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업재해보상보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업재해보상보험은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에 대한 보상을 위해 마련된 제도로, 독일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되었다. 대한민국은 1964년 산재보험을 도입한 이후,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을 차례로 시행하여 4대 사회보험 체계를 구축했다. 산재보험은 무과실 책임주의를 기반으로 하며, 보험료는 사업주가 부담한다. 보험급여는 요양비, 휴업급여, 장해급여, 유족급여 등으로 구성되며,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각국은 자국의 상황에 맞춰 산재보험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독일, 호주, 캐나다, 영국, 미국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노동법 - 전국노동관계법
    전국노동관계법은 1935년 미국에서 제정된 노동법으로, 노동자들의 단결권과 단체 교섭권을 보장하고 부당 노동 행위를 금지하며, 전국노동관계위원회를 통해 법을 집행하고 노사 분규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미국의 노동법 - 노동 빈곤층
    노동 빈곤층은 노동 인구 중 빈곤선 이하의 소득을 얻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저임금, 불안정한 고용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사회적 지원과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집단이다.
  • 보험의 종류 - 자동차보험
    자동차보험은 자동차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로 인한 손해를 보상하는 보험으로, 전 세계적으로 의무 가입이 일반화되었으며, 차량 소유자, 제3자, 차량 자체의 손해 등을 보장하고 보험료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 보험의 종류 - 재보험
    재보험은 재보험자가 보험료를 받고 출재자가 발행한 보험증권에 따른 손해 일부 또는 전부를 보상하는 거래로, 보험경영 안정화에 필수적이며 위험 분산, 지급여력 유지, 상품 개발 및 이익 평준화에 기여한다.
  • 노동조합 - 파업
    파업은 노동자들이 요구 관철을 위해 벌이는 단체 행동으로, 고대부터 역사가 깊으며, 목적, 방법, 주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사회적 기능과 비용을 함께 발생시킨다.
  • 노동조합 - 노동운동
    노동운동은 산업 혁명 이후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자본가와 공권력에 저항하며 시작되었으며,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국제적인 연대를 통해 노동자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
기본 정보
근로자 보상 보험 로고
근로자 보상 보험 로고
종류손해보험
대상고용주, 근로자
목적업무 관련 부상 또는 질병에 대한 보상
특징과실 유무에 관계없이 보상
관련 법규각 국가 및 주의 법률에 따름
산업재해보상보험 (대한민국)
종류사회보험 (강제 보험)
관할 기관고용노동부/근로복지공단
대상근로기준법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 (일부 예외 존재)
보험료사업주 전액 부담 (일부 특수 형태 고용 종사자는 사업주와 분담)
급여 종류요양 급여
휴업 급여
장해 급여
간병 급여
유족 급여
상병보상연금
장의비
직업재활 급여
특징무과실 책임주의 (고용주의 과실 유무와 관계없이 보상)
포괄주의 (법률에 열거되지 않은 업무상 재해도 인정 가능)
관련 법규산업재해보상보험법
주요 내용
적용 범위업무상 재해, 출퇴근 재해, 업무상 질병
보험료율사업 종류별로 상이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규정)
보험 관계 성립보험 가입 의무 발생 시 자동 성립
보험 관계 소멸사업 폐지, 사업 종료 등 해당 사유 발생 시 소멸
재해 발생 시 조치사업주는 재해 발생 사실을 근로복지공단에 보고해야 함
심사 및 재심사 청구보험 급여 결정에 이의가 있는 경우 심사 및 재심사 청구 가능

2. 역사

세계 최초의 사회보험법(1883년)과 산재보험법(1884년)은 독일에서 제정되었다. 산업재해보상보험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 중 발생한 사고로 생긴 질병, 장해(대부분의 사회보장법에서는 "장해"에서 "장애"로 바꾸어 표현하고 있으나, 산재보험법에서는 장해라는 개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49], 부상, 사망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다.

