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먼 도널드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먼 도널드슨은 영국의 수학자이다. 그는 1982년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의 위상수학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로 수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86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그의 연구는 게이지 이론, 4차원 다양체, 복소 미분 기하학, 심플렉틱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도널드슨 정리, h-코보디즘 정리, 도널드슨 불변량 등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최근에는 극값 켈러 계량의 존재에 대한 연구로 첸 시우슝, 쑨 쑹과 함께 오스왈드 베블런 기하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 대학교 우스터 칼리지 동문 - 리처드 플래너건
오스트레일리아 소설가이자 영화감독인 리처드 플래너건은 역사와 개인의 삶을 엮은 소설들을 발표하며 호주 문학계의 주요 작가로 자리매김했고, 《깊은 북쪽으로 가는 좁은 길》로 2014년 맨 부커상을 수상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우스터 칼리지 동문 - 러셀 T 데이비스
러셀 T 데이비스는 웨일스 출신의 텔레비전 작가이자 프로듀서로, 《퀴어 애즈 포크》, 《닥터 후》 등을 제작하며 사회적 약자의 이야기를 다루는 작품으로 호평을 받았다. -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교수 - 압두스 살람
압두스 살람은 약전자기 상호작용 이론 통합에 기여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파키스탄의 이론물리학자로서, 파키스탄 과학 발전과 국제 이론물리센터 설립을 주도하며 개발도상국의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하였으나, 종교적 차별로 인해 조국을 떠나게 되었다. -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교수 - 알렉산더 플레밍
알렉산더 플레밍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세균학자이자 생리학자로, 리소자임과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소독약의 한계를 인지하고 면역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 현대 의학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 마이클 이그나티에프
마이클 이그나티에프는 캐나다의 저명한 역사가, 소설가, 정치인이자 국제적 지식인으로, 인권, 국제 관계, 국가 건설에 관한 저술 활동과 하버드 케네디 스쿨 교수, 그리고 캐나다 연방 하원의원을 역임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 로널드 드워킨
로널드 드워킨은 법실증주의 비판, 법 해석,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이론으로 알려진 미국의 법철학자이자 정치철학자로, 법과 도덕의 연관성, 개인의 권리, 헌법 해석 등에 대한 연구로 법철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이먼 도널드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 이름 | 사이먼 커원 도널드슨 |
출생일 | 1957년 8월 20일 |
출생지 | 영국 케임브리지 |
국적 | 영국 |
학문 분야 | 위상수학 |
소속 | |
소속 기관 |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뉴욕 주립 대학교 스토니브룩 캠퍼스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스탠퍼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올 소울스 칼리지 |
모교 | 펜브룩 칼리지 |
박사 지도 교수 | 마이클 아티야 나이절 히친 |
박사 학위 취득 대학 | 옥스퍼드 대학교 |
박사 학위 학생 | 오스카 가르시아 프라다 도미닉 조이스 디터 코치크 그레이엄 넬슨 폴 자이델 이반 스미스 가보르 세켈리히디 리처드 토마스 마이클 타데우스 |
학위 논문 제목 | 켈러 다양체에서의 양-밀스 방정식 (The Yang–Mills Equations on Kähler Manifolds) |
학위 수여 년도 | 1983년 |
학위 논문 URL | The Yang–Mills Equations on Kähler Manifolds |
업적 | |
주요 업적 | 매끄러운(미분 가능한) 4차원 다양체의 위상수학 도널드슨 이론 도널드슨 정리 도널드슨-토마스 이론 도널드슨-울렌벡-야우 정리 K-안정성 파노 다양체의 K-안정성 야우-톈-도널드슨 추측 |
기여 분야 | 도널드슨 불변량 |
수상 | |
수상 내역 | 주니어 화이트헤드 상 (1985년) 필즈상 (1986년) 로열 메달 (1992년) 크라포르드상 (1994년) 폴리아상 (1999년) 킹 파이잘 국제상 (2006년) 네머스 수학상 (2008년) 쇼상 수학 분야 (2009년) 브레이크스루 수학상 (2014년) 오스왈드 베블런 상 (2019년) 울프 수학상 (2020년) |
기타 | 왕립학회 회원 |
2. 생애
사이먼 도널드슨은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생리학과 전기 기술자였고, 어머니는 같은 대학교에서 이학 학위를 받았다.[2]
도널드슨은 마이클 프리드먼의 결과와 함께 이국적 구조를 가진 4차원 공간의 존재를 증명하였다. 이는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로서 위상수학적으로는 일반적인 4차원 유클리드 공간 와 같으나 미분기하학적으로는 같지 않은 구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4차원 유클리드 공간에는 두 개 이상의 매끄러운 다양체 구조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오로지 차원이 4일 때만 나타나기 때문에 놀라운 결과였다.
