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달수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달수드는 물병자리에 있는 G0 Ib 분광형의 초거성으로, 겉보기 등급은 2.87이며, 다른 별의 분광형을 정하는 기준점으로 사용된다. 지구에서 약 540광년 떨어진 이 별은 태양 질량의 6~6.5배, 밝기는 약 2,300배, 반지름은 약 50배이며, 약 6천만 년 된 것으로 추정된다. 엑스선이 처음으로 발견된 G형 초거성으로, "행운 중 행운"을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슬람, 이집트, 페르시아 등 다양한 문화에서 봄과 행운을 상징한다. 사달수드는 망원경으로 관측 시 두 개의 동반 천체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형 초거성 - 세페우스자리 델타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5.36627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로,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데 중요하며 지구로부터 약 800~890광년 떨어져 있고 분광 동반성을 가진 연성계이다.
  • G형 초거성 - 고물자리 RS
    고물자리에 위치한 고물자리 RS는 41.5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빛의 반향을 통해 지구로부터 약 6,230광년에서 6,500광년 떨어진 초거성이다.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이오타
  • 플램스티드 천체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플램스티드 천체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사달수드
기본 정보
β Aquarii의 위치 (원으로 표시)
β Aquarii의 위치 (원으로 표시)
별자리물병자리
약칭β Aqr
다른 이름사달수드
사드 엘 순드
물병자리 β
22 Aqr
ADS 15050 A
BD –06 5770
CCDM J21316-0534A
GC 30137
FK5 808
HD 204867
HIP 106278
HR 8232
SAO 145457
관측 정보
시대J2000
겉보기 등급2.87
특징
분광형G0 Ib
U-B 색지수+0.58
B-V 색지수+0.84
종류황색 초거성
운동 정보
시선 속도6.451 ± 0.0627
고유 운동 (적경)+18.77
고유 운동 (적위)−8.21
연주 시차5.9728
연주 시차 오차0.2147
거리 (파섹)166.12 +5.64/-4.75
거리 (광년)541.55 +18.39/-15.49
절대 등급-3.04
물리적 특성
질량4.97 ± 0.10 ~ 6.3 태양 질량
반지름47.88 +1.68/-1.81 태양 반지름
광도2046 ± 180 태양 광도
표면 중력2.05
표면 온도5608 ± 71 켈빈
금속 함량–0.03
자전 속도6.3 ± 1.3 km/s
나이56 ~ 110 ± 10 백만 년

2. 특징

사달수드(물병자리 베타, β Aquarii|베타 아콰리la)는 물병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이 별은 분광형 G0 Ib에 해당하는 초거성으로, 1943년 이래로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별들의 분광형을 분류하는 데 중요한 기준점 중 하나로 사용되어 왔다. 사달수드는 태양보다 훨씬 무겁고 밝으며 크기도 크지만,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이미 항성 진화의 후기 단계인 초거성 상태에 들어섰다. 겉보기에는 노란색 빛을 띤다.

2. 1. 물리적 특성

사달수드는 물병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겉보기 등급은 2.87이고 분광형은 G0 Ib이다. 1943년 이후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별의 분광형을 정하는 기준점 중 하나로 사용되어 왔다. 시차 자료에 따르면 사달수드는 지구로부터 약 540ly(160pc) 떨어져 있다.

항성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5~6.5배이며, 밝기는 태양 광도의 약 2,000~2,300배,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약 48~50배로 팽창했다. 별의 추정 나이는 약 5,600만~6,000만 년으로, 태양의 46억 년에 비하면 매우 젊지만, 큰 질량 때문에 이미 초거성 단계로 진입했다. 핵에서 헬륨탄소로 융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초신성으로 폭발하기에는 질량이 부족하여 시리우스 B와 비슷한 거대한 백색 왜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보인다.[2] 별의 바깥쪽 대기, 즉 광구의 유효 온도는 약 5,608,000~5,700,000으로, 이 온도 때문에 우리 눈에는 G형 별의 특징인 노란색 빛을 띤다.

찬드라 X선 관측소를 이용한 관측을 통해 사달수드의 코로나에서 엑스선이 방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G형 분광형의 초거성에서 엑스선이 발견된 첫 사례이다. 사달수드 근처에서 발견된 이차 엑스선 광원은 아마도 외부 은하 기원일 가능성이 높다.

