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무데라 파사이 술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무데라 파사이 술탄국은 13세기 말 수마트라 북부에 설립된 최초의 이슬람 왕국 중 하나이다. '사무데라'는 '매우 큰 개미' 또는 '대양'을 의미하며, '파사이'는 왕국의 창시자인 말릭 울 살리흐의 사냥개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파사이는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아랍과 인도 무슬림 상인들과 교역하며 번성했다. 14세기 이븐 바투타가 방문하여 이슬람의 모범적인 모습을 기록했으며, 명나라 홍무제는 정복하지 말아야 할 국가로 지정하기도 했다. 이후 마자파히트의 침략과 포르투갈의 점령을 거쳐 아체 술탄국에 병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마트라섬의 역사 - 바탁족
    바탁족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북부에 거주하며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고, 힌두교, 불교, 토착 신앙을 융합한 종교를 믿었으며, 가부장적인 씨족 사회를 이루고 농업과 사냥에 종사하다가 근대 이후 기독교와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경우가 많다.
  • 수마트라섬의 역사 - 조호르 술탄국
    조호르 술탄국은 15세기 말 말라카 해협에서 건국된 말레이 왕국으로, 말라카 왕국의 계승을 자처하며 성장했으나, 아체 술탄국, 포르투갈, 네덜란드, 잠비 왕국 등과의 전쟁과 내부 권력 투쟁으로 혼란을 겪으며 네덜란드와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다가 말라야 연방 독립과 함께 독립을 선언하고 말레이시아 연방의 조호르주가 되었으며, 술탄의 세습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아시아의 옛 술탄국 -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 1세가 건국하여 쉴레이만 1세 때 전성기를 맞이한 튀르크계 이슬람 제국으로,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튀르키예 공화국으로 대체되기까지 밀레트 제도를 통해 다원적인 사회 구조를 유지했다.
  • 아시아의 옛 술탄국 - 조호르 술탄국
    조호르 술탄국은 15세기 말 말라카 해협에서 건국된 말레이 왕국으로, 말라카 왕국의 계승을 자처하며 성장했으나, 아체 술탄국, 포르투갈, 네덜란드, 잠비 왕국 등과의 전쟁과 내부 권력 투쟁으로 혼란을 겪으며 네덜란드와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다가 말라야 연방 독립과 함께 독립을 선언하고 말레이시아 연방의 조호르주가 되었으며, 술탄의 세습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사무데라 파사이 술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역대 통치자
1267년 ~ 1297년말리크 울 살리흐
1514년 ~ 1517년자이날 아비딘 4세
통화
통화디르함
현재 국가
오늘날인도네시아
이전 국가
이전스리위자야
이후 국가
이후아체 술탄국
포르투갈 제국

2. 어원

14세기 편년체 사서 히카얏 라자라자 파사이(Hikayat Raja-raja Pasai)에 의하면, '사무데라(Samudera)'는 "세무데라(Semudera, 세무데라/səmudəraipa)"에서 유래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매우 큰 개미'라는 뜻이다.[3] '높은 땅(high ground)'에서 메라 실루가 사냥할 때 고양이만한 개미를 발견하면서 이런 이름이 지어졌다 한다.[3] 마침내 새로운 국가 수립을 위해 이곳은 잘 정비되었고 '세무데라(Semudera)'라는 이름이 도입되었다.

또한 '사무데라(Samudera)'는 산스크리트어타밀어에서 '대양(ocean)'을 뜻하는 '사무드라(Samudra)'에서 온 것으로도 보인다.

또한 문헌에서는 '파사이(Pasai)'가 메라 실루의 이슬람 개종 후 이름인 말릭 울 살리흐의 사냥개 이름 '시 파사이(Si-Pasai)‘에서 왔다고 한다.[3][4] 전설에 의하면 말릭이 사냥개와 사냥할 때 한 사삼을 만났다. 사슴은 사냥개가 짖어도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역으로 사냥개를 향해 짖었다. 말릭은 당황하였고 이곳이 자신의 아들 말릭 알 타히르를 위한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 좋은 곳이라 여겼다.[4] 왕국 수립 직후에 개는 죽었으며 말릭은 개를 그곳에 매장하였고 개 이름에서 따와 왕국에 파사이라는 이름을 붙였다.[4]

