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중은 물질의 밀도를 기준 물질의 밀도로 나눈 무차원량이다. 일반적으로 4°C의 물을 기준으로 하며, 비중이 1보다 크면 물보다 밀도가 높아 가라앉고, 1보다 작으면 물에 뜬다. 비중은 액체나 기체 내 물질의 부력을 판단하거나, 미지 물질의 밀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산업 현장에서 수용액 내 물질의 농도를 결정하는 데 활용된다. 비중계나 비중병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동하므로 측정 시 이를 명시해야 한다. 비중은 온도에 민감하고, 물질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불순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비중(比重, specific gravity)은 어떤 물질의 질량과 그와 같은 부피를 가진 기준 물질의 질량과의 비율이다. 고체나 액체의 경우, 기준 물질로 4°C의 물을 사용하며, 기체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100°C, 1기압의 공기를 표준으로 한다.[20][21][22]
액체의 비중은 주로 비중계나 비중병(피크노미터)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고체의 비중은 비중병을 사용하거나, 물에 담가 부피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2. 정의
상대밀도() 또는 비중()은 무차원량이며, 밀도 또는 무게의 비율로 정의된다. 기준 물질은 아래첨자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는 "기준 물질에 대한 물질의 상대밀도"를 의미한다.
과학 연구에서는 질량과 부피의 관계를 물질의 밀도(단위 부피당 질량)로 직접 표현하지만, 비중은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액체의 참 비중()과 겉보기 비중()은 각각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여기서 는 시료의 밀도, 는 물의 밀도, 는 공기 중에서 측정한 시료의 무게, 는 공기 중에서 측정한 같은 부피의 물의 무게이다.
밀도와 비중은 서로 다른 개념으로,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단위는 kg/m3)이고, 비중은 기준 물질과 비교한 밀도 비(단위는 무차원량)이다. 따라서 물질이 물에 뜨거나 가라앉는 현상은 밀도보다 비중으로 판단하는 것이 더 쉽다.[23]
2. 1. 기본 계산
상대 밀도(Relative density, RD) 또는 비중(Specific gravity, SG)은 무차원량이며, 어떤 물질의 밀도를 기준 물질의 밀도로 나눈 값이다.
:
여기서 는 상대 밀도, 는 측정 대상 물질의 밀도, 는 기준 물질의 밀도이다.
기준 물질이 명시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4°C의 물을 기준으로 한다.[7] 국제단위계(SI)에서 물의 밀도는 대략 1000kg/m3 또는 1g/cm3이므로, 상대 밀도 계산이 편리하다.
비중이 1보다 큰 물질은 물보다 밀도가 높아 물에 가라앉고, 비중이 1보다 작은 물질은 물보다 밀도가 낮아 물에 뜬다.[23]
3. 측정
상대 밀도는 시료의 밀도를 측정하여 기준 물질의 밀도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시료의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이다. 질량은 측정하기 쉽지만, 불규칙한 모양의 시료는 부피를 측정하기 어렵다. 이 경우 시료를 물이 채워진 눈금 실린더에 넣어 밀어낸 물의 양을 읽거나, 용기를 가득 채우고 시료를 담근 후 넘친 물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물의 표면 장력 때문에 넘치는 물의 양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입구가 작은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샘플의 무게를 공기 중과 물속에서 측정하여 상대 밀도를 계산하는 방법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이때, 샘플이 물에 뜨는 경우 ''W''water는 음수가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샘플을 건조시켜 무게를 측정하고, 물이 가득 찬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샘플을 담그고 넘친 물을 제거한 뒤 다시 무게를 측정한다. 이 방법으로 상대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3. 1. 비중계 (Hydrometer)
비중계는 액체에 띄워 부력을 이용하여 상대 밀도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비중계는 일정한 단면적을 가진 줄기에 부착된 구로 구성된다.
먼저 비중계를 기준 액체(보통 물)에 띄워 변위(줄기 위 액체의 높이)를 표시한다. 그런 다음 밀도를 알 수 없는 액체에 비중계를 띄워 변위의 변화를 기록한다. 비중계는 두 액체 모두에서 떠 있어야 한다.
단순한 물리적 원리를 적용하면 변위의 변화로부터 미지의 액체의 상대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비중계의 줄기에는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눈금이 미리 표시되어 있다.
떠 있는 비중계는 정적 평형 상태이므로,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중력은 위쪽으로 작용하는 부력과 정확히 균형을 이룬다. 아르키메데스의 부력 원리에 따르면, 비중계에 작용하는 부력은 변위된 액체의 무게와 같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변위의 변화, 기준 액체의 밀도, 비중계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대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변위의 변화가 작을 때는, 상대 밀도의 변화에 거의 비례한다.
비중계는 액체 속에 들어간 부피에 해당하는 액체의 무게만큼 부력을 받는다. 따라서 비중계는 자신의 무게와 부력이 평형을 이루는 곳까지 액체 속에 잠기게 된다. 액체의 비중이 낮을수록 비중계는 더 깊이 잠긴다.
