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냥개자리 A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냥개자리 AM은 좁은 궤도를 도는 두 백색 왜성으로 구성된 쌍성계이다. 1939년에서 1940년 사이에 희미한 백색 왜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으며, 헬륨 백색 왜성이 탄소/산소 백색 왜성으로 물질을 이동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약 17분 주기로 밝기가 변하며, 플레어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냥개자리 - 소용돌이 은하
사냥개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소용돌이 은하는 뚜렷한 나선 팔 구조와 동반 은하와의 상호작용, 초신성 관측, 그리고 은하 외부 행성 후보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M51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 - 사냥개자리 - NGC 4151
NGC 4151은 중심부의 거대한 블랙홀과 주변 가스의 상호작용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은하이며, 엑스선 방출은 주변 가스의 성질 변화와 별 형성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 백색왜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백색왜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변광성 - 세페이드 변광성
세페이드 변광성은 주기적인 밝기 변화와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우주 거리 측정에 활용되는 별로, 고전 세페이드와 II형 세페이드로 나뉘며 헬륨 이온화에 의한 맥동 현상을 보인다. - 변광성 - 마차부자리 SU
마차부자리 SU는 추가 정보가 필요한 천체로, 구체적인 특성 및 분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사냥개자리 AM | |
---|---|
기본 정보 | |
화명 | 사냥개자리 AM성 |
영명 | AM Canum Venaticorum |
별자리 | 사냥개자리 |
겉보기 등급 | 14.13 |
변광성형 | 격변성(NL) |
기타 명칭 | EGGR 91 GSC 03018-02523 PG 1232+379 WD 1232+37 AAVSO 1229+38 |
위치 정보 | |
겉보기 등급 (V) | +14.02 (13.7–14.2) |
별자리 | 사냥개자리 |
google_map | 사냥개자리 AM |
특징 | |
분광형 | DBp |
B-V 색 지수 | −0.23 |
U-B 색 지수 | −1.01 |
변광성 유형 | AM CVn |
운동 정보 | |
고유 운동 (적경) | 30.935 |
고유 운동 (적위) | 12.420 |
연주 시차 | 3.3512 |
연주 시차 오차 | 0.0452 |
궤도 정보 | |
공전 주기 | 1028.7322 (17분 08.732초) |
궤도 경사 | 43° |
구성 요소 1 (백색 왜성) | |
질량 | 0.6 태양 질량 |
온도 | 100,000 |
반지름 | 0.0137 |
구성 요소 2 (반성) | |
질량 | 0.1 태양 질량 |
2. 관측 역사
사냥개자리 AM(en)까지의 거리는 측정하기 어려웠다. 이 천체는 히파르코스 위성으로 시차를 측정하기에는 너무 희미하고, 다른 방법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시차를 결정하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며, 다른 천체와의 비교를 통해 매개변수를 알기에는 매우 드문 유형이기 때문이다.
1939년부터 1940년까지 팔로마 천문대에서 약 45.72cm 슈미트 망원경을 사용하여 희미한 백색 왜성 조사가 수행되었다. 이 조사는 주로 은하 북극 주위에서 이루어졌는데, 이는 질량이 크고 수명이 짧은 O, B, A형 별 분류의 별들을 피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별들은 새로운 별 형성이 활발한 은하수 평면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조사 과정에서 관측된 별들 중, 1947년 밀턴 L. 휴메이슨과 프리츠 츠비키는 희미한 푸른 별들의 목록을 작성했다. 이 별들의 푸른색은 상대적으로 높은 유효 온도를 나타낸다. 목록의 29번째 별인 HZ 29는 이 목록에서 가장 특이한 별 스펙트럼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별의 스펙트럼에는 수소선이 없었으며, 중성(비이온화) 헬륨의 넓고 희미한 선만 관측되었다. 이는 HZ 29가 수소가 부족한 백색 왜성일 가능성을 시사했다.
1962년, 광전 감지기를 이용한 관측을 통해 HZ 29의 밝기가 18분 주기로 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밝기 변화의 광도 곡선은 정현파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이후 관측에서는 깜빡이는 현상이 포착되었는데, 이는 별 사이에 질량 이동이 일어나고 있음을 암시하는 증거로 여겨졌다.
