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분리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 분리파는 19세기 말 오스트리아 빈에서 결성된 예술가 단체로, 기존의 보수적인 예술 경향에 반발하여 새로운 예술 운동을 추구했다. 구스타프 클림트를 중심으로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참여했으며, "시대에는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이라는 모토 아래 종합 예술을 지향했다. 1897년 결성되어 1905년 클림트 등의 탈퇴로 분열되기 전까지 23회의 전시회를 개최하며, 건축가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가 설계한 분리파 전시관을 통해 혁신적인 예술을 선보였다. 빈 분리파는 아르 누보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스트리아 유로 기념 주화의 소재로 활용되는 등 현재까지도 그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술가 집단 - 제1빈악파
- 예술가 집단 - 힙노시스
힙노시스는 스톰 소거슨과 오브리 파월이 결성한 영국의 앨범 커버 디자인 팀으로, 핑크 플로이드, 레드 제플린 등 유명 아티스트들의 앨범 커버를 디자인하며 명성을 얻었고, 1983년 해산했다. - 예술 사조 - 인상주의
인상주의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시작된 미술 운동으로, 빛과 색채의 순간적인 인상을 담아내며 아카데미 미술에 반발, 클로드 모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에드가 드가 등을 중심으로 혁신적인 회화 양식을 제시하여 현대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예술 사조 - 추상 미술
추상 미술은 20세기 초 사물의 재현을 벗어나 순수한 조형 요소로 표현하는 미술 양식이며, 바실리 칸딘스키 등에 의해 시작되어 다양한 운동을 거쳐 발전했고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으로 분류된다.
빈 분리파 | |
---|---|
개요 | |
![]() | |
![]() | |
빈 분리파 (독일어) | Wiener Secession, Sezession |
정식 명칭 (독일어) | Vereinigung Bildender Künstler Österreichs |
국가 | 오스트리아 |
영향 | 아르 누보 |
주요 인물 | 구스타프 클림트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요제프 호프만 오토 바그너 |
배경 | |
결성 배경 | 기존의 보수적인 빈 미술 아카데미에 대한 반발 |
목표 | 새로운 예술 운동의 발전 젊은 예술가들의 지원 국제적인 예술 교류 증진 |
특징 | |
양식 | 아르 누보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양식 |
추구 가치 | Gesamtkunstwerk (총체 예술) 추구 예술, 건축, 디자인의 통합 기능성과 아름다움의 조화 |
주요 작품 | |
베토벤 프리즈 | 구스타프 클림트의 대표작, 빈 분리파 전시관에 전시 |
빈 분리파 전시관 |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설계, 분리파 운동의 상징 |
해체 | |
해체 이유 | 내부 갈등, 재정 문제,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
영향 | |
후대 예술 | 모더니즘 미술, 건축, 디자인에 큰 영향 |
2. 역사
19세기 말 빈의 보수적인 미술계에 반발하여, 빈 미술가 협회(쿤스트라하우스)의 운영 방식에 불만을 품은 젊은 예술가들이 1897년 구스타프 클림트를 중심으로 새로운 조형 미술 협회를 결성했다. 기존 협회(쿤스트라하우스)가 이를 인정하지 않자 클림트 등은 탈퇴하여 빈 분리파를 창립했으며, 초대 회장에는 클림트가 선출되었다.[19][20] 빈 분리파에는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1898년에는 제1회 빈 분리파 전시회를 개최했고,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22] 같은 해, 분리파의 기관지인 월간지 베르 사크룸(Ver Sacrum, 라틴어로 "성스러운 봄"이라는 뜻)을 창간하여 활동 이념을 알렸다.[23] 또한 빈 시의 지원과 실업가 카를 비트겐슈타인 등의 후원을 받아 회원인 건축가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의 설계로 전용 전시 공간인 분리파 전시관을 건설했다. 전시관 입구 상단에는 "DER ZEIT IHRE KUNST, DER KUNST IHRE FREIHEIT"(시대에는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라는 분리파의 모토가 새겨졌다. 당시 빈 사람들은 월계수 잎을 모티브로 한 금색 돔을 "노란 양파"라고 부르기도 했다.[24]
빈 분리파는 1898년부터 클림트가 탈퇴하는 1905년까지 총 23회의 전시회를 개최하며 종합 예술을 지향했다. 회화나 조각뿐만 아니라 공예품 전시도 중요하게 다루었으며, 요제프 호프만이 전시장 디자인을 담당하기도 했다. 1903년에는 호프만과 콜로만 모저가 빈 공방을 설립하여 활동 영역을 넓혔다.
그러나 이러한 종합 예술 지향과 공방 활동은 순수 예술을 중시했던 일부 회원들과의 갈등을 유발했다. 1905년, 화가 카를 몰이 미트케 화랑 운영에 관여한 것을 계기로 예술의 상업주의를 둘러싼 논쟁이 격화되었고, 결국 투표를 통해 클림트, 오토 바그너, 호프만, 올브리히 등 주요 회원 24명이 분리파를 탈퇴했다.[25] 이들은 이후 오스트리아 예술가 연맹을 결성했다.
분리파에 남은 회원들은 활동을 계속했지만, 미술사적으로는 주로 클림트 그룹이 활동했던 1897년부터 1905년까지의 시기가 빈 분리파의 황금기로 평가받는다.