비중계 측면에 눈금을 표시하여 액면의 위치에 따라 액체의 비중을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액체 속에 들어간 비중계의 부피와 액체의 비중은 반비례 관계이므로, 눈금 간격이 불규칙해진다. 따라서 측정하는 비중의 범위를 한정하여, 그 범위에서는 부피와 비중이 비례한다고 보고 등간격의 눈금을 매기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눈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3. 2. 비중병 (Pycnometer)
'''비중병'''(比重甁)은 액체나 고체의 비중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유리 용기로, '''피크노미터'''라고도 불린다. πυκνός|피크노스|밀도grc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일반적으로 비중병은 연마 유리 마개가 있으며, 마개에는 모세관이 있어 공기 방울을 제거하여 측정의 정확도를 높인다. 이 장치를 사용하면 물이나 수은과 같은 기준 액체를 사용하여 분석 저울로 액체의 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9]
일반적인 방법으로 무게를 측정하기 어려운 분말의 입자 밀도도 비중병으로 측정할 수 있다. 분말을 비중병에 넣고 무게를 측정하여 분말 시료의 무게를 구한 후, 분말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 알려진 밀도의 액체를 채운다. 치환된 액체의 무게를 측정하면 분말의 상대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기체 비중병은 비중병의 기체 기반 형태로, 기준 물질이 들어 있는 밀폐된 공간의 부피 변화로 인한 압력 변화를 시료로 인한 압력 변화와 비교한다. 압력 변화의 차이는 기준 물질과 비교하여 시료의 부피를 나타내며, 고체 미립자나 다공성 재료의 밀도 측정에 주로 사용된다.
3. 3. 디지털 밀도계
최근에는 진동 U자관 미터, 초음파 변환기, 방사선 기반 계량기 등을 이용한 디지털 밀도계를 사용하여 상대 밀도를 더욱 정밀하게 측정한다. 진동 U자관 미터는 소수점 이하 5~6자리까지 측정이 가능하며, 양조, 증류, 제약, 석유 및 기타 산업에서 사용된다. 초음파 변환기는 초음파를 사용하여 밀도 및 점도와 같은 유체 특성을 측정한다. 방사선 기반 계량기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유체 밀도를 측정하며, 계측기가 유체와 접촉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세슘-137이다.[10]
4. 온도 의존성
물질의 밀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지므로, 비중을 측정할 때는 온도와 압력을 명시해야 한다.[7] 거의 항상 1기압에서 측정이 이루어지지만, 비중은 압축성이 낮은 물질에 주로 적용되므로 압력에 의한 밀도 변화는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7]
온도는 (''T''s/''T''r) 표기법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T''s는 시료의 밀도를 측정한 온도를, ''T''r는 기준 물질(주로 물)의 밀도를 측정한 온도를 의미한다.[7] 예를 들어 SG(20°C/4°C)는 시료의 밀도를 20°C에서, 물의 밀도를 4°C에서 측정하여 비중을 계산했음을 뜻한다. 서로 다른 시료 및 기준 온도를 고려하면, SGH2O = 1.000000 (20°C/20°C)이지만, RDH2O = 0.9982288 (20°C/4°C)이다. 여기서 온도는 국제온도눈금 1990년(ITS-90) 척도를 사용한다.[7]
두 물질의 온도는 다음과 같이 밀도 기호에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 상대밀도: 8.1520 °C4 °C
- 비중: 2.432150
여기서 위첨자는 물질의 밀도를 측정한 온도를, 아래첨자는 비교하는 기준 물질의 온도를 나타낸다.
5. 활용
비중은 액체나 기체 내에서 물질의 부력을 판단하거나, 알려진 밀도를 가진 다른 물질을 이용하여 미지 물질의 밀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산업 현장에서는 주로 수용액 내 물질의 농도를 파악하는 데 비중이 널리 활용된다. 예를 들어, 양조 산업에서는 플라토 표를 이용하여 자당 용액의 농도를 측정한다.[5] 북미 지역에서는 ASBC 표[6]가 널리 사용되며, 설탕, 청량 음료, 꿀, 과일 주스 산업에서는 브릭스가 작성한 표를 참고하여 자당 농도를 확인한다.
지질학, 광물학에서는 암석이나 기타 시료의 광물 함량을 분석하는 데 비중이 사용된다. 보석학에서는 보석의 종류를 감별하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된다.
토양 역학에서는 흙의 간극비()를 통해 흙의 역학적 거동을 파악하는 데 비중()이 사용된다. 흙의 최대 간극비(), 최소 간극비()를 통해 비중을 계산한다.
