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뻐꾸기 (2002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뻐꾸기》(2002년)는 핀란드 군인, 소련군 대위, 사미족 여성의 만남을 그린 영화이다. 1944년 9월, 핀란드와 소련의 계속 전쟁 막바지를 배경으로, 핀란드 군인 베이코는 탈영 혐의로 독일군에 의해 고립되어 '뻐꾸기 저격수'가 된다. 한편, 반소련 서신 혐의로 체포된 소련군 대위 이반은 오폭으로 인해 부상을 입고, 사미족 여성 안니의 농가에서 베이코와 만나게 된다. 세 사람은 언어의 장벽 속에서 오해와 갈등을 겪지만, 서로에게 의지하며 우정을 쌓는다. 영화는 모스크바 휴전 협정으로 전쟁이 끝나면서 각자의 고향으로 돌아가는 세 사람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제24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비롯한 여러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미어 영화 작품 - 패스파인더 (1987년 영화)
    1987년 노르웨이에서 제작된 사미어 영화 《패스파인더》는 닐스 가우프 감독이 서기 1000년경 핀마르크를 배경으로 추드족에게 가족을 잃은 사미족 청년 아이긴의 복수 이야기를 그린 최초의 사미족 장편 영화로,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오르고 아만다상 최우수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2007년 미국에서 리메이크되었다.
  • 사미어 영화 작품 - 사미 블러드
    아만다 케르넬 감독의 2016년 스웨덴 영화 사미 블러드는 1930년대 스웨덴 사회를 배경으로 사미족 소녀가 스웨덴 사회에 동화되기를 갈망하며 겪는 정체성 혼란과 성장을 다룬 영화로, 사미족에 대한 차별과 억압, 문화 갈등을 묘사하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핀란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백야 (1985년 영화)
    테일러 해크포드 감독의 영화 《백야》는 소련에 불시착한 발레 무용수 니콜라이 로드첸코가 탭댄스 무용가 레이먼드 그린우드를 만나 탈출을 계획하는 이야기로, 냉전 시대 배경 속에서 자유를 향한 갈망과 두 망명자의 우정을 그린 작품이다.
  • 핀란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사라방드
    사라방드는 잉마르 베리만 감독의 2003년 영화로, 변호사 마리안이 30년 넘게 연락이 끊긴 전 남편 요한을 찾아가면서 가족의 위기를 겪는 과정을 10개의 막으로 구성하여 보여준다.
  • 핀란드어 영화 작품 - 니코: 산타비행단의 모험
    순록 니코가 납치된 의붓 동생 요니를 구하기 위해 늙은 순록 토비아스와 모험을 떠나 화이트 울프에 맞서 싸우며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는 핀란드, 독일, 아일랜드, 덴마크 합작 애니메이션 영화로, 도쿄 킨더 필름 페스티벌 장편 부문에서 최고 영화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 핀란드어 영화 작품 - 죄와 벌 (1983년 영화)
    1983년 제작된 한국 영화 죄와 벌은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을 원작으로 살인 사건을 통해 인간의 고독, 죄책감, 구원의 가능성을 탐구하며, 한국 사회 현실을 반영한 각색과 심리 묘사로 문예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뻐꾸기 (2002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원제Кукушка
영어 제목The Cuckoo
감독알렉산드르 로고슈킨
제작세르게이 셀리야노프
각본알렉산드르 로고슈킨
음악드미트리 파블로프
촬영안드레이 줴갈로프
편집율리야 루미얀체바
배급사STV ()
상영 시간105분
제작 국가러시아
언어핀란드어
러시아어
사미어
출연
출연진안니-크리스티나 유소
빌레 하파살로
빅토르 비치코프

2. 줄거리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핀란드 최북단 라플란드 지역을 배경으로 한다. 계속 전쟁 막바지에 소련과 싸우던 핀란드 군인 베이코(빌레 하아파살로)는 독일군에게 탈영 혐의로 붙잡혀 무장 친위대 군복을 입은 채 바위에 묶이는 형벌을 받는다. 며칠 만에 탈출한 그는 혼자 사는 사미 여성 안니(안니-크리스티나 유우소)의 오두막에 도착한다.

한편, 붉은 군대 대위 이반(빅토르 비치코프)은 반소련 혐의로 NKVD에 체포되어 이송되던 중 아군기의 오폭으로 중상을 입고 안니에게 구조된다. 안니의 오두막에서 마주친 세 사람은 각각 핀란드어, 러시아어, 사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전혀 소통하지 못한다.