2. 1. 결성 배경
19세기 말 빈의 미술계는 빈 미술가 협회 (Künstlerhaus)가 전시 공간을 독점하며 보수적인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당시 빈 미술계는 인상주의의 영향조차 거의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직된 분위기 속에서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치, 요제프 호프만, 콜로만 모저 등 오토 바그너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한 혁신적인 젊은 예술가 그룹 '7인 클럽'(Siebenerklub)이 생겨났다.1897년, 쿤스트라하우스의 보수성에 불만을 품은 젊은 예술가들은 구스타프 클림트를 중심으로 새로운 조형 미술 협회를 결성했다. 하지만 쿤스트라하우스가 이를 인정하지 않자, 클림트와 동료 예술가들은 쿤스트라하우스를 탈퇴하여 독자적인 길을 모색했다. 이렇게 탄생한 빈 분리파에는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참여했으며, 초대 회장으로는 클림트가 선출되었다.[19][20] 당시 빈의 대표 화가로 명성을 얻었던 클림트는 1894년 빈 대학교 대강당 천장화를 의뢰받았으나, 그의 대담하고 상징주의적인 작품은 몰이해와 혹독한 비난에 시달리기도 했다.[21]
빈 분리파라는 이름은 1892년 결성된 뮌헨 분리파에서 가져왔다. 이들의 목표는 오스트리아 외부 예술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예술적 민족주의에 반대하며, 장식 예술을 새롭게 하고, 회화, 건축, 장식 예술을 통합하는 "총체 예술"을 창조하는 것이었다. 특히 빈 미술 아카데미와 쿤스트라하우스가 주도하는 역사주의 경향에 대한 반대가 중요한 동기였다.
분리파의 이념은 그룹의 기관지 ''Ver Sacrum''("신성한 봄") 창간호에서 문학 평론가 헤르만 바르에 의해 명확히 제시되었다. 바르는 "우리의 예술은 과거의 예술가들에 맞서는 현대 예술가들의 싸움이 아니라, 예술의 발전을 방해하는 상인들을 상대로 예술을 장려하는 것입니다. 상업과 예술 사이의 선택이 우리 분리파에서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것은 미학에 대한 논쟁이 아니라 두 가지 다른 정신 상태 간의 대결입니다."라고 적었다. 또한 1898년 발간된 ''Ver Sacrum'' 창간호에는 다음과 같은 선언이 실렸다.[23]
우리는 더 이상 "대예술"과 "소예술"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부자를 위한 예술과 가난한 자를 위한 예술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예술은 공공을 위한 부이다.
2. 2. 빈 분리파의 결성 (1897년)
19세기 말 빈의 미술계는 쿤스트라하우스(Künstlerhaus)라는 아카데믹한 예술가 단체가 전시 공간을 독점하며 보수적인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당시 빈 미술계는 인상주의의 영향조차 거의 받지 못할 정도였다.[19] 하지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오토 바그너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한 '7인 클럽'(Siebenerklub)과 같이 혁신적인 젊은 예술가 그룹들이 생겨나고 있었다.[19]1897년, 쿤스트라하우스의 보수성에 불만을 품은 젊은 예술가들은 구스타프 클림트를 중심으로 새로운 조형 미술 협회를 결성했다. 그러나 쿤스트라하우스가 이들의 활동을 인정하지 않자, 클림트를 비롯한 예술가들은 쿤스트라하우스를 탈퇴하기로 결정했다.[19][20] 이렇게 하여 1897년 4월 3일,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디자이너 콜로만 모저, 건축가 요제프 호프만과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화가 막스 쿠르츠바일, 빌헬름 베르나치크 등이 주축이 되어 빈 분리파(Wiener Secession|비너 제체시온de)가 공식적으로 창립되었다. 건축가 오토 바그너는 창립 직후 이 그룹에 합류했다.[2] 빈 분리파라는 이름은 1892년에 결성된 뮌헨 분리파 운동에서 영향을 받았다.[2]
빈 분리파는 당시 미술계를 지배하던 공식적인 빈 미술 아카데미와 쿤스트라하우스의 역사주의적 경향에 반대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이들은 오스트리아 외부의 예술가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아이디어를 교환하며, 예술에 있어서 민족주의적인 경향을 비판했다. 또한, 장식 예술 분야를 새롭게 하고 회화, 건축, 장식 예술을 하나로 통합하는 "총체 예술"(Gesamtkunstwerk|게잠쿤스트베르크de)을 창조하고자 했다.[2]
초기 빈 분리파는 약 50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첫 모임에서 구스타프 클림트를 초대 회장으로 선출했다. 당시 85세의 원로 화가였던 루돌프 폰 알트는 그룹의 명예 회장으로 추대되었고, 그는 프란츠 요제프 황제를 분리파의 첫 전시회에 초청하는 대표단을 이끌기도 했다.[2] 파리에서 활동하며 아르 누보 포스터로 이미 명성을 얻고 있던 체코 출신의 화가 알폰스 무하 역시 초기 멤버 중 한 명이었다.[2]
이듬해인 1898년, 빈 분리파는 자신들의 이념과 활동을 알리기 위한 기관지로 월간지 ''베르 사크룸''(Ver Sacrum|베르 사크룸la, "성스러운 봄"이라는 뜻)을 창간했다.[23] 창간호에는 문학 평론가 헤르만 바르가 기고한 글이 실렸는데, 그는 분리파의 정신을 다음과 같이 역설했다. "우리의 예술은 과거의 예술가들에 맞서는 현대 예술가들의 싸움이 아니라, 예술의 발전을 방해하는 상인들을 상대로 예술을 장려하는 것입니다. 상업과 예술 사이의 선택이 우리 분리파에서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것은 미학에 대한 논쟁이 아니라 두 가지 다른 정신 상태 간의 대결입니다."[2] 이 창간호에는 또한 "우리는 더 이상 '대예술'과 '소예술'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부자를 위한 예술과 가난한 자를 위한 예술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예술은 공공을 위한 부이다."라는 분리파의 핵심 이념이 명확하게 제시되었다.[23]
2. 3. 초기 활동과 발전 (1898년 ~ 1905년)
1898년, 제1회 빈 분리파 전시회가 개최되었고, 개회식에는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직접 방문했다.[22] 같은 해, 분리파의 기관지로 월간지 베르 사크룸(Ver Sacrum, 라틴어로 "성스러운 봄"이라는 뜻)이 창간되었으며, 창간호에는 작가 헤르만 바를 등이 기고했다. 창간호에는 다음과 같은 분리파의 이념이 실렸다.[23]: 우리는 더 이상 "대예술"과 "소예술"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부자를 위한 예술과 가난한 자를 위한 예술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예술은 공공을 위한 부이다.