1884년 오토 폰 비스마르크 프로이센 재상이 제정한 근로자 재해 보험 제도는 유럽 전체, 그리고 나중에는 미국에도 모델로 인용되곤 한다.[1] 초기 프로이센의 실험 이후, 전 세계의 보상 법률 발전은 정책 입안자와 사회 과학자 간의 초국가적 네트워크의 결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각 국가마다 근로자 보상에 대한 고유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보상 법률은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발전했으며, 각국의 보상 법률에 대한 심의는 다른 국가에서의 심의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2]

2. 1. 한국의 산재보험 역사

대한민국에서는 1964년 산업재해보상보험 시행을 시작으로 1977년 국민건강보험, 1988년 국민연금, 1995년 고용보험을 시행하여 현재의 4대 사회보험을 갖추게 되었다.[49]

2. 2. 세계 산재보험 역사

세계 최초의 사회보험법(1883년)과 산재보험법(1884년)은 독일에서 제정되었다. 산업재해보상보험은 특히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 중 발생한 사고의 결과 나타난 질병, 장해(대부분의 사회보장법에서는 기존에 "장해"에서 "장애"로 바꾸어 표현하고 있으나, 산재보험법에서는 장해라는 개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49], 부상, 사망을 보호하기 위하여 발생한 제도이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 프로이센 재상이 1884년 근로자 재해 법률을 제정하면서 시행된 근로자 재해 보험 제도는 유럽 전체, 그리고 나중에는 미국에도 모델로 인용되곤 한다.[1] 초기 프로이센의 실험 이후, 전 세계의 보상 법률 발전은 정책 입안자와 사회 과학자 간의 초국가적 네트워크의 결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각 국가마다 근로자 보상에 대한 고유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보상 법률은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발전했으며, 각국의 보상 법률에 대한 심의는 다른 국가에서의 심의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2]

1884년 7월 6일 오토 폰 비스마르크 재상에 의해 발효된 독일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은 세 번의 시도 끝에 통과되었고, 세계 최초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었다.[22] 1887년 오스트리아, 1894년 노르웨이, 1895년 핀란드에서도 유사한 법률이 통과되었다.[23]

이 법은 농업 및 원예 분야, 해양 산업 종사자, 가족 지원자, 직무 관련 부상 학생을 포함한 모든 민간 임금 노동자와 견습생에게 최대 13주 동안 보상금을 지급했다. 완전 장애가 발생한 근로자는 사고 기금에서 13주 후에도 67%의 지속적인 급여를 받으며, 이는 전적으로 고용주가 재원을 조달한다.

독일의 보상 제도는 많은 국가의 모델이 되었다.

3. 산재보험법의 목적 및 특징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보험법)은 노동자가 업무 중 재해를 입었을 때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고, 재활 및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해 만들어진 법이다. 이 법은 재해 예방과 근로자 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도 포함하여 근로자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산재보험은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갖는다.


  • 업무상 재해에 대해 사용자의 고의나 과실 여부와 관계없이 책임을 지는 무과실책임주의를 따른다.
  • 보험료는 원칙적으로 사업주가 전액 부담한다.
  • 재해 발생 시 실제 손해 전체가 아닌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보상한다.
  • 고용주의 과실을 증명하지 않아도 되며, 근로자는 소송 대신 산재보험을 통해 보상을 받는다.


영미법 국가에서는 고용주가 근로자 부상에 대해 과실 상계, 위험 인수, 동료 종업원 규칙과 같은 방어 수단을 사용할 수 있었으나, 산재보험 제도는 이러한 불합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되었다.[4]

3. 1. 목적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은 산업재해보상보험 사업을 시행하여 노동자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며, 재해근로자의 재활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보험시설을 설치·운영하고, 재해 예방과 그 밖에 근로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을 시행하여 근로자 보호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3]

이 법은 사고와 직접 관련된 임금 손실을 보상하고, 영구적인 신체적 손상 및 의료비를 보상하기 위해 근로자에게 금전적 보상을 제공한다. 또한 업무 관련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한 근로자의 유족에게도 혜택을 제공한다.[3]

몇몇 국가에서는 배타적 구제 조항을 통해 근로자 보상이 부상당한 근로자에게 제공되는 유일한 구제 수단이라고 명시하여, 근로자가 고용주를 상대로 불법 행위 책임을 제기하는 것을 방지한다. 영미법 국가에서 이 제도는 고용주가 이용할 수 있는 불법 행위 방어의 "불길한 삼위일체"(과실 상계, 위험 인수, 동료 종업원 규칙)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았다.[4]