14세기 이탈리아 여행자 오도리코 다포르데노네는 사무드라에 대해 수몰트라(Sumoltra)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이후 유럽 저자들은 수마트라를 가리키는 명칭으로서 수몰트라와 비슷한 단어를 사용했다.[5][6]

2. 1. 명칭의 유래

히카얏 라자라자 파사이(Hikayat Raja-raja Pasai)에 의하면, '사무데라(Samudera)'는 "세무데라(Semudera, )"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매우 큰 개미'라는 뜻이다.[3] 메라 실루가 '높은 땅(high ground)'에서 사냥할 때 고양이만한 개미를 발견하면서 이런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3]

'사무데라(Samudera)'는 산스크리트어타밀어에서 '대양(ocean)'을 뜻하는 '사무드라(Samudra)'에서 온 것으로도 보인다.

또한 문헌에서는 '파사이(Pasai)'가 메라 실루의 이슬람 개종 후 이름인 말릭 울 살리흐의 사냥개 이름 '시 파사이(Si-Pasai)‘에서 왔다고 한다.[3][4] 사슴은 사냥개가 짖어도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역으로 사냥개를 향해 짖었는데, 말릭은 이곳이 자신의 아들 말릭 알 타히르를 위한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 좋은 곳이라 여겼다.[4] 왕국 수립 직후에 개는 죽었으며, 말릭은 개를 그곳에 매장하고 그 이름에서 왕국의 이름을 따왔다.[4]

14세기 이탈리아 여행자 오도리코 다포르데노네는 사무드라를 수몰트라(Sumoltra)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이후 유럽 저자들은 수마트라를 가리키는 명칭으로서 수몰트라와 비슷한 단어를 사용했다.[5][6]

2. 2. 유럽의 명칭

3. 역사

파사이는 자위 문자(Jawi script)로 쓰인 초기 말레이어(Malay)를 여러 나라에 퍼뜨려 문화를 수출했다. 이 언어는 오늘날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지역 상인들 사이에서 공용어(lingua franca)가 되었다.[7]

아랍(Arab)과 인도(India) 무슬림들은 인도네시아와 중국에서 여러 세기동안 교역을 하였다. 자바(Java) 동부 지역 한 무슬림 무덤은 1082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내 이슬람의 증거 상당수는 수마트라 북부에서 13세기 말에야 시작된다. 두 개의 작은 무슬림 교역국은 그때까지 파사이와 페우레울락(Peureulak) 혹은 페를락(Perlak)에서 존재했다. 1297년 사무드라 왕실 묘비는 완전히 아랍어로 적혀 있다. 15세기 일부 항구 왕국이 발전하였다. 이들은 자바 북부 연안에서 테르나테(Ternate)와 티도레(Tidore)까지 있었으며, 모두 무슬림 왕자가 통치하였다. 마르코 폴로(Marco Polo)는 5개월 머물렀으며 페를렉(Ferlec), 바스마(Basma), 사마라(Samara, 즉 사무데라Samudera)를 언급했다. 이븐 바투타(Ibn Battuta)는 중국으로 가는 길에 사무데라에서 15일 머물렀다.[7]

최초의 인도네시아 무슬림 중심지 설립은 상업적 배경의 결과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3세기 스리비자야(Srivijaya)가 무너지면서 벵골만(Bay of Bengal)의 수마트라 북부 연안 항구에 교역상들을 불러왔고, 믈라카해협(Strait of Malacca) 남단 해적 소굴로부터 떨어져 있어 안전했다. 수마트라 북부는 금과 삼림생산물로 가득했고, 흑후추가 15세기 초에 재배되었다. 인도양 선박을 만나기 원한 제도의 모든 상인들이 접촉 가능했다.

