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만 제국은 1299년 건국되어 1922년 멸망한 튀르크계 국가이다. 서양에서는 오스만 튀르크 또는 튀르크 제국으로 불렸으며, 공식 국호는 없었지만, '잘 보호되는 나라/영역'으로 통칭되었다. 튀르크계 군주가 통치했으며, 오스만 튀르크어를 사용했지만,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어휘를 차용했다. 13세기 말 아나톨리아 서북부에서 오스만 1세가 세력을 확장하며 시작되었고, 1453년 메흐메트 2세가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했다. 16세기에는 쉴레이만 1세 치세 하에 중앙유럽과 북아프리카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강성해졌으나, 18세기부터 쇠퇴하여 영토를 상실하고, 19세기에는 개혁을 추진했지만 재정 파탄을 겪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후 1922년 멸망하고 튀르키예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정치 체제는 군주 중심의 중앙 집권 체제였으며, 사회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다언어 사회였다. 건축,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서양에서는 오스만 제국을 오스만 튀르크 내지는 튀르크 제국이라고 불렀고, 영어로는 Ottoman Turks, Turkish Empire라고 표기했다. 한국에서는 이 표현을 그대로 따와 오스만 튀르크, 튀르크 제국, 오스만 튀르크 제국으로 많이 불렀지만, 현재는 '''오스만 제국''' 또는 '''오스만 왕조'''라는 표기가 일반적이다.[284][285]
오스만 제국은 후세의 역사 전승에 대해 시조 오스만 1세가 아나톨리아(소아시아) 서북부에 세력을 확립해 신정권의 왕위에 올랐다는 1299년을 건국 연도로 하는 것이 통례이며, 술탄제가 폐지되어 메흐메트 6세가 폐위된 1922년이 해체 연도로 여겨진다.
오스만 제국의 정치 권력은 군주를 정점으로, 대재상(사드라잠)과 재상(와즈르)들이 군주를 보좌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최고 정책 결정 기관은 디완으로, 대재상, 재상들, 군정장관, 재무대신, 시종장, 서기관장 등으로 구성되었다. 17세기 군주가 정치에서 물러나면서 대재상이 전권을 장악하고, 정치 권력은 대재상의 공저로 이동했다.[154][155]
오스만 제국의 영토는 직할지, 자치구, 속국으로 구성되었다. 속국은 군주 임명권을 제국 정부가 장악하고 있었을 뿐, 그 외 다른 것에 대해선 원칙적으로 자율에 맡기고 있었다. 크리미아, 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 헤자즈 등이 이에 해당한다.[371] 자치구는 중앙 정부로부터 총독이 파견되는 것 이외는 현지의 유력자에게 정치를 맡겼으며 잉여금을 중앙 정부에 상납하였다. 이집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직할지는 주(대도시), 현(변경 중소 도시), 군(마을)으로 나뉘었다. 각 군마다 군사-행정 재판관인 카드의 관할 아래에 있었으며, 현과 주에는 각각 산자크베이(현지사), 베이레르베이(주지사)가 배속되어 관할 구역 내의 군사에 대한 통괄권을 행사했다.[374][376][377]
오스만 제국의 군대 조직은 크게 지방의 티마르(군사봉토)를 받아 징세권을 행사하던 지방 상비군 시파히와 중앙 상비군 카프쿨루로 나뉘었다. 카프쿨루는 주로 데브쉬르메 제도를 통해 징집된 그리스도인 자제들로 구성되었으며, 예니체리, 제베지, 톱추 등 7대 단위 부대로 구성되었다. 이 중 최정예 부대인 예니체리는 16세기 화기 사용으로 그 중요성이 커져 거대한 군사 집단으로 발전했다.[367] 한편, 당시 유럽 국가들은 상비군을 거의 보유하지 않았다.[173][174]
오스만 제국은 아바스 왕조와 셀주크 왕조의 전통을 계승함과 동시에 몽골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도 받아 이슬람적이면서도 튀르크적인 국가를 건설하였다.[381] 광대한 영토를 다스림에 따라 다양한 민족, 종교, 종파가 공존했으며, 비이슬람 문화에 대해서도 비교적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381] 통치 방식에 있어서도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중심부를 제외하고는 총독이나 지방 세력가의 자치에 맡기는 경우가 많았다.[381]
2. 국명
오스만 제국의 군주(파디샤, 술탄)은 튀르크 계열이었고, 궁정 언어는 오스만 튀르크어로 불리는 튀르키예어였지만,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어휘를 많이 차용했다. 지배 계층은 민족·종교에 관련 없이 다양한 지역 출신의 사람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튀르크 민족의 국가로 규정하기는 어렵다.[284][285]
오스만 국가를 가리키는 정식 국호는 존재하지 않았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명칭은 '''잘 보호되는 나라/영역'''(memālik-i mahrūse/ممالكت مهراساota)[425]이었다. 오스만 제국의 왕조적 성격을 지칭할 때는 '''오스만국'''(Devlet-i ʿOsmānīye/دولت عثمانیهota)이라고 불렀다. 종교적 측면을 강조할 때는 '''이슬람국'''(memālik-i islāmiyye/ممالكت إسلاميةota) 또는 '''이슬람 왕국'''(memleket-i islāmiyye/مَمْلَكَة إسلاميةota)이라 했다. 오스만 국가의 전반기에 널리 쓰인 또 다른 표현은 '''로마 왕국'''(memleket-i Rūm/مَمْلَكَةت رُّومُota, diyār-i Rum/دیارت رُّومُota) 또는 '''로마국'''(iklīm-i Rūm/اقليمت رُّومُota)’이었다.[426][427][428]
"오스만"이라는 단어는 제국과 오스만 왕조의 창시자인 오스만 1세의 이름을 영어식 표현으로 바꾼 것이다. 오스만의 이름은 아랍어 이름 ()의 튀르키예식 형태였다. 오스만 튀르키예어에서 이 제국은 (), 또는 간단히 (), 로 불렸다.
근세에 군사 행정 계급의 일원이 아닌 교육받은 도시 거주 튀르키예어 사용자는 자신을 또는 로 부르지 않고 (), 즉 "로마인"으로 불렀다.[29]
오스만 제국, 튀르키예 제국, 튀르키예라는 이름은 서유럽에서 종종 서로 바꿔 사용되었으며, 튀르키예라는 이름이 공식적 상황과 비공식적 상황 모두에서 점점 선호되었다. 1920년에서 1923년 사이에 앙카라에 본부를 둔 튀르키예 정부가 튀르키예를 유일한 공식 명칭으로 선택하면서 이 이분법은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학자들은 제국의 다국적 성격 때문에 오스만인을 언급할 때 "튀르키예", "튀르크인", "튀르키예의"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31]
3. 역사
그러나 오스만 왕조 초기에 대해서는 동시대 사료가 부족하고, 사실과 전설이 혼재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건국 연도를 특정하는 것은 어렵다.
13세기 말 동로마 제국과 룸 술탄국의 국경 지대인 아나톨리아 서북부에 등장한 튀르크인 오스만 1세가 이끈 군사 집단이 오스만 제국의 기원이다.[32] 오스만 1세는 룸 술탄국의 붕괴를 틈타 독립한 후 동로마 제국의 잔존 세력을 격파했다.[33][34] 오스만의 초기 추종자들은 튀르크 부족 집단과 비잔티움 배신자들로 구성되었으며, 이들 중 다수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35][36] 오스만은 사카리아 강을 따라 비잔티움 도시들을 정복하여 자신의 공국의 지배력을 확장했고, 1302년 바페우스 전투에서 비잔티움 군을 격파하며 세력을 확장했다.[37][38]
2대 술탄 오르한 가지는 남동 유럽에 교두보를 구축해 오스만 제국의 위엄을 떨쳤다. 오스만 집단은 주변 기독교 세력이나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영주 및 군사 집단과 싸우기도 하고 손을 잡기도 하면서 점차 영토를 확대해 나갔다.[292][293] 1326년경 오르한은 동로마 제국의 지방 도시 부르사를 점령하고 마르마라 해를 넘어 유럽 대륙에 다다를 때까지 영토를 확대했다.[294][288] 부르사는 오스만 베이국의 행정 중심지로서, 최초의 수도 기능을 하게 된다.[294]
1346년, 오르한 1세는 동로마 황제 요한네스 6세 칸타쿠제누스와 동맹을 맺고 다르다넬스 해협을 넘어 발칸반도의 트라키아에 진출, 유럽에서 영토 확장을 개시했다.[296] 1354년에는 갈리폴리를 점령하여 교두보로 삼았다.[297][296]
오르한 1세의 아들 무라트 1세는 즉위하자마자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도나우강 유역을 잇는 중요 거점인 에디르네를 점령한 후, 이곳을 제2의 수도로 삼았다.[287] 또한 예니체리를 창설하는 등 국가 제도를 정비했으며, 1389년에는 코소보 전투에서 세르비아 왕국을 필두로 한 발칸 제후국들의 연합군을 물리쳤다.[302]
무라트 1세의 아들 바예지드 1세는 1396년에 불가리아 북부에서 니코폴리스 전투를 벌여, 헝가리 왕국을 필두로 한 십자군을 격파, 영토를 더 크게 넓혔다.[309] 그러나 1402년 앙카라 전투에서 티무르 왕조에게 패배하고 바예지드 1세가 포로가 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일시적으로 멸망의 위기를 맞았다.[310]
바예지드 1세의 아들 메흐메트 1세는 1412년에 제국 재통합을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국력을 회복했다.[311][312] 이를 바탕으로 그 아들 무라트 2세는 다시 자국을 침공한 십자군을 물리치면서 안정된 통치를 펼쳤다.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십자군을 격파했으나, 스칸데르베그가 이끄는 알바니아인들은 계속 저항했다.[42]
국력이 다시 상승하자 1453년 무라트 2세의 아들 메흐메트 2세는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키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켰다.[41]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오스만 제국의 수도인 이스탄불로 다시 태어났다.
무라트 2세의 아들인 메흐메트 2세(정복자 메흐메드)는 국가와 군대를 재편성하여 1453년 5월 29일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을 성공시키고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켰다.[47] 메흐메드는 오스만의 지배를 받아들이는 대신 동방 정교회가 자치권과 토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48] 서유럽 국가들과 후기 비잔티움 제국 사이의 긴장으로 인해 대부분의 정교회 인구는 베네치아의 지배보다 오스만의 지배를 선호했다.[48]
15세기와 16세기에 오스만 제국은 팽창 시대에 접어들었다. 능력 있고 헌신적인 일련의 술탄들의 통치 아래 제국은 번영했다.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주요 육상 무역로를 장악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번영했다.[50]
술탄 셀림 1세(1512–1520)는 찰디란 전투에서 사파비 왕조 페르시아의 이스마일 1세를 물리쳐 동부와 남부 국경을 급격히 확장했다.[51] 셀림 1세는 맘루크 왕조를 정복하여 이집트에 오스만 통치를 확립하고 홍해에 해군 기지를 건설했다. 이러한 오스만의 확장 이후, 포르투갈 제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 이 지역의 패권을 놓고 경쟁이 시작되었다.[52]
제10대 군주인 쉴레이만 1세(재위 1520년 - 1566년) 때에 이르면 오스만 제국의 국력은 더할 나위 없이 막강해져 다른 나라를 압도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영역은 중앙유럽과 북아프리카에까지 확장되었다.
쉴레이만 1세는 즉위하면서 베오그라드를 정복해 헝가리에 진출했다. 그리고 로도스섬에서 무슬림에 대한 해적 행위를 벌이던 성 요한 기사단을 쫓아내면서 동지중해 해상권을 장악했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군을 격파, 헝가리 땅 거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동쪽으로는 사파비 왕조를 공격하여 바그다드까지 손에 넣었으며, 남쪽으로는 예멘에 출병하여 아덴을 정복했다.
신성 로마 제국과 대립하던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와 동맹을 맺은 쉴레이만 1세는 1529년 신성 로마 제국의 수도 빈을 1개월 이상에 걸쳐 포위했다. 작전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오스만군이 서유럽 내 깊숙이들어와 위협한 사건은 당시 서구 국가들에겐 큰 충격을 주었다. 게다가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서는 스페인과 베네치아 공화국 등을 위시한 기독교 세계 연합 함대를 대파해, 지중해 해상권 다툼에서 우위를 차지했다.
쉴레이만은 훌륭한 군사적 성공 외에도 건국 이래 오스만 제국이 형성해 온 국가 제도를 완성했다. 이로써 그의 치세 때 오스만 제국은 제도상 파탄이 없었던 이상적 시대이자 황금기로 기록되기도 했다. 그러나 쉴레이만의 치세는 국가 제도의 전환기가 시작된 때이기도 했다. 쉴레이만 사후로는 전쟁터에서 군주가 앞장서 출정하는 일도 없어졌으며, 정치도 거의 재상이 처리한다. 군사 구조를 전환하면서 대포로 무장한 포병인 예니체리를 중심으로 상비군의 중요성이 대두했다. 이에 따라 예니체리의 인원이 폭발적으로 증대함으로써 유지비가 날이 갈수록 늘어갔으나, 기병인 시파히 계층은 점차 몰락해 갔다. 쉴레이만이 죽고 난 후 일어난 이러한 변화는 종래에는 제국의 쇠퇴로 인식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제국의 정치, 경제, 사회 구조를 세계적 추세에 발 맞추어 크게 전환했다고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이후, 지중해 무역이 쇠퇴하고 대서양 무역이 크게 번성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무역 이득이 줄어들어 재정이 어려워졌다. 아울러 스페인이 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지위가 낮아졌다.