사달수드는 중간 질량 항성 셋으로 구성된 집단에 속해 있는데, 이들의 공간속도를 볼 때 은하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사달수드 외 나머지 두 별은 알파 물병자리와 에타 페가수스자리이다.

2. 2. 엑스선 관측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을 이용한 관측 결과, 사달수드의 코로나에서 엑스선이 방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G형 초거성에서 엑스선 방출이 감지된 최초의 사례이다. 또한, 사달수드 근처에서 발견된 두 번째 엑스선원은 외부 은하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

2. 3. 공간 운동

사달수드는 중간 질량의 항성 세 개로 이루어진 그룹의 일원이다. 이 그룹에 속한 별들은 은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간 속도를 공유한다. 그룹의 다른 구성원으로는 물병자리 알파와 페가수스자리 에타가 있다.

3. 명칭과 어원

고유 명칭 '''사달수드'''(Sadalsuud)는 '행운 중의 행운'이라는 의미의 아랍어 표현 سعد السعود|sa‘d al-su‘ūdar에서 유래했다. 이 이름이 왜 이 별에 붙여졌는지 정확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때때로 Sad es Saud, Sadalsund, Saad el Sund 등의 다른 철자 표기도 발견된다. 2016년 8월 21일, 국제 천문 연맹(IAU) 산하의 항성 명명 워킹 그룹(WGSN, Working Group on Star Names)은 이 별의 주성분(A 구성 요소)에 대해 '''사달수드'''(Sadalsuud)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의 달력'이라는 문헌의 별 목록에서는 이 별을 'Nir Saad al Saaoud'로 지정했는데, 이는 라틴어로 'Lucida Fortunæ Fortunarum'으로 번역되며 '행운 중의 가장 밝은 별'이라는 뜻이다.

이집트, 페르시아, 이슬람 신화 등 여러 신화에서 사달수드는 겨울이 지나고 비가 꾸준히 내리기 시작하는 3월에 태양이 떠오르는 것을 상징하는 별로 여겨졌다. 이 '행운 중의 행운'은 이슬람력에서 22번째 '만질'(달의 위치)에 해당하며, 여기에는 분다(물병자리 크시)와 염소자리 46도 함께 속한다.[3] 사달수드와 물병자리 제타는 이란력에서의 '분다'와 콥트 월령의 ‘우푸이네우티’(기초라는 뜻)에 해당하기도 한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사달수드가 허수( 虚宿|Xū Sùzho)에 속한다. 허수는 사달수드와 조랑말자리 알파 두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4] 사달수드 자체의 중국식 이름은 '''허수일'''( 虛宿一|Xū Xiù Yīzho)이며, 이는 '허수의 첫 번째 별'이라는 의미이다.[5]

힌두교 문헌에서는 이 별이 '칼페니'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고대 인도 천문학의 나크샤트라 체계에서 스물세 번째 나크샤트라에 해당하는 슈라비슈타(여덟 바수 신들이 주관하는 월령)에 속한다. 유프라테스강 지역에서는 '카카브 나막스'(Kakkab Nammax)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강한 운명의 별'이라는 뜻이다. 천문학자 리처드 힌클리 앨런은 사달수드라는 이름이 여기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β 물병자리''(Beta Aquarii)는 이 별의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라틴어 표기이다.

4. 문화 및 신화

300px


고유 명칭 '사달수드'는 '행운 중의 행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고대 이집트, 페르시아, 이슬람 신화 등 여러 문화권의 신화에서 사달수드는 겨울이 지나고 비가 꾸준히 내리기 시작하는 3월에 태양이 떠오르는 시기와 연관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사달수드는 봄의 도래, 새로운 생명의 시작, 그리고 농업 사회의 번영과 직결되는 '행운' 또는 '길운'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행운 중의 행운'이라는 의미는 이슬람력의 22번째 만질(아랍 음력 저택)과도 연결되는데, 이 만질에는 사달수드 외에 분다와 염소자리 46도 함께 속한다.[3]

4. 1. 동아시아 별자리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사달수드는 허수( 虚宿|중국어 )에 속한다. 허수는 두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머지 하나는 조랑말자리 알파이다.[4] 사달수드 자체의 이름은 '''허수일'''( 虛宿一|중국어 )이며, 이는 '허수의 첫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5]

중국 신화에서 허수는 28수 중 하나로 '공허'를 의미하며, 북쪽 하늘의 현무를 이루는 일곱 별자리 중 중심 별자리로 여겨졌다.