또한 1898년에는 빈 시로부터 토지를 빌리고, 실업가 카를 비트겐슈타인(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아버지) 등의 지원을 받아 전용 전시 시설인 분리파 전시관(분리파 회관)을 건설했다. 회원이었던 건축가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가 설계했으며, 건물 입구 상단에는 "DER ZEIT IHRE KUNST, DER KUNST IHRE FREIHEIT"(시대에는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라는 분리파의 모토가 새겨졌다. (분리파 전시관의 금색 돔은 월계수 잎을 모티브로 한 투각으로 만들어졌는데, 당시 빈 시민들은 이를 "노란 양파"라고 부르기도 했다.[24])
빈 분리파는 창립 초기인 1898년부터 구스타프 클림트가 탈퇴하는 1905년까지 총 23회의 전시회를 개최했다. 종합 예술을 지향했던 분리파는 회화나 조각뿐만 아니라 공예품 전시도 중요하게 다루었으며(이는 기존의 쿤스트라하우스와 차별화되는 점이었다), 요제프 호프만이 전시장 디자인을 담당하는 등 전시 공간 자체에도 예술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주요 전시회는 다음과 같다.
회차 | 연도 | 주요 내용 |
---|---|---|
제1회 | 1898년 | 조원 협회에서 개최. 로댕, 샤반, 슈투크 등 국외 작가 작품 출품.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 방문. |
제2회 | 1898년 | 분리파 전시관에서 개최. |
제6회 | 1900년 | 미술 수집가 아돌프 피셔가 수집한 우키요에, 공예품 등 일본 미술품 전시. |
제7회 | 1900년 | 클림트의 빈 대학교 천장화 중 하나인 "철학" 출품. |
제8회 | 1900년 | 공예 중심 전시. 스코틀랜드 건축가 찰스 레니 매킨토시 등 초대. |
제10회 | 1901년 | 클림트의 빈 대학교 천장화 중 하나인 "의학" 출품. |
제14회 | 1902년 | 막스 클링거의 베토벤 조각상 완성을 기념하여 개최. 클림트는 이 전시를 위해 기념비적인 벽화 베토벤 프리즈 제작. |
제18회 | 1903년 | 구스타프 클림트 회고전 개최. |
1903년, 요제프 호프만과 콜로만 모저는 실업가 프리츠 베른도르퍼의 지원을 받아 빈 공방을 설립하여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합 예술 지향과 공방 활동은 순수 예술을 중시했던 일부 회원들, 특히 화가 요제프 엔겔하르트 등의 불만을 샀다. 1905년, 화가 카를 몰이 미트케 화랑의 고문이 되어 전시회를 기획한 것을 계기로 예술의 상업주의를 둘러싼 논쟁이 격화되었다. 결국 회원 투표를 통해 카를 몰, 구스타프 클림트, 오토 바그너, 요제프 호프만,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등 핵심 인물 24명이 분리파를 탈퇴했다.[25] 이들은 이후 오스트리아 예술가 연맹을 결성하게 된다. 이 사건으로 빈 분리파의 초기 황금기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2. 4. 분열과 클림트 그룹의 탈퇴 (1905년)
1903년, 호프만과 모저는 응용 미술(예술 공예) 개혁을 목표로 하는 순수 예술 협회인 빈 공방을 설립했다. 1907년, 빈 공방과 호프만은 개인적으로 독일 공작 연맹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빈 공방 설립 이후, 1904년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세계 박람회 준비 과정에서 분리파 내의 의견 차이가 표면화되었다. 이 전시회 준비의 어려움은 협회 내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6] 곧 분리파 내에서는 회화와 전통적인 순수 미술을 우선시하려는 그룹과, 클림트, 호프만, 바그너, 모저 등 장식 미술에도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려는 그룹 사이에 중요한 분열이 발생했다. 이러한 종합 예술 지향에 대해, 화가 요제프 엔겔하르트 등 순수 예술을 지향하는 회원들은 불만을 품고 있었다.