쉴레이만 1세 사후 4년 뒤인 1570년, 셀림 2세는 베네치아령 키프로스를 점령했다. 유럽은 신성 동맹을 결성해 맞섰고, 1571년 레판토 해전에서 오스만 함대는 패배했지만,[429][430] 제국의 국력은 여전히 강대했다. 패전 후 반년 만에 함대를 재건하여 1574년 튀니스를 점령했고,[429][430] 1683년까지 발칸반도 전역을 지배했다.[431]
1568년 셀림 2세(セリム二世)와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ソコルル・メフメト・パシャ)는 아스트라한 원정(露土戦争 (1568年-1570年))을 감행하였다. 이때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는 러시아뿐 아니라 사파비 왕조(サファヴィー朝)까지 견제할 목적으로 볼가-돈 운하(ヴォルガ・ドン運河) 건설을 시도했지만 실패하였다.
1578년 오스만-사파비 전쟁이 발발하자, 1579년 슐레이만 시대부터 제국을 지탱해온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는 암살당했다.
16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은 인플레이션과 전쟁 비용 증가로 압박을 받았다.[74] 이러한 압력은 1600년경 위기를 초래했고,[75] 제국은 정치 및 군사 제도를 변혁하여 17세기의 새로운 상황에 적응했다.[63][76]
18세기부터 오스만 제국의 힘은 약해졌다. 1699년 헝가리를 상실했고, 프랑스 혁명(1789) 이후 유럽 국가들은 영토를 회복했으며, 피지배 민족의 독립 운동이 일어났다. 1830년 그리스가 독립했고, 영국, 프랑스, 러시아의 침략을 받았다. 오스만 제국은 "빈사상태의 환자"로 불리는 모욕을 받았다.
1683년, 대투르크 전쟁(1683-1699)에서 제2차 빈 포위가 실패하고, 카를로비츠 조약(1699)으로 영토를 상실했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수세에 놓였다. 1739년 벨그라드 조약으로 일부 영토를 회복했지만, 아조프는 러시아에 넘겨주었다.
1774년 퀴추크 카이너르자 조약으로 왈라키아와 몰다비아의 기독교인들에게 종교적 자유를 제공했다.[92]
세림 3세(1789~1807)는 군대를 현대화하려 했지만, 예니체리의 반란으로 실패했다.
마흐무트 2세(1808년 즉위)는 예니체리를 폐지하고(1826) 중앙 정부의 권력 강화를 추진했다. 압뒬메지트 1세(1839)는 탄지마트(Tanzimat, تنظيمات) 개혁을 실행하여 서구형 국가로 전환을 진행했다.
1853년 크림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1856년 개혁 칙령으로 비무슬림의 권리를 인정했다.
그러나 개혁과 전쟁 수행으로 서구 열강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게 되었고, 1875년 재정 파산했다.
1876년 미드하트 파샤의 지도 아래 오스만 제국 헌법(미드하트 헌법)이 공포되었으나,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패배 후 압뒬하미트 2세는 헌법을 폐지했다.
1908년 오스만 제국에서 젊은 튀르크 혁명이 일어나 오스만 제국 헌법이 부활하고 다당제 정치가 도입되면서 제2 입헌 시대가 시작되었다.[129] 이 혁명은 제국 시민들에게 국가 제도를 현대화하고 국력을 재건하며 외부 세력에 맞설 수 있는 희망을 주었으나,[129] 제국은 이후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통합진보위원회와 자유합의당 등 젊은 튀르크 운동 세력이 정당을 설립했고,[130] 여러 민족 정당들도 활동했다.
1889년 결성된 「통일 진보 위원회」(통일파)를 비롯한 젊은 튀르크 운동은 헌법 부활을 요구하며 반정부 운동을 전개했다.[360] 1908년 테살로니키(현 테살로니키)의 통일파를 중심으로 한 마케도니아 주둔군 일부가 봉기하여 무혈혁명에 성공, 헌정을 부활시켰다(젊은 튀르크 혁명).[360] 1913년 통일파는 쿠데타를 일으켜 탈라트 파샤, 엔베르 파샤 등을 지도자로 하는 정권을 수립했다.
발칸 전쟁 패배 후, 통일파 정권은 무슬림 민족주의로 기울었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카피툴라시온을 일방적으로 폐지했다.[36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내전을 이용하여 1908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했고, 제국은 이탈리아-튀르크 전쟁(1911년)과 발칸 전쟁(1912~1913년)을 거치며 영토를 상실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에 연합국 측으로 참전한[131] 오스만 제국은 1914년 10월 29일 흑해 기습 작전으로 전쟁에 참여했다.[131]
이후 러시아 제국(1914년 11월 2일), 프랑스(1914년 11월 5일), 영국(1914년 11월 5일)이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였다.[132]
오스만 제국은 갈리폴리 전투(1915~1916)에서 승리하고 메소포타미아 전역 초기에도 승리했으나, 아랍 반란(1916~1918)으로 전세가 역전되었다. 코카서스 전역에서는 러시아군이 우세했다. 전시 중 아르메니아인 학살이 발생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1918년 10월 30일 무드로스 휴전 협정으로 제국은 항복하고 영토 대부분을 상실했다.[363]
패전 후 통일파 정부는 와해되었고, 메흐메트 6세는 전제정치 부활을 시도하며 연합국의 점령을 허용했다. 그리스군이 이즈미르에 상륙하자, 무스타파 케말 파샤를 중심으로 튀르키예인들은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를 조직하여 저항했다.[364] 1920년 세브르 조약은 오스만 제국에 불리한 내용이었고, 튀르키예인들의 반발을 샀다. 케말은 그리스군을 격파하고 1922년 로잔 조약 협상을 이끌어냈다. 케말은 파디샤(술탄)와 칼리프를 분리하고 ''''''를 결의시켰다. 메흐메트 6세는 망명했고, 오스만 제국은 멸망했다(튀르키예 혁명).[366]
1923년 공화제가 선포되고 튀르키예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24년 칼리프 제도가 폐지되면서 오스만 제국의 권력은 완전히 소멸했다.[366]
3. 1. 건국과 확장 (1299년 ~ 1453년)
13세기 말 동로마 제국과 룸 술탄국의 국경 지대인 아나톨리아 서북부에 등장한 튀르크인 오스만 1세가 이끈 군사 집단이 오스만 제국의 기원이다.[32] 오스만 1세는 룸 술탄국의 붕괴를 틈타 독립한 후 동로마 제국의 잔존 세력을 격파했다.[33][34] 오스만의 초기 추종자들은 튀르크 부족 집단과 비잔티움 배신자들로 구성되었으며, 이들 중 다수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35][36] 오스만은 사카리아 강을 따라 비잔티움 도시들을 정복하여 자신의 공국의 지배력을 확장했고, 1302년 바페우스 전투에서 비잔티움 군을 격파하며 세력을 확장했다.[37][38]
2대 술탄 오르한 가지는 남동 유럽에 교두보를 구축해 오스만 제국의 위엄을 떨쳤다. 오스만 집단은 주변 기독교 세력이나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영주 및 군사 집단과 싸우기도 하고 손을 잡기도 하면서 점차 영토를 확대해 나갔다.[292][293] 1326년경 오르한은 동로마 제국의 지방 도시 부르사를 점령하고 마르마라 해를 넘어 유럽 대륙에 다다를 때까지 영토를 확대했다.[294][288] 부르사는 오스만 베이국의 행정 중심지로서, 최초의 수도 기능을 하게 된다.[294]
1346년, 오르한 1세는 동로마 황제 요한네스 6세 칸타쿠제누스와 동맹을 맺고 다르다넬스 해협을 넘어 발칸반도의 트라키아에 진출, 유럽에서 영토 확장을 개시했다.[296] 1354년에는 갈리폴리를 점령하여 교두보로 삼았다.[297][296]
오르한 1세의 아들 무라트 1세는 즉위하자마자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도나우강 유역을 잇는 중요 거점인 에디르네를 점령한 후, 이곳을 제2의 수도로 삼았다.[287] 또한 예니체리를 창설하는 등 국가 제도를 정비했으며, 1389년에는 코소보 전투에서 세르비아 왕국을 필두로 한 발칸 제후국들의 연합군을 물리쳤다.[302]
무라트 1세의 아들 바예지드 1세는 1396년에 불가리아 북부에서 니코폴리스 전투를 벌여, 헝가리 왕국을 필두로 한 십자군을 격파, 영토를 더 크게 넓혔다.[309] 그러나 1402년 앙카라 전투에서 티무르 왕조에게 패배하고 바예지드 1세가 포로가 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일시적으로 멸망의 위기를 맞았다.[310]
바예지드 1세의 아들 메흐메트 1세는 1412년에 제국 재통합을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국력을 회복했다.[311][312] 이를 바탕으로 그 아들 무라트 2세는 다시 자국을 침공한 십자군을 물리치면서 안정된 통치를 펼쳤다.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십자군을 격파했으나, 스칸데르베그가 이끄는 알바니아인들은 계속 저항했다.[42]
국력이 다시 상승하자 1453년 무라트 2세의 아들 메흐메트 2세는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키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켰다.[41]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오스만 제국의 수도인 이스탄불로 다시 태어났다.
3. 2. 전성기 (1453년 ~ 1566년)
무라트 2세의 아들인 메흐메트 2세(정복자 메흐메드)는 국가와 군대를 재편성하여 1453년 5월 29일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을 성공시키고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켰다.[47] 메흐메드는 오스만의 지배를 받아들이는 대신 동방 정교회가 자치권과 토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48] 서유럽 국가들과 후기 비잔티움 제국 사이의 긴장으로 인해 대부분의 정교회 인구는 베네치아의 지배보다 오스만의 지배를 선호했다.[48]
15세기와 16세기에 오스만 제국은 팽창 시대에 접어들었다. 능력 있고 헌신적인 일련의 술탄들의 통치 아래 제국은 번영했다.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주요 육상 무역로를 장악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번영했다.[50]
술탄 셀림 1세(1512–1520)는 찰디란 전투에서 사파비 왕조 페르시아의 이스마일 1세를 물리쳐 동부와 남부 국경을 급격히 확장했다.[51] 셀림 1세는 맘루크 왕조를 정복하여 이집트에 오스만 통치를 확립하고 홍해에 해군 기지를 건설했다. 이러한 오스만의 확장 이후, 포르투갈 제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 이 지역의 패권을 놓고 경쟁이 시작되었다.[52]
제10대 군주인 쉴레이만 1세(재위 1520년 - 1566년) 때에 이르면 오스만 제국의 국력은 더할 나위 없이 막강해져 다른 나라를 압도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영역은 중앙유럽과 북아프리카에까지 확장되었다.
쉴레이만 1세는 즉위하면서 베오그라드를 정복해 헝가리에 진출했다. 그리고 로도스섬에서 무슬림에 대한 해적 행위를 벌이던 성 요한 기사단을 쫓아내면서 동지중해 해상권을 장악했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군을 격파, 헝가리 땅 거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동쪽으로는 사파비 왕조를 공격하여 바그다드까지 손에 넣었으며, 남쪽으로는 예멘에 출병하여 아덴을 정복했다.
신성 로마 제국과 대립하던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와 동맹을 맺은 쉴레이만 1세는 1529년 신성 로마 제국의 수도 빈을 1개월 이상에 걸쳐 포위했다. 작전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오스만군이 서유럽 내 깊숙이들어와 위협한 사건은 당시 서구 국가들에겐 큰 충격을 주었다. 게다가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서는 스페인과 베네치아 공화국 등을 위시한 기독교 세계 연합 함대를 대파해, 지중해 해상권 다툼에서 우위를 차지했다.
쉴레이만은 훌륭한 군사적 성공 외에도 건국 이래 오스만 제국이 형성해 온 국가 제도를 완성했다. 이로써 그의 치세 때 오스만 제국은 제도상 파탄이 없었던 이상적 시대이자 황금기로 기록되기도 했다. 그러나 쉴레이만의 치세는 국가 제도의 전환기가 시작된 때이기도 했다. 쉴레이만 사후로는 전쟁터에서 군주가 앞장서 출정하는 일도 없어졌으며, 정치도 거의 재상이 처리한다. 군사 구조를 전환하면서 대포로 무장한 포병인 예니체리를 중심으로 상비군의 중요성이 대두했다. 이에 따라 예니체리의 인원이 폭발적으로 증대함으로써 유지비가 날이 갈수록 늘어갔으나, 기병인 시파히 계층은 점차 몰락해 갔다. 쉴레이만이 죽고 난 후 일어난 이러한 변화는 종래에는 제국의 쇠퇴로 인식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제국의 정치, 경제, 사회 구조를 세계적 추세에 발 맞추어 크게 전환했다고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이후, 지중해 무역이 쇠퇴하고 대서양 무역이 크게 번성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무역 이득이 줄어들어 재정이 어려워졌다. 아울러 스페인이 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지위가 낮아졌다.
