을 잃었다.
  • 비아 테크놀로지스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 비아 에덴
    비아 에덴은 VIA Technologies에서 개발한 저전력 x86 프로세서 제품군으로, 임베디드 시스템, 소형 폼 팩터, 저전력 환경에 적합하며 낮은 전력 소비를 특징으로 한다.
  • 마이크로프로세서 - 중앙 처리 장치
    중앙 처리 장치(CPU)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부품으로,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 마이크로프로세서 - ARM 아키텍처
    ARM 아키텍처는 저전력 설계로 모바일 기기에서 널리 쓰이는 RISC 기반 프로세서 아키텍처로서, IP 코어 라이선스 모델과 ARM Flexible Access를 통해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비아 나노
기본 정보
이름VIA 나노
이미지 파일VIA Nano Chip Image (top).jpg
크기 (최소)40 nm
크기 (최대)65 nm
프런트 사이드 버스 (FSB) (최저)533 MHz
프런트 사이드 버스 (FSB) (최고)1066 MHz
L1 캐시코어당 64 KiB 명령어 + 64 KiB 데이터
L2 캐시코어당 1 MiB, 독점적
판매자VIA
설계 회사Centaur Technology
제조업체Fujitsu
TSMC
코어Isaiah (CN)
패키지볼 그리드 어레이 (솔더링)
아키텍처IA-32, x86-64
확장 기능MMX
SSE
SSE2
SSE3
SSSE3
SSE4.1 (3000, X2, 쿼드 코어)
SSE4.2 (C)
PadLock (AES, RNG, SHA)
마이크로아키텍처VIA Isaiah
코어 수1, 2, 4
이전 프로세서VIA C7
추가 정보
소켓NanoBGA2
패키지 크기21mm x 21mm
최소 공정 규칙 (나노 X2 시리즈 및 나노 쿼드 코어 시리즈)40nm
최대 공정 규칙 (나노 1000~3000 시리즈)65nm
프런트 사이드 버스 (FSB) (최고 주파수)1333MHz
프런트 사이드 버스 (FSB) (최저 주파수)533MHz
이미지 파일 (투시도)VIA Nano Chip Image (perspective).jpg
최고 주파수2.0GHz
최저 주파수0.8GHz
L2 캐시 크기1~4MB

2. 역사

인텔AMD와는 달리, VIA는 각 CPU 코어마다 두 개의 별개의 개발 코드명을 사용했다. 'CN'이라는 코드명은 미국에서 센토어 테크놀로지에 의해 사용되었고, VIA는 대만에서 성경 이름을 코드로 사용하는데 이 프로세서와 아키텍처의 선택은 이사야였다. VIA 이사야는 이전 세대인 VIA 에스더보다 동등한 클럭 속도에서 정수 성능은 2배, 부동 소수점 성능은 4배 더 빠를 것으로 예상되었다. 열 설계 전력은 5W에서 25W까지로, 전력 소비량 역시 이전 세대 VIA CPU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되었다.[7]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인 이사야 아키텍처는 x86-64 명령어 집합 및 x86 가상화와 같이 이전 제품인 VIA C7 라인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축되었으며, 암호화 확장 기능은 유지했다. 여러 독립적인 테스트에서 VIA 나노는 다양한 작업 부하에서 단일 코어 인텔 아톰보다 성능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8][9][10] 2008년 Ars Technica 테스트에서 VIA 나노는 CPUID가 인텔로 변경된 후 메모리 서브 시스템에서 상당한 성능 향상을 보였다. 이는 벤치마크 소프트웨어가 CPU에서 지원하는 실제 기능 대신 CPUID만 확인하여 코드 경로를 선택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사용된 벤치마크 소프트웨어는 VIA 나노 출시 전에 출시되었다.[11]

2009년 11월 3일, VIA는 나노 3000 시리즈를 출시했다. VIA는 이 모델이 나노 1000 및 2000 시리즈보다 20% 더 높은 성능 향상과 20% 더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 VIA에서 실행한 벤치마크에 따르면 1.6 GHz 3000 시리즈 나노는 노후화된 인텔 아톰 N270보다 약 40–54% 더 뛰어난 성능을 낼 수 있다.[13] 3000 시리즈는 SSE4 SIMD 명령어 집합 확장을 추가했으며, 이는 인텔 코어 2 아키텍처의 45 nm 개정판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2011년 11월 11일, VIA는 최초의 듀얼 코어 pico-itx 마더보드를 탑재한 VIA 나노 X2 듀얼 코어 프로세서를 출시했다. VIA 나노 X2는 40 nm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최신 부동 소수점 종속 응용 프로그램에 중요한 SSE4 SIMD 명령어 집합 확장을 지원한다.[14] VIA는 인텔 아톰보다 30% 더 높은 성능을 가지며, 클럭은 50% 더 높다고 주장했다.[15]

2014년부터 출시된 자오신(Zhaoxin) 합작 벤처 프로세서는 VIA 나노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다.

