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나노차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나노차주는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백제의 관료로, 544년 가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으며, 이후 왜에 여러 차례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처음에는 시덕이었으나 덕률로 승진하였고, 내신의 지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나노 씨의 일족으로, 사나노 아비타, 사나노 지주, 시나노 신라 등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덕솔 - 비리막고
    비리막고는 백제 성왕에 의해 가야에 파견되어 신라를 외교적으로 압박하고, 임나와 신라의 관계를 경계하는 역할을 했다.
  • 사씨 (백제) - 사사노궤
    사사노궤는 《일본서기》에 신라 공격에 참여한 인물로 기록되어 있으며, 목라근자와 함께 신라를 공격하여 7개국을 평정하고 남만 침미다례를 무찌른 후 백제에 땅을 넘겨주었고, 그의 국적에 대해서는 백제인 설과 일본인 설이 존재하며, 5세기 백제와 왜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사씨 (백제) - 사비복부
    사비복부는 백제 멸망 후 일본으로 망명하여 오노성과 키이성 축성, 다자이후와 백제 도성의 유사성을 보여주고, 일족은 씨성을 하사받았으며 사비 신사가 효도로 과역을 면제받았다.
사나노차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사나노차주
한자斯那奴次酒
일본어 (히라가나)しなぬ の しす
로마자 표기Sanano chaju
작위 정보
작위백제의 덕솔
군주백제 성왕
개인 정보
국적백제
성별남성
가문 (추정)사씨

2. 생애

544년, 시덕 마무(馬武), 고분옥(高分屋)과 함께 가야로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545년 5월에는 나솔 기릉(其㥄), 용기다(用奇多)와 함께 에 사신으로 갔다. 553년에는 한솔 예새돈(禮塞敦) 등과 함께 원군을 요청하기 위해 다시 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3. 관위

일본서기』 기록에 따르면 사나노차주의 관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승진했음을 알 수 있다.

흠명천황 5년(544년) 2월[1]과 흠명천황 6년(545년) 5월[2] 기록에는 백제의 관위 16등 중 제8등인 시덕(施德)으로 나타난다. 당시 백제는 시덕 마무(馬武), 시덕 고분옥(高分屋)과 함께 시덕 사나노차주를 임나에 사신으로 보내, 일본부와 임나 한기(旱岐) 등에게 백제 성왕이 나솔 미마사(彌麻沙), 나솔 기련(己連), 물부련 나솔 용가다(用歌多)를 일본에 보내 천황을 조알(朝謁)하게 했으며 이들이 귀국했음을 알리게 했다.[1] 흠명천황 6년에는 나솔 기준(紀遵), 나솔 용가다(用歌多)와 함께 표(表)를 올리는 사신으로 파견되었다.[2]

이후 흠명천황 14년(553년) 정월 을해와 같은 해 8월 정유, 그리고 흠명천황 15년(554년) 정월 병신 기록에는 제4등인 덕률(德率)로 승진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흠명천황 14년 정월에는 상부 덕률 과야차주(上部 德率 扞跛 車胄), 간률 예새돈(杆率 禮塞敦) 등과 함께 일본에 군병 파견을 요청하는 사신으로 보내졌다. 같은 해 8월에는 상부 나솔 과야신라(上部 奈率 扞跛 新羅), 하부 고덕 문휴대산(下部 固德 文休帶山) 등이 올린 표에서, 전년도에 내신(內臣) 덕률 차주와 임나 대부(任那 大夫) 등을 보내 해표(海表)의 여러 미(彌) 이주 문제를 아뢰게 했다는 내용이 언급된다. 흠명천황 15년 정월에는 백제에서 파견된 중부 목주 시덕 문차(中部 木州 施德 文次), 전부 시덕 왈사분옥(前部 施德 曰斯分屋) 등이 쓰쿠시에 도착하여, 내신 사백련(沙白蓮) 등에게 덕률 차주와 간률 새돈 등이 작년 윤4월에 도착했다고 들었는데 확실한지, 군사의 수는 얼마인지 등을 미리 묻기도 했다.

이러한 관위 승진은 사나노차주가 백제의 관료로서 꾸준히 활동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흠명천황 14년 기록에서 그가 내신(奈率)의 지위에 있었다고 언급되는데, 이는 당시 백제 왕의 측근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사나노차주가 속한 사나노 씨(斯那奴氏)는 『일본서기』 기록상 시나노국(信濃國)의 호족으로 보이나, 다른 기록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고 야마토 왕권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가문은 아니었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사나노차주는 게이타이 천황 10년(516년)부터 흠명 천황 11년(550년)까지 활동한 사나노 아비타(斯那奴阿比多)와 가까운 관계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사나노 아비타 역시 『일본서기』 기록에서 백제와 관련된 인물로 등장한다.

또한 흠명천황 14년(553년)에 활동한 시나노 신라(斯那奴新羅)라는 인물도 있는데, 이들 세 명(아비타, 차주, 신라)은 모두 사나노 씨이며 왜국 내에서 유력한 호족으로 보기 어렵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서로 무관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활동 시기를 보면 사나노 아비타가 한 세대 앞서 활동을 시작했으므로, 사나노 아비타가 아버지이고 사나노차주와 시나노 신라가 형제 관계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왜계 백제 관료로서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가족

사나노 씨(斯那奴氏)는 『일본서기』의 백제 관련 기록에 등장하는 시나노국호족이다. 야마토 왕권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기록은 많지 않다. 사나노 차주는 킨메이 천황 5년부터 15년 사이에 백제의 관직인 시덕(施徳)으로서 임나(任那)에 파견된 기록이 있다.

같은 사나노 씨족 인물인 사나노 아비타(斯那奴阿比多) 및 시나노 신라(科野新羅)와의 관계가 주목된다. 사나노 아비타는 게이타이 천황 10년부터 킨메이 천황 11년까지 왜국과 백제 사이의 외교 사절로 활동한 인물로, 사나노 차주보다 한 세대 앞서 활동했다. 시나노 신라는 킨메이 천황 14년에 활동 기록이 나타난다.

연구자 가와치 하루히토(河内春人)는 이들이 왜국 중앙에서 큰 세력을 형성했다고 보기 어려운 사나노 씨족이라는 공통점을 가지며, 각 인물의 활동 시기 차이를 고려할 때, 사나노 아비타가 아버지이고 사나노 차주와 시나노 신라가 형제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참조

[1] 뉴스 사나노차주(斯那奴次酒) http://encykorea.aks[...]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2] 간행물 六世紀代の倭系百済官僚とその本質 http://repo.komazawa[...] 駒澤史学会 20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