3. 3. 쇠퇴와 개혁 (1566년 ~ 1908년)
쉴레이만 1세 사후 4년 뒤인 1570년, 셀림 2세는 베네치아령 키프로스를 점령했다. 유럽은 신성 동맹을 결성해 맞섰고, 1571년 레판토 해전에서 오스만 함대는 패배했지만,[429][430] 제국의 국력은 여전히 강대했다. 패전 후 반년 만에 함대를 재건하여 1574년 튀니스를 점령했고,[429][430] 1683년까지 발칸반도 전역을 지배했다.[431]
1568년 셀림 2세(セリム二世)와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ソコルル・メフメト・パシャ)는 아스트라한 원정(露土戦争 (1568年-1570年))을 감행하였다. 이때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는 러시아뿐 아니라 사파비 왕조(サファヴィー朝)까지 견제할 목적으로 볼가-돈 운하(ヴォルガ・ドン運河) 건설을 시도했지만 실패하였다.
1578년 오스만-사파비 전쟁이 발발하자, 1579년 슐레이만 시대부터 제국을 지탱해온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는 암살당했다.
16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은 인플레이션과 전쟁 비용 증가로 압박을 받았다.[74] 이러한 압력은 1600년경 위기를 초래했고,[75] 제국은 정치 및 군사 제도를 변혁하여 17세기의 새로운 상황에 적응했다.[63][76]
18세기부터 오스만 제국의 힘은 약해졌다. 1699년 헝가리를 상실했고, 프랑스 혁명(1789) 이후 유럽 국가들은 영토를 회복했으며, 피지배 민족의 독립 운동이 일어났다. 1830년 그리스가 독립했고, 영국, 프랑스, 러시아의 침략을 받았다. 오스만 제국은 "빈사상태의 환자"로 불리는 모욕을 받았다.
1683년, 대투르크 전쟁(1683-1699)에서 제2차 빈 포위가 실패하고, 카를로비츠 조약(1699)으로 영토를 상실했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수세에 놓였다. 1739년 벨그라드 조약으로 일부 영토를 회복했지만, 아조프는 러시아에 넘겨주었다.
1774년 퀴추크 카이너르자 조약으로 왈라키아와 몰다비아의 기독교인들에게 종교적 자유를 제공했다.[92]
세림 3세(1789~1807)는 군대를 현대화하려 했지만, 예니체리의 반란으로 실패했다.
마흐무트 2세(1808년 즉위)는 예니체리를 폐지하고(1826) 중앙 정부의 권력 강화를 추진했다. 압뒬메지트 1세(1839)는 탄지마트(Tanzimat, تنظيمات) 개혁을 실행하여 서구형 국가로 전환을 진행했다.
1853년 크림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1856년 개혁 칙령으로 비무슬림의 권리를 인정했다.
그러나 개혁과 전쟁 수행으로 서구 열강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게 되었고, 1875년 재정 파산했다.
1876년 미드하트 파샤의 지도 아래 오스만 제국 헌법(미드하트 헌법)이 공포되었으나,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패배 후 압뒬하미트 2세는 헌법을 폐지했다.
3. 4. 제1차 세계 대전과 멸망 (1908년 ~ 1922년)
1908년 오스만 제국에서 젊은 튀르크 혁명이 일어나 오스만 제국 헌법이 부활하고 다당제 정치가 도입되면서 제2 입헌 시대가 시작되었다.[129] 이 혁명은 제국 시민들에게 국가 제도를 현대화하고 국력을 재건하며 외부 세력에 맞설 수 있는 희망을 주었으나,[129] 제국은 이후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통합진보위원회와 자유합의당 등 젊은 튀르크 운동 세력이 정당을 설립했고,[130] 여러 민족 정당들도 활동했다.
1889년 결성된 「통일 진보 위원회」(통일파)를 비롯한 젊은 튀르크 운동은 헌법 부활을 요구하며 반정부 운동을 전개했다.[360] 1908년 테살로니키(현 테살로니키)의 통일파를 중심으로 한 마케도니아 주둔군 일부가 봉기하여 무혈혁명에 성공, 헌정을 부활시켰다(젊은 튀르크 혁명).[360] 1913년 통일파는 쿠데타를 일으켜 탈라트 파샤, 엔베르 파샤 등을 지도자로 하는 정권을 수립했다.
발칸 전쟁 패배 후, 통일파 정권은 무슬림 민족주의로 기울었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카피툴라시온을 일방적으로 폐지했다.[36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내전을 이용하여 1908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했고, 제국은 이탈리아-튀르크 전쟁(1911년)과 발칸 전쟁(1912~1913년)을 거치며 영토를 상실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에 연합국 측으로 참전한[131] 오스만 제국은 1914년 10월 29일 흑해 기습 작전으로 전쟁에 참여했다.[131]
이후 러시아 제국(1914년 11월 2일), 프랑스(1914년 11월 5일), 영국(1914년 11월 5일)이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였다.[132]
오스만 제국은 갈리폴리 전투(1915~1916)에서 승리하고 메소포타미아 전역 초기에도 승리했으나, 아랍 반란(1916~1918)으로 전세가 역전되었다. 코카서스 전역에서는 러시아군이 우세했다. 전시 중 아르메니아인 학살이 발생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1918년 10월 30일 무드로스 휴전 협정으로 제국은 항복하고 영토 대부분을 상실했다.[363]
패전 후 통일파 정부는 와해되었고, 메흐메트 6세는 전제정치 부활을 시도하며 연합국의 점령을 허용했다. 그리스군이 이즈미르에 상륙하자, 무스타파 케말 파샤를 중심으로 튀르키예인들은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를 조직하여 저항했다.[364] 1920년 세브르 조약은 오스만 제국에 불리한 내용이었고, 튀르키예인들의 반발을 샀다. 케말은 그리스군을 격파하고 1922년 로잔 조약 협상을 이끌어냈다. 케말은 파디샤(술탄)와 칼리프를 분리하고 ''''''를 결의시켰다. 메흐메트 6세는 망명했고, 오스만 제국은 멸망했다(튀르키예 혁명).[366]
1923년 공화제가 선포되고 튀르키예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24년 칼리프 제도가 폐지되면서 오스만 제국의 권력은 완전히 소멸했다.[366]
4. 정치
중앙 정부 관료는 군인 관료(카프쿨루), 법관 관료(울라마), 서기 관료(캐티프)로 나뉜다. 군인 관료 중 능력 있는 자는 시종, 경비병을 거쳐 예니체리 군단장, 현지사, 주지사, 재상, 대재상이 되었다. 법관 관료는 메드레세(종교학교) 교수 등의 공직을 맡았다. 환관도 중용되어 주지사나 재상이 되기도 했다.[156]
19세기 이후 개혁으로 서구 제도를 모방한 기구로 바뀌었다. 서기관장은 외무대신, 최고회의는 내각회의, 대재상은 내각 책임 수상(총리)이 되었다. 그러나 이슬람 국가로서의 전통은 후반기까지 남아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 후 세속화 개혁으로 소멸되었다.[157]
오스만 제국의 국가 조직은 군사 행정과 민정 행정으로 나뉘었다. 술탄은 최고위직이었으며, 민정 체제는 지역 행정 단위에 기반했다. 국가는 성직자를 통제했고, 이슬람 이전 투르크 전통도 중요했다.[156] 국가의 주요 책임은 무슬림 땅 방어 및 확장, 정통 이슬람 관행과 왕조 주권 내 안전과 조화 보장이었다.[156]
오스만 왕조는 이슬람 세계에서 전례 없는 규모와 지속 기간을 가졌다.[157] 합스부르크 가문만이 비슷한 군주 계보를 가졌다. 술탄은 11번 폐위되었지만, 오스만 왕조를 몰아내려는 시도는 모두 실패했다.[156] 황실 하렘의 주된 목적은 남성 상속인 탄생과 오스만 술탄 직계 권력 유지를 보장하는 것이었다.
칼리파는 셀림 1세부터 술탄들이 주장했으며,[158] 오스만 칼리파로 확립되었다. 술탄은 제국의 유일한 통치자였지만, 항상 완전한 통제력을 행사하지는 않았다. 황실 하렘은 발리데 술탄이 통치했으며, 때때로 국가 정치에 개입하여 "여성의 술탄 제국"을 이루기도 했다. 궁궐학교는 부적합한 상속인을 제거하고 지배 엘리트의 지지를 확립했다. 마드라사는 무슬림을 위해 이슬람 전통에 따라 학자와 관리를 교육했고, ''바키프''가 지원했다.[159] ''엔데룬''은 기독교인을 위한 무료 기숙학교였으며,[160] 데브시르메로 기독교 소년을 모집했다.[161]
술탄의 정치 권한은 디반의 고문과 장관들에게 위임되었다. 초기 디반은 부족 장로들로 구성되었으나, 나중에 군 장교와 지역 엘리트(종교 및 정치 고문)를 포함하도록 수정되었다. 1320년부터 대베지르가 임명되어 술탄의 책임을 맡았다. 대베지르는 술탄으로부터 독립성을 가졌고, 16세기 후반부터는 사실상 국가 원수가 되었다.[186]
1908년 청년 투르크 혁명 이후 오스만 국가는 입헌 군주국이 되었다. 의회가 구성되고, 오스만 제국의 황실 정부를 구성했다.
투그라는 오스만 술탄의 서예 모노그램 또는 서명이었다. 술탄의 인장에 새겨졌으며, 술탄과 아버지의 이름, "항상 승리하는"이라는 진술과 기도문이 있었다. ''투그라''는 오스만-투르크 서예의 한 분야를 낳았다.
오스만 법 체계는 피지배민에 대해 종교법을 수용했다. ''카눈''(왕조법)은 샤리아와 공존했다.[164][165] 오스만 제국은 지역 법학 시스템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법 행정은 중앙 및 지역 권한의 균형을 맞추는 계획의 일부였다.[166] 오스만 권력은 토지 소유권 행정을 중심으로, 지역 당국은 지역 밀레트의 필요를 충족시켰다.[166] 사법적 복잡성은 문화적, 종교적으로 다른 집단 통합을 위한 것이었다.[166] 무슬림, 비무슬림, "상업 법원"의 세 가지 법원 체계가 있었다. 전체 시스템은 ''카눈''을 통해 규제되었다.[167][168]
이슬람 법원은 무역 분쟁이나 다른 종교 소송 당사자 간 분쟁을 해결하는 데 사용되었고, 유대인과 기독교인은 종종 더 강력한 판결을 위해 이 법원에 갔다. 오스만 국가는 비무슬림 종교 법 시스템에 간섭하지 않았다. 이슬람 ''샤리아'' 법 체계는 코란, 하디스, ''이즈마'', 키야스, 지역 관습으로 개발되었다. 두 시스템 모두 이스탄불과 부르사의 법학원에서 가르쳤다.
오스만 이슬람 법 체계는 유럽 법원과 달랐다. ''카디''(판사)는 지역 관습과 전통에 중점을 두었다.[166] 오스만 법원 체계에는 항소 구조가 없었다.
19세기 후반, 오스만 법 체계는 개혁되었다. 1839년 굴하네 칙령으로 시작된 개혁에는[169] 공정하고 공개적인 재판, 별개 권한 시스템 생성, 비무슬림 증언 유효성이 포함되었다.[170] 토지법(1858), 민법(1869-1876), 민사 소송법도 제정되었다.[170]
개혁은 프랑스 모델 기반 3단계 법원 체계 채택으로 나타났다. 니자미예 시스템은 메첼레 공포와 함께 지역 치안 판사 수준으로 확대되었다.[170] 행정 위원회는 종교 문제는 종교 법원, 성문법 문제는 니자미예 법원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규정했다.[170]
19세기 초부터 사회, 정부, 종교는 복잡하게 얽혀 있었고, 아타튀르크는 이를 비효율적으로 간주하여 1922년 이후 해체했다.[221][222] 술탄은 세속 정부와 종교 위계의 두 영역을 다스렸다. 종교 관리들은 율마(Ulama)를 구성하여 종교 교리와 신학을 통제했고, 제국의 사법 제도도 장악했다(비무슬림 밀레트 제외). 그들은 셀림 3세의 군사 개혁을 거부할 만큼 강력했다. 마흐무트 2세는 율마의 승인을 얻은 후 개혁을 제안했다.[223] 아타튀르크의 세속화 프로그램은 율마와 그들의 제도를 종식시켰다. 칼리프제가 폐지되고, 메드레세가 폐쇄되었으며, 샤리아 법정이 폐지되었다. 아랍 알파벳을 라틴 문자로 대체하고, 종교 학교 제도를 종식시켰으며, 여성에게 일부 정치적 권리를 부여했다. 많은 전통주의자들은 세속화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1990년대까지 이슬람의 더 큰 역할을 요구했다.[224]
예니체리는 초기에는 강력한 군사 부대였지만, 서유럽의 군사 조직 기술 현대화에 저항하는 반동 세력이 되었다. 예니체리가 반란을 일으키면 매우 폭력적이었고, 진압될 무렵에는 오스만 제국의 군사력이 뒤처졌다.[225][226] 1826년 길조의 사건에서 예니체리가 반란을 일으키자 마흐무트 2세는 반란을 진압하고 지도자들을 처형하고 조직을 해산했다.
예니체리는 기독교인과 소수 민족으로부터 모집되었으며, 그들의 폐지는 튀르크 엘리트의 등장을 가능하게 했다. 많은 수의 민족 및 종교적 소수 민족은 밀레트에서 관용되었다.[227] 그들은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유대인이었다. 각 지역에서 스스로 통치하고, 자신의 언어를 사용하고, 학교와 문화 및 종교 기관을 운영하고, 세금을 납부했다. 그들은 밀레트 외부에 권력이 없었다. 제국 정부는 그들을 보호하고 민족 간 폭력 충돌을 막았다.