VIA C7의 후속 제품으로, VIA제 x86 호환 CPU로 처음으로 아웃 오브 오더 실행 및 슈퍼스칼라명령 파이프라인을 탑재했으며, 확장 명령으로 SSE3 명령·x64 호환 명령 등이 풀 지원되었다. 이로 인해 이전 모델인 C7에서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지만, CNA/CNB/CNC에서는 하드웨어 멀티스레딩이나 멀티코어와 같은 병렬화 기술은 탑재되지 않았다.

멀티코어는 나중에 CNQ 코어에 탑재되었으며, 이는 VIA의 CPU가 멀티코어화된 첫 번째 사례이다.

또한 AES암호화 엔진 패드락에 의한 하드웨어 암호화 가속을 지원한다.

절전 기술 '''Adaptive PowerSaver'''에 의한 고도의 절전 제어가 가능하며, 유휴 시 소비 전력은 100~200mW이다.(최상위 L2100만 500mW)

후지쯔의 65nm 공정(Nano 1000~3000 시리즈)와 TSMC의 40nm 공정 (Nano X2/VIA QuadCore)에 의해 제조되며, 패키징은 온보드용 '''NanoBGA2'''만 제공된다. VIA Nano의 패키지는 VIA C7과 핀 호환성이 있어, C7 대응으로 디자인된 시스템이라면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2009년 11월, VIA는 마이너 체인지인 '''VIA Nano 3000 (CNC)'''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는 기존 Nano 프로세서에 비해 20% 낮은 소비 전력으로 20% 높은 성능을 실현했다고 한다. 또한 CPU 가상화 및 '''SSE4''' 명령에 대한 지원과 같은 새로운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Nano 3000 시리즈 발표에 따라 기존 모델은 Nano 1000 (CNA)/2000 시리즈 (CNB)로 표기된다.

2011년 1월, VIA Nano 3000을 기반으로 한 듀얼 코어 CPU '''VIA Nano X2 (CNQ)''' 시리즈를 발표했다.

Centaur의 코드네임이 CND가 아닌 CNQ가 된 것은 원래 QuadCore화를 전제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같은 해 5월에는 Nano X2를 기반으로 한 쿼드 코어 CPU인 '''VIA QuadCore'''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는 동일한 다이(CNQ)를 기판 위에 2개 탑재하는 방식(멀티칩 모듈)으로 쿼드 코어를 실현한 CPU이며, 같은 방식을 이용한 CPU로는 인텔펜티엄 D코어 2 쿼드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VIA Nano 프로세서에는 소비 전력 및 발열에 따라 클럭을 높이는 자동 오버클럭 기능을 갖추고 있어, 싱글 스레드 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주요 특징

VIA C7의 후속 제품으로, VIA제 x86 호환 CPU로는 처음으로 아웃 오브 오더 실행 및 슈퍼스칼라명령 파이프라인을 탑재했으며, 확장 명령으로 SSE3 명령, x64 호환 명령 등을 지원한다. 이로 인해 이전 모델인 C7에 비해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다만, CNA/CNB/CNC에서는 하드웨어 멀티스레딩이나 멀티코어와 같은 병렬화 기술은 탑재되지 않았다.[16]

CNQ 코어에는 멀티코어가 탑재되었는데, 이는 VIA CPU가 멀티코어화된 첫 번째 사례이다.

또한 패드락 엔진을 통해 AES암호화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한다.

'''Adaptive PowerSaver''' 기술로 절전 제어가 가능하며, 유휴 시 소비 전력은 100mW~200mW (최상위 L2100 모델은 500mW) 수준이다.

후지쯔의 65nm 공정(Nano 1000~3000 시리즈)과 TSMC의 40nm 공정 (Nano X2/VIA QuadCore)으로 제조되며, 패키징은 온보드용 '''NanoBGA2'''만 제공된다. VIA Nano 패키지는 VIA C7과 핀 호환성이 있어, C7 대응 시스템에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2009년 11월, VIA는 '''VIA Nano 3000 (CNC)'''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는 기존 Nano 프로세서에 비해 소비 전력은 20% 낮추고 성능은 20% 높인 제품이다. CPU 가상화 및 SSE4 명령 지원 등 새로운 기능도 추가되었다. Nano 3000 시리즈 발표와 함께 기존 모델은 Nano 1000 (CNA)/2000 시리즈 (CNB)로 표기되었다.

