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티냐시오 성당 (로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티냐시오 성당 (로마)은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한 바로크 양식의 성당으로, 1551년 설립된 로마 대학교의 확장을 위해 17세기에 건설되었다. 1626년 건축이 시작되어 1650년 일반 예배를 위해 문을 열었으며, 1722년 공식 헌당되었다. 성당은 라틴 십자형 평면을 가지고 있으며, 안드레아 포초의 트롱프뢰유 프레스코화, 피에르 르 그로의 조각,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장식되어 있다. 현재 산티냐시오 디 로욜라 아 캄포 마르치오의 추기경 부제직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50년 완공된 건축물 - 스탓하위스
스탓하위스는 말레이시아 믈라카에 위치한 역사적인 건축물로,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에 총독 관저로 건설되어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는 믈라카 역사 민족학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로마의 로마 가톨릭 성당 - 판테온 (로마)
판테온은 고대 로마 건축물로, 돔과 주랑 현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8년부터 128년 사이에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재건되었고, 로마의 모든 신들을 위한 신전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가톨릭 성당으로 사용된다. - 로마의 로마 가톨릭 성당 - 성 베드로 대성전
성 베드로 대성전은 로마 4대 성전이자 바티칸 시국의 가장 중요한 건축물이며 기독교 성지로, 예수의 사도 성 베드로의 무덤 위에 세워졌고, 1506년 착공하여 1626년 완공되었으며, 돔과 내부의 예술 작품들이 특징이다.
산티냐시오 성당 (로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이름 | 산티냐시오 성당 |
전체 이름 | 캄포 마르초의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성당 |
현지 이름 | langx|it|Chiesa di Sant'Ignazio di Loyola in Campo Marzio langx|la|Ecclesia Sancti Ignatii a Loyola in Campo Martio |
![]() | |
위치 | 이탈리아 로마 비아 델 카라비타 8A |
교파 | 가톨릭교회 |
종교 단체 | 예수회 |
웹사이트 | http://santignazio.gesuiti.it/ |
이전 이름 | 해당 사항 없음 |
교황 칙서 날짜 | 해당 사항 없음 |
설립 날짜 | 해당 사항 없음 |
설립자 | 해당 사항 없음 |
봉헌 | 해당 사항 없음 |
봉헌 날짜 | 해당 사항 없음 |
축성 날짜 | 1722년 |
유물 |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 성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성 요한 베르크만스 |
지위 | 본당 명예 성당 지역 교회 |
기능적 지위 | 운영 중 |
문화유산 지정 여부 | 해당 사항 없음 |
문화유산 지정 날짜 | 해당 사항 없음 |
건축가 | 오라치오 그라시, S.J. |
건축 양식 | 바로크 건축 |
건설 연도 | 해당 사항 없음 |
기공일 | 1626년 8월 2일 |
완공일 | 1650년 |
수용 인원 | 해당 사항 없음 |
길이 | 90m |
폭 | 50m |
네이브 폭 | 25m |
높이 | 해당 사항 없음 |
지름 | 해당 사항 없음 |
기타 치수 | 파사드 방향: N |
돔 개수 | 1개 |
외부 돔 높이 | 해당 사항 없음 |
내부 돔 높이 | 해당 사항 없음 |
외부 돔 지름 | 해당 사항 없음 |
내부 돔 지름 | 해당 사항 없음 |
교구 | 해당 사항 없음 |
교구 | 로마 |
관할 구역 | 해당 사항 없음 |
2. 역사
1551년 Collegio Romanoit가 개교하면서 "''문법, 인문, 기독교 교리의 학교. 무료''"라는 간결한 목적을 담은 비문을 내걸었지만,[2] 초기에는 재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4] 1560년, 비토리아 델라 톨파[3] 델라 발레 후작 부인이 사망한 남편을 기리기 위해 예수회에 자신의 가문 소유 도시 블록과 건물들을 기증하면서 Collegio Romanoit가 설립되었다.