민족주의는 오스만 제국을 파괴한 구심력을 제공했다. 무슬림 민족 집단, 특히 아랍인과 쿠르드인은 튀르크 문화권 밖에 있었고, 독립적인 민족주의를 발전시켰다. 영국은 1차 세계 대전에서 아랍 민족주의를 후원하여 독립 아랍 국가를 약속했다. 대부분의 아랍인들은 술탄을 지지했지만, 메카 근처 사람들은 영국의 약속을 믿고 지지했다.[228]
지방 권력은 술탄의 통제를 넘어 아얀(지역 유력자)들에 의해 행사되었다. 아얀은 세금을 징수하고, 지방 군대를 구성하고, 정치적 또는 경제적 변화에 반동적인 태도를 취하고, 술탄 정책에 반항했다.[229]
18세기 이후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의 압력으로 축소되었고, 이집트는 1805년에 독립되었고, 영국은 이집트와 키프로스를 점령했다. 그리스, 세르비아, 발칸 지역은 민족주의로 불안정해졌다. 프랑스는 알제리와 튀니지를 점령했다. 유럽인들은 제국을 병든 자라고 생각했다. 독일만이 도움이 되는 것처럼 보였고, 그들의 지원으로 오스만 제국은 1915년에 중앙 세력에 가입했고, 1918년 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했다.[230]
오스만 제국의 국가 체제에 대해서는 근대 역사학에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유럽 역사가들은 전형적인 동방 전제 제국으로, 오스만 제국 역사가들은 이슬람 전통에 기반한 세계 국가로 보았다. 터키 민족주의적 입장이 강조되면서 오스만 제국의 기원이 터키계 유목민 국가에 있다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세기 전반 유럽에서 동로마 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오스만 제국과 동로마 제국의 국제 비교가 이루어졌다. 동로마 제국 멸망 직후 오스만 제국의 군주가 루움(로마 제국)의 카이저(황제)를 자칭한 사례 등이 발굴되었고,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임명권을 통해 동방 정교도를 지배한 것이 동로마 황제교황주의의 연장으로 간주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동로마 제국의 연속이라는 네오-비잔틴설도 등장했다.(카이사르를 자칭한 황제는 슐레이만 등 소수였다)
오스만 제국의 국제 기원에는 다양한 요소가 고려되고 있으며, “고전 오스만 체제”라고 불리는 최성기 오스만 제국이 실현한 제도를 생각하는 데 있어 흥미로운 논의를 제공하고 있다.
오스만 제국의 국제가 독자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무라트 1세 때부터라고 생각된다.[299] 제도의 정비는 슐레이만 1세 시대에 거의 완성되어, 황제를 정점으로 하는 군주 전제·중앙 집권 국가 체제로 결실을 맺었다. 이것을 “고전 오스만 체제”라고 한다.
제국 영토는 직할주, 독립채산주, 속국으로 구성되었다. 속국(크림 칸국(크림 汗國), 왈라키아(에프락) 공국, 몰다비아(보단) 공국, 트란실바니아(엘델) 공국, 두브로브니크(라구사) 공화국, 몬테네그로 공국(공 또는 주교의 지배), 히자즈 등)은 군주 임면권만 제국 중앙이 장악하고, 자치에 맡겨졌다.[371] 유럽 지역 영토에서 비잔티움 제국이나 불가리아 제국 시대 대귀족은 몰락했지만, 소귀족은 존속을 허락받고 오스만 제국 제도에 편입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전사 집단에서 군국, 제국으로 발전했지만, 초기에는 유목민적인 이동 집단이었다. 초기 수도 소유트, , 예니셰히르(부르사 근교) 등은 동계 주둔지 성격이 강했고, 수도와 지방의 명확한 행정 구분도 없었다. 전투가 시작되면 베이(군주) 또는 베이레르베이(총사령관)가 지휘했지만, 베이레르베이는 무라트 1세 시대에 신하 라라 샤힌이 임명될 때까지 왕자가 맡았다. 무라트 1세 시대까지 행정 구분은 불명확했지만, 14세기 말, 미림 진의 설에 따르면 15세기 초에 아나톨리아(아나돌) 지역에서 베이레르베이가 임명됨으로써 베이레르베이가 여러 명 임명되었다. 아나톨리아 베이레르베이리크(대군관구)와 루멜리 소속 루멜리 베이레르베이리크에 의해 분할 통치되었다.[373]
이 시점 베이레르베이는 “대군관구장관”, 베이레르베이리크는 “대군관구” 성격을 가졌고, 초기 베이레르베이는 군사령관 성격이 강했다. 제국화, 군주 전제적, 중앙 집권적 체제로 진화, 제국 확장에 따라 베이레르베이, 베이레르베이리크는 지방 행정관적 성격을 겸하게 됨으로써, “대군관구”는 “주”, “대군관구장관”은 “총독” 성격을 겸하게 되었다.[374]
베이레르베이(대군관구장관)와 베이레르베이리크(대군관구) 아래에는 (소군관구), 산자크 베이(소군관구장)가 설치되었다. 후에 현, 현령 성격을 갖지만, 이들 베이레르베이리크(주), 산자크(현)는 오스만 제국 직할지를 형성하게 되었다.[376] 베이레르베이리크는 후에 에야레트(에야렛), 빌라예트로 명칭이 변화한다.[377]
오스만 제국령에는 이슬람 법관(카디)들이 관할하는 재판 구역 가자(이슬람 법관구)가 설치되었다. 현은 몇 개의 가자(군)로 형성되었지만, 이슬람 법관은 현령, 주지사 지휘 명령에 속하지 않고, 상호 보완, 감시 시스템이었다.[378][379] 그 아래에 나히예(향), 쾨이(마을)가 있었다.[380]
초기 지방 행정 구역은 아나톨리아 주와 루멜리 주만 있었지만, 부다 중심 부딘 주, 툼슈바르 중심 툼슈바르 주, 사라예보 중심 보스니아 주가 16세기 말까지 설치되었고, 각각 그 아래에 베이레르베이가 설치되었다.[379]
16세기 통치 지역 증가로 전관 수역도 확대되었다. 해양에도 베이레르베이가 설치되어 캅탄 파샤(대제독)가 보임되었다.[368]
중앙에서는 황제를 정점으로 대비자(사드라잠) 이하 비자(베지르)가 보좌하고, 군인 법관(카자스켈), 재무 장관(), 국새 상서(니샨주)로 구성되는 어전 회의(디반-이 휴마윤)가 최고 정책 결정 기관으로 기능했다. 17세기 황제가 정치에서 물러나자, 대비자가 황제 대리인으로 전권을 장악, 궁정 내 어전 회의에서 대비자 관저 대비자부(바브 알리)로 정치 중추가 이동한다. 궁정 내 어전 회의 사무국에서 발전한 관료 기구가 대비자부 관할이 되었고, 명예직화된 국새 상서를 대신하여 실무 톱이 된 서기관장(레이술 퀴타브), 대비자부 간부 대비자 용인(사다레트 케토후다르) 등을 정점으로 하는 관료 기구가 발전했다.
중앙 정부 관료 기구는 군인 관료(캅쿨), 법관 관료(울라마), 서기 관료(캐티프) 3개 기둥으로 구성된다. 군인 관료 중 엘리트는 궁정에서 술탄에게 근시하는 시종, 칼잡이 등을 거쳐 예니체리 군단장, 현령·주지사로 채용되고, 경력 정점에 중앙 정부 비자, 대비자가 있었다. 법관 관료는 메드레세(종교 학교)에서 이슬람 법을 수학한 자가 담당자였으며, 군 행정을 맡고 재판을 하는 카디 외에 메드레세 교수, 무프티 공직을 받았다. 카디 정점은 군인 법관(카자스켈), 무프티 정점은 “이슬람 장로”(셰이흐 울 이슬람)이다. 서기 관료는 서기국 내 도제 교육으로 공급되었고, 처음에는 수도 적고 지위도 낮았지만, 대비자부 아래 관료 기구 발전 17~18세기 급속히 확대되어 행정 요직에 취임하고 비자에 이르는 자도 나타났다. 환관을 궁정 시역 외 중용하여 환관 출신 주지사, 비자가 적지 않은 점도 오스만 제국 인적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제도는 19세기 이후 개혁으로 서구를 본뜬 기구로 개편되었다. 서기관장은 외무대신, 대비자 용인은 내무대신으로 개편되었고, 대비자가 어전 회의를 개편한 각의 장으로서 사실상 내각을 이끄는 총리가 되었다.
서구법 도입, 세속 법정 개설에도 샤리아 법정이 존속한 것처럼, 이슬람 국가로서 전통적 제도는 제국 최말기까지 폐지되지 않았다. 제국 기원이 어디에 있었든, 말기 오스만 제국 국가 근간은 항상 이슬람에 두어졌다. 이슬람 국가적 제도 개혁은 20세기 전반 통일파 정권 시대, 제국 멸망 후 터키 공화국 급속한 세속화 개혁을 기다려야 했다.
카터 본 핀들리는 1800년대 초 오스만 제국이 자유주의라는 새로운 세계 질서에 적응하기 위해 “탄지마트” 시대를 맞이했다고 한다. 오스만 제국 통치자는 신민과 단절되어 독립 사상 영향을 받기 쉬웠다. 전략적 변화 중 하나가 권력 집중이었다.[https://aucegypt.summon.serialssolutions.com/#!/search?bookMark=eNqNz8tKxDAYBeCII6i1D-BGxpWrQpIm_dOlFG8w0I2uQ65DO20zNOmAPr1CV7pyeeDjHM412kxhcmcor0EQhrGoMCHk_E--RHmMPcaYlAAUwxW6bVMKo5q2TXfqhm3rfWc6Ndgw3qALr4bocrRJ8-Iy9PH89N68Frv25a153BWKcqhZ4axgxAulOXDvGBcMmOYGuAUHjFnrlAVBKSZaC18SIASMsEJxWymlywzdr71qMW7_eUzSqKSGsJe6JBXmNWY0Qw-rOc6hdyaNS3TS6RAOUf769yPvVtnHFGa5kl6alODrdJhK-p-5b6oiXVY 。] 시장 독점 국가 주도 기업 자유 무역, 1838년 인피타 시대 보호법과 싸움도 있었다. 핀들리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 지배 계급에는 군, 종교, 봉사 3가지 기능적 구분이 있었다. 군은 군사 공학 학교 설립, 군 내 외교술 개혁, 복무 규정 개선으로 문관 직업 의식이 길러져, 1800년대 마흐무트 2세와 아브둘 하미트 2세 시대 강화되었다. 문관 지배는 “1908년부터 1950년까지 터키를 지배했다”. 핀들리는 이 유산을 탄지마트 시대 촉진 인피타(열린 무역 시장) 시대에 기인한다고 한다. 탄지마트 “계승자” 또는 유산이 “호라니 자유주의 시대, 아랍 사회주의 일시적 유행, 냉전 후 시대”를 통해 존속했다. 19세기 문관 고용률 증가, 행정 질 저하, 파산, 대외 채무로 이어졌지만, 불규칙 채용 및 승진 방법은 술탄 특혜 보호 수단이었다. 1838~1839년 탄지마트 시대는 이슬람 사회 급격한 서구화 비판, 근대주의 통해 오스만 제국 이슬람 낡은 가치관 부활 바라는 민족주의적 오스만 제국 사람들 결집했다.
5. 행정
오스만 제국은 14세기 후반에 술탄이 임명한 주지사가 있는 고정된 영토 단위라는 의미에서 처음으로 주(province)로 세분되었다.[178] 에얄레트(또는 ''파샤리크'' 또는 ''베일러베일리크'')는 베일러베이("영주들의 영주" 또는 주지사)의 관할 구역이었으며, 다시 산자크로 세분되었다.[179] 빌라예트는 탄지마트 개혁의 일환으로 1864년 "빌라예트 법"()[180]의 공포와 함께 도입되었다.[181] 1864년 법은 빌라예트, 리바/산자크/무타사리파트, 카자, 마을회의의 행정 단위 계층을 설정하였고, 1871년 빌라예트 법은 여기에 나히예를 추가하였다.[182]
초기에는 유목민적인 이동 집단이었고, 수도와 지방과의 명확한 행정 구분도 존재하지 않았다. 전투가 시작되면 베이(군주) 또는 베이레르베이(총사령관)가 지휘를 맡았지만, 베이레르베이는 무라트 1세 시대에 신하인 라라 샤힌이 임명될 때까지 왕자(군주의 아들)가 맡았다.[372] 무라트 1세 시대까지 행정 구분은 불명확했지만, 14세기 말, 15세기 초에 아나톨리아 지역에서 베이레르베이가 임명됨으로써 여러 명의 베이레르베이가 임명되었다. 그 후, 아나톨리아를 관할하는 소속의 베이레르베이리크(대군관구)와 루멜리를 관할하는 소속의 루멜리 베이레르베이리크에 의해 분할 통치되었다.[373]
베이레르베이(대군관구장관)와 베이레르베이리크(대군관구) 아래에는 (소군관구), 산자크 베이(소군관구장)가 설치되었다.[375] 오스만 제국령에는 이슬람 법관(카디)들이 관할하는 재판 구역으로서 가자(이슬람 법관구)가 설치되었다. 현은 몇 개의 가자(군)로 형성되었지만, 이슬람 법관은 현령, 주지사 등의 지휘 명령에 속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상호 보완, 상호 감시를 하는 시스템이었다.[378][379] 그 아래에 나히예(향), 더 아래에 쾨이(마을)가 있었다.[380]
16세기에 들어와 통치 지역이 증가함에 따라 해양에도 베이레르베이가 설치되어 캅탄 파샤(대제독)가 보임되었다.[368] 중앙에서는 황제를 정점으로 대비자(사드라잠) 이하의 비자(베지르)가 보좌하고, 어전 회의(디반-이 휴마윤)가 최고 정책 결정 기관으로 기능했다. 17세기에 황제가 정치에서 물러나자, 대비자가 황제의 대리인으로서 전권을 장악하게 되었고, 궁정 내의 어전 회의에서 대비자의 관저인 대비자부(바브 알리)로 정치의 중추가 이동한다.