3. 2. 특징


  • 노동자의 업무상 재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고의·과실 유무를 묻지 않고 재해로 인한 손해 배상 책임을 지게 하는 무과실책임주의이다.[3]
  • 보험 사업에 필요한 재원은 원칙적으로 사업주가 전액 부담한다.[3]
  • 산업재해 발생 시 손해 전체를 보상하는 것이 아니라 평균임금을 기초로 보상한다.[3]
  • 산업재해보상보험 법규는 고용주 과실(법적 책임)을 증명할 필요 없이 근로자가 고통 및 정신적 피해와 관련된 배상을 포기하는 대신 소송의 필요성과 불법 행위 (common law) 구제책의 한계를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한다.[3]
  • 영미법 국가에서 이 제도는 고용주가 이용할 수 있는 불법 행위 방어의 "불길한 삼위일체"(과실 상계, 위험 인수, 동료 종업원 규칙)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았다.[4]
  • 캐나다에서 최초로 도입된 사회 프로그램으로, 근로자 단체와 소송을 피하려는 고용주 모두에게 선호되었다.[5]

4. 보험급여의 종류 및 내용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종류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으로 정해진다. 보험급여는 업무상 재해를 입은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것으로,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요양급여''': 업무상 재해로 요양 기간이 4일 이상인 경우 지급한다.[50]
  • '''휴업급여''': 요양으로 취업하지 못한 기간에 대해 지급한다.[51]
  • '''장해급여''': 업무상 재해 치유 후 장해가 남는 경우 지급한다.[52]
  • '''간병급여''': 요양급여 수급자 중 치유 후에도 간병이 필요한 경우 지급한다.
  • '''상병보상연금''': 부상 또는 질병이 2년 이상 경과되어도 치유되지 않는 장기 환자에게 지급한다.[53]
  • '''유족급여''': 업무상 재해로 사망하거나 사망 추정 시 유족에게 지급한다.[54]
  • '''장의비''': 장제 실행에 소요된 비용을 지급한다.[55]
  • '''직업재활급여''': 산재근로자의 재취업 촉진을 위해 지급한다.[56]

4. 1. 보험급여의 종류

보험급여 종류설명
요양급여업무상 재해로 요양 기간이 4일 이상인 경우, 국민건강보험 진료수가 범위 내에서 요양비 전액을 지급한다.[50]
휴업급여요양으로 취업하지 못한 기간 1일에 대해 평균임금의 70% 상당액을 지급한다.[51]
장해급여업무상 재해 치유 후 장해가 남는 경우, 장해 정도에 따라 지급한다.[52]
간병급여요양급여 수급자 중 치유 후에도 상시 또는 수시 간병이 필요한 경우 지급한다.
상병보상연금부상 또는 질병이 2년 이상 경과되어도 치유되지 않고 폐질등급 1~3급에 해당하는 장기 환자에게 휴업급여 대신 지급한다.[53]
유족급여업무상 재해로 사망하거나 사망 추정 시 유족의 생활 보장을 위해 지급한다.[54]
장의비장제 실행에 소요된 비용을 지급한다.[55]
직업재활급여산재근로자의 재취업 촉진을 위한 직업훈련비용, 직업훈련수당, 직장복귀지원금 등을 지급한다.[56]


4. 2. 보험급여 산정 기초

보험급여 중 휴업급여, 장해급여, 유족급여, 상병보상연금 및 장의비를 지급하기 위해서는 그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을 먼저 산정해야 한다.[1] 다만, 평균임금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4조에 따라 노동부장관의 평균임금 산정특례에 의해 결정한다.[1]

진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병으로 보험급여를 받게 되는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을 적용하는 것이 근로자 보호에 적당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직업병에 걸린 사람에 대한 평균임금 산정특례'를 적용한다.[2] 일용직 근로자와 같이 근로의 계속성이 보장되지 않는 근로자의 경우에는 통상근로계수에 의해 평균임금을 산정한다.[2]

5. 보험급여 수급권 보호 및 소멸시효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서는 보험급여를 받을 권리(수급권)를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시효가 완성되어 더 이상 수급자가 수급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된다고 규정한다.[1] 따라서 소멸시효 중단을 위해서는 보험급여를 청구해야 하며, 업무상 재해 여부 판단이 필요한 최초 요양급여(재요양급여) 신청은 다른 보험급여에도 시효 중단 효력을 발생시킨다.[1]

5. 1. 수급권 보호

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는 권리인 수급권은 노동자와 그 유족의 생활 안정을 위하여 양도, 압류, 담보 제공이 법률로 금지되고 있다. 또한 수급권은 노동자가 퇴직하더라도 소멸하지 않는다. 다만, 수급권을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시효에 의하여 소멸한다. 노동자가 사망하여 각종 보험급여를 청구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사망한 노동자의 유족이 청구권자가 되며, 이때 유족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65조에 따라 청구 순위가 결정된다.