300px


1345년, 이븐 바투타는 사무드라파사이를 방문하면서, 사무데라 군주는 독실한 무슬림이자 극도의 신앙에서 종교적 의무를 수행한다는 것을 여행 기록에서 언급하였다. 그가 관찰한 마드합(madh'hab)은 이맘(Imam) 알 샤피(Al-Shafi‘i)였다. 이때 사무데라파사이는 다르 알 이슬람(Dar al-Islam, 이슬람 왕조)의 마지막이었다. 동쪽에는 무슬림 군주가 통치할 영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사무드라파사이 술탄(sultan)의 친절과 호의를 칭찬했다. 그는 술탄의 손님으로 약 2주간 목책을 두른 마을에 머물렀고, 술탄은 물품을 주면서 자신의 정크 한 척을 이븐 바투타가 중국 가는 길에 보내줬다.[9]

명(明) 홍무제(洪武帝)는 황명조훈(皇明祖訓)에서 정복해서는 안 되는 14개의 외국인 '부정제이국(不征諸夷國)' 중 하나로 사무드라를 꼽았다.[10] 14세기 말, 사무드라파사이는 부유한 상업 중심지가 되었고, 15세기 초 말레이반도 남서 해안의 믈라카(Malacca) 항구로 가는 길을 열었다. 14세기 중엽 마자파히트(Majapahit)는 공격했고 약탈했다.[11]

말릭 알 살리흐(Malik al-Salih) 묘비


파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권력은 거의 외국인에 좌우되었다. 무슬림 상인과 교사는 처음부터 행정에 참여했고 종교적 관습을 소개한 것으로 보인다. 최초의 인도네시아 무슬림 출발점은 대부분 지역 인구의 충성을 지배하고 학자 활동을 장려하는 무슬림 작품이었다. 비슷하게 새로운 항구 왕국은 자바 북부 연안에 형성되었다. 1511년 즈음 수마 오리엔탈(Suma Oriental)의 저자 토메 피르스(Tomé Pires)는 시레본(Cirebon), 드막(Demak), 그레식(Gresik)의 모호한 종족적 기원을 강조한다. 자바 연안에 대한 설명은 인도와 중국과의 교역을 증명하였고, 특히 자바 쌀을 수입하는 믈라카와의 교역을 말한다. 믈라카 군주들은 우명한 힌두국가 스리비자야의 기원에도 불구하고, 무슬림과 자바 상인을 항구에 끌어들이고자 이슬람을 수용하였다.

1511년 믈라카 점령 10년 후인 1521년, 포르투갈인들은 파사이를 점령하였다. 포르투갈인들을 통하여 파사이는 유럽인들에게 '파셈(Pacem)'으로 알려졌다.[12] 1524년 포르투갈 수비병은 파사이에 소개령을 내렸고, 아체(Aceh)의 초대 술탄 알리 무가얏 샤(Ali Mughayat Syah)는 이곳을 점령했다.[13]

3. 1. 초기 이슬람 왕국의 등장

파사이는 자위 문자(Jawi script)로 쓰인 초기 말레이어(Malay)를 여러 나라에 퍼뜨려 문화를 수출했다. 이 언어는 오늘날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지역 상인들 사이에서 공용어(lingua franca)가 되었다.[7]

아랍(Arab)과 인도(India) 무슬림들은 인도네시아와 중국에서 여러 세기동안 교역을 하였다. 자바(Java) 동부 지역 한 무슬림 무덤은 1082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내 이슬람의 증거 상당수는 수마트라 북부에서 13세기 말에야 시작된다. 1297년 사무드라 왕실 묘비는 완전히 아랍어로 적혀 있었다.[7] 15세기 일부 항구 왕국이 발전하였는데, 이들은 자바 북부 연안에서 테르나테(Ternate)와 티도레(Tidore)까지 있었으며, 모두 무슬림 왕자가 통치하였다.[7] 마르코 폴로(Marco Polo)는 5개월 머물렀으며 페를렉(Ferlec), 바스마(Basma), 사마라(Samara, 즉 사무데라Samudera)를 언급했다. 이븐 바투타(Ibn Battuta)는 중국으로 가는 길에 사무데라에서 15일 머물렀다.[7]