중앙 정부의 관료 기구는 군인 관료(캅쿨), 법관 관료(울라마), 서기 관료(캐티프)의 3개의 기둥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도는 19세기 이후의 개혁에 의해 점차 서구를 본뜬 기구로 개편되었다. 예를 들어 서기관장은 외무대신, 대비자 용인은 내무대신으로 개편되었고, 대비자가 어전 회의를 개편한 각의의 장으로서 사실상 내각을 이끄는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샤리아 법정이 그대로 존속한 것처럼, 이슬람 국가로서의 전통적 제도는 제국 최말기까지 폐지되지 않았다.
6. 군대 체제
오스만 제국의 초기 군대는 13세기 후반 오스만 1세가 조직한 아나톨리아 서부 부족민 군대였다. 제국이 발전하면서 군사 제도는 복잡한 모병 및 봉토 제도를 기반으로 발전했다. 오스만 군대의 주력 부대는 예니체리, 시파히(Sipahi), 아킨지(Akinji), 메흐테란(Mehterân, 오스만 군악대) 등이었다. 오스만 군대는 머스켓과 대포를 최초로 사용한 부대 중 하나였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1422년) 당시 팔코넷(Falconet)을 사용했다. 오스만 기병대는 고속과 기동성을 중시하여 투르크멘 말(Turkoman horse)과 아라비아 말(Arabian horse)에 활과 단검을 사용했고,[171][172] 몽골 제국과 유사한 전술을 사용했다. 오스만 군대는 17세기와 18세기 초까지 효과적이었으나, 1740년부터 1768년까지의 평화 시대에 유럽에 뒤처지기 시작했다.[61]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근대화는 군사 부문에서 시작되었다. 1826년 마흐무트 2세는 예니체리를 폐지하고 니잠-이 제디드(Nizam-ı Cedid, 신질서)라는 현대적인 군대를 창설했다. 또한 외국 전문가를 고용하고 장교들을 서유럽에 훈련을 보내 청년 튀르크 운동의 시작을 이끌었다.
오스만 해군은 유럽 대륙에서 제국의 영토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 1517년 알제리와 이집트가 오스만 제국에 추가되면서 북아프리카 정복을 시작했다. 그러나 1821년 그리스와 1830년 알제리 상실을 시작으로 해군력과 제국의 먼 해외 영토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었다. 압둘아지즈 술탄(재위 1861~1876)은 영국과 프랑스 다음으로 큰 함대를 건조하며 해군 재건을 시도했으나, 경제 붕괴로 오래 유지하지 못했다. 압둘하미드 2세는 함대를 황금뿔(Golden Horn) 안에 가두었고, 1908년 청년 튀르크 혁명 이후 연합진보위원회는 해군 재건을 위해 노력했다.
오스만 군용 항공은 1909년 6월과 1911년 7월 사이에 설립되었다.[176][177] 1912년 7월 3일 예실쾨이(Yeşilköy)에 항공학교(Tayyare Mektebi)를 설립하여 자체 비행 장교를 교육하기 시작했다. 1913년 5월에는 세계 최초의 전문 정찰 훈련 프로그램이 시작되었고, 1914년 6월에는 해군 항공학교(Bahriye Tayyare Mektebi)가 설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현대화는 중단되었으나, 오스만 항공대는 여러 전선에서 싸웠다.
슐레이만 1세 치세는 군사적 성공과 함께 오스만 제국의 국가 체제가 완성된 시기로 여겨졌지만, 동시에 군사 구조의 전환기이기도 했다. 군주가 직접 전쟁에 나서지 않고 대베지르(수상)가 정치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화포로 무장한 정규군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보병인 예니체리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이는 지방 기사인 시파히 계층의 몰락과 예니체리의 정치 세력화를 의미했다. 기존의 는 소멸하고 징세청부제()가 재정의 주류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제국의 쇠퇴가 아닌, 세계적인 추세에 따른 정치·사회·경제 구조의 전환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도의 관료 제도는 17세기에 들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초기 군제는 무슬림 투르크계 전사와 귀순한 무슬림 투르크계 전사, 옛 동로마 제국 군인들을 중심으로 한 자유민 기병이 중심이었다. 아바스 왕조에서 발전한 마멀루크 제도의 오스만 제국판 상비군 등이 편성되었고, 상비 보병으로 예니체리가 조직되었지만, 이러한 결합으로 기병과 보병을 포함한 복합 부대 전술이 가능해져 오스만 군대의 군사력이 크게 향상되었다.[367]
오스만 제국은 초창기부터 해군의 중요성을 고려했다. 초기 소아시아에서 활약한 "바다의 가지"로부터 제국 영토가 확장되는 가운데, 에게해, 지중해, 흑해 등에 접한 지역을 병합하면서 그 지역이 보유한 함선을 흡수하여 확장해 나갔다. 오스만 제국이 처음으로 조선소를 건설한 곳은 이지만, 후에 갈리폴리를 점령하면서 더 큰 규모의 조선소가 건설됨으로써 오스만 제국은 다르다넬스 해협의 제해권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 결과 1399년 바야지트 1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위했을 때 동로마 제국 구원을 위해 온 프랑스 해군을 격파했다. 하지만 1453년 콘스탄티노플 함락에 성공하자 콘스탄티노플에 더 큰 규모의 조선소가 건설되어 갈리폴리 조선소의 가치는 떨어졌다.[369] 오스만 제국의 주요 해군 기지는 갈리폴리였는데, 여기에 정박하는 함대의 지휘관은 평시에는 갈리폴리 산자크베이가 맡았고, 전시에는 해양 베이렐베이인 카프탄 파샤가 총지휘를 맡았다.[368]
15세기에 들어서면서 제노바, 베네치아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전쟁을 벌였지만, 16세기가 되면 오스만 함대는 에게해, 지중해, 이오니아 해, 흑해, 홍해, 아라비아 해, 페르시아 만, 인도양 등으로 진출하여 사실상 이슬람 세계의 방어자 역할을 하며 기독교 세계와 싸웠다.[370]
7. 사회
쉴레이만 대제 시기 이스탄불에서 발생한 반유대교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상비군을 파견한 사례는 이교도와의 상호 공존을 위해 노력했음을 보여준다.[381] 이는 중세 후반부터 근세 초기에 서구 도시들에서 발생한 반유대 폭동이 제대로 진압되지 못한 것과 대조적이다.[381]
오스만 제국은 다언어 사회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81] 공식적으로는 튀르크어가 사용되었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각 지방 집단들이 자신들의 언어를 사용했다.[381] 공문서는 튀르크어로 작성되었으나, 튀르크족이 아닌 민중에게는 그들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달되는 경우가 흔했다.[381] 때로는 칙령이나 칙어도 그리스어 등으로 작성되기도 했다.[381] 메흐메트 2세는 투르크어 외에 아랍어, 페르시아어, 그리스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고 한다.[381]
1520년에서 1535년 사이 제국의 인구는 11,692,480명으로 추정되었으나,[192] 18세기에는 16세기보다 인구가 감소했다.[191] 1831년 최초의 인구조사에서는 7,230,660명으로 추산되었지만, 징집 가능한 남성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실제보다 적게 집계된 것으로 여겨진다.[192] 1800년까지 인구는 2,500만~3,20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유럽 지역(주로 발칸 반도)에 약 1,000만 명, 아시아 지역에 1,100만 명, 아프리카 지역에 약 300만 명이 거주했다.[193] 유럽 지역의 인구 밀도는 아나톨리아의 두 배였고, 아나톨리아는 이라크와 시리아의 세 배, 아라비아의 다섯 배였다.[193] 제국 말기 평균 수명은 49세였던 반면, 19세기 초 세르비아의 평균 수명은 20대 중반이었다.[193] 전염병과 기근은 심각한 인구 변화를 야기했다.[193] 항구 도시의 부상은 증기선과 철도의 발달로 인한 인구 집중 현상을 초래했다.[194] 1700년부터 1922년까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가 성장했고, 보건 및 위생 개선으로 인해 도시에 거주하고 일하기에 더 매력적인 곳이 되었다.[194] 반면, 일부 지역에서는 정치적 혼란 등으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기도 했다.[194] 경제적, 정치적 이주는 제국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194] 러시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크림 반도와 발칸 지역 합병은 무슬림 난민의 대량 유입을 초래했다.[194] 19세기 이후 발칸 반도의 많은 무슬림들이 현재 터키로 이주했으며, 이들은 무하지르라고 불린다.[195] 1922년 오스만 제국이 멸망했을 때 터키 도시 인구의 절반은 러시아 출신 무슬림 난민의 후손이었다.[107]
오스만 튀르크어는 제국의 공용어였다.[196] 이는 오구즈 계통의 튀르크어로,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197] 1876년 오스만 헌법은 튀르크어의 제국 공용어 지위를 공식적으로 확립했다.[198] 튀르크어는 아나톨리아 대부분 지역의 사람들과 발칸반도의 대부분 무슬림들이 사용했지만,[199] 알바니아, 보스니아[199], 그리고 메글레노루마니아인이 거주하는 Nânti[200] 등 일부 지역은 예외였다. 아랍어는 주로 이집트, 레반트, 아라비아, 이라크, 북아프리카, 쿠웨이트 및 아프리카의 뿔과 북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그리고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어 지역에서 사용되었다.[199] 탄지마트 이후에는 프랑스어가 교육받은 사람들 사이에서 흔한 서구 언어가 되었다.[16] 19세기 초까지 대중의 문맹률은 약 2~3%였고, 19세기 말에는 약 15%에 불과했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은 정부와 소통하기 위해 서기를 고용해야 했다.[201]
수니파 이슬람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적인 ''딘''(관습, 법적 전통 및 종교)이었으며, 공식적인 ''마즈하브''(이슬람 법학 학파)는 하나피였다.[202] 16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오스만 술탄은 칼리프 즉, 이슬람 세계의 정치 종교 지도자 역할도 겸했다.[203] 오스만 제국에는 드루즈파, 이스마일리파, 알레비파, 알라위파 등 다양한 이슬람 종파가 존재했다.[210] 1924년 3월 3일 튀르키예 공화국(터키 대국민의회)에 의해 칼리프직이 폐지될 때까지 칼리프로 인정받았다.[158]
이슬람의 ''딤미'' 시스템에 따라 오스만 제국은 기독교인, 유대인 및 다른 "경전의 백성"에게 예배, 재산 소유, 이슬람교도에게 의무적인 자선(자카트) 면제와 같은 제한된 자유를 보장했다.[214] 그러나 비무슬림들은 ''지즈야''를 포함하여 무슬림 신민보다 더 높은 세금을 내야 했다.[214] 지즈야는 국가 수입의 주요 원천이었다.[215] 오스만인들은 비무슬림 공동체에 상당한 정치적, 법적, 종교적 자치권을 부여하는 밀레트로 알려진 독특한 사회 정치 시스템을 개발했다.[216]
오스만 제국 사회는 종교, 민족, 언어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오스만 제국은 밀레트 제도를 통해 비이슬람교도들에게 자치권을 부여했다.[391] 유대교도, 아르메니아 사도교파, 그리스 정교도 등이 밀레트 제도의 대상이었다.[391] 밀레트에 속한 사람들은 인두세(지즈야) 납부 의무가 있었지만, 각자 밀레트의 우두머리인 밀레트 바시(ミッレト・バシュ)를 중심으로 고유한 종교, 법,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허용되었고, 자치권이 주어졌다.[392] 이러한 밀레트 제도는 샤리아 상의 딤미 제도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393]
유대인 종파 공동체는 동로마 제국 시대부터 이미 존재했으며, 오스만 제국은 이들을 차별 없이 받아들였다.[397] 아르메니아인들은 비칼케돈파가 많았기 때문에, 동로마 제국 시대부터 이단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강했다.[399] 그리스 정교도의 밀레트에는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 발라키아인 등이 속해 있었다.[400]
8. 문화
오스만 제국은 페르시아와 비잔티움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독창적인 이슬람 투르크 문화를 발전시켰다.[231] 미술에서는 비잔티움 양식을 도입한 이슬람 사원이 건축되었고, 문학에서는 페르시아의 전통을 잇는 궁정 문학이 발달했다. 천문학, 수학, 지리학 등 실용적인 학문도 발달했다.