도널드슨은 1985년에 런던 수학회에서 수여하는 주니어 화이트헤드상을 수상하였고, 이듬해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86년에는 필즈상을 수상하였다.[3] 1994년에는 크라포르드상을 수상하였다.
2. 1.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펨브로크 칼리지
사이먼 도널드슨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태어났으며, 1979년 펨브로크 칼리지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2] 그의 아버지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생리학과 전기 기술자였고, 어머니는 같은 대학교에서 이학 학위를 받았다.[2]2. 2. 옥스퍼드 대학교와 우스터 칼리지
1980년에 옥스퍼드 대학교 우스터 칼리지(Worcester College)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나이절 히친이 지도교수였으나 이후 마이클 아티야의 지도 아래에서 공부하였다. 1982년, 2학년 대학원생 신분으로 수학계를 놀라게 한 결과를 증명하였고, 1983년에 이 결과를 〈자기 쌍대 접속과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의 위상수학〉(Self-dual connections and the topology of smooth 4-manifolds)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하였다.[3]1983년, 이 결과를 박사 논문으로 옥스퍼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옥스퍼드 올 솔스 칼리지(All Souls College)에서 연구원 생활을 시작하였다. 1983-84학년도에는 미국 프린스턴의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에서 연구하였으며, 그 후 옥스퍼드 대학교로 돌아와 1985년에 월리스 수학 교수직을 맡게 되었다.
2. 3. 옥스퍼드 대학교,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스토니브룩 대학교
1983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DPhil 학위를 받은 후, 올 소울스 칼리지의 주니어 연구 펠로우로 임명되었다.[2] 1983~84학년도를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에서 보냈고,[2] 1985년 월리스 수학 교수로 옥스퍼드 대학교로 돌아왔다.[5] 스탠퍼드 대학교를 1년 방문한 후,[4] 1998년 순수 수학 교수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으로 옮겨갔다.[5] 2014년에는 미국 뉴욕의 스토니브룩 대학교에 있는 시몬스 기하학 및 물리학 센터에 합류했다.[1]3. 주요 업적
사이먼 도널드슨은 수학적 분석(특히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 분석)을 기하학 문제에 적용하는 연구를 통해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연구는 주로 게이지 이론, 4차원 다양체, 복소 미분 기하학, 심플렉틱 기하학과 관련되어 있다.
도널드슨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대각화 가능 정리: 매끄럽고 닫힌, 단일 연결 4차원 다양체의 교차 형식이 양의 정부호 또는 음의 정부호이면 정수 위에서 대각화 가능하다는 정리이다.
- h-코보디즘 정리: 단순 연결 4차원 다양체 사이의 매끄러운 h-코보디즘은 자명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 안정 정칙 벡터 다발과 에르미트-아인슈타인 메트릭: 비특이 사영 대수 다양체 위의 안정적인 정칙 벡터 다발은 에르미트-아인슈타인 메트릭을 허용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 도널드슨 불변량 (인스턴톤 불변량): 도널드슨 불변량을 이용하여 비특이 사영 대수 곡면이 두 개의 유향 4차원 다양체의 연결 합과 미분 동형일 수 있는지에 대한 조건을 제시했다.