이러한 갈등은 1905년, 화가이자 미트케 화랑의 예술 자문이었던[7][8] 카를 몰이 분리파가 작품 판매처 확보를 위해 미트케 화랑을 구매할 것을 제안하면서 정점에 달했다. 이는 상업주의를 둘러싼 논쟁으로 이어졌으며, 클림트, 바그너, 호프만, 모저 등은 이 제안을 지지했다. 이 문제는 회원 투표에 부쳐졌으나, 클림트와 그의 지지자들은 단 한 표 차이로 패배했다. 결국 1905년 6월 14일, 클림트, 호프만, 모저, 몰, 바그너, 올브리히를 포함한 24명의 예술가들은 빈 분리파를 탈퇴했다.[4][25]
탈퇴한 클림트 등은 나중에 오스트리아 예술가 연맹을 결성했으며, 이듬해에는 '쿤스트샤우'(Kunstschau, 예술 전시회) 또는 '클림트 그룹'(Klimtgruppe)으로 알려진 새로운 그룹을 결성했다. 여기에는 몰과 바그너를 비롯한 다른 주요 오스트리아 예술가들도 참여했다.[8] 한편, 엔겔하르트 등 분리파에 남은 멤버들은 '몸통 분리파'라고 불리기도 했다.
2. 5. 분리파의 후기 활동과 유산
1905년, 미트케 화랑 인수를 둘러싼 의견 대립 끝에[7][8] 구스타프 클림트, 오토 바그너, 요제프 호프만, 콜로만 모저 등 주요 회원들이 분리파를 탈퇴했다.[4][25] 이들은 나중에 오스트리아 예술가 연맹을 결성했다.요제프 엔겔하르트 등 분리파에 남은 회원들은 활동을 계속 이어나갔지만, 때로는 '몸통 분리파'라고 불리기도 했다. 분리파의 활동은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나, 미술사에서는 주로 클림트 그룹이 탈퇴하기 이전인 1897년부터 1905년까지의 활동이 중요하게 평가된다.
3. 주요 특징
19세기 말 빈의 미술계는 쿤스트라하우스(Künstlerhaus)라는 보수적인 예술가 단체가 전시 공간을 독점하고 있었다. 당시 빈 미술계는 인상주의의 영향조차 거의 받지 않을 정도로 보수적이었으나, 그 안에서도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요제프 호프만, 콜로만 모저 등 오토 바그너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한 혁신적인 젊은 예술가 그룹이 생겨나고 있었다.
1897년, 쿤스트라하우스의 보수성에 불만을 품은 젊은 예술가들은 구스타프 클림트를 중심으로 새로운 조형 미술 협회를 결성했다. 쿤스트라하우스가 이를 인정하지 않자 클림트와 동료들은 쿤스트라하우스를 탈퇴하며 빈 분리파를 창설했다. 빈 분리파에는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참여했으며, 클림트가 초대 회장을 맡았다.[19][20] 당시 빈의 대표적인 화가였던 클림트는 1894년 빈 대학교 대강당 천장화를 의뢰받았으나, 그의 대담하고 상징주의적인 작품은 큰 논란을 일으키며 비난과 공격에 시달리기도 했다.[21]
이듬해인 1898년, 제1회 빈 분리파 전시회가 개최되었고, 개회식에는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직접 참석할 정도로 주목받았다.[22] 같은 해, 분리파의 기관지인 월간 '베르 사크룸'(Ver Sacrum|베르 사크룸la, 라틴어로 "성스러운 봄"이라는 뜻)이 창간되었다. 창간호에는 분리파의 핵심 이념이 다음과 같이 선언되었다.[23]
우리는 더 이상 "대예술"과 "소예술"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부자를 위한 예술과 가난한 자를 위한 예술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예술은 공공을 위한 부이다.
'베르 사크룸'에는 작가 헤르만 바를 등도 기고하며 분리파의 활동을 지원했다. 또한 빈 시로부터 토지를 임대하고,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아버지인 실업가 카를 비트겐슈타인 등의 후원을 받아 전용 전시 시설인 분리파 전시관(분리파 회관)을 건설했다. 회원이었던 건축가 올브리히가 설계한 이 건물의 입구 상단에는 "DER ZEIT IHRE KUNST, DER KUNST IHRE FREIHEIT"(시대에는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라는 분리파의 모토가 새겨졌다.
빈 분리파는 1898년부터 클림트 그룹이 탈퇴하는 1905년까지 총 23회의 전시회를 개최했다. 이들은 종합 예술을 지향하여, 전통적인 쿤스트라하우스와 달리 회화와 조각뿐만 아니라 공예품 전시도 적극적으로 열었으며, 요제프 호프만이 전시장 디자인을 담당하는 등 전시 방식 자체에도 혁신을 추구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합 예술 지향은 내부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1903년 호프만과 모저가 실업가 프리츠 베른도르퍼의 지원을 받아 빈 공방 활동을 시작하자, 화가 요제프 엔겔하르트 등 순수 예술을 지향하는 회원들의 불만이 커졌다. 결정적으로 1905년, 화가 카를 몰이 미트케 화랑의 고문이 되어 전시회를 기획한 것을 계기로 상업주의를 둘러싼 논쟁이 격화되었다. 결국 투표를 통해 클림트, 몰, 오토 바그너, 호프만, 올브리히 등 24명의 핵심 멤버들이 분리파를 탈퇴했다.[25] 이들은 나중에 오스트리아 예술가 연맹을 결성했다.