2011년 1월, VIA는 Nano 3000 기반의 듀얼 코어 CPU인 '''VIA Nano X2 (CNQ)''' 시리즈를 발표했다. Centaur 코드네임이 CND가 아닌 CNQ인 이유는 원래 QuadCore화를 전제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같은 해 5월에는 Nano X2 기반의 쿼드 코어 CPU인 '''VIA QuadCore'''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는 동일한 다이(CNQ)를 기판 위에 2개 탑재하는 방식(멀티칩 모듈)으로 쿼드 코어를 구현한 것으로, 인텔펜티엄 D코어 2 쿼드 등과 유사하다.

VIA Nano 프로세서는 소비 전력 및 발열에 따라 클럭을 높이는 자동 오버클럭 기능을 갖추고 있어, 싱글 스레드 작업 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1. 아키텍처

wikitext

  • 코드이름 ''CN''.
  • x86-64 명령어 구조
  • 65nm 또는 45nm의 제조 공정
  • 25W TDP (2.0GHz)
  • 800MHz~1333MHz의 V4 버스 속도
  • ECC 지원
  • 슈퍼스칼라 비순차적 명령 실행
  • 가상화 기술 (인텔 호환 기능)
  • 64KB L1 캐시 및 1MB L2 캐시
  • VIA C7과 핀 호환

VIA 이사야 아키텍처 도면


VIA Isaiah 아키텍처 다이 평면도


나노 X2 마이크로아키텍처

  • '''아웃 오브 오더 및 슈퍼스칼라 설계''': 이전 제품인 인 오더 방식의 VIA C7 프로세서보다 훨씬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한다.
  • '''명령어 융합''': 프로세서가 여러 명령어를 단일 명령어로 결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 '''향상된 분기 예측''': 두 파이프라인 단계에서 8개의 예측기를 사용한다.
  • '''CPU 캐시 설계''': 독점적인 캐시 설계는 L1 캐시의 내용이 L2 캐시에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 전체 캐시를 더 크게 만든다.
  • '''데이터 프리페치''': L2 캐시를 로드하기 전에 특수 64라인 캐시를 로드하고 L1 캐시에 직접 로드하는 것을 포함하여 데이터 프리페치를 위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통합한다.
  • * 인텔의 3~5 사이클과 비교하여 사이클당 4개의 x86 명령어를 페치한다.
  • * 실행 유닛에 클럭당 3개의 마이크로 연산을 발행한다.
  • '''메모리 접근''': 더 작은 저장소를 더 큰 로드 데이터로 병합한다.
  • '''실행 유닛''': 7개의 실행 유닛을 사용할 수 있어 클럭당 최대 7개의 마이크로 연산을 실행할 수 있다.
  • * 2개의 정수 유닛 (ALU1 및 ALU2)
  • ** ALU1은 모든 기능을 갖춘 반면 ALU2는 일부 사용 빈도가 낮은 명령어가 부족하므로 주소 계산과 같은 작업에 더 적합하다.
  • * VIA에 따르면, 주소 저장용 1개와 데이터 저장용 1개, 2개의 저장 유닛.
  • * 1개의 로드 유닛
  • * 128비트 폭의 데이터 경로를 갖춘 2개의 미디어 유닛 (MEDIA-A 및 MEDIA-B)으로, 4개의 단정밀도 또는 2개의 배정밀도 연산을 지원한다. '''미디어 계산'''은 두 미디어 유닛의 사용을 의미한다.
  • ** MEDIA-A는 부동 소수점 "덧셈" 명령어 (단정밀도 및 배정밀도에 대해 2 클럭 지연), 정수 SIMD, 암호화, 나눗셈 및 제곱근을 실행한다.
  • ** MEDIA-B는 부동 소수점 "곱셈" 명령어 (단정밀도에 대해 2 클럭 지연, 배정밀도에 대해 3 클럭 지연)를 실행한다.
  • ** 두 미디어 유닛으로 도입된 병렬 처리로 인해 미디어 계산은 클럭당 4개의 "덧셈" 및 4개의 "곱셈" 명령어를 제공할 수 있다.
  • * 지금까지 x86 프로세서에서 가장 낮은 클럭 지연 시간을 가진 FP 덧셈의 새로운 구현.
  • * 거의 모든 정수 SIMD 명령어가 1 클럭에 실행된다.
  • * MMX, SSE, SSE2, SSE3, SSSE3 멀티미디어 명령어 세트를 구현한다.
  • * SSE4.1 멀티미디어 명령어 세트 (VIA Nano 3000 시리즈 및 Nano X2 시리즈)를 구현한다.
  • '''전력 관리''': 매우 낮은 전력을 요구하는 것 외에도 많은 새로운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 * 새로운 C6 전원 상태가 포함되어 있다 (캐시가 플러시되고, 내부 상태가 저장되며, 코어 전압이 꺼진다).
  • * ''적응형 P-상태 제어'': 실행을 중단하지 않고 성능과 전압 상태 간에 전환한다.
  • * ''적응형 오버클럭'': 프로세서 코어의 온도가 낮으면 자동 오버클럭을 수행한다.
  • * ''적응형 열 제한'':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프로세서를 조정한다.
  • '''암호화''': VIA PadLock 엔진을 포함한다.
  • * AES 암호화, 보안 해시 알고리즘 SHA-1 및 SHA-256 및 난수 생성에 대한 하드웨어 지원
  • 다이 크기: 7.65mm x 8.275mm (63.3mm2)
  • FSB: VIA V4 1333/1066/800/533MHz
  • L2 캐시: 4/2/1MB (16-way set associative)
  • 지원 칩셋: CN896+VT8237S/VX900/VX900H/VN1000/VX11