6. 각종 물질의 비중 (예시)
각종 물질의 대략적인 비중은 다음과 같다. 단, 순도, 구성 물질, 온도, 압력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물질 | 비중 |
---|---|
나무 | 0.2 |
코르크 | 0.24 |
리튬 | 0.53 |
가솔린 | 0.705 |
에탄올 | 0.785 |
얼음 | 0.92 |
고무 | 0.93 |
바닷물 | 1.03 |
벽돌 | 1.6 |
마그네슘 | 1.74 |
황산 | 1.834 |
베릴륨 | 1.85 |
사암 | 1.90 |
콘크리트 | 2.4 |
유리 | 2.45 |
수정 | 2.65 |
알루미늄 | 2.70 |
티타늄 | 4.6 |
크롬 | 7.1 |
아연 | 7.13 |
철 | 7.86 |
구리 | 8.93 |
은 | 10.5 |
납 | 11.35 |
수은 | 13.56 |
금 | 19.3 |
백금 | 21.4 |
재료 | 비중 |
---|---|
발사목 | 0.2 |
참나무 | 0.75 |
에탄올 | 0.78 |
올리브유 | 0.91 |
물 | 1 |
아이언우드(Olea capensis) | 1.5 |
흑연 | 1.9–2.3 |
식탁용 소금 | 2.17 |
알루미늄 | 2.7 |
시멘트 | 3.15 |
철 | 7.87 |
구리 | 8.96 |
납 | 11.35 |
수은 | 13.56 |
결핍 우라늄 | 19.1 |
금 | 19.3 |
오스뮴 | 22.59 |
(시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 수치는 대략적인 값이다.)
상대 밀도가 1인 물질은 중성 부력을 가지며, 상대 밀도가 1보다 큰 물질은 물보다 밀도가 높으므로 (표면 장력 효과를 무시하면) 물에 가라앉고, 상대 밀도가 1보다 작은 물질은 물보다 밀도가 낮으므로 뜨게 된다.
7. 한계
비중(SG)은 유용하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가 존재한다.
- 온도 민감도: 측정 대상 물질과 기준 물질(주로 물)의 밀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비중 값 역시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정확한 비중 측정을 위해서는 온도 조건을 명시해야 한다.[12]
- 비압축성 가정: 비중은 물질이 압축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계산된다. 하지만 기체나 일부 액체의 경우 압력 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하므로, 이 가정이 성립하지 않아 정확한 비중 값을 얻기 어렵다.[13]
- 제한적인 정보: 비중은 물질의 밀도 정보만을 제공할 뿐, 물질의 구성 성분이나 기타 특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알 수 없다.[14]
- 측정 오차: 불순물, 혼합 과정의 불완전성, 액체 내 기포(bubble) 등은 비중 측정값에 오차를 유발하여 결과를 왜곡할 수 있다.[15]
참조
[1]
서적
A text-book of mineralogy: with an extended treatise on crystallograph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1922
[2]
서적
Fundamentals of fluid mechanics
https://books.google[...]
Wiley, John & Sons, Incorporated
1999-02-05
[3]
서적
Metric Manual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Bureau of Reclamation
1978
[4]
학술지
Density, Thermal Expansivity, and Compressibility of Liquid Water from 0 to 150°C: Correlations and Tables for Atmospheric Pressure and Saturation Reviewed and Expressed on 1968 Temperature Scale
https://doi.org/10.1[...]
[5]
간행물
ASBC Methods of Analysis Preface to Table 1: Extract in Wort and Beer
American Society of Brewing Chemists
2009
[6]
간행물
ASBC Methods of Analysis Table 1: Extract in Wort and Beer
[7]
학술지
Die Dichte des Wassers als Funktion der Temperatur nach Einführung des Internationalen Temperaturskala von 1990
[8]
서적
Malting and Brewing Science, Vol. II Hopped Wort and Beer
Chapman and Hall
1997
[9]
표준
DIN51 757 (04.1994): Testing of mineral oils and related materials; determination of density
[10]
웹사이트
Density – VEGA Americas, Inc
http://www.ohmartveg[...]
2011-09-30
[11]
웹사이트
Process Control Digital Electronic Hydrometer
http://www.gardco.co[...]
2011-09-30
[12]
학술지
The newtonian constant of gravitation as affected by temperature
[13]
서적
Engineering Design Handbook:Hydraulic Fluids
US Army Materiel Command
2024-09-15
[14]
웹사이트
Specific Gravity: Liquids, Gases, and Solids
https://www.samateri[...]
2024-09-15
[15]
특허
[16]
웹사이트
Lecture Demonstrations
http://web.physics.u[...]
[17]
서적
Medical-surgical nursing :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linical problems
2013-12-05
[18]
웹사이트
Density of blood
https://hypertextboo[...]
2022-01-23
[19]
웹사이트
Specific Gravity of Liqueurs
http://www.goodcockt[...]
[20]
법률
計量単位規則 別表第一
https://laws.e-gov.g[...]
[21]
문서
계량 단위 규칙에 대한 설명
[22]
문서
물의 밀도에 대한 설명
[23]
법률
기준기 검사 규칙 제432조
[24]
서적
토질역학
구미서관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