5. 2. 소멸시효

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는 권리(수급권)는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시효가 완성되어 더 이상 권리를 행사할 수 없다.[1] 소멸시효 중단을 위해서는 보험급여를 청구해야 한다.[1] 업무상 재해 여부 판단이 필요한 최초 요양급여(재요양급여) 신청을 하면 다른 보험급여에도 시효 중단 효력이 발생한다.[1]

6. 각국의 산업재해보상보험

오토 폰 비스마르크 프로이센 재상이 1884년에 근로자 재해 보험 제도를 시행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가 확산되었다.[1] 각국의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는 각국의 역사, 사회,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2]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제정한 근로자 재해 보험 제도는 유럽과 미국에 모델로 인용되곤 한다.[1] 1887년 오스트리아, 1894년 노르웨이, 1895년 핀란드에서도 유사한 법률이 통과되었다.[23]

일본에서 노동자 재해 보상 보험은 고용 보험과 함께 노동 보험이라고 통칭된다.[26][27]

1923년에는 근로자 보상법이 도입되어, 고용주의 책임 보상 및 보상액을 포함하며, 근로자 보상법, 사망 사고법, 그리고 관습법에 따른 근로자를 포괄한다. 2017년 피고용자 보상(개정)법에 의해 수정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근로자 보상 보험이 의무이며, ''국립 산재 보험 공단(Istituto nazionale per l'assicurazione contro gli infortuni sul lavoro)''에서 제공한다.[25]

6. 1. 호주

호주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노동 운동의 영향으로 법정 보상 제도가 일찍 시행되었다. 각 주(State)마다 자체적인 법률과 관리 기구를 가지고 있다.[6]

빅토리아 주의 워크세이프 빅토리아는 직장 안전 시스템 관리, 직업 및 안전 법률 시행, 직장 상해 보험 제공, 부상 근로자 지원 등의 역할을 한다.[6]

뉴사우스웨일스 주에서는 2013년에 보상법이 개정되어 신체적 부상은 11%, 정신적 부상은 15%의 전신 장애(WPI) 기준이 적용되어 청구 절차가 신속해지고 청구 건수가 줄었다.[7]

각 주 및 특별 행정구의 근로자 보상 규제 기관은 다음과 같다:[8]

주/특별 행정구기관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특별구워크 세이프 법
뉴사우스웨일스 주주 보험 규제 당국(구 WorkCover NSW)
노던 준주NT 워크 세이프
퀸즐랜드 주근로자 보상 규제 기관(구 Q-COMP)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ReturnToWork SA (2015년 7월 1일부터)
태즈메이니아 주워크커버 태즈메이니아
빅토리아 주워크세이프 빅토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워크커버 WA



모든 고용주는 자신에게 적용되는 주, 특별 행정구 또는 연방 법률을 준수해야 한다.

6. 2. 캐나다

캐나다에서 산업재해보상보험은 최초로 도입된 사회 프로그램으로, 근로자 단체와 소송을 피하려는 고용주 모두에게 선호되었다. 이 시스템은 온타리오 수석 판사 윌리엄 메레디스의 조사 이후에 등장했는데, 메레디스는 근로자가 고용주를 고소할 권리를 포기하는 대가로 직장 부상에 대해 보상받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각 주에서 프로그램 도입일은 서로 달랐다.

도입 연도
온타리오1915년
노바스코샤1915년
매니토바1916년
브리티시컬럼비아1917년
앨버타1918년
뉴브런즈윅1918년
서스캐처원1930년



산업재해보상보험은 여전히 주의 책임이며, 따라서 관련 규칙은 주마다 다르다. 온타리오의 작업장 안전 및 보험 위원회와 같은 일부 주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작업장 안전을 보장하는 예방적 역할도 한다.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는 직업 보건 및 안전 의무(규정을 제정하고, 검사하며, 행정적 벌칙을 평가하는 권한 포함)가 브리티시컬럼비아 근로자 보상 위원회(WorkSafeBC)에 법적으로 할당된다. 대부분의 주에서 근로자 보상 위원회는 보험에만 관여한다. 모든 주의 근로자 보상 보험 시스템은 고용주가 급여, 산업 부문, 그리고 작업장에서의 부상 이력(또는 부상 미발생)에 따라 자금을 지원받는다(일반적으로 "경험 평가"라고 한다).