3. 2. 지원 명령어 집합

비아 나노 프로세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 집합을 지원한다.

  • 기본 명령어 집합:
  • MMX
  • SSE, SSE2, SSE3, SSSE3
  • x86-64
  • NX 비트
  • VIA VT 가상화 (스테핑 3 이상)
  • VIA PadLock (SHA, AES, RNG)
  • VIA PowerSaver

  • 나노 3000 시리즈 이후 추가:
  • SSE4.1


이러한 명령어 집합들은 비아 나노 프로세서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처리와 보안 관련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돕는다. 특히, SSE4.1은 비디오 처리 등 멀티미디어 작업 성능을 높인다. VIA PadLock 엔진은 하드웨어 수준에서 암호화를 제공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다.

4. CPU 목록

VIA는 2008년 5월에 CPU 제품인 VIA 나노를 발표했다. VIA 나노의 CPU 목록은 다음과 같다.

VIA 나노는 이전 세대인 VIA 에스더보다 동등한 클럭 속도에서 정수 성능은 2배, 부동 소수점 성능은 4배 더 빠르며, 열 설계 전력은 5W에서 25W로 이전 세대와 비슷하다.[7] x86-64 명령어 집합 및 x86 가상화와 같이 이전 제품인 VIA C7 라인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기능을 지원하며, 암호화 확장 기능은 유지했다. 여러 독립적인 테스트에서 VIA 나노는 다양한 작업 부하에서 단일 코어 인텔 아톰보다 성능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8][9][10]

VIA 나노는 각 CPU 코어마다 두 개의 개발 코드명을 사용하는데, 'CN'은 미국의 Centaur Technology에서, VIA는 대만에서 성경 이름을 코드로 사용하며, 이 프로세서와 아키텍처의 선택은 이사야였다.

2009년 11월 3일, VIA는 나노 3000 시리즈를 출시하여 나노 1000 및 2000 시리즈보다 20% 더 높은 성능 향상과 20% 더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12] VIA의 벤치마크에 따르면 1.6 GHz 3000 시리즈 나노는 노후화된 인텔 아톰 N270보다 약 40–54% 더 뛰어난 성능을 낼 수 있다.[13] 3000 시리즈는 SSE4 SIMD 명령어 집합 확장을 추가했으며, 이는 인텔 코어 2 아키텍처의 45 nm 개정판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2011년 11월 11일, VIA는 최초의 듀얼 코어 pico-itx 마더보드를 탑재한 VIA 나노 X2 듀얼 코어 프로세서를 출시했다. VIA 나노 X2는 40nm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SSE4 SIMD 명령어 집합 확장을 지원한다.[14] VIA는 인텔 아톰보다 30% 더 높은 성능을 가지며, 클럭은 50% 더 높다고 주장한다.[15]

자오신(Zhaoxin) 합작 벤처 프로세서는 2014년부터 VIA 나노 시리즈를 기반으로 출시되었다.

VIA C7의 후속 제품으로, VIA제 x86 호환 CPU로 처음으로 아웃 오브 오더 실행 및 슈퍼스칼라명령 파이프라인을 탑재했으며, 확장 명령으로 SSE3 명령·x64 호환 명령 등이 풀 지원되었다. 이로 인해 이전 모델인 C7에서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멀티코어는 나중에 CNQ 코어에 탑재되었으며, 이는 VIA의 CPU가 멀티코어화된 첫 번째 사례이다.