엔겔하르트 등 남은 회원들은 '몸통 분리파'라는 조롱을 받기도 했다. 이후에도 분리파의 활동은 계속되었지만,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주로 창립부터 클림트 그룹이 탈퇴하기까지의 1897년-1905년 시기 활동으로 평가받는다.
3. 1. 회화 및 그래픽 아트




3. 2. 건축
빈 분리파 운동에는 화가, 조각가뿐만 아니라 여러 저명한 건축가들이 참여했는데,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오토 바그너, 요제프 호프만이 대표적이다.1897년부터 1898년 사이에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는 분리파 건물을 설계했다. 이 건물은 구스타프 클림트를 비롯한 분리파 회원들의 작품과 막스 클링거, 외젠 그라세, 찰스 레니 매킨토시, 아르놀트 뵈클린 등 외국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요제프 호프만은 이 건물의 전시회 수석 디자이너를 맡았다. 독특한 돔과 양식화된 파사드는 분리파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오토 바그너의 지휘 아래, 콜로만 모저, 오트마 시미츠코비츠, 요제 플레치니크 등 여러 예술가들이 바그너가 설계한 두 채의 아파트 건물 장식에 참여했다. 1898년부터 1899년 사이에 지어진 린케 빈차일레 건물이 그것이다. 린케 빈차일레 40번지 건물은 마졸리카 하우스(de)로 알려져 있는데, 외관 전체가 꽃무늬 디자인의 마졸리카(다채로운 색상의 유약을 바른 도기 타일)로 덮여 있다.[9] 이 화려한 아르 누보 양식의 외관 장식은 바그너의 제자였던 알로이스 루트비히가 만들었다.[10] 다른 건물인 린케 빈차일레 38번지는 메달이 있는 집으로 불린다. 이는 바그너의 제자이자 자주 협력했던 콜로만 모저가 디자인한 금박을 입힌 치장 벽토 메달 장식 때문이다. 초기 장식 중 일부는 제거되었으나 후에 복원되었다.
같은 시기에 오토 바그너는 빈의 새로운 도시 교통 시스템인 슈타트반(Stadtbahn)을 위한 역들도 설계했다. 이 역들은 매우 양식화된 디자인으로 분리파 스타일의 상징이 되었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빈 중심부에 위치한 칼스플라츠 슈타트반 역이다.[11]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도 이 프로젝트에 협력했다. 이 건물들의 스타일은 초기 아르 누보의 곡선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보다 기하학적인 형태로 나아가는 전환을 보여주며, 모더니즘의 시작을 알렸다.[12]
1899년 이후에 건설된 바그너의 후기 건물들은 이러한 경향을 더욱 분명하게 보여준다. 대표적인 예로 성 레오폴드 교회(1902–1907)와 오스트리아 우체국 저축 은행(1903–1906, 1910–1912년 확장)이 있다. 이 건물들은 직선과 기하학적인 형태를 강조했으며, 철근 콘크리트나 알루미늄과 같은 새로운 재료를 혁신적으로 사용했다. 외관이나 내부 장식은 최소화되었다.
요제프 호프만의 작품 역시 초기 아르 누보의 꽃무늬 디자인과 곡선에서 점차 벗어나 기하학적인 형태로 변화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건축물인 브뤼셀의 스토클레 궁전(1905–1911)은 쌓아 올린 듯한 입방체 형태의 탑, 최소한의 장식이 가미된 파사드, 직각과 기하학적 디자인이 특징인 실내 공간을 보여준다. 이 건물에서 유일하게 아르 누보 양식이 두드러지는 부분은 구스타프 클림트가 그린 벽화이다. 스토클레 궁전은 호프만이 아르 누보에서 모더니즘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3. 3. 가구
분리파 건축가들은 종종 건축 프로젝트와 함께 가구, 카펫, 램프, 벽지, 심지어 욕실 설비 및 수건까지 디자인하는 토탈 디자인(Total Design) 경향을 보였다.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분리파가 선보인 가구는 특히 호평을 받았으며, 이를 제작한 엘제 운거와 에밀리오 자고(Emilio Zago) 등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13]분리파 운동 후반기로 갈수록 가구 디자인은 초기 아르누보의 유기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보다 기하학적이고 직선적인 형태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1902년 건축가 오토 바그너는 자신이 설계한 오스트리아 우체국 저축 은행 건물의 현대적인 건축 양식과 조화를 이루도록, 전통적인 목재와 함께 알루미늄과 같은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의자를 디자인했다. 이는 재료의 혁신적인 사용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905년 요제프 호프만은 직선과 각진 형태를 강조하고 등받이 각도 조절 기능을 갖춘 의자 ''모델 670 "Sitzmaschine|지츠마시네de"''를 제작했는데, 이는 후기 분리파의 기하학적인 조형 언어를 잘 반영한다.
주요 디자이너들의 대표적인 가구 작품은 다음과 같다.