- 콤팩트 심플렉틱 다양체와 레프셰츠 펜슬: 모든 콤팩트 심플렉틱 다양체가 심플렉틱 레프셰츠 펜슬을 허용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 극값 켈러 계량 (K-안정성): 극값 켈러 계량과 관련된 복소 미분 기하학 문제, 특히 켈러-아인슈타인 메트릭의 존재 조건을 연구하고, K-안정성과의 관계를 밝혔다.
이러한 업적들은 현대 수학, 특히 기하학과 위상수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도널드슨 정리 (대각화 가능 정리)
도널드슨의 대각화 가능 정리는 다음과 같다.[17]: 매끄럽고 닫힌, 단일 연결 4차원 다양체의 교차 형식이 양의 정부호 또는 음의 정부호이면 정수 위에서 대각화 가능하다. 이 결과는 때때로 도널드슨 정리라고 불린다.
3. 2. h-코보디즘 정리
도널드슨은 단순 연결 4차원 다양체 사이의 매끄러운 h-코보디즘은 자명하지 않을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더 높은 차원의 상황과 대조적이다.3. 3. 도널드슨 불변량 (인스턴톤 불변량)
도널드슨의 초기 연구 업적 중 하나는 도널드슨 불변량(인스턴톤 불변량)을 응용한 것이다. 도널드슨은 비특이 사영 대수 곡면이 두 개의 유향 4차원 다양체의 연결 합과 미분 동형일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음의 정부호 교차 형식을 가질 경우에만 가능함을 증명하였다.[17]3. 4. 안정 정칙 벡터 다발과 에르미트-아인슈타인 메트릭
도널드슨은 수학적 분석, 특히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 분석을 기하학 문제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러한 문제들은 주로 게이지 이론, 4차원 다양체, 복소 미분 기하학, 심플렉틱 기하학과 관련이 있다.도널드슨은 비특이 사영 대수 다양체 위의 안정적인 정칙 벡터 다발은 에르미트-아인슈타인 메트릭을 허용한다는 것을 귀납적 증명과 행렬식 다발 및 퀼렌 메트릭 이론을 사용하여 증명하였다.[17]
3. 5. 사영 대수 곡면과 미분 동형
도널드슨은 비특이 사영 대수 곡면이 두 개의 유향 4차원 다양체의 연결 합과 미분 동형이 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음의 정부호 교차 형식을 가질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17] 이는 도널드슨 불변량(인스턴톤 불변량)의 초기 응용이었다.3. 6. 콤팩트 심플렉틱 다양체와 레프셰츠 펜슬
도널드슨은 모든 콤팩트 심플렉틱 다양체가 심플렉틱 레프셰츠 펜슬을 허용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17]3. 7. 극값 켈러 계량 (K-안정성)
도널드슨은 최근 매끄러운 사영 대수 다양체에 대한 대수 기하학적 "안정성" 조건과 "극값" 켈러 다양체 (일반적으로 상수 스칼라 곡률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cscK 메트릭 참조)의 존재에 대한 추측적 관계에 관한 복소 미분 기하학 문제에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17] 도널드슨은 이 문제의 토릭 사례에서 결과를 얻었으며,[17] 2012년에는 첸 및 쑨과 공동으로 문제의 켈러-아인슈타인 메트릭 사례를 해결했다.[17] 이 놀라운 성과는 많은 어렵고 기술적인 논문을 포함했는데, 이 중 첫 번째는 Gromov–Hausdorff 극한에 관한 것이었다.[17] 켈러-아인슈타인 메트릭의 존재 증명 요약은 Chen영어, Donaldson영어, Sun영어의 논문에 나타나며,[17] 증명의 전체 세부 사항은 이들의 3편의 논문에 걸쳐 제시되었다.[17]2019년, 도널드슨은 첸 시우슝, 쑨 쑹과 함께 오스왈드 베블런 기하학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수학기하학 분야의 오랜 추측, 즉 "파노 다양체가 Kähler-Einstein 계량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이 K-안정하다"는 것을 증명한 공로였다.[18] 이 문제는 싱퉁 야우가 칼라비 추측을 증명한 후 1980년대에 제안된 이래 기하학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된 주제 중 하나였으며, 이후 톈 강과 도널드슨에 의해 일반화되었다.[18] 첸, 도널드슨, 쑨의 해법은 2015년 미국수학회지에 "파노 다양체의 Kähler-Einstein 계량, I, II, III"라는 제목의 3부작 논문으로 게재되었다.[18]