6. 3. 독일

오토 폰 비스마르크 재상에 의해 1884년 7월 6일 발효된 독일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은 세 번의 시도 끝에 통과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었다.[22] 이 법은 농업 및 원예 분야, 해양 산업 종사자, 가족 지원자, 직무 관련 부상 학생을 포함한 모든 민간 임금 노동자와 견습생에게 최대 13주 동안 보상금을 지급했다. 완전 장해가 발생한 근로자는 사고 기금에서 13주 후에도 67%의 지속적인 급여를 받았으며, 이는 전적으로 고용주가 재원을 조달했다.

독일의 보상 제도는 많은 국가의 모델이 되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 프로이센 재상이 제정한 근로자 재해 보험 제도는 유럽 전체, 그리고 나중에는 미국에도 모델로 인용되곤 한다.[1] 1887년 오스트리아, 1894년 노르웨이, 1895년 핀란드에서도 유사한 법률이 통과되었다.[23]

6. 4. 일본

일본에서 노동자 재해 보상 보험은 고용 보험과 함께 노동 보험이라고 통칭된다.[26][27] 노동자 재해 보상 보험은 노동기준감독서에서 관리한다.[28]

6. 5. 영국

영국은 독일의 산업재해보상보험 모델을 따랐다. 자유연합당의 지도자 조셉 체임벌린은 1897년 근로자 보상법(Workmen's Compensation Act 1897)을 설계했는데, 이 법은 특정 산업(철도, 세탁소 등)에만 적용되었지만 중요한 성과였다. 이 시스템은 고용주가 가입해야 하는 보험을 통해 보상이 지급되었기 때문에 정부의 비용 없이 사회적 목적을 달성했다. 1897년부터 1946년까지 운영되었다.[35]

이후 1906년 근로자 보상법(Workmen's Compensation Act 1906)을 통해 산업 질병까지 보상 범위가 확대되었고, 1946년 국민 보험(산업 재해)법(National Insurance (Industrial Injuries) Act 1946)에 따라 국가 보상 제도로 대체되었다. 1976년부터 이 국가 제도는 영국의 사회 보장법에 명시되어 있다.[36]

현재 영국 내 근로 관련 안전 문제는 보건 및 안전 집행 기관(Health and Safety Executive, HSE)에서 감독하며, 고용주와 근로자가 법정 규칙과 규정을 준수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37] HSE는 사업장 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 보호, 위험 평가, 근로자 교육 등 고용주의 의무를 시행한다.[38]

1969년 고용주 책임(강제 보험)법(Employer's Liability (Compulsory Insurance) Act 1969)에 따라, 모든 고용주는 의무적으로 고용주 책임 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몇가지 예외 존재) 현재 필요한 최소 보상 한도는 사고당 500만파운드이다.[40]

다음은 고용주 책임 보험이 필요하지 않은 고용주이다.

면제 대상
지방 자치 단체(local authorities) (단, 민사 교구(Civil parish) 위원회 제외)
지방 자치 단체 구성원이 포함된 공동 이사회 또는 위원회
경찰 당국
국유화된 산업 또는 그 자회사
공공 기금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특정 기관
해상 시설, 선박 또는 호버크래프트의 선원을 고용하는 경우, 선주 또는 선주 및 기타의 상호 보험 협회로 보험에 가입한 경우
보건 서비스 기관 또는 NHS 트러스트(NHS Trust)[41]



근로자는 고용주와 근로 또는 도급 계약을 체결했거나 그 아래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으로 정의된다.

다음은 근로자로 분류되지 않아 면제되는 대상이다.