오스만 튀르크어는 제국의 공용어였다.[196] 오구즈 계통의 튀르크어로,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197] 1876년 오스만 헌법은 튀르크어의 제국 공용어 지위를 공식적으로 확립했다.[198] 오스만 제국에는 튀르크어 외에도 여러 언어가 사용되었다. 튀르크어는 아나톨리아 대부분 지역과 발칸반도의 무슬림들이 사용했지만,[199] 알바니아, 보스니아 등 일부 지역은 예외였다.[200] 페르시아어는 교육받은 사람들만 사용했고,[199] 아랍어는 주로 이집트, 레반트, 아라비아 등지에서 사용되었다.[199] 탄지마트 이후에는 프랑스어가 교육받은 사람들 사이에서 흔한 서구 언어가 되었다.[16] 19세기 초 대중의 문맹률은 낮았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은 정부와 소통하기 위해 서기를 고용해야 했다.[201]
건축, 요리, 음악, 여가 등에서 이전 제국의 전통과 문화적 특징들이 오스만 튀르크인들에 의해 채택되어 새로운 형태로 발전되었고, 이는 독특한 오스만 문화 정체성을 만들어냈다. 노예 제도는 오스만 사회의 일부였으며,[232] 채털 노예 제도와 달리, 이슬람 법 하에서 노예들은 이동 가능한 재산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19세기 동안 제국은 서유럽 국가들로부터 노예 제도를 금지하라는 압력을 받았지만, 오스만 노예 무역을 억제하려고 시도했지만, 노예 제도는 수세기 동안 종교적 뒷받침과 허가를 받았기 때문에 제국에서는 결코 폐지되지 않았다.[217] 페스트는 19세기 2분기까지 오스만 사회의 주요 재앙이었다.[234]
오스만 제국에서는 각 밀레트가 자체 구성원을 위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했다.[237] 무슬림 학생들을 위한 학교에 비무슬림 학생들이 다니는 경우는 드물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238]
오스만 문학의 주요 흐름은 시와 산문이었다. 초기 오스만 역사 저술인 '''이스켄데르나메'''는 시인 타제딘 아흐메디가 지었다.[240] 오스만 디완 시는 페르시아 시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대부분의 디완 시는 서정시였고, 가젤이나 카시데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 운문 로맨스인 메스네비도 있었는데, 푸줄리의 레이리와 메즈눈과 셰이크 갈립의 후스뉘 아쉬크가 대표적이다. 에블리야 첼레비의 세야핫나메는 뛰어난 여행 문학의 예이다.
19세기까지 오스만 산문은 디완 시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문학에는 비허구적인 산문 전통이 있었다. 오스만 제국에서 처음으로 출판된 소설은 바르탄 파샤의 1851년 작 '''아카비 이야기'''이다.[242][243][244][245] 탄지마트 시대의 작가들은 여러 장르로 글을 썼다. 시인 나믹 케말은 소설 '''인티바'''를 쓰기도 했고, 기자 이브라힘 시나시는 희극을 썼다.
오스만 제국의 건축은 셀주크 터키 건축에서 발전하였으며, 비잔틴 및 이란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252][253][254] 초기 오스만 건축은 16세기와 17세기의 고전 오스만 양식으로 이어졌는데, 이는 하기아 소피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254][255] 고전 시대의 가장 중요한 건축가는 미마르 시난(Mimar Sinan)이며,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셰흐자데 모스크(Şehzade Mosque), 쉴레이마니예 모스크(Süleymaniye Mosque), 셀리미예 모스크가 있다.[256][257] 18세기부터 오스만 건축은 서유럽의 바로크 건축의 영향을 받아 오스만 바로크 양식이 생겨났다.[260] 누루오스마니예 모스크(Nuruosmaniye Mosque)는 이 시대의 대표적인 예이다. 마지막 오스만 시대에는 제1차 국립 건축 운동[261]이 미마르 케말레딘(Mimar Kemaleddin)과 베다트 테크(Vedat Tek)과 같은 건축가들에 의해 발전했다.
오스만 미니어처 전통은 페르시아 예술 형식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비잔틴 전통의 장식화와 회화의 요소도 포함하고 있었다.[262] 오스만 양식 장식화는 오스만 미니어처의 구상 이미지와는 대조적이다. 직조 예술은 오스만 제국에서 중요했는데, 카펫은 종교적 및 기타 상징으로 풍부한 장식용 가구로서, 그리고 실용적인 고려 사항으로서 중요했다.[263]
오스만 제국 고전 음악은 오스만 제국 엘리트 계층의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이었다. 오스만 제국 고전 음악은 비잔틴 음악, 아르메니아 음악, 아랍 음악, 페르시아 전통 음악이 융합되어 나타났다. 사용되는 악기는 아나톨리아와 중앙아시아 악기, 다른 중동 악기, 서양 악기가 혼합되어 있다.
그림자극(shadow play)인 카라괴즈와 하지바트(Karagöz and Hacivat)는 오스만 제국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고, 그 문화의 주요 민족 및 사회 집단을 대표하는 등장인물들을 특징으로 했다.[265][266]
오스만 제국 요리는 수도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과 지역 수도 도시들의 요리로,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어 만들어졌다. 오늘날 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많은 지역의 요리는 공통적인 오스만 제국 요리에서 유래되었다.[267]
오스만 제국 시대 주요 스포츠는 터키식 레슬링, 사냥, 터키식 양궁, 승마, 기마 투창 등이었다. 19세기 콘스탄티노플에서 축구 경기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유럽식 모델의 스포츠 클럽들이 생겨났다.
이슬람 전통 양식을 발전시켜 오스만 건축이라 불리는 독특한 양식을 탄생시켰다.
오스만 제국에서는 15세기 말, 이즈니크에서 도자기가 급격하게 발달했다. 이것을 이즈니크 도자기라고 부른다. 중국 도자기의 영향을 받아 초기에는 청색과 백색을 기조로 하였고, 후에는 이즈니크만의 특징이라고 불리는 적색을 사용한 것이 탄생했다.[405]
오스만 제국 궁정에서는 시가 특권적인 지위를 얻었다. 많은 술탄들이 시 창작에 몰두했고, 부르사, 에디르네와 같은 구都와 후에 합류한 바그다드 등에서도 시가 창작되었으며, 궁정 시인들은 메드레세에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문학을 배웠다.[407]
이슬람권에서 계승한 아라비아 문자 서예가 발전했고, 회화는 중국 회화의 기법을 도입한 미니어처(세밀화)가 전래되었다.
아랍 음악의 영향을 받은 류트 계열의 현악기와 피리를 사용한 섬세한 궁정 음악(오스만 고전 음악)과 팀파니, 찰르메·나팔 및 북 등으로 구성된 장엄한 군악(메흐테르)이 오스만 제국의 유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9. 역대 군주
오스만 투르크의 역대 군주는 1453년 콘스탄티노플에 입성하기 전까지는 서양의 Prince에 해당하는 술탄으로 지칭되었고, 메흐메트 2세 이후로는 황제라는 의미의 Padishah, Shahanshah, Sultan-es-selatin(Sultan of Sultans), 및 로마 황제 등의 칭호를 사용했다. 메흐메트 2세 이후 제정(帝政)이 된 후에 기존의 술탄, 여술탄의 칭호는 황자, 황녀를 지칭하는 칭호로 사용되었으므로, 오스만 제국의 역대 군주를 가리켜 술탄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관용적으로 용납되고 있으나 엄밀히 말하면 옳은 명칭이 아니다.
참조
[1]
논문
Communicating Identity in the Ottoman Empire and Some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States
https://doi.org/10.1[...]
2021-03-24
[2]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3]
웹사이트
Edirne
https://islamansiklo[...]
[4]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2010-05-21
[5]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6]
혼합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Istanbul, not Constantinople
(multiple UR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977; 2014-03-04
[7]
서적
The Persianate World: The Frontiers of a Eurasian Lingua Fran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
[8]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Historical Writing: Volume 3: 1400–1800 The Oxford History of Historical Writing: Volume 3: 1400–1800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9]
서적
The Western Christian Presence in the Russias and Qājār Persia, c. 1760–c. 1870
https://books.google[...]
Brill
2022-10-21
[10]
서적
Learning to Read in the Late Ottoman Empire and the Early Turkish Republic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2-10-21
[11]
서적
Persian Historiography and Geography
https://books.google[...]
Pustaka Nasional Pte
2022-10-21
[12]
서적
Picturing History at the Ottoman Cour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22-10-21
[13]
서적
Persian Historiography: A History of Pers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22-10-21
[14]
서적
The Persianate World The Frontiers of a Eurasian Lingua Fran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
[15]
서적
Archivum Ottomanicum
https://books.google[...]
2022-10-23
[16]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http://menadoc.bibli[...]
Orient-Institut Istanbul
2019-09-15
[17]
서적
A Monetary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0-21
[18]
논문
Expansion and Contraction Patterns of Large Polities: Context for Russia
http://www.escholars[...]
2019-07-08
[19]
논문
East-West Orientation of Historical Empires
http://jwsr.pitt.edu[...]
2016-09-12
[20]
서적
Defeat in Detail: The Ottoman Army in the Balkans, 1912–1913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21]
논문
Review of The Caliph's Last Heritage: A Short History of the Turkish Empire
https://www.jstor.or[...]
2022-07-10
[22]
논문
A Study into the Concepts of Turkey and Turkistan which were used for the Ottoman State in XIXth Century
https://dergipark.or[...]
2024-03-26
[23]
서적
The Peace of Passarowitz, 1718
http://www.jstor.org[...]
Purdue University Press
2023-12-26
[24]
서적
The Battle for Central Europe
https://brill.com/di[...]
Brill
2023-12-19
[25]
서적
The Battle for Central Europe
https://brill.com/di[...]
Brill
2023-12-19
[26]
웹사이트
Türk Deniz Kuvvetleri – Turkish Naval Forces
http://www.dzkk.tsk.[...]
2020-03-12
[27]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2009
[28]
서적
The Ottoman Empire, 1300–1650: The Structure of Power
Palgrave Macmillan
2009
[29]
논문
A Rome of One's Own: Cultural Geography and Identity in the Lands of Rum
2007
[30]
서적
The Edinburgh History of the Greeks, 1453 to 1768
2015
[31]
서적
Ottoman Maritime Wars, 1416–1700
The Isis Press
2015
[32]
혼합
Osman I
https://www.britanni[...]
Infobase Publishing, NY; Encyclopedia Britannica
2008; (circa 1258) - 1326
[33]
서적
Osman's Dream: The 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23
Basic Books
2006-02-13
[34]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Infobase Publishing
2009
[35]
서적
The Nature of the Early Ottoman Stat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21-09-09
[36]
서적
Between Two Worlds: The Construction of the Ottoman State
1995
[37]
서적
Osman's Dream: The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5-06-20
[3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osov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5-06-20
[40]
서적
Nicopolis 1396: The Last Crusade
Osprey Publishing
1999
[41]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5-06-20
[42]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the Ottomans: From Osman to Atatürk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6-20
[43]
학술지
Ottoman Raiders (Akıncıs) as a Driving Force of Early Ottoman Conquest of the Balkans and the Slavery-Based Economy
https://brill.com/vi[...]
Brill
2022-11-12
[44]
서적
Plague and Empire in the Early Modern Mediterranean World, The Ottoman Experience, 1347–1600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2-02
[45]
서적
Natural Disasters in the Ottoman Empire, Plague, Famine, and Other Misfortun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2-02
[46]
학술지
The origin and early spread of the Black Death in Italy: first evidence of plague victims from 14th-century Liguria (northern Italy)
https://www.jstage.j[...]
Anthropological Science
2023-02-02
[47]
서적
The Ottoman Empire, 1700–192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8]
서적
Russia War, Peace And Diplomacy: Essays in Honour of John Erickson
Weidenfeld & Nicolson
2015-06-20
[49]
서적
Hodgkinson 2005
[50]
서적
The Ottoman state and its place in world history
Brill
1974
[51]
학술지
The Principal Offices of the Ṣafawid State during the Reign of Ismā'īl I (907–930/1501–1524)
1960
[52]
학술지
The Ottoman Conquest of Egypt (1517) and the Beginning of the Sixteenth-Century World War
1973-01
[53]
웹사이트
Ottoman Empire
http://www.oxfordisl[...]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2010-08-26
[54]
서적
The Ottoman Empire, 1300–1650: The Structure of Power
Palgrave Macmillan
2002
[55]
서적
Humanists and Reformers: A History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1996
[56]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Infobase Publishing
2009
[57]
서적
The Reign of Suleiman the Magnificent, 1520–156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58]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59]
웹사이트
Battle of Mohács (1526)
http://warfare.atweb[...]
1588
[60]
서적
Revival: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1937)
Routledge
2018
[61]
서적
Ottoman Wars, 1700–1860: An Empire Besieged
Pearson Education Ltd.
2007
[62]
서적
The Ottoman Empire, 1300–1650: The Structure of Power
Palgrave Macmillan
2002
[63]
서적
The Ottoman World
Routledge
2011
[64]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2009
[65]
서적
Constantinople: City of the World's Desire, 1453–1924
Penguin Books
1997
[66]
서적
Empires of the Sea: The siege of Malta, the battle of Lepanto and the contest for the center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08
[67]
웹사이트
The Ottoman 'Discovery' of the Indian Ocean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Age of Exploration from an Islamic Perspective
https://historycoope[...]
2019-09-11
[68]
서적
Crusaders in the Far East: The Moro Wars in the Philippines in the Context of the Ibero-Islamic World War
https://books.google[...]