최초의 인도네시아 무슬림 중심지 설립은 상업적 배경의 결과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3세기 스리비자야(Srivijaya)가 무너지면서 벵골만(Bay of Bengal)의 수마트라 북부 연안 항구에 교역상들을 불러왔고, 믈라카해협(Strait of Malacca) 남단 해적 소굴로부터 떨어져 있어 안전했다. 수마트라 북부는 금과 삼림생산물로 가득했고, 흑후추가 15세기 초에 재배되었다. 인도양 선박을 만나기 원한 제도의 모든 상인들이 접촉 가능했다.[7]

1345년 이븐 바투타(Ibn Battuta)는 사무드라파사이를 방문하면서, 사무데라 군주는 독실한 무슬림이자 극도의 신앙에서 종교적 의무를 수행한다는 것을 여행 기록에서 언급하였다. 그가 관찰한 마드합(madh'hab)은 이맘(Imam) 알 샤피(Al-Shafi‘i)였다. 이때 사무데라파사이는 다르 알 이슬람(Dar al-Islam, 이슬람 왕조)의 마지막이었다. 동쪽에는 무슬림 군주가 통치할 영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사무드라파사이 술탄(sultan)의 친절과 호의를 칭찬했다. 그는 술탄의 손님으로 약 2주간 목책을 두른 마을에 머물렀고, 술탄은 물품을 주면서 자신의 정크 한 척을 이븐 바투타가 중국 가는 길에 보내줬다.[9]

명(明) 홍무제(洪武帝)는 황명조훈(皇明祖訓)에서 정복해서는 안 되는 14개의 외국인 '부정제이국(不征諸夷國)' 중 하나로 사무드라를 꼽았다.[10] 14세기 말, 사무드라파사이는 부유한 상업 중심지가 되었고, 15세기 초 말레이반도 남서 해안의 믈라카(Malacca) 항구로 가는 길을 열었다. 14세기 중엽 마자파히트(Majapahit)는 공격했고 약탈했다.[11]

파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권력은 거의 외국인에 좌우되었다. 무슬림 상인과 교사는 처음부터 행정에 참여했고 종교적 관습을 소개한 것으로 보인다. 최초의 인도네시아 무슬림 출발점은 대부분 지역 인구의 충성을 지배하고 학자 활동을 장려하는 무슬림 작품이었다. 1511년 즈음 수마 오리엔탈(Suma Oriental)의 저자 토메 피르스(Tomé Pires)는 시레본(Cirebon), 드막(Demak), 그레식(Gresik)의 모호한 종족적 기원을 강조한다. 자바 연안에 대한 설명은 인도와 중국과의 교역을 증명하였고, 특히 자바 쌀을 수입하는 믈라카와의 교역을 말한다. 믈라카 군주들은 우명한 힌두국가 스리비자야의 기원에도 불구하고, 무슬림과 자바 상인을 항구에 끌어들이고자 이슬람을 수용하였다.[7]

1511년 믈라카 점령 10년 후인 1521년, 포르투갈인들은 파사이를 점령하였다. 포르투갈인들을 통하여 파사이는 유럽인들에게 '파셈(Pacem)'으로 알려졌다.[12] 1524년 포르투갈 수비병은 파사이에 소개령을 내렸고, 아체(Aceh)의 초대 술탄 알리 무가얏 샤(Ali Mughayat Syah)는 이곳을 점령했다.[13]

3. 2. 마자파히트의 침략과 쇠퇴

사무데라 파사이는 자위 문자(Jawi script)로 쓰인 초기 말레이어(Malay)를 여러 나라에 퍼뜨려, 이 언어는 오늘날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지역 상인들 사이에서 공용어(lingua franca)가 되었다.[7] 아랍과 인도 무슬림들은 인도네시아와 중국에서 여러 세기동안 교역을 하였으며, 인도네시아 내 이슬람의 증거는 13세기 말 수마트라 북부에서 시작된다.[7] 1297년 사무드라 왕실 묘비는 완전히 아랍어로 적혀 있었으며, 15세기에는 자바 북부 연안에서 테르나테(Ternate)와 티도레(Tidore)까지 무슬림 왕자가 통치하는 항구 왕국들이 발전하였다.[7] 마르코 폴로(Marco Polo)는 이곳에 5개월간 머물렀고, 이븐 바투타(Ibn Battuta)는 중국으로 가는 길에 사무데라에서 15일 머물렀다.[7]