또한 AES암호화 엔진 패드락에 의한 하드웨어 암호화 가속을 지원한다.

절전 기술 '''Adaptive PowerSaver'''에 의한 고도의 절전 제어가 가능하며, 유휴 시 소비 전력은 100~200mW이다.(최상위 L2100만 500mW)

후지쯔의 65nm 공정(Nano 1000~3000 시리즈)와 TSMC의 40nm 공정 (Nano X2/VIA QuadCore)에 의해 제조되며, 패키징은 온보드용 '''NanoBGA2'''만 제공된다. VIA Nano의 패키지는 VIA C7과 핀 호환성이 있어, C7 대응으로 디자인된 시스템이라면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VIA Nano 프로세서는 소비 전력 및 발열에 따라 클럭 속도를 높이는 자동 오버클럭 기능을 갖추고 있어, 싱글 스레드 작업 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VIA Nano의 제품 라인업은 메인스트림 데스크톱/노트 PC용 '''L 시리즈'''와 SFF 데스크톱/UMPC용 '''U 시리즈''' 및 임베디드용 '''E 시리즈'''로 크게 나뉜다.

또한, 팬리스 구동이 가능한 CPU는 EDEN 시리즈로 모델 번호가 붙지만 여기서는 Isaiah 코어의 EDEN도 함께 표기한다.

4. 1. 데스크톱/모바일용 CPU

VIA 나노의 데스크톱/모바일용 CPU는 메인스트림 데스크톱/노트 PC용 '''L 시리즈''', SFF 데스크톱/UMPC용 '''U 시리즈''', 임베디드용 '''E 시리즈'''로 크게 나뉜다. 팬리스 구동이 가능한 CPU는 EDEN 시리즈로 모델 번호가 붙지만, 여기서는 Isaiah 코어의 EDEN도 함께 표기한다.

VIA Nano는 VIA C7의 후속 제품으로, VIA제 x86 호환 CPU로는 처음으로 아웃 오브 오더 실행 및 슈퍼스칼라명령 파이프라인을 탑재했으며, SSE3 명령, x64 호환 명령 등을 지원한다. 이로 인해 이전 모델인 C7에서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또한 AES암호화 엔진 패드락에 의한 하드웨어 암호화 가속을 지원한다. 절전 기술 '''Adaptive PowerSaver'''를 통해 유휴 시 소비 전력은 100~200mW 수준이다(최상위 L2100 모델은 500mW).

후지쯔의 65nm 공정(Nano 1000~3000 시리즈)과 TSMC의 40nm 공정(Nano X2/VIA QuadCore)으로 제조되며, 패키징은 온보드용 '''NanoBGA2'''만 제공된다. VIA Nano의 패키지는 VIA C7과 핀 호환성이 있어, C7 대응 시스템에 쉽게 교체할 수 있다.

VIA Nano 프로세서는 소비 전력 및 발열에 따라 클럭을 높이는 자동 오버클럭 기능을 갖추고 있어, 싱글 스레드 작업 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1. 1. VIA Nano 2000 시리즈

VIA Nano 2000 시리즈는 2008년 5월 29일에 출시된 프로세서이다.[37] 이 시리즈는 65n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MMX, SSE, SSE2, SSE3, SSSE3, x86-64, NX 비트, VIA VT 가상화 (스테핑 3 이상), VIA PadLock (SHA, AES, RNG), VIA PowerSaver 등의 명령어 세트를 지원한다.

모델
번호
클럭
속도
(GHz)
L1 캐시
(KB)
L2 캐시
(KB)
FSB
(MHz)
배수TDP
(W)
유휴
전력
(mW)
소켓코어
발표
날짜
L22001.616+161024800817200NanoBGA212008년 5월 29일
L22071.68-200
L20071.6825500
L21001.8925500
L21071.89-500


4. 1. 2. VIA Nano 3000 시리즈

VIA는 2009년 11월에 VIA C7의 후속 제품인 '''VIA Nano 3000 (CNC)'''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는 기존 Nano 프로세서에 비해 20% 낮은 소비 전력으로 20% 높은 성능을 실현했다고 한다. 또한 CPU 가상화 및 '''SSE4''' 명령에 대한 지원과 같은 새로운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Nano 3000 시리즈 발표에 따라 기존 모델은 Nano 1000 (CNA)/2000 시리즈 (CNB)로 표기된다.