4. 2. 인도 및 기타 문화

힌두교 문헌에서 사달수드는 '칼페니'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고대 인도 천문학 시스템인 조티샤 베다에서는 23번째 나크샤트라인 슈라비슈타(श्रविष्ठाsa, 여덟 바수 신들이 주관하는 달의 저택)에 해당한다.

유프라테스강 지역에서는 '카카브 나막스'(Kakkab Nammaxakk)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강한 운명의 별'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일부에서는 사달수드라는 이름이 여기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점성술에서 사용된 'Fortuna Fortunarum'(행운 중의 행운)이라는 이름의 기원이 되었을 수도 있다고 본다.

고대 이집트, 페르시아, 이슬람 신화 등에서는 사달수드가 겨울이 지나고 3월에 해가 뜨는 것, 그리고 온화하고 지속적인 비가 시작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이는 봄의 시작, 새로운 생명, 농업의 번영과 같은 '행운' 또는 '길운'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슬람력에서는 물병자리 크시(분다)와 염소자리 46과 함께 22번째 만질(Manzil, 아랍 음력 저택)에 속하는데, 이 또한 '행운 중의 행운'이라는 의미와 연결된다.[3]

또한 사달수드(물병자리 베타)와 물병자리 크시는 페르시아 음력 저택 '분다'와 유사한 콥트교의 저택 '우푸이네우티'(의미: 기초)를 구성하기도 한다.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사달수드는 허수( 虚宿중국어)에 속한다. 허수는 사달수드와 조랑말자리 알파 두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4] 사달수드 자체의 중국 이름은 虛宿一중국어 로, '허수의 첫째 별'이라는 뜻이다.[5] 허수는 '공허'를 의미하며, 북쪽 하늘을 상징하는 사신 중 하나인 현무의 중심 별자리였다. 일부 해석에서는 이를 (陰) 또는 '공허', 즉 창조가 시작되는 근원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5. 이중성

사달수드는 맨눈으로 볼 때 하나의 별로 보이나 망원경으로 보면 희미한 동반 천체 둘이 더 보인다.[6][7] 이 동반 천체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5. 1. 동반 천체 정보

사달수드는 맨눈으로 볼 때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두 개의 희미한 동반 천체를 발견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구성 요소 B와 C로 지정되었다.

첫 번째 동반 천체(구성 요소 B)는 겉보기 등급 11.0이다. 1947년 관측 기준으로 위치각은 321도였고, 사달수드(구성 요소 A)와의 시야각 거리는 35.4초각이었다.[6][7] 이 동반성은 윌리엄 허셜이 발견했다.

두 번째 동반 천체(구성 요소 C)는 겉보기 등급 11.6이다. 1947년 기준 위치각은 186도였고, 사달수드와의 시야각 거리는 57.2초각이었다.[6][7] 이 동반성은 셔번 버넘이 발견했다.

2008년까지 이 세 별이 중력적으로 묶인 삼중성계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2의 자료에 따르면, 동반성 B와 C는 사달수드보다 약 두 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별은 서로 매우 다른 고유 운동을 가지고 있어, 이들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광학적 동반성일 가능성이 높다.

β 물병자리 동반성 정보
구성 요소겉보기 등급적경 (J2000)적위 (J2000)
B11.021h 31m 31.9s-05° 33′ 46″
C11.621h 31m 33.0s-05° 35′ 10″


참조

[1] 간행물 cite Gaia EDR3
[2] 웹사이트 Sadalsuud http://stars.astro.i[...] 2024-08-04
[3] 문서 물병자리 베타는 ‘니르 사드 알 사오우드’ 또는 Lucida Fortunæ Fortunarum(행운 중 행운에서 제일 밝은 자)이며 [[물병자리 크시]]는 ‘타니흐 사드 알 사오우드’ 또는 Secunda Fortunæ Fortunarum(행운 중 행운에서 두 번째)이다. [[염소자리 46]]이 Thalath Fortunæ Fortunarum 또는 Tertia Fortunæ Fortunarum(행운 중 행운에서 세 번째)가 되어야 하나 알 악사시 알 무아킷은 이 별을 딱히 지칭하지 않았다. 염소자리 46은 R. H. 앨런의 해석일 것이다.
[4]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5]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13-01-20
[6] 웹인용 CCDM (Catalog of Components of Double & Multiple stars) (Dommanget+ 2002) http://vizier.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05-17
[7] 웹인용 Sadalsuud http://www.alcyone.d[...] Alcyone Bright Star Catalogue 2010-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