디자이너 | 작품명 | 제작 연도 | 재료 및 특징 | 소장처 (알려진 경우) |
---|---|---|---|---|
오토 바그너 | 팔걸이 의자 | 1898–99 | ||
신문 Die Zeitde 사무실용 캐비닛 | 1902 | |||
바그너 빌라용 이동식 테이블 | 1904 | |||
팔걸이 의자 (모델 718 F) | 1905–06 | 너도밤나무, 알루미늄, 등나무 | 몬트리올 미술관 | |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 캐비닛 | 1900년경 | 단풍나무, 과일나무, 흑단, 황동 |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
다름슈타트 예술가 콜로니용 팔걸이 의자 | 1900 | 다름슈타트 예술가 콜로니 박물관 | ||
콜로만 모저 | 책장 | 1902 |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 |
상감 옷장 | 1903 | 상감 기법 장식 | 레오폴드 박물관 | |
요제프 호프만 | 조절 가능한 등받이 의자 모델 670 "Sitzmaschine|지츠마시네de" | 1905 | 조절 가능한 등받이 |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등 |
3. 4. 유리 공예
유리, 특히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은 빈 분리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레오폴트 포르스트너는 이 분야에서 중요한 예술가였으며, 오토 바그너 및 다른 건축가들과 긴밀히 협력했다. 그는 빈 분리파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 중 하나인 오스트리아 우체국 저축 은행과 빈 분리파 교회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성 카를 보로메오 묘지 교회의 창문을 디자인했다.분리파 유리 예술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인물은 요한 뢰츠 비트베이다. 그는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금메달을 수상한 인상적인 무지갯빛 꽃병들을 제작했다.


3. 5. 도자기
도자 타일 모자이크는 빈 분리파 스타일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건물 외관과 실내 장식에 널리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건축가 오토 바그너가 설계한 린케 빈차일레 건물 중 하나인 '마졸리카 하우스'(1898-1899)를 들 수 있다. 이 건물의 외관은 화려한 꽃무늬 디자인의 마졸리카(다채로운 소성 점토 타일)로 완전히 덮여 있는데,[9] 이 아르 누보 양식의 장식은 바그너의 제자인 Alois Ludwig|알로이스 루트비히de가 만들었다.[10] 바그너는 이 타일 장식을 통해 미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물청소로 외관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실용성까지 고려했다.슈타인호프 교회(성 레오폴드 교회, 1902–1907) 내부에서도 도자 타일 모자이크 장식을 찾아볼 수 있다. 레오폴트 포르스트너는 제단 벽 모자이크를, 브루노 마이어는 제단 모자이크(1903-1907)를 제작하여 빈 분리파 도예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3. 6. 기타 장르

4. 영향
아르 누보(Art Nouveau)는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여러 언어에서 빈 분리파를 가리키는 명칭에서 유래했다. 예를 들어 헝가리어로는 ''szecesszió'', 체코어로는 ''secese'', 슬로바키아어로는 ''secesia'', 폴란드어로는 ''secesja'', 세르비아어로는 ''сецесија'', 크로아티아어로는 ''secesija'' 등으로 불렸다.
빈 분리파는 폴란드의 ''믈로다 폴스카''(Młoda Polska, 젊은 폴란드)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운동은 아르 누보 외의 다른 예술적 스타일을 포함하고 예술, 문학, 생활 방식에 대한 더 넓은 접근 방식을 포괄했다.[14]
개별 예술가에게도 영향을 주었는데, 러시아의 건축가 일라리온 이바노프-시츠는 빈 분리파의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창조했다.
1890년대 중반부터 영국의 도자기 회사 민턴스(Mintons)는 아르 누보 양식 도자기 제작에 크게 기여했다. 많은 작품은 마르크-루이 솔론의 아들인 레온 솔론과 그의 동료 존 윌리엄 워즈워스가 디자인했다. 레온 솔론은 그의 작품이 영향력 있는 디자인 잡지 ''더 스튜디오''(The Studio)에 실린 후 민턴스에 고용되었고, 1895년부터 1905년까지 아트 디렉터로 활동했다. 솔론은 빈 분리파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을 도입했으며, 1901년경부터 1916년까지 생산된 토기 제품군은 "분리파 제품(Secessionist Ware)"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이 제품군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주로 산업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되었고, 넓은 시장을 목표로 했다. 완전한 식기 세트보다는 주전자나 꽃병처럼 단품이나 쌍으로 구매하는 품목에 집중했다.[15]
5. 기념
빈 분리파 운동은 오스트리아 기념 주화의 주제로 선정되어, 2004년 11월 10일에 100EUR 분리파 기념 주화가 발행되었다.
주화 앞면에는 빈에 있는 분리파 전시관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 ''베토벤 프리즈''의 일부가 묘사되어 있다. 이 부분에는 세 명의 인물이 등장하는데, 갑옷을 입은 기사는 무력을, 배경의 여성은 야망을 상징하며 승리의 화환을 들고 있다. 다른 여성은 고개를 숙이고 두 손을 모은 모습으로 동정을 나타낸다.
또한, 오스트리아 50유로센트 동전의 앞면에는 빈 분리파 건물이 원 안에 그려져 있다. 이는 분리파 운동의 탄생과 오스트리아의 새로운 시대를 상징한다.