이반은 베이코가 입은 독일군 군복 때문에 그를 적으로 오해하고, 이름을 묻는 베이코에게 러시아어로 Пошёл ты!|파숄 띄!ru(꺼져!)라고 욕설을 한다. 베이코는 이를 이반의 이름 Psholty|프숄띄ru로 잘못 알아듣는다.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상황 속에서 세 사람은 오해와 갈등 속에서도 기묘한 동거 생활을 시작하며, 전쟁과 이념을 넘어선 인간적인 관계를 맺게 된다. 영화는 전쟁의 비극 속에서 피어나는 예상치 못한 유대감과 소통의 중요성을 다룬다.

2. 1. 배경 (1944년 9월, 핀란드 라플란드)

1944년 9월, 소련과의 계속 전쟁 막바지 핀란드 라플란드를 배경으로 한다. 핀란드 군인 베이코(빌레 하아파살로)는 탈영을 시도했다는 이유로 동맹이었던 독일군에게 붙잡힌다. 독일군은 베이코에게 무장 친위대 제복을 입히고 바위에 쇠사슬로 묶어두는 '쿠쿠쉬카'(뻐꾸기 저격수) 형벌을 내린다. 이는 소련군이 무장 친위대에게 자비를 베풀지 않기 때문에, 베이코가 필사적으로 싸우도록 만들기 위함이었다. 약간의 보급품과 소총만 주어진 채 버려진 베이코는 며칠간의 사투 끝에 간신히 쇠사슬을 풀고 탈출한다.

한편, 붉은 군대의 대위 이반(빅토르 비치코프)은 반소련적인 내용을 담은 서신을 썼다는 혐의로 NKVD 비밀 경찰에 체포된다. 군사 재판을 받기 위해 이송되던 중, 소련군 비행기의 오폭으로 차량이 폭격당하고, 이반은 운전수와 경호원이 사망한 가운데 홀로 남아 중상을 입는다. 베이코는 바위에 묶여 있을 때 이 폭격을 목격한다.

근처에는 사미족 순록 사육사 안니(안니-크리스티나 유우소)의 오두막이 있다. 그녀는 4년 전 남편이 독일군에게 순록 무리와 함께 끌려간 후 돌아오지 않아 홀로 살고 있었다. 식량을 찾던 안니는 폭격 현장에서 죽은 줄 알았던 이반이 아직 살아있음을 발견하고, 심각한 부상을 입은 그를 자신의 오두막으로 데려와 간호한다.

쇠사슬을 풀 도구를 찾던 베이코는 우연히 안니의 농장에 도착하게 된다. 베이코는 핀란드어로, 이반은 러시아어로, 안니는 사미어로 말하기 때문에 세 사람은 서로 전혀 소통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코믹하면서도 비극적인 오해가 발생한다. 이반은 베이코가 입은 독일군 제복 때문에 그를 적으로 확신하고, 이름을 묻는 베이코에게 러시아어로 Пошёл ты!ru("꺼져!")라고 욕설을 내뱉는다. 베이코는 이를 이반의 이름 "Psholty"로 잘못 알아듣는다. 이반은 베이코에 대한 적개심을 품고 있지만, 베이코는 단지 수갑을 풀고 전쟁에서 벗어나 집으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 안니에게 베이코와 이반은 적이 아닌 그저 '남자'일 뿐이며, 세 사람의 기묘한 동거가 시작된다.

2. 2. 세 사람의 만남과 오해

쇠사슬에서 풀려난 핀란드 군인 베이코(빌레 하아파살로)는 도구를 찾던 중 우연히 사미 여성 안니(안니-크리스티나 유우소)의 농장에 도착한다. 그곳에는 이미 안니가 구조하여 보살피고 있던 붉은 군대 대위 이반(빅토르 비치코프)이 있었다. 이반은 NKVD 비밀 경찰에 체포되어 군사 재판으로 연행되던 중 소련 공군의 오폭으로 부상을 입은 상태였다.

세 사람은 안니의 오두막에서 함께 지내게 되지만, 각자 다른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서로 전혀 소통할 수 없었다. 베이코는 핀란드어를, 이반은 러시아어를, 안니는 사미어를 사용했으며, 이로 인해 코믹하면서도 비극적인 오해가 쌓이기 시작한다.

특히 이반은 베이코가 입고 있는 독일 무장 친위대 군복 때문에 그를 적으로 간주했다. 이 군복은 베이코가 계속 전쟁 막바지에 독일군 동료들에게 탈영 혐의로 붙잡혀, 소련 병사들이 친위대원에게 자비를 베풀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해 싸우도록 강요하기 위해 입혀진 것이었다. 하지만 이반은 이러한 사정을 알지 못하고 베이코를 길 잃은 독일군 병사라고 확신했다.