3. 거리
과거에는 여러 방법으로 거리를 추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다른 격변 변광성과의 비교를 통해서는 약 143 pc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강착 원반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서는 288 ± 50 pc와 420 ± 80 pc 라는 두 가지 추정치가 제시되었다. 지상 관측을 통해 얻은 절대 시차 측정값은 약 235 pc의 거리를 나타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의 정밀 유도 센서를 사용하여 세 개의 비교 별에 대한 상대 시차를 측정한 결과는 606 +135 −93 pc로 상당히 먼 거리로 추정되었다.
최근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2는 3.3512 ± 0.0452 mas의 시차를 측정했으며, 이는 295 ± 4 pc의 거리로 환산된다. 이 값은 이전 추정치들보다 작으며, 사냥개자리 AM 시스템의 광도와 강착률이 예상보다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이 거리는 강착 원반 모델에서 예측하는 값과 더 잘 일치한다.[1]
4. 물리적 특징
사냥개자리 AM은 좁은 궤도에서 서로를 공전하는 한 쌍의 백색 왜성으로 구성된 쌍성계 모델로 설명된다. 주성은 탄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질량이 더 큰 백색 왜성이며, 반성은 헬륨으로 이루어진 질량이 작은 백색 왜성이다. 이 반성은 수소가 없고 미량의 무거운 원소만 포함하고 있다. 허블 우주 망원경(HST) 관측 결과 예상보다 멀리 떨어져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반성은 준축퇴 물질로 이루어진 준왜성 B형 별일 가능성도 있다.
두 별은 중력파 방출로 인해 각운동량을 잃으면서 서로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반성의 헬륨이 주성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질량 이동은 반성이 자신의 로슈엽—두 별 사이의 중력적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물방울 모양의 영역—을 넘어서 팽창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질량 이동률은 연간 약 7 × 10⁻⁹ 태양 질량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주성인 백색 왜성 주위에 강착 원반이 형성된다. 이 강착 원반으로 흘러 들어가는 질량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실제로 이 시스템의 가시광선 광도에 가장 크게 기여하며, 두 별 자체의 밝기를 능가한다. 이 원반의 온도는 약 30,000 K이다.
이 시스템의 밝기를 정밀하게 측정한 결과, 여러 주기의 변화가 관측되었다. 주요 주기는 1028.73 초 (17분 8.73초)로, 이는 두 별의 궤도 주기에 해당한다. 두 번째 주기인 1051 초 (17분 31초)는 초과대광(superhump) 현상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초과대광은 궤도 주기보다 약간 더 긴 주기로 나타나는 밝기의 증폭 현상으로, 강착 원반이 늘어나 세차 운동을 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타원형으로 변형된 원반은 궤도 주기보다 훨씬 긴 시간 간격에 걸쳐 백색 왜성 주위를 세차 운동하며, 매 궤도마다 원반의 방향이 약간씩 변하게 된다.
4. 1. 플레어
일반적으로 사냥개자리 AM은 0.05 등급의 밝기 변화만을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냥개자리 AM형 항성계는 신성과 유사한 천체로서, 무작위로 강렬한 밝기 폭발(플레어)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냥개자리 AM은 1985년부터 1987년까지 두 번의 플레어 현상을 보였으며, 이 플레어들은 밝기의 급격한 변동을 나타냈다. 1986년의 플레어는 최대 밝기가 1.07 ± 0.03 등급 증가했으며, 212초 동안 지속되었다. 이 사건 동안 방출된 에너지의 양은 2.7 × 1036 에르그로 추정된다. 이 플레어는 주성에 의해 외부 껍질을 따라 축적된 헬륨의 짧은 핵융합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참조
[1]
간행물
The physical properties of AM CVn stars: new insights from Gaia DR2
2018
[2]
웹사이트
SIMBAD 질의 결과
http://simbad.u-stra[...]
[3]
간행물
Kinematics of the ultracompact helium accretor AM Canum Venaticorum
2006-09
[4]
웹인용
Faint Thermonuclear Supernovae from AM Canum Venaticorum Binaries
http://arxiv.org/abs[...]
2008-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