6. 관련 인물
빈 분리파 운동에는 많은 예술가와 후원자들이 참여했다. 초기 분리파의 핵심 인물로는 초대 회장인 구스타프 클림트를 비롯하여 건축가 오토 바그너, 요제프 호프만,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디자이너 콜로만 모저 등이 있다. 이들은 기존 미술계의 보수성에 반발하여 새로운 예술 운동을 이끌었다. 또한, 헤르만 바르와 같은 문학 평론가, 카를 비트겐슈타인과 같은 후원자, 그리고 아돌프 로스, 에곤 실레, 오스카 코코슈카 등 후대의 중요한 예술가들도 빈 분리파와 직간접적인 관계를 맺었다. 이외에도 국내외 여러 예술가들이 분리파 활동에 참여하거나 영향을 주고받았다.
6. 1. 초기 분리파
19세기 말 빈의 미술계는 쿤스트라하우스(Künstlerhaus)와 같은 보수적인 예술가 단체가 전시 공간을 독점하고 있었다. 당시 빈 미술계는 인상주의의 영향조차 거의 받지 않을 정도로 보수적이었으나, 오토 바그너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한 '7인 클럽'(Siebenerklub) 등 혁신적인 젊은 예술가 그룹이 등장하기 시작했다.1897년 4월 3일, 쿤스트라하우스의 보수성에 불만을 품은 젊은 예술가들이 구스타프 클림트를 중심으로 새로운 조형 미술 협회를 결성했다. 이들은 기존 단체인 쿤스트라하우스를 탈퇴하여 빈 분리파를 창립했다. 창립 멤버에는 클림트 외에도 디자이너 콜로만 모저, 건축가 요제프 호프만과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화가 막스 쿠르츠바일, 빌헬름 베르나치크 등이 포함되었으며, 건축가 오토 바그너도 창립 직후 합류했다. 당시 85세였던 화가 루돌프 폰 알트는 그룹의 명예 회장으로 추대되었다.[19][20] 클림트는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파리에 거주하며 아르누보 포스터로 이미 명성을 얻고 있던 알폰스 무하도 초기 멤버로 참여했다.
빈 분리파는 1892년 창립된 뮌헨 분리파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오스트리아 외부 예술가들과의 교류, 예술적 민족주의 반대, 장식 예술의 혁신, 회화·건축·장식 예술을 통합하는 "총체 예술" 창조, 그리고 빈 미술 아카데미와 쿤스트라하우스의 역사주의적 경향에 대한 반대를 목표로 삼았다.
이들의 이념은 그룹의 기관지 ''Ver Sacrum''(성스러운 봄이라는 뜻의 라틴어) 창간호(1898년)에 실린 문학 평론가 헤르만 바르의 글에 잘 나타나 있다. 바르는 "우리의 예술은 과거의 예술가들에 맞서는 현대 예술가들의 싸움이 아니라, 예술의 발전을 방해하는 상인들을 상대로 예술을 장려하는 것입니다. 상업과 예술 사이의 선택이 우리 분리파에서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것은 미학에 대한 논쟁이 아니라 두 가지 다른 정신 상태 간의 대결입니다."라고 적었다. 또한 창간호에는 "우리는 더 이상 '대예술'과 '소예술'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부자를 위한 예술과 가난한 자를 위한 예술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예술은 공공을 위한 부이다."라는 선언도 담겼다.[23]
빈 분리파의 첫 번째 건축 프로젝트는 국제적인 예술가와 예술 운동을 빈에 소개하기 위한 전시 공간을 만드는 것이었다. 1898년, 빈 시의 토지를 빌리고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아버지인 실업가 카를 비트겐슈타인 등의 지원을 받아 전용 전시 시설인 분리파 전시관 (분리파 회관)을 건설했다. 오토 바그너의 제자인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가 설계한 이 건물은 입구 상단에 "DER ZEIT IHRE KUNST, DER KUNST IHRE FREIHEIT"(시대에는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라는 모토가 새겨져 있으며, 금색 월계수 잎 모양의 돔 지붕(당시 빈 사람들은 "노란 양파"라고 불렀다[24])은 분리파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이는 빈 최초의 현대 미술 전용 갤러리였다.
분리파는 이 전시관에서 1898년부터 1905년까지 총 23회의 전시회를 개최했다. 첫 전시회 개회식에는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22] 파리의 미술상들(파울 카시러, 뒤랑-뤼엘, 베른하임-죈 등)과 파리 분리파 대표 프랑수아-루페르 카라뱅의 도움으로 프랑스 인상주의자들(드가, 마네, 모네, 르누아르, 피사로 등)과 후기 인상주의 화가들(툴루즈-로트렉, 보나르, 뷔야르 등)의 작품을 빈 대중에게 소개했다. 종합 예술을 지향했기에 회화, 조각뿐 아니라 공예품 전시도 이루어졌으며, 요제프 호프만이 전시장 디자인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1902년에 열린 제14회 분리파 전시회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게 헌정된 것으로 유명하다. 요제프 호프만이 디자인한 이 전시회는 중앙에 막스 클링거의 베토벤 조각상을 두고, 그 주위 벽면에 구스타프 클림트의 기념비적인 작품 ''베토벤 프리즈''를 설치했다. 클림트의 프리즈는 현재 복원되어 분리파 전시관에서 볼 수 있다.