베이코가 자신의 이름을 물었을 때, 적개심을 품은 이반은 자신의 이름을 알려주는 대신 러시아어로 Пошёл ты!|파숄 띄!rus("꺼져!")라고 쏘아붙였다. 하지만 러시아어를 이해하지 못한 베이코는 이 말을 이반의 이름으로 잘못 알아듣고 그를 "Psholty"(프숄티) 또는 "쇼르티"라고 부르게 된다.

이처럼 서로 말을 알아듣지 못하고 오해가 쌓이는 상황 속에서, 세 사람의 기묘한 공동 생활이 시작된다. 베이코는 단지 수갑을 풀고 집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지만, 이반의 증오를 피하기 위해 안니의 농장에 머물게 된다.

2. 3. 갈등과 화해, 그리고 이별

세 사람은 서로의 언어를 전혀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코믹하면서도 때로는 비극적인 오해가 발생한다. 특히 붉은 군대 대위였던 이반은 무장 친위대 군복을 입은 베이코를 독일군 병사로 확신하고 적대감을 드러낸다. 베이코가 이름을 물었을 때 이반은 러시아어로 Пошёл ты!|파숄 띄!rus("꺼져!")라고 대답하는데, 베이코와 안니는 이를 이반의 이름인 Psholty|프숄띄rus로 잘못 알아듣는다. 베이코는 단지 수갑을 풀고 집으로 돌아가고 싶어했지만, 이반의 적대감을 피해 안니의 농장에 머무르게 된다.

안니에게 두 남자는 적이 아니라 단지 '남자'일 뿐이었다. 세 사람은 라플란드의 겨울을 대비하며 사냥과 채집을 함께하는 일상을 보내면서 점차 유대감을 형성한다. 베이코는 사우나를 만들고 이반은 버섯을 따는 등 각자 안니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한다. 오직 몸짓으로만 소통하는 가운데, 오랫동안 혼자 지내온 안니는 젊은 베이코를 유혹하고, 이는 중년의 이반에게 질투심을 불러일으킨다.

얼마 후, 소련 쌍엽기가 근처 숲에 추락하면서 모스크바 휴전 협정으로 핀란드와 소련 간의 계속 전쟁이 끝났음을 알리는 전단지를 뿌린다. 핀란드어를 읽을 수 있었던 베이코는 마침내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에 부푼다. 그러나 핀란드어를 모르는 이반은 여전히 베이코를 적으로 여기고, 추락한 비행기에서 찾은 권총으로 베이코를 쏜다. 뒤늦게 전단지의 마지막 줄에 적힌 러시아어 문구(소련 군인에게 핀란드인을 해치지 말고 집으로 돌려보내라는 지시)를 읽고 나서야 이반은 전쟁이 끝났음을 깨닫고 깊은 후회에 빠져 베이코를 농장으로 데려간다.

안니는 고대 사미족의 주술 의식을 통해 죽음의 문턱에 선 베이코를 살려낸다. 베이코가 회복하는 동안, 안니는 이반과 잠자리를 갖는다. 점차 이반과 베이코는 서로에 대한 적대감이나 안니를 둘러싼 경쟁심을 넘어서 진정한 친구가 된다. 겨울이 찾아오자 두 남자는 각자 반대 방향으로 자신의 길을 떠나고, 안니는 홀로 남겨진다. 마지막 장면에서 안니는 두 남자의 아이를 임신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아이들에게 그들의 아버지 이름을 따 '베이코'와 'Psholty'라고 부르며 이야기를 들려준다.

3. 등장인물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

3. 1. 주연


  • 빌레 하파살로 - 베이코 역, 핀란드 저격수
  • 안니-크리스티이나 유우소 - 안니 역, 사미족 여성
  • 빅토르 비치코프 - 이반 카르투조프 대위 ("프숄티") 역

4. 제작진


  • 감독: 알렉산드르 로고시킨
  • 각본: 알렉산드르 로고시킨
  • 촬영: 안드레이 제갈로프 (Андрей Жегалов|ru)
  • 미술: 블라디미르 I. 스베토자로프 (Светозаров, Владимир Иосифович|ru)
  • 작곡: 드미트리 파블로프 (Павлов, Дмитрий|ru)

5. 평가 및 수상

이 영화는 비평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여러 국제 영화제에 초청되어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제24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는 감독상, 남우주연상을 포함한 5개 부문을 석권하며 주목받았고, 러시아 니카상과 골든 이글상에서도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러시아 내 주요 영화 시상식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에서 관객상을 수상하며 대중적인 호응도 얻었다.