4.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비고 |
---|---|---|
1985년 | 런던 수학회 주니어 화이트헤드상 | [6] |
1986년 | ICM 필즈상 | [7] |
1992년 | 런던 왕립 학회 로열 메달 | |
1994년 |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크라포드상 | |
1999년 | 폴리야상 | |
2006년 | 킹 파이살 국제상 과학 부문 | |
2008년 | 프레데릭 에서 넴머스 수학상 | |
2009년 | 쇼상 | 클리포드 토브스와 공동 수상[10] |
2014년 | 수학 획기적인 상 | [11] |
2019년 | 오스왈드 베블렌 기하학상 | 첸 시우슝, 송 쑨과 공동 수상[18] |
2020년 | 울프상 수학 부문 | 야코프 엘리아슈베르그와 공동 수상[12] |
5. 참고 논문
참조
[1]
웹사이트
Simon Donaldson, Simons Center for Geometry and Physics
http://scgp.stonybro[...]
[2]
웹사이트
Simon Donaldson Autobiography, The Shaw Prize, 2009
http://www.shawprize[...]
[3]
논문
On the work of Simon Donaldson
[4]
웹사이트
Biography at DeBretts
http://www.debretts.[...]
[5]
웹사이트
Donaldson, Sir Simon (Kirwan)
https://www.ukwhoswh[...]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6-02
[6]
웹사이트
ICM Plenary and Invited Speakers
https://www.mathunio[...]
2022-09-03
[7]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Berkeley 1986)
[8]
서적
Doc. Math. (Bielefeld) Extra Vol. ICM Berlin, 1998, vol. II
[9]
웹사이트
ICM Plenary and Invited Speakers, 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IMU)
https://www.mathunio[...]
[10]
웹사이트
The Shaw Prize
http://www.shawprize[...]
2009-06-16
[11]
웹사이트
Five Winners Receive Inaugural Breakthrough Prize in Mathematics
https://breakthrough[...]
2022-05-21
[12]
웹사이트
Wolf Prize 2020
https://wolffund.org[...]
2023-01-08
[13]
뉴스
New foreign members elected to the academy
http://www.kva.se/en[...]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010-05-26
[14]
간행물
London Gazette
2011-12-31
[15]
웹사이트
List of Fellow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http://www.ams.org/p[...]
2012-11-10
[16]
웹사이트
Doctores "Honoris Causa" Facultad de Ciencias Matemáticas
https://matematicas.[...]
2023-10-27
[17]
논문
On the existence of Hermitian-Yang-Mills connections in stable vector bundles
[18]
웹사이트
2019 Oswald Veblen Prize in Geometry to Xiuxiong Chen, Simon Donaldson, and Song Sun
http://www.ams.org/n[...]
2019-04-09
[19]
논문
Review: ''The geometry of four-manifolds'', by S. K. Donaldson and P. B. Kronheimer
http://www.ams.org/j[...]
[20]
논문
Review: ''Riemann surfaces'', by S. K. Donaldson
http://www.ams.org/j[...]
[21]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The Shaw Laureates 2009
http://www.shawprize[...]
The Shaw Prize
2009-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