최초의 인도네시아 무슬림 중심지 설립은 상업적 배경의 결과물로 보인다. 13세기 스리비자야(Srivijaya)가 무너지면서 벵골만(Bay of Bengal)의 수마트라 북부 연안 항구에 교역상들이 몰려들었고, 수마트라 북부는 금과 삼림생산물로 가득했으며 15세기 초에 흑후추가 재배되었다.[7] 1345년, 이븐 바투타는 사무드라파사이를 방문하여 군주가 독실한 무슬림이며 이맘 알 샤피(Al-Shafi‘i)의 마드합(madh'hab)을 따랐다고 기록했다.[9] 그는 술탄의 친절과 호의를 칭찬하며, 약 2주간 머물며 술탄의 도움으로 중국으로 가는 배를 얻었다.[9]

명(明) 홍무제(洪武帝)는 황명조훈(皇明祖訓)에서 정복해서는 안 되는 14개의 외국 중 하나로 사무드라를 꼽았다.[10] 14세기 말, 사무드라파사이는 부유한 상업 중심지가 되었고, 15세기 초 말레이반도 남서 해안의 믈라카(Malacca) 항구로 가는 길을 열었다. 그러나 14세기 중엽 마자파히트(Majapahit)의 공격과 약탈을 받았다.[11]

파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권력은 거의 외국인에 좌우되었다. 무슬림 상인과 교사는 처음부터 행정에 참여했고 종교적 관습을 소개한 것으로 보인다.[7] 1511년 즈음 토메 피르스(Tomé Pires)는 시레본(Cirebon), 드막(Demak), 그레식(Gresik)의 모호한 종족적 기원을 강조하며, 자바 연안과 인도, 중국, 특히 믈라카와의 교역을 설명하였다. 믈라카 군주들은 무슬림과 자바 상인을 항구에 끌어들이고자 이슬람을 수용하였다.[7]

1521년, 포르투갈인들은 파사이를 점령하였고, 파사이는 유럽인들에게 '파셈(Pacem)'으로 알려졌다.[12] 1524년 포르투갈 수비병은 파사이에 소개령을 내렸고, 아체(Aceh)의 초대 술탄 알리 무가얏 샤(Ali Mughayat Syah)가 이곳을 점령했다.[13]

3. 3. 포르투갈의 점령과 멸망

사무데라 파사이는 문화를 수출하였고, 특히 자위 문자로 쓰인 초기 말레이어를 여러 나라에 퍼뜨렸다. 이후 이 언어는 오늘날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지역 상인들 사이에서 공용어가 되었다.[7]

아랍과 인도 무슬림들은 인도네시아와 중국에서 여러 세기동안 교역을 하였다. 인도네시아 내 이슬람의 증거 상당수는 수마트라 북부에서 13세기 말에야 시작된다. 1297년 사무드라 왕실 묘비는 완전히 아랍어로 적혀 있다. 15세기 일부 항구 왕국이 발전하였는데, 이들은 자바 북부 연안에서 테르나테와 티도레까지 있었으며, 모두 무슬림 왕자가 통치하였다. 마르코 폴로는 이곳에 5개월 머물렀으며 페를렉(Ferlec), 바스마(Basma), 사마라(Samara, 즉 사무데라)를 언급했다. 이븐 바투타는 중국으로 가는 길에 사무데라에서 15일 머물렀다.[7][8]

1345년, 이븐 바투타는 사무드라파사이를 방문하면서, 사무데라 군주는 독실한 무슬림이자 극도의 신앙에서 종교적 의무를 수행한다는 것을 여행 기록에서 언급하였다. 그가 관찰한 마드합은 이맘 알 샤피였다. 이때 사무데라파사이는 다르 알 이슬람의 마지막이었다. 동쪽에는 무슬림 군주가 통치할 영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사무드라파사이 술탄의 친절과 호의를 칭찬했다. 그는 술탄의 손님으로 약 2주간 목책을 두른 마을에 머물렀고, 술탄은 물품을 주면서 자신의 정크 한 척을 이븐 바투타가 중국 가는 길에 보내줬다.[9]

명 홍무제는 황명조훈에서 정복해서는 안 되는 14개의 외국인 '부정제이국(不征諸夷國)' 중 하나로 사무드라를 꼽았다.[10] 14세기 말, 사무드라파사이는 부유한 상업 중심지가 되었고, 15세기 초 말레이반도 남서 해안의 믈라카 항구로 가는 길을 열었다.