면제 대상
근로자가 아닌 사람(예: 고용주의 근로자가 아닌 독립 계약자)
사업이 아닌 활동에 고용된 사람(예: 가사 도우미)
고용주와 관련된 사람 – 배우자, 부모, 조부모, 계부모, 자녀, 손자, 의붓자녀, 형제자매, 이복형제 또는 이복자매
일반적으로 영국에 거주하지 않으며 14일 미만의 연속 근무를 하는 사람


6. 6. 미국

미국에서는 2018년 기준으로 텍사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에서 거의 모든 고용주에게 어떤 형태의 근로자 보상이 일반적으로 의무 적용된다(조직의 특징에 따라 다름).[43] 의무 요건과 관계없이 기업은 자발적으로 보험에 가입할 수 있으며, 미국에서 정책은 일반적으로 의무 보상에 대한 파트 1과 비의무 보상에 대한 파트 2를 포함한다.[44] 많은 주에서 근로자 보상 책임을 충당할 충분한 자금이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 고용주는 보험 구매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는 자체 보험에 가입할 수 있다.[45] 1949년까지 모든 주에서 근로자 보상 프로그램을 제정했다.[46]

대부분의 주에서 근로자 보상 청구는 종종 사실심리자 역할을 하는 행정 법원 판사가 처리한다.[47]

1900년대 초에 등장한 근로자 보상 법률은 1911년 위스콘신이 위헌 판결을 받지 않은 법을 통과할 때까지 위헌으로 기각되었으며, 1920년까지 42개 주에서 근로자 보상 법률을 통과시켰다.[48]

6. 7. 기타 국가

1923년 3월 5일에 근로자 보상법이 도입되었다.[24] 이는 고용주의 책임 보상 및 보상액을 포함하며, 근로자 보상법, 사망 사고법, 그리고 관습법에 따른 근로자를 포괄한다. 2017년 피고용자 보상(개정)법에 의해 수정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근로자 보상 보험이 의무이며, ''국립 산재 보험 공단(Istituto nazionale per l'assicurazione contro gli infortuni sul lavoro)''에서 제공한다.[25]

1952년 근로자 보상법[29]영국의 1906년 근로자 보상법을 모델로 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영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전에 채택되었으며, 현재는 국민이 국가 사회 보장 제도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말레이시아 비(非) 근로자에게만 적용된다.

1917년 멕시코 헌법은 직장 관련 질병 또는 사고에 대한 고용주의 지급 의무를 규정했다. 또한 사회 보장을 근로자의 권리를 관리하는 기관으로 정의했지만, 1943년에야 멕시코 사회 보장 연구소(IMSS)가 설립되었다.[30] IMSS는 근로자와 기업의 등록, 징수, 위험 및 사건 분류, 의료 및 재활 서비스를 포함하여 수직적으로 통합된 방식으로 업무 위험 보험을 관리한다. 1997년의 개혁은 기여금이 각 고용주의 경험과 관련이 있음을 정의했다. 공공 부문 근로자는 IMSS와 유사한 기업 및 운영 구조를 가진 사회 보장 기관의 적용을 받는다.[31][32]