1903년, 요제프 호프만과 콜로만 모저는 실업가 프리츠 베른도르퍼의 지원을 받아 응용 미술(예술 공예) 개혁을 목표로 하는 빈 공방 (Wiener Werkstätte)을 설립했다. 이는 분리파의 종합 예술 지향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었으나, 순수 회화를 중시하던 요제프 엔겔하르트 등 일부 회원들과의 갈등 요인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종합 예술 지향과 순수 예술 지향 사이의 갈등은 점차 심화되었다. 1905년, 화가 카를 몰이 미트케 화랑(Galerie Miethke)의 예술 자문이 되어 분리파 전시회를 기획하고, 나아가 분리파가 이 화랑을 작품 판매처로 인수할 것을 제안하면서 논쟁은 극에 달했다.[7][8] 이는 클림트, 바그너, 호프만, 모저 등 종합 예술을 지지하는 그룹의 지지를 받았으나, 상업주의에 대한 비판과 함께 순수 예술파의 반대에 부딪혔다. 결국 회원 투표에서 클림트 측이 단 한 표 차이로 패배했고, 1905년 6월 14일, 클림트, 호프만, 모저, 바그너, 몰 등 24명의 주요 멤버들은 빈 분리파를 탈퇴했다.[4][25] 이들은 이후 오스트리아 예술가 연맹(나중에 '쿤스트샤우' 또는 '클림트 그룹'으로 불림)을 결성하게 된다.[8] 빈 분리파의 초기 황금기는 이들의 탈퇴와 함께 막을 내리게 된다.
6. 2. 주변 인물
빈 분리파의 활동에는 여러 예술가와 지식인들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 아돌프 로스: 건축가 아돌프 로스는 빈 분리파의 기관지인 베르 사크룸에 글을 기고했다.
- 에곤 실레: 표현주의 화가 에곤 실레는 구스타프 클림트가 분리파를 탈퇴한 이후인 1913년과 1918년에 분리파 전시에 작품을 출품했다.
- 오스카 코코슈카: 화가 오스카 코코슈카 역시 빈 분리파와 관련이 있는 주요 예술가 중 한 명이다.
- 페르낭 크노프: 벨기에 상징주의 화가 페르낭 크노프도 빈 분리파와 교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헤르만 바를: 작가 헤르만 바를은 1898년 베르 사크룸 창간호에 기고했다.
- 카를 비트겐슈타인: 철강 산업가이자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아버지인 카를 비트겐슈타인은 분리파 전시관 건설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6. 3. 기타 분리파 예술가
빈 분리파에는 다음과 같은 예술가들도 참여했다.- 테오도르 악센토비치
- 레나테 베르틀만
- 아돌프 미하엘 뵘
- 율리안 팔라트
- 블라스티밀 호프만
- 막시밀리안 리벤바인
- 야체크 말체프스키
- 율리우스 마이레더
- 에밀리 메디즈-펠리칸
- 유제프 메호퍼
- 카를 몰
- 막시밀리안 피르너
- 카지미에시 포흐발스키
- 테레사 페오도로브나 리에스
- 얀 스타니스와프스키
- 바츠와프 시마노프스키
- 보이치에흐 바이스
- 레온 비추우우우우우울코프스키
- 스타니스와프 비스피안스키
- 카를 하겐아우어
또한, 베를린의 막스 리베르만이나 파리의 오귀스트 로댕, 외젠 그라세와 같이 다른 도시 및 국가의 일부 예술가들은 통신 회원으로 활동했다.[16]
참조
[1]
논문
Recent Scholarship on Vienna's "Golden Age," Gustav Klimt, and Egon Schiele
https://www.jstor.or[...]
1977-03-00
[2]
웹사이트
Building
https://secession.at[...]
2023-11-11
[3]
서적
L'Art Nouveau
[4]
웹사이트
The Vienna Secession Movement
http://www.theartsto[...]
The Art Story
2018-02-26
[5]
서적
Carabin & Die Wiener Secession – Die Rolle des Delegierten im Beziehungsnetz der Wiener Secession bei der Ankunft des französischen Impressionismus und der französischen Avantgarde in Wien um 1900
Verlag BoD
2024
[6]
웹사이트
Secession (Institution)
https://www.geschich[...]
2023-07-06
[7]
웹사이트
Galerie H. O. Miethke
https://austria-foru[...]
2023-07-06
[8]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Klimt
Rizzoli
1978
[9]
서적
2018
[10]
서적
Vienna. Prestel guide
Prestel
1993
[11]
서적
Otto Wagner
2016
[12]
서적
Pioneers of Modern Design
Penguin Books
1960
[13]
서적
L'Art Nouveau
[14]
간행물
Zofia Stryjeńska: Princess of Polish Painting
1998-1999
[15]
웹사이트
The Democratic Dish: Mintons Secessionist Ware – the Minton Archive
http://www.theminton[...]
[16]
웹사이트
The list of Vienna Secession members – "Ver Sacrum" magazine, vol. 1 (1898), p. 28
https://digi.ub.uni-[...]
[17]
서적
池田編
2016
[18]
서적
池内・南川
1987
[19]
서적
千足
2004
[20]
서적
池内
1995
[21]
서적
千足
2019
[22]
서적
千足
2019
[23]
서적
ウィーン世紀末文学選
1989
[24]
서적
池内・南川
1987
[25]
서적
ネーベハイ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