4. 1. 3. VIA Nano 듀얼 코어 시리즈

2011년 1월, VIA는 VIA Nano 3000을 기반으로 한 듀얼 코어 CPU인 '''VIA Nano X2 (CNQ)''' 시리즈를 발표했다. 센토어의 코드네임이 CND가 아닌 CNQ가 된 것은 원래 쿼드코어(QuadCore)화를 전제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같은 해 5월에는 Nano X2를 기반으로 한 쿼드 코어 CPU인 '''VIA QuadCore'''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는 동일한 다이(CNQ)를 기판 위에 2개 탑재하는 방식(멀티칩 모듈)으로 쿼드 코어를 실현한 CPU이며, 같은 방식을 이용한 CPU로는 인텔펜티엄 D코어 2 쿼드 등이 알려져 있다.

4. 2. 저전력 CPU

VIA Nano의 저전력 CPU 모델은 주로 U 시리즈로 출시되었다. 이 모델들은 주로 UMPC 및 임베디드 시스템과 같은 저전력 소모를 요구하는 환경을 위해 설계되었다.

모델명클럭L2캐시FSB배수TDP소비전력(Idle)소켓출시 일자
U23001 GHz1024 KiB533 MT/s5 W100 mWNanoBGA22008년 5월 29일
U25001.2 GHz1024 KiB800 MT/s6.8 W100 mWNanoBGA22008년 5월 29일
U23501.3 GHz1024 KiB800 MT/s6.5×8 W100 mWNanoBGA22008년 5월 29일
U24001.3+ GHz1024 KiB800 MT/s6.5×8 W100 mWNanoBGA22008년 5월 29일

[37]

이후 출시된 VIA Nano 1000/2000, 3000, 듀얼 코어 시리즈에서도 저전력 모델(U 시리즈)들이 출시되었다.

4. 2. 1. VIA Nano 1000/2000 시리즈

넘버클럭
속도
(GHz)캐시
(KB)FSB
(MHz)배수TDP
(W)유휴 시
소비 전력
(mW)소켓코어 수발표 시기기본터보 시L1L2U17001.01.316+1625680010~135200NanoBGA212008년 5월 29일U23005337.5100U22251.3800138200U22501.613~16U25001.2126.8100

[37]

4. 2. 2. VIA Nano 3000 시리즈

VIA Nano 3000 (CNC) 시리즈는 2009년 11월에 발표되었으며, 기존 Nano 프로세서에 비해 20% 낮은 소비 전력으로 20%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20][21] CPU 가상화 및 '''SSE4''' 명령어도 지원한다.

모델 넘버기본 클럭 속도 (GHz)터보 시 클럭 속도 (GHz)L1 캐시 (KB)L2 캐시 (MB)FSB (MHz)배수TDP (W)유휴 시 소비 전력 (mW)소켓코어 수발표 시기
U31001.31.664+64180013~169100NanoBGA212010년 4월 22일
U33001.2126.8
U35001.0105
U34000.883.5


4. 2. 3. VIA Nano 듀얼 코어 시리즈

VIA Nano 듀얼 코어 시리즈는 2011년 1월에 VIA에서 발표한 CPU 제품군이다.[18][19] VIA Nano 3000 시리즈를 기반으로 하며, 두 개의 코어를 탑재하고 있다.
주요 특징:
모델:

모델 넘버클럭 속도 (GHz)캐시FSB (MHz)TDP (W)소켓코어 수발표 시기
기본터보 시L1 (KB)L2 (MB)
U43001.2+1.4664+642106613NanoBGA222011년 5월 5일
U40251.2-418


4. 3. 임베디드용 CPU

VIA 나노는 VIA가 2008년 5월에 발표한 CPU 제품으로, 센토어 테크놀로지에서 설계하였다. 개발 코드네임은 Isaiah (VIA) 또는 CNA/CNB/CNC/CNQ (Centaur)이다.

VIA C7의 후속 제품으로, VIA제 x86 호환 CPU로는 처음으로 아웃 오브 오더 실행 및 슈퍼스칼라명령 파이프라인을 탑재했으며, 확장 명령으로 SSE3 명령, x64 호환 명령 등을 지원한다. 이로 인해 이전 모델인 C7에 비해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초기 모델(CNA/CNB/CNC)은 하드웨어 멀티스레딩이나 멀티코어를 지원하지 않았으나, 이후 CNQ 코어에서 멀티코어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또한 AES암호화 엔진 패드락을 통한 하드웨어 암호화 가속을 지원한다. 절전 기술 '''Adaptive PowerSaver'''를 통해 유휴 시 소비 전력은 100~200mW (최상위 L2100 모델은 500mW) 수준이다.