Jain Publishing Company
2012
[69]
서적
Turkish Public Administration: From Tradition to the Modern Age
Ankara
2008
[70]
서적
Ottoman-Aceh Relations According to the Turkish Sources
http://www.ari.nus.e[...]
2018-12-16
[71]
논문
The Turks and 'Europe': The Argument from History
2007-09-00
[72]
웹사이트
The Historical Galley
https://denizmuzesi.[...]
2021-11-24
[73]
웹사이트
Liphschitz, N., 2014. The Kadirga galley in Istanbul – The Turkish Sultan's Caique: A dendrohistorical research. In: Environment and Ecology in the Mediterranean Rgion II (eds. R. Efe and M. Ozturk). Cambridge Scholars Pub. Pp.39–48. Cambridge.
https://www.research[...]
[74]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2009
[75]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76]
서적
Empire and Power in the Reign of Süleyman: Narrating the Sixteenth-Century Ottoman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77]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78]
서적
Warfare, State and Society on the Black Sea Steppe: 1500–17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6-20
[79]
서적
Ukrain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3-02-11
[80]
웹사이트
The Crimean Tatars and their Russian-Captive Slaves
http://www.econ.hit-[...]
Mediterranean Studies Group at Hitotsubashi University
2013-02-11
[81]
서적
Christian-Muslim Relations. A Bibliographical History. Volume 10 Ottoman and Safavid Empires (1600–1700)
BRILL
[82]
서적
Middle East Conflicts from Ancient Egypt to the 21st Century: An Encyclopedia and Document Collection [4 volumes]
2019
[83]
서적
The Twilight Of A Military Tradition: Italian Aristocrats And European Conflicts, 1560–1800
Routledge
[84]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85]
서적
Süleyman the Magnificent and His Age: the Ottoman Empire in the Early Modern World
Longman
1995
[86]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Vol. 1 1300–16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6-20
[87]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Infobase Publishing
2009
[88]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Italy
2008
[89]
서적
Armenians: Past and Present in the Making of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2-30
[90]
서적
Genocide and the Modern Age: Etiology and Case Studies of Mass Death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2014-12-30
[9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itu.edu.t[...]
Istanbul Technical University
2011-11-06
[92]
서적
Russia War, Peace And Diplomacy: Essays in Honour of John Erickson
Weidenfeld & Nicolson
2015-06-20
[93]
웹사이트
Presentation of Katip Çelebi, Kitâb-i Cihân-nümâ li-Kâtib Çelebi
http://vitrine.libra[...]
Utrecht University Library
2013-02-11
[94]
논문
Ibrahim Muteferrika and Turkish Incunabula
1968
[95]
서적
Middle East and Africa: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Routledge
2014
[96]
웹사이트
Liberation, Independence And Union of Serbia And Montenegro
http://www.njegos.or[...]
Serb Land of Montenegro
2010-08-26
[97]
서적
History Derailed: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Long 19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06-20
[98]
서적
Souvenirs de la campagne d'Afrique
Dentu
1831
[99]
서적
Conquête d'Alger ou pièces sur la conquête d'Alger et sur l'Algérie
https://books.google[...]
2022-09-08
[100]
서적
Européens, "indigènes" et juifs en Algérie (1830–1962): représentations et réalités des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INED
2001
[101]
서적
Lettres sur la politique coloniale
https://books.google[...]
C. Reinwald
2022-09-08
[102]
서적
Islamic Imperialism A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06
[103]
웹사이트
Battle of Konya Summary
https://www.britanni[...]
2023-10-17
[104]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 in Cairo Press
2023-10-21
[105]
웹사이트
The Tanzimat: Secular Reforms in the Ottoman Empire
http://faith-matters[...]
Faith Matters
2011-10-11
[106]
논문
The sultan's messenger: Cultural constructions of ottoman telegraphy, 1847–1880
https://psi427.canka[...]
2000
[107]
서적
Russia War, Peace And Diplomacy: Essays in Honour of John Erickson
Weidenfeld & Nicolson
2015-06-20
[108]
웹사이트
Sursock House
https://sursockhouse[...]
2018-05-29
[109]
서적
Foreign Investment in the Ottoman Empire: International Trade and Relations 1854–1914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5-06-20
[110]
서적
The History of Turke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3-02-11
[111]
논문
Hijra and forced migration from nineteenth-century Russia to the Ottoman Empire
2000
[112]
서적
The Northwest Caucasus: Past, Present, and Future
Routledge
2008
[113]
서적
The Northwest Caucasus: Past, Present, Fu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US
2015-06-20
[114]
서적
Russia War, Peace and Diplomacy
Weidenfeld & Nicolson
2004
[115]
서적
A History of the Global Economy. From 1500 to the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16]
서적
The Establishment of the Balkan National States, 1804–192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0-11-18
[117]
서적
The Struggle for Mastery in Europe, 1848–1918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55
[118]
서적
The Birth of Modern Turkey The Ottoman Military and the March to World I
I.B Tauris
[119]
서적
A Shameful Act: The Armenian Genocide and the Question of Turkish Responsibility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Books
2006
[120]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21]
서적
Studies on Turkish politics and society: selected articles and essays
https://books.google[...]
Brill
2004
[122]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23]
웹사이트
A Military History of Modern Egypt from the Ottoman Conquest to the Ramadan War
https://web.archive.[...]
2023-10-17
[124]
서적
The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HarperCollins Publishers
1993
[125]
웹사이트
Greek and Turkish refugees and deportees 1912–1924
https://web.archive.[...]
Universiteit Leiden
2003-01
[126]
서적
Death and exile: the ethnic cleansing of Ottoman Muslims, 1821–1922
https://books.google[...]
Darwin Press
1995
[127]
서적
Ethnic Cleansing in the Balkans: Nationalism and the Destruction of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128]
서적
Islam in the Balkans: Oxford Bibliographies Online Research Guid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29]
서적
Shattering Empires: The Clash and Collapse of the Ottoman and Russian Empires 1908–191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30]
서적
Ottomans and Armenians: A Study in Counterinsurgency
Palgrave Macmillan
2013
[131]
서적
Turkey, Islam, Nationalism and Modernity: A History, 1789–2007
Yale University Press
2010
[132]
웹사이트
Timeline: Ottoman Empire (c. 1285 – 1923)
https://www.oxfordre[...]
Oxford Reference
2012
[133]
백과사전
Armenian Genocide
https://www.britanni[...]
2023-01-28
[134]
웹사이트
Fact Sheet: Armenian Genocide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ichigan
2010-07-15
[135]
서적
The Armen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Rosen Pub. Group
2009
[136]
서적
Dictionary of Genocid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8
[137]
서적
The Armenian Genocide Legacy
Palgrave Macmillan UK
2016
[138]
서적
The Burning Tigris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09
[139]
서적
The Ottoman Empire, 1700–1922
Cambridge University Press (Kindle edition)
2005
[140]
서적
Armenia: The Survival of A Nation
Croom Helm
1980
[141]
서적
The Treatment of Armenians in the Ottoman Empire, 1915–1916: Documents Presented to Viscount Grey of Falloden
Gomidas Institute
2000
[142]
학술지
Late Ottoman genocides: the dissolution of the Ottoman Empire and Young Turkish population and extermination policies – introduction
http://bridging-the-[...]
2013-06-06
[143]
서적
The Arab Movements in World War I
Routledge
2014
[144]
웹사이트
Sykes-Picot Agreement Map, History,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22
[145]
서적
From Caliphate to Secular State: Power Struggle in the Early Turkish Republic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6-20
[146]
서적
A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47]
서적
Russia War, Peace and Diplomacy
Weidenfeld & Nicolson
2004
[148]
서적
[149]
서적
The nature of the early Ottoman state
SUNY Press
2003
[150]
서적
Universal Empire: A Comparative Approach to Imperial Culture and Representation in Eura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51]
서적
A Bridge Between Cultures
2006
[152]
간행물
Some thoughts on the Gazi-thesis
https://www.jstor.or[...]
1986
[153]
서적
[154]
뉴스
Center of Ottoman Power
https://www.nytimes.[...]
1993-08-22
[155]
웹사이트
Dolmabahce Palace
http://www.dolmabahc[...]
2014-08-04
[156]
서적
Turkish Public Administration: From Tradition to the Modern Age
https://archive.org/[...]
USAK Books
2013-02-11
[157]
서적
The History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From the Prophet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5-06-20
[15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The Indian sub-continent, South-East Asia, Africa and the Muslim we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7-25
[159]
서적
Istanbul and the Civilization of the Ottoman Empi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3-02-11
[160]
학술지
The Ottoman Palace School Enderun and the Man with Multiple Talents, Matrakçı Nasuh
https://tamu.academi[...]
2018-01-29
[161]
서적
Social Change and Politics in Turkey: A Structural-Histor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Brill
2015-06-20
[162]
서적
Turkish Public Administration: From Tradition to the Modern Age
https://archive.org/[...]
USAK Books
2013-02-12
[163]
웹사이트
Islamic Perspective on Divorce
http://www.mwlusa.or[...]
2019-09-24
[164]
웹사이트
Balancing Sharia: The Ottoman Kanun
http://www.bbc.co.uk[...]
BBC
2013-10-05
[165]
서적
Law in the Ottoman Empire: Shari'a Law, Dynastic Law, Legal Institutions.
[166]
서적
Law and Colonial Cultures: Legal Regimes in World History, 1400–19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2-11
[167]
서적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22-08-09
[168]
서적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Islamic law
https://www.worldcat[...]
Routledge
[169]
웹사이트
Review of "Ottoman Nizamiye Courts. Law and Modernity"
http://research.saba[...]
Sabancı Üniversitesi
2013-02-15
[170]
웹사이트
Middle East
http://epstein.usc.e[...]
Greenwood Press
2013-02-15
[171]
서적
The Godolphin Arabian: The Story of the Matchem Line
Robert Hale Limited
1990
[172]
서적
Famous Running Horses: Their Forebears and Descendants
[173]
서적
Ottoman Warfare, 1500–1700
UCL Press
1999
[174]
서적
Guns for the Sultan: Military Power and the Weapons Industry in the Ottoman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75]
웹사이트
Petition created for submarine name
http://www.ellesmere[...]
2013-02-11
[176]
웹사이트
Story of Turkish Aviation
https://web.archive.[...]
Turkey in the First World War
2011-11-06
[177]
웹사이트
Founding
https://web.archive.[...]
Turkish Air Force
2011-11-06
[178]
논문
The Ottoman Empire, 1300–1650: The Structure of Power
https://web.archive.[...]
2002
[179]
서적
Europe and the historical legacies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5-06-20
[180]
서적
Turkish Public Administration: From Tradition to the Modern Age
https://archive.org/[...]
USAK Books
2013-06-01
[181]
서적
Haifa in the Late Ottoman Period 1864–1914: A Muslim Town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5-06-20
[182]
서적
Governing Property, Making the Modern State: Law, Administration and Production in Ottoman Syria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5-06-20
[183]
서적
Studies in the Economic History of the Middle East: from the Rise of Islam to the Present Day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184]
서적
Studies in the Economic History of the Middle East: from the Rise of Islam to the Present Day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185]
서적
Revenue-Raising and Legitimacy: Tax Collection and Finance Administration in the Ottoman Empire, 1560–1660.
E.J. Brill
1996
[186]
서적
The History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From the Prophet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5-06-20
[187]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14
1971
[188]
서적
The Ottoman Empire 1700–1922
2005
[189]
서적
Studies in the Economic History of the Middle East: from the Rise of Islam to the Present Day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190]
서적
Economics and World History: Myths and Paradox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191]
학술지
Population Rise and Fall in Anatolia 1550–1620
1979-10
[192]
웹사이트
Inventory for the Ottoman Empire / Turkish Republic
https://web.archive.[...]
Istanbul Bilgi University
2011-10-28
[193]
학술지
The Ottoman Census System and Population, 1831–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194]
학술지
The Ottoman Empire and the World Economy: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08
[195]
서적
Death and exile: the ethnic cleansing of Ottoman Muslims, 1821–1922
Darwin Press
1995
[196]
헌법
1876
[197]
서적
Reform in the Ottoman Empire, 1856–1876
http://dx.doi.org/10[...]
1964-12-31
[198]
학술지
The Ottoman Constitution, promulgated the seventh Zilbridge, 1293 (11/23 December 1876)
1908
[199]
서적
Persian Historiography And Geography
https://books.google[...]
Pustaka Nasional Pte Ltd
2015-06-20
[200]
학술지
The Islamisation of the Meglen Vlachs (Megleno-Romanians): The Village of Nânti (Nótia) and the "Nântinets" in Present-Day Turkey
https://www.cambridg[...]
2006
[201]
서적
Studies on Ottoman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Selected Articles and Essays
https://books.google[...]
Brill
2015-06-20
[202]
서적
Change And Essence: Dialectical Relations Between Change And Continuity in the Turkish Intellectual Traditions
https://books.google[...]
Cultural Heritage and Contemporary Change. Series IIA, Islam, V. 18
[203]
서적
Caliphate Redefined: The Mystical Turn in Ottoman Political Though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01-08
[204]
학술지
The politics of population in a nation-building process: emigration of non-Muslims from Turkey
2008-02-01
[205]
웹사이트
Māturīdī
https://www.oxfordbi[...]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1-28
[206]
웹사이트
Turkey's 200-Year War against 'ISIS'
http://nationalinter[...]