참조

[1] 서적 Dying to Work: Death and Injury in the American Workplace 2017
[2] 서적 Atlantic Crossings: Social Politics in a Progressive Age 2009
[3] 웹사이트 Workers' Compensation https://www.law.corn[...]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2014-02-07
[4] 간행물 Workers' Compensation Law & the Remedial Waiver https://lawpublicati[...] 2016
[5] 서적 Workers' Compensation and Employee Protection Laws St. Paul: West Academic Publishing 2017
[6] 문서 About WorkSafe Victoria – WorkSafe Victoria is the manager of Victoria's workplace safety system. Broadly, the responsibilities of WorkSafe are the following: * help avoid workplace injuries occurring * enforce Victoria's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laws * provide reasonably priced workplace injury insurance for employers * help injured workers back into the workforce * manage the workers' compensation scheme by ensuring the prompt delivery of appropriate services and adopting prudent financial practices.
[7] 서적 WorkCover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WorkCover NSW 2009
[8] 웹사이트 Australian Labour Law http://www.hcalawyer[...] Henry Carus & Associates 2013-07-08
[9] 웹사이트 Safety, Rehabilitation and Compensation Act 1988 http://www.austlii.e[...] 2016-03-05
[10] 웹사이트 Wayback Machine has not archived that URL. https://web.archive.[...] 2016-03-05
[11] 웹사이트 Workplace Injury Management and Workers Compensation Act 1998 No 86 http://www.legislati[...] 2016-03-05
[12] 웹사이트 Work Health and Safety (National Uniform Legislation) Regulations (No 59 of 2011) http://www.austlii.e[...] 2016-03-05
[13] 웹사이트 ACT legislation register – Workers Compensation Act 1951 – main page http://www.legislati[...]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2018-05-04
[14] 웹사이트 Workers' Compensation and Rehabilitation Act 2003 http://www.austlii.e[...] 2016-03-05
[15] 웹사이트 South Australian Legislation https://www.legislat[...] 2018-05-04
[16] 웹사이트 WORKERS REHABILITATION AND COMPENSATION ACT 1988 http://www.austlii.e[...] 2018-05-04
[17] 웹사이트 WORKPLACE INJURY REHABILITATION AND COMPENSATION ACT 2013 http://www.austlii.e[...] 2016-09-26
[18] 웹사이트 Workers' Compensation and Injury Management Act 1981 http://www.austlii.e[...] 2016-03-05
[19] 문서 'An Act for Insurance Against Accidents' 1884-07-06
[20] 웹사이트 US Dept. of Labor, 'The Job Safety Law of 1970: Its Passage Was Perilous' https://web.archive.[...]
[21] 서적 'A History of Modern Germany – 1840–1945'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22] 웹사이트 Munich Re – Histor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in Germany http://www.munichre.[...] 2018-05-04
[23] 웹사이트 Washburn Law Journal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THE WORKMEN'S COMPENSATION ACT, 1923 http://labour.gov.in[...] 2023-09-22
[25] 웹사이트 "Istituto Nazionale per l'Assicurazione contro gli Infortuni sul Lavoro {{!}} Healthy Workplaces - Safe and healthy work in the digital age 2023-2025" https://healthy-work[...] 2024-04-02
[26] 웹사이트 4.9.1 Labor and social insurance systems http://www.jetro.go.[...] JETRO website 2012-06-16
[27] 웹사이트 Labor Costs http://www.jil.go.jp[...] The Japan Institute for Labor Policy and Training 2012-06-16
[28] 웹사이트 Workers' Accident Compensation Q&A http://www.generalun[...] General Union website 2012-06-17
[29] 웹사이트 Malaysia – Worker's Compensation Act, 1952 (Act 273). http://www.ilo.org/d[...] 2018-05-04
[30] 웹사이트 Sitio Web del IMSS http://www.imss.gob.[...]
[31] 웹사이트 Occupational injuries -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the statistics https://www.ilo.org/[...] 2024-04-02
[32] 웹사이트 Entornos Laborales Seguros y Saludables ELSSA https://www.issa.int[...] 2024-04-02
[33] 웹사이트 Health & disability - Overview of the ACC scheme https://communitylaw[...] 2024-04-02
[34] 웹사이트 New Zealand's universal no‑fault accident compensation scheme: Embedding community responsibility https://www.research[...] 2019-04
[35] 서적 The First British Workmen's Compensation Act of 1897 1968
[36] 서적 Workmen's Compensation in Twentieth Century Britain: Law, History, and Social Policy Gower 1987
[37] 웹사이트 HSE: Information about health and safety at work http://www.hse.gov.u[...] 2018-05-04
[38] 웹사이트 Employer's responsibilities: Workers' health and safety https://www.hse.gov.[...] 2021-01-16
[39] 웹사이트 Who is responsible for workplace health and safety? https://www.britsafe[...] 2024-04-02
[40] 웹사이트 Employers' liability insurance https://www.gov.uk/e[...] UK Government 2022-09-20
[41] 서적 Industrial engineering projects: practice and procedures for capital https://books.google[...]
[42] 서적 Workmen's Compensation in Twentieth Century Britain: Law, History, and Social Policy 1987
[43] 웹사이트 Is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Required in all states https://www.employer[...] 2018-11-24
[44] 웹사이트 Workers' Compensation and Employers Liability Policy {{!}} Insurance Glossary Definition {{!}} IRMI.com https://www.irmi.com[...] 2018-11-24
[45] 서적 Injury Impoverished: Workplace Accidents, Capitalism, and Law in the Progressive Era 2021
[46] 웹사이트 eh.net Fishback https://eh.net/encyc[...]
[47] 간행물 Master or Chancellor? The Workers' Compensation Judge and Adjudicatory Power https://digitalcommo[...] 2012
[48] 뉴스 Workers' Compensation History: The Great Tradeoff! https://www.insuranc[...] 2018-11-24
[49] 서적 산재보험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근로복지공단 2004
[50] 법률 산업재해보상보험법
[51] 법률 산업재해보상보험법
[52] 법률 산업재해보상보험법
[53] 법률 산업재해보상보험법
[54] 법률 산업재해보상보험법
[55] 법률 산업재해보상보험법
[56] 법률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