후지쯔의 65nm 공정(Nano 1000~3000 시리즈)과 TSMC의 40nm 공정 (Nano X2/VIA QuadCore)으로 제조되며, 패키징은 온보드용 '''NanoBGA2'''만 제공된다. VIA Nano는 VIA C7과 핀 호환성이 있어, C7 대응 시스템에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2009년 11월, VIA는 '''VIA Nano 3000 (CNC)'''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는 기존 Nano 프로세서에 비해 20% 낮은 소비 전력으로 20% 높은 성능을 제공하며, CPU 가상화 및 '''SSE4''' 명령을 지원한다. Nano 3000 시리즈 발표에 따라 기존 모델은 Nano 1000 (CNA)/2000 시리즈 (CNB)로 표기된다.

VIA Nano 프로세서는 소비 전력 및 발열에 따라 클럭 속도를 높이는 자동 오버클럭 기능을 갖추고 있어, 싱글 스레드 작업 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VIA Nano는 메인스트림 데스크톱/노트 PC용 '''L 시리즈''', SFF 데스크톱/UMPC용 '''U 시리즈''', 임베디드용 '''E 시리즈'''로 나뉜다. 팬리스 구동이 가능한 CPU는 EDEN 시리즈로 모델 번호가 붙는다.

VIA의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VIA Nano L2200 (1.6GHz)은 인텔 Atom N270 (1.6GHz)에 비해 PCMark 05에서 20%, 3DMark2006에서 29%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25] 또한 VIA Nano X2 U4300(1.2GHz+)는 인텔 Atom D525(1.8GHz)보다 40%~35% 더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1와트당 성능이 Atom보다 높다고 주장한다.[26]

4. 3. 1. VIA Nano 듀얼 코어 시리즈

VIA영어 나노 3000을 기반으로 한 듀얼 코어 CPU '''VIA Nano X2영어 (CNQ)''' 시리즈에 대한 내용이다.[18][19]

시리즈 이름모델 넘버클럭 속도 (GHz)캐시FSB (MHz)TDP (W)소켓코어 수발표 시기
기본터보 시L1 (KB)L2 (MB)
나노 X2 EL4350E1.61.7364+641106627.5NanoBGA2영어22011년 5월 5일
L4300E1.2-13
에덴 X2L4200E1.08009
L4100E0.85336


4. 3. 2. VIA QuadCore 시리즈

VIA는 2011년 5월에 나노 X2를 기반으로 한 쿼드 코어 CPU인 '''VIA QuadCore''' 시리즈를 발표했다.[22][23][24]

이는 동일한 다이(CNQ)를 기판 위에 2개 탑재하는 방식(멀티칩 모듈)으로 쿼드 코어를 실현한 CPU이며, 같은 방식을 이용한 CPU로는 인텔펜티엄 D코어 2 쿼드 등이 있다.

VIA Nano 프로세서는 소비 전력 및 발열에 따라 클럭 속도를 높이는 자동 오버클럭 기능을 갖추고 있어, 싱글 스레드 작업 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델기본 클럭터보 시 클럭L1L2FSBTDP소켓코어 수발표 시기
L4700E1.2+1.4664/코어4133327.5NanoBGA242011년 5월 5일
L4650E1.0+ (ULV)1.218



VIA 쿼드코어 발표회에서 공개된 벤치마크 결과에 따르면 AMD E-350에 비해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27]

5. 주요 채용 사례

대한민국삼성은 Nano U2250을 탑재한 넷북 NC20을 출시하였고, 중국 레노버는 Idea Pad S12를 출시하였다.[28] 이 외에도 대만중국의 소규모 제조사에서 VIA 나노를 채택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히타치 제작소의 씬 클라이언트에 채용되었다.

은 VIA 나노를 채용한 서버 제품 '''XS11-VX8'''을 발표했는데, 이는 VIA CPU가 델에 채용된 최초의 사례이자, 대형 서버 벤더의 서버 제품에 채용된 최초의 사례이다.

휴렛 팩커드는 씬 클라이언트에 VIA CPU를 많이 채용하고 있으며, 나노 탑재 씬 클라이언트 t5570을 출시하였다.

조텍은 VIA Nano X2를 채용한 베어본 키트 ZBOXNANO- VD01을 출시하였다. 이는 일본에서 일반 판매되는 PC에 처음으로 Nano X2를 탑재한 사례이다.