5. 1. 비평가 반응

로튼 토마토에서는 6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7%의 긍정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7.02점이다. 사이트의 평론가들은 영화를 "유쾌하고 재미있는 코미디"로 평가했다.[4] 메타크리틱에서는 27명의 평론가 평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69점의 가중 평균 점수를 기록하여 "일반적으로 호의적인 평가"를 나타냈다.[5]

5. 2. 수상 내역


  • 2002년 6월, 제24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출품되어 다음 상들을 수상했다.[6]
  • "실버 성 조지" (Серебряный Святой Георгийru) 최우수 감독상: 알렉산드르 로고슈킨
  • "실버 성 조지" 최우수 남우주연상: 빌레 하파살로
  • 관객상
  • FIPRESSI 상 (비평가 연맹상)
  • 러시아 영화 클럽 연맹상 (러시아 영화 협회상)
  • 2002년 7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제10회 축제의 축제에서 대상 "황금 그리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 2002년 8월, 비보르크에서 열린 제10회 영화제 "유럽으로의 창" 경쟁 부문에 출품되어 다음 상들을 수상했다.
  • 대상 (최우수 작품상)
  • 여우주연상: 안니크리스티나 유소
  • 외부 부문 "비보르크 백작" 1-2위 (영화 "별"과 공동 수상)
  • 2002년 10월, 이탈리아 비아레지오에서 열린 국제 영화제 "유로파 시네마" 경쟁 부문에 출품되어 다음 상들을 수상했다.
  • 대상 (최우수 작품상)
  • 감독상: 알렉산드르 로고슈킨
  • 2002년 12월, 러시아 영화 평론가 협회상 (골든 에어리어스)에서 다음 3개 부문을 수상했다.[7]
  • 올해의 최우수 작품상
  • 최우수 각본상: 알렉산드르 로고슈킨
  • 여우주연상: 안니크리스티나 유소
  • 2003년 2월, 러시아 영화 예술·과학 아카데미 골든 이글상에서 다음 4개 부문을 수상했다.
  • 올해의 최우수 작품상
  • 최우수 감독상: 알렉산드르 로고슈킨
  • 최우수 각본상: 알렉산드르 로고슈킨
  • 남우주연상: 빅토르 비치코프
  • 2003년 3월, 니카상에서 다음 4개 부문을 수상했다.
  • 올해의 최우수 작품상
  • 최우수 감독상: 알렉산드르 로고슈킨
  • 여우주연상: 안니크리스티나 유소
  • 최우수 미술상: 블라디미르 스베토자로프
  • 2003년, 포르투갈 트로이아 국제 영화제에서 다음 상들을 수상했다.
  • 최우수 작품상
  • 여우주연상: 안니크리스티나 유소
  • 2003년,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에서 관객상을 수상했다.
  • 2003년, 프랑스 온플러에서 열린 제11회 러시아 영화제에서 다음 상들을 수상했다.
  • 대상 (최우수 작품상)
  • 남우주연상: 빅토르 비치코프
  • 여우주연상: 안니크리스티나 유소
  • 제27회 토론토 국제 영화제 공식 부문에 초청되었다.
  • 제29회 텔루라이드 영화제 공식 부문에 초청되었다.


2004년 6월, 영화 제작진에게 러시아 연방 예술 및 문학 분야 국가상이 수여되었다. 수상자는 감독이자 각본가인 알렉산드르 로고슈킨, 프로듀서 세르게이 셀리아노프, 주연 배우 안니크리스티나 유소, 빌레 하파살로, 빅토르 비치코프, 촬영 감독 안드레이 제갈로프, 영화 미술 감독 블라디미르 스베토자로프, 작곡가 드미트리 파블로프, 음향 기술자 아나톨리 구드코프와 세르게이 소콜로프이다.

6. 기타


  • 주역의 배역 이름인 "안니"와 이를 연기한 배우 "안니-크리스티나 유소"의 이름이 같은 것은 우연의 일치이다.
  • 안니-크리스티나 유소는 이 영화가 영화 첫 출연작이다.
  • 감독인 알렉산드르 로고시킨은 이 영화를 제작하기 전에 동명의 소설을 발표했다.

참조

[1] 간행물 Film Director Alexander Rogozhkin Dies at Age 72 https://www.themosco[...] The Moscow Times 2021-10-25
[2] 뉴스 Film in Review; The Cuckoo https://www.nytimes.[...] 2022-01-01
[3] 간행물 The Cuckoo https://ew.com/artic[...] Entertainment Weekly 2003-07-10
[4] 웹사이트 The Cuckoo - Rotten Tomatoes https://www.rottento[...]
[5] 웹사이트 The Cuckoo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6] 웹사이트 24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02) http://www.moscowfil[...] 2013-03-30
[7] 웹사이트 "2002" http://kinopressa.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