2015-07-24
[20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08]
서적
Change And Essence: Dialectical Relations Between Change And Continuity in the Turkish Intellectual Traditions
https://books.google[...]
Cultural Heritage and Contemporary Change. Series IIA, Islam, V. 18
[209]
웹사이트
Salafism Infiltrates Turkish Religious Discourse
http://www.mei.edu/c[...]
2015-07-22
[210]
뉴스
Why there is more to Syria conflict than sectarianism
https://www.bbc.co.u[...]
2013-06-04
[211]
웹사이트
Sufism in the Ottoman Empire Research Papers
https://www.academia[...]
2022-03-23
[212]
서적
Middle East Conflicts from Ancient Egypt to the 21st Century: An Encyclopedia and Document Collection [4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24-02-13
[213]
서적
The Druzes: An Annotated Bibliograph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9
[214]
서적
Ottoman Palestine, 1800–1914 : Studies i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E.J. Brill
1990
[215]
서적
A shameful act: the Armenian genocide and the question of Turkish responsibility
Metropolitan Books
2006
[216]
뉴스
Greek monastery manuscripts tell new story of Ottoman rule
https://www.npr.org/[...]
2022-10-21
[21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Islam
Vij Books India
2011
[218]
학술지
The Divinely-Protected, Well-Flourishing Domain: The Establishment of the Ottoman System in the Balkan Peninsula
https://web.archive.[...]
Loyola University New Orleans
1998-1999
[219]
웹사이트
Turkish Toleration
https://web.archive.[...]
The American Forum for Global Education
[220]
서적
The Islamic Roots of Democratic Pluralis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21]
서적
The World and the West: The European Challenge and the Overseas Response in the Age of Empire
2002
[222]
서적
Rise of the Bourgeoisie, Demise of Empire: Ottoman Westernization and Social Change
1996
[223]
학술지
The transformation of the Ottoman State, 1789–1908
http://psi424.cankay[...]
1972
[224]
서적
Ottoman Ulema, Turkish Republic: Agents of Change and Guardians of Traditio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1
[225]
서적
A History of the Middle East
1991
[226]
학술지
Comparing Warrior Traditions: How the Janissaries and Samurai Maintained Their Status and Privileges During Centuries of Peace
https://scholarsarch[...]
2006
[227]
학술지
The Ottoman millet system: non-territorial autonomy and its contemporary legacy
2016
[228]
서적
Arab Nationalism: A History: Nation and State in the Arab World
2001
[229]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2010
[230]
서적
Arming the Sultan: German Arms Trade and Personal Diplomacy in the Ottoman Empire Before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4
[231]
백과사전
HISTORIOGRAPHY xiv. THE OTTOMAN EMPIRE
https://iranicaonlin[...]
[232]
웹사이트
Servile Labor in the Ottoman Empire
https://web.archive.[...]
Michigan State University
[233]
웹사이트
Islam and slavery: Sexual slavery
http://www.bbc.co.uk[...]
BBC
[234]
학술지
Migration into Eighteenth-century 'Greater Istanbul' as Reflected in the Kadi Registers of Eyüp
https://secure.peete[...]
Éditions Klincksieck
1998
[235]
서적
Has-bahçede 'Ayş u Tarab
https://www.academia[...]
İş Bankası Kültür Yayınları
2011
[236]
서적
Memory and Commemoration across Central Asia
Brill
2023
[237]
서적
Imperial Lineages and Legacie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Recording the Imprint of Roman, Byzantine and Ottoman Rul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07
[238]
서적
Imperial Lineages and Legacie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Recording the Imprint of Roman, Byzantine and Ottoman Rul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07
[239]
서적
Turkish Life in Town and Country
https://archive.org/[...]
G.P. Putnam's Sons
1904
[240]
서적
The sons of Bayezid: empire building and representation in the Ottoman civil war of 1402-1413
Brill
2007
[241]
서적
Osmanlı'da kurumlar ve kültür
İstanbul Bilgi Üniversitesi Yayınları
2005
[242]
서적
Neither Shiraz nor Paris: papers on modern Turk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ISIS
2005
[243]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2009
[244]
서적
Imagined identities: identity formation in the age of globalism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2013
[245]
서적
Tradition, Tension, and Translation in Turke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5
[246]
서적
Türk Romanına Eleştirel Bir Bakış Vol. 1
İletişim Yayınları
1997
[247]
웹사이트
Francophone press in the Ottoman Empire
https://heritage.bnf[...]
French National Library
2019-07-13
[248]
논문
A Constitution for a Multilingual Empire
[249]
서적
[250]
서적
Language and power in the late Ottoman Empire
Routledge
2016-07-07
[251]
논문
A Constitution for a Multilingual Empire
[252]
서적
Illustrated Dictionary of Historic Architecture
Dover Publications
1977
[253]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54]
서적
[255]
서적
Sinan: Ottoman Architecture & its Values Today
Saqi Books
[256]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05-21
[257]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58]
웹사이트
The Ottoman Artistic Legacy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59]
서적
Iznik Pottery
British Museum Press
[260]
서적
[261]
웹사이트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 Architecture: Three-Volume Set
Oxford University Press
[262]
학술지
Ottoman Miniature Painting under Sultan Mehmed II
https://www.jstor.or[...]
1973
[263]
서적
Subjects of the Sultan: culture and daily life in the Ottoman Empire
I.B. Tauris
2005
[264]
서적
Subjects of the Sultan: culture and daily life in the Ottoman Empire
I.B. Tauris
2005
[265]
웹사이트
Karagöz and Hacivat, a Turkish shadow play
http://www.allaboutt[...]
All About Turkey
2006-11-20
[266]
웹사이트
Karagoz, Traditional Turkish Shadow Theatre
http://www.karagoz.n[...]
Karagoz.net
[267]
서적
From the Caucasus to the Roof of the World: a culinary adventure
[268]
학술지
Ali Qushji and Regiomontanus: eccentric transformations and Copernican Revolutions
Science History Publications Ltd.
2005
[269]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Kluwer
1997
[270]
서적
Islamic Intellectual History in the Seventeenth Century: Scholarly Currents in the Ottoman Empire and the Maghreb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271]
서적
Taqi al-Din and Arabic Mechanical Engineering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Arabic Science, University of Aleppo
1976
[272]
웹사이트
Artist Feature: Who Was Osman Hamdi Bey?
http://www.howtotalk[...]
2017-04-27
[273]
학술지
The Heavens of the Sky and the Heavens of the Heart: the Ottoman Cultural Context for the Introduction of Post-Copernican Astronomy
https://www.academ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74]
학술지
First illustrations of female Neurosurgeons in the fifteenth century by Serefeddin Sabuncuoglu
2006
[275]
웹사이트
Ottoman Empire
https://www.history.[...]
History
2017-11-03
[276]
학술지
Topkapi's Turkish Timepieces
http://www.saudiaram[...]
1977-07-08
[277]
서적
Between Development and Underdevelopment: The Precocious Attempts at Industrialization of the Periphery, 1800–1870
https://books.google[...]
Librairie Droz
1991
[278]
웹사이트
Ottoman Capital Bursa
http://www.kultur.go[...]
Official website of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of the Republic of Turkey
2013-06-26
[279]
웹사이트
Istanbul
[280]
서적
Kabadayı
[281]
서적
[282]
서적
[283]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284]
서적
[285]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286]
서적
オスマントルコ史論
[287]
서적
西アジア史イラン・トルコ
[288]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289]
서적
ギリシア史
[290]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291]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292]
서적
[293]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294]
서적
[295]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296]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297]
서적
ギリシア史
[298]
서적
ギリシア史
[299]
서적
ギリシア史
[300]
서적
[301]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302]
서적
[303]
서적
ギリシア史
[304]
서적
[305]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306]
서적
東欧史
[307]
서적
ギリシア史
[308]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309]
서적
[310]
서적
西アジア史イラン・トルコ
[311]
서적
ギリシア史
[312]
서적
東欧史
[313]
서적
[314]
서적
ギリシア史
[315]
서적
東欧史
[316]
서적
ギリシア史
[317]
서적
ギリシア史
[318]
서적
1992
[319]
서적
1992
[320]
서적
ギリシア史
[321]
서적
東欧史
[322]
서적
ギリシア史
[323]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324]
서적
西アジア史イラン・トルコ
[325]
서적
ギリシア史
[326]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327]
서적
東欧史
[328]
서적
ギリシア史
[329]
서적
西アジア史イラン・トルコ
[330]
서적
1992
[331]
서적
1992
[332]
서적
1992
[333]
서적
西アジア史アラブ
[334]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335]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300
Stanford University Press
[336]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337]
서적
西アジア史アラブ
[338]
서적
西アジア史アラブ
[339]
서적
ギリシア史
[340]
서적
1992
[341]
서적
ギリシア史
[342]
서적
ギリシア史
[343]
서적
東欧史
[344]
서적
東欧史
[345]
서적
西アジア史イラン・トルコ
[346]
서적
東欧史
[347]
서적
ギリシア史
[348]
서적
ギリシア史
[349]
서적
西アジア史イラン・トルコ
[350]
서적
西アジア史イラン・トルコ
[351]
서적
桜井(2005)
[352]
웹사이트
チューリップ時代とは
https://kotobank.jp/[...]
2021-05-26
[353]
서적
新井2009
[354]
서적
新井2009
[355]
서적
新井2009
[356]
서적
新井2009
[357]
서적
新井2009
[358]
서적
新井2009
[359]
서적
新井2009
[360]
서적
新井2009
[361]
서적
地中海論集/Mediterranean World
一橋大学地中海研究会
2012-06
[362]
서적
新井2001
[363]
서적
鈴木(2000)
[364]
서적
新井2009
[365]
서적
鈴木(2000)
[366]
서적
鈴木(2000)
[367]
서적
桜井(2005)
[368]
서적
三橋(1966)
[369]
서적
三橋(1966)
[370]
서적
三橋(1966)
[371]
서적
鈴木(2000)
[372]
서적
三橋(1966)
[373]
서적
桜井(2005)
[374]
서적
桜井(2005)
[375]
서적
三橋(1966)
[376]
서적
桜井(2005)
[377]
서적
三橋(1966)
[378]
서적
桜井(2005)
[379]
서적
矢田(1977)
[380]
서적
三橋(1966)
[381]
서적
鈴木(2000)
[382]
서적
鈴木(2000)
[383]
서적
鈴木(2000)
[384]
서적
鈴木(2000)
[385]
서적
鈴木(2000)
[386]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387]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388]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389]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390]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391]
서적
オスマントルコ史論
[392]
서적
ギリシア史
[393]
서적
ギリシア史
[394]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395]
서적
ギリシア史
[396]
서적
オスマン帝国の解体
[397]
서적
オスマントルコ史論
[398]
서적
オスマントルコ史論
[399]
서적
オスマントルコ史論
[400]
서적
オスマントルコ史論
[401]
서적
ギリシア史
[402]
서적
ギリシア史
[403]
서적
ギリシア史
[404]
서적
ギリシア史
[405]
서적
(제목 없음)
[406]
서적
(제목 없음)
[407]
서적
(제목 없음)
[408]
웹사이트
松岡正剛による紹介
https://1000ya.isis.[...]
[409]
서적
The Persianate World: The Frontiers of a Eurasian Lingua Fran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0]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Historical Writing: Volume 3: 1400–1800
Oxford University Press
[411]
서적
The Western Christian Presence in the Russias and Qājār Persia, c. 1760–c. 1870
https://books.google[...]
Brill
2017
[412]
서적
Learning to Read in the Late Ottoman Empire and the Early Turkish Republic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413]
서적
Persian Historiography and Geography
https://books.google[...]
Pustaka Nasional Pte
2003
[414]
서적
Picturing History at the Ottoman Cour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
[415]
서적
Persian Historiography: A History of Pers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416]
서적
The Persianate World The Frontiers of a Eurasian Lingua Fran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7]
서적
Archivum Ottomanicum
https://books.google[...]
(출판사 없음)
[418]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Orient-Institut Istanbul
[419]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Orient-Institut Istanbul
[420]
저널
Review of The Caliph's Last Heritage: A Short History of the Turkish Empire
https://www.jstor.or[...]
[421]
저널
A Study into the Concepts of Turkey and Turkistan which were used for the Ottoman State in XIXth Century
https://dergipark.or[...]
2024-03-26
[422]
서적
Everyday Life in Ottoman Turkey
https://books.google[...]
Dorset Press
[423]
서적
Ottoman Turkey
https://books.google[...]
Scorpion Publications
[424]
서적
Ottoman Maritime Wars, 1416–1700
The Isis Press
2015
[425]
저널
On Ragusan ''Libertas'' in the Late Middle Ages
https://hrcak.srce.h[...]
2010
[426]
저널
Byzantine Legacies in Ottoman Identity
https://www.academia[...]
Klaus Schwarz Verlag
2015
[427]
서적
Well-Connected Domains: Towards an Entangled Ottoman History
Koninklijke Brill
2012
[428]
서적
Europe and the Islamic World: A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429]
백과사전
튀니스 [Tunis]
두산백과
[430]
웹사이트
Andrea Doria
https://www.britanni[...]
[431]
서적
지도로 보는 세계사
생각의 나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새책] 붉은 시대 外
튀르키예 방위산업 급성장… ‘실전 검증·적절한 가격’ 무기로 수출 박차
[케이블·위성 하이라이트]2025년 3월 4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