6. 평가 및 시장 상황

VIA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VIA Nano L2200 (1.6GHz)과 인텔 아톰 N270 (1.6GHz)을 비교한 벤치마크에서 PCMark 05는 20%, 3DMark2006은 29%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25]

VIA Nano X2 U4300(1.2GHz+)과 인텔 아톰 D525(1.8GHz)를 비교한 벤치마크에서는, 50% 더 높은 베이스 클럭으로 작동하는 아톰 D 시리즈보다 VIA Nano X2가 40%~35% 정도 더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26] 1와트당 성능이 아톰보다 높다고 주장한다.

VIA 쿼드코어 발표회에서 공개된 벤치마크 결과에서는 AMD E-350보다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7]

참조

[1] 웹사이트 VIA to launch new processor architecture in 1Q08 http://www.digitimes[...] DigiTimes 2007-07-25
[2] 웹사이트 Isaiah revealed: VIA's new low-power architecture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08-01-23
[3] 웹사이트 VIA's New Centaur Designed Isaiah CPU Architecture https://web.archive.[...] "[H]ard|OCP" 2008-01-24
[4] 웹사이트 Via launches 64-bit architecture https://archive.toda[...] LinuxDevices.com 2008-01-23
[5] 웹사이트 A look at VIA's next-gen Isaiah x86 CPU architecture http://techreport.co[...] The Tech Report 2008-01-24
[6] 간행물 VIA Launches VIA Nano Processor Family http://www.viatech.c[...] VIA 2008-05-29
[7] 웹사이트 VIA Isaiah Architecture Introduction http://www.via.com.t[...] VIA 2008-01-23
[8] 웹사이트 Intel Atom vs. VIA Nano https://web.archive.[...] "[H]ard|OCP" 2008-07-29
[9] 웹사이트 VIA Nano L2100 vs. Intel Atom 230: Head to Head http://hothardware.c[...] HotHardware 2009-01-18
[10] 뉴스 VIA Nano and Intel Atom Review – Battle of the Tiny CPUs https://web.archive.[...] PC Perspective 2009-01-18
[11] 뉴스 Low-end grudge match: Nano vs. Atom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17-06-15
[12] 간행물 VIA Introduces New VIA Nano 3000 Series Processors https://web.archive.[...] VIA 2009-11-03
[13] 웹사이트 VIA Nano Processor http://www.via.com.t[...] VIA 2008-05-30
[14] 웹사이트 VIA Releases New Nano X2 Dual-Core Processor http://www.tomshardw[...] Tom's Hardware 2013-10-15
[15] 웹사이트 VIA Nano x2 Processor SPECfp2000 Benchmarks https://web.archive.[...] VIA
[16] 웹사이트 The VIA Isaiah Architecture - VIA Technologies, Inc. https://web.archive.[...] 2020-04-10
[17] 웹사이트 笠原一輝のユビキタス情報局 https://pc.watch.imp[...] 2013-06-06
[18] URL http://www.via.com.t[...]
[19] URL http://www.viaembedd[...]
[20] URL http://www.via.com.t[...]
[21] URL http://www.viaembedd[...]
[22] URL http://www.via.com.t[...]
[23] URL http://www.via.com.t[...]
[24] URL http://www.viaembedd[...]
[25] 웹사이트 VIA Nano(TM)プロセッサ - VIA Technologies, Inc. http://www.viatech.c[...] 2010-05-18
[26] 웹사이트 VIA Nano(TM) X2 プロセッサ - VIA Technologies, Inc. http://www.viatech.c[...] 2013-06-06
[27] 웹사이트 笠原一輝のユビキタス情報局 https://pc.watch.imp[...] 2013-06-06
[28] 웹사이트 仕様:FLORA Se330(BU2) https://www.hitachi.[...] 2012-02-12
[29] 웹인용 2003 Press Release - VIA Technologies, Inc https://web.archive.[...] 2007-07-18
[30] URL http://www.digitimes[...]
[31] URL Isaiah revealed: VIA's new low-power architecture - Ars Technica http://arstechnica.c[...]
[32] 웹인용 '[H] Enthusiast - VIA''s New Centaur Designed Isaiah CPU Architecture' https://web.archive.[...] 2008-09-10
[33] 웹인용 Via launches 64-bit architecture http://www.linuxdevi[...] 2008-09-10
[34] URL A look at VIA's next-gen Isaiah x86 CPU architecture - The Tech Report - Page 1 http://techreport.co[...]
[35] 웹인용 News Release VIA Launches VIA Nano Processor Family - VIA Technologies, Inc https://web.archive.[...] 2008-05-29
[3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08-05-28
[37] 웹인용 Though the processors are not available to consumers as of September, 2008, they had been shipped to select OEMs before May 29th. http://blogs.zdnet.c[...] 2009-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