파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권력은 거의 외국인에 좌우되었다. 무슬림 상인과 교사는 처음부터 행정에 참여했고 종교적 관습을 소개한 것으로 보인다.

1511년 믈라카 점령 10년 후인 1521년, 포르투갈인들은 파사이를 점령하였다. 포르투갈인들을 통하여 파사이는 유럽인들에게 '파셈(Pacem)'으로 알려졌다.[12] 1524년 포르투갈 수비병은 파사이에 소개령을 내렸고, 아체(Aceh)의 초대 술탄 알리 무가얏 샤는 이곳을 점령했다.[13]

4. 문화

4. 1. 언어와 문자

4. 2. 종교

5. 역대 통치자

사무드라파사이 술탄국을 통치한 군주들의 목록이다.[14]

번호통치연도술탄(Sultan) 혹은 겔라르(Gelar)비고
11267–1297술탄 말리쿠살레 혹은 메우라 실루사무드라파사이 건국자
21297–1326술탄 알말릭 아즈자이르 1세 / 무함마드 1세황금동전을 도입
31326 – 133?술탄 아흐마드 1세타미앙의 카랑 바루 왕국을 공격
4133? – 1349술탄 알말릭 아즈자이르 2세이븐 바투타가 방문
51349–1406술탄 자이날 아비딘 1세마자파히트 왕국이 침공
61406–1428라투 나라시야사무드라파사이의 절정
71428–1438술탄 자이날 아비딘 2세
81438–1462술탄 샬라웃딘
91462–1464술탄 아흐마드 2세
101464–1466술탄 아부 자이드 아흐마드 3세
111466–1466술탄 아흐마드 4세
121466–1468술탄 마흐무드
131468–1474술탄 자이날 아비딘 3세형제에 의해 실각함
141474–1495술탄 무함마드 샤 2세
151495–1495술탄 알카밀
161495–1506술탄 아들룰라
171506–1507술탄 무함마드 샤 3세무덤이 2개 있음
181507–1509술탄 압둘라
191509–1514술탄 아흐마드 5세1511년 말라카 함락
201514–1517술탄 자이날 아비딘 4세


참조

[1] 웹인용 Samudra Pasai worthy to be world historical site https://republika.co[...] 2017-03-24
[2]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2nd Edi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3] 저널 A Romanized Version of the Hikayat Raja-Raja Pasai https://archive.org/[...] 1914-01-01
[4] 저널 A Romanized Version of the Hikayat Raja-Raja Pasai https://archive.org/[...] 1914-01-01
[5] 서적 Cathay and the Way Thither: Being a Collection of Medieval Notices of China, Issue 36 https://books.google[...]
[6] 서적 History of Sumatra, containing an account of the government (etc.) https://books.google[...] 1811
[7] 웹인용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ISTANBUL TURKEY https://kemlu.go.id/[...]
[8] 서적 Indonesi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07-01
[9] 웹인용 Ibn Battuta's Trip: Chapter 9 Through the Straits of Malacca to China 1345 – 1346 http://ibnbattuta.be[...] Berkeley.edu 2013-06-14
[10] 서적 Zhu Yuanzhang and Early Ming Legislation: The Reordering of Chinese Society Following the Era of Mongol Rule https://books.google[...] BRILL
[11] 저널 Review of O Domínio do Norte Samatra. A história dos sultanatos de Samudera-Pacém e de Achém e das suas relações com os Portugueses (1500-1580) the Dominion of North Sumatra. A History of the Sultanates of Samudera-Pasai and Aceh and Their Relations with the Portuguese (1500-1580) 2003
[12] 간행물 Journal of the Malaysi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ume 33, Parts 1–4 https://books.google[...]
[13] 저널 European Influence in South-East Asia, c.1500-1630 1963-09
[14] 서적 Daulah Shalihiyyah Di Sumatera CISA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