예수회는 자체 건축가인 조반니 트리스타노를 고용하여 1567년에 수태고지 교회를 완공하였다. 17세기 초, 학생 수가 2,000명이 넘어가면서 낡은 교회는 비좁아졌고,[1] 교황 그레고리오 15세는 이냐시오 데 로욜라 성인 추대 이후, 조카 루도비코 루도비시 추기경에게 새 교회 건설을 제안하였다. 루도비시 추기경은 예수회 수학자 오라치오 그라시의 설계를 선택했다.
1626년에 기초석이 놓였고, 1650년에 낡은 수태고지 교회가 철거되면서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교회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었다. 이 교회는 1650년 희년에 일반 예배를 위해 문을 열었고, 1722년에 안토넬리체 존다다리 추기경에 의해 공식적으로 헌당되었다.[12] 현재 교회의 입구는 로코코 양식의 산 이냐치오 광장을 바라보고 있으며, 이는 건축가 필리포 라구치니가 설계했다.[12]
2. 1. 설립 배경
1551년에 개교한 Collegio Romano|로마 대학교it는 초기 몇 년 동안 재정적인 문제에 시달렸다.[4] 1560년, Vittoria della Tolfa(비토리아 델라 톨파) Marchesait della Valle(델라 발레 후작 부인)는 남편을 기리기 위해 자신의 가문 소유의 도시 블록과 건물들을 예수회에 기증하여 Collegio Romano|로마 대학교it를 설립하게 했다.[4] 그녀는 이전에 가난한 클라라 수녀회에 기증하여 수도원을 설립하려 했으나,[5] 예수회가 땅을 얻었지만, 교회 완공 자금은 지원받지 못했다. 예수회 건축가인 Giovanni Tristano(조반니 트리스타노)가 건설을 맡아 1567년에 수태고지 교회가 완공되었다.17세기 초, 2,0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대학에 다니면서 낡은 교회는 비좁아졌다.[1] 로마 대학교의 옛 제자였던 교황 그레고리오 15세는 이냐시오 데 로욜라 성인 추대 이후, 조카인 Ludovico Ludovisi(루도비코 루도비시) 추기경에게 새 교회 건설을 제안했다. 루도비시는 예수회 수학자 Orazio Grassi(오라치오 그라시)의 설계를 선택했다.
1626년에 기초석이 놓였고, 낡은 교회는 1650년에 철거되어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교회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었다. 이 교회는 1650년 희년에 일반 예배를 위해 문을 열었고, 1722년에 공식 헌당되었다.
2. 2. 수태고지 교회 (1562-1650)
1560년, 비토리아 델라 톨파(비토리아 델라 톨파)[3] 델라 발레 후작 부인은 사망한 남편인 오르시니 후작을 기리기 위해 자신의 가문 소유의 도시 블록 전체와 그곳에 있던 기존 건물들을 예수회에 기증하여 Collegio Romano|로마 대학교it를 설립했다.[4] 그녀는 이전에 이 땅을 가난한 클라라 수녀회에 기증하여 수도원을 설립하려 했다.[5] 수녀들은 이미 이시스 신전이 있던 자리에 Santa Maria della Nunziata 교회를 짓기 시작했다.[6][7][1]예수회는 후작 부인의 땅을 얻었지만, 교회를 완공하기 위한 자금은 받지 못했다. 예산 제약으로 인해 자체 건축가를 고용해야 했다. 교회 건설은 예수회 건축가인 조반니 트리스타노(Giovanni Tristano)가 맡았다. 예수회 인력만으로 건설된 수태고지 교회는 1567년에 처음 예배에 사용되었다. 1562년과 1567년 사이에 로마 대학교가 이전 건축물의 기초 위에 지은 지극히 거룩한 수태고지()를 위한 3개의 통로가 있는 교회가 건설되었다. 1555년에 이미 이전 교회가 지상 1층 높이까지 지어졌기 때문에, 예수회는 로마 대학교에 다니는 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구조를 확장할 방법이 없었다. 정면은 동시대에 지어진 Sant'Andrea al Quirinale 교회와 매우 유사했으며, 이 교회 또한 조반니 트리스타노(조반니 트리스타노)가 설계했다. 후작 부인의 뜻에 따라, 정면에는 오르시니 가문의 문장이 전시되었다. 수태고지 교회는 1580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로마 대학교 자체, 특히 측면 예배당을 확장하면서 확장되었다.
17세기 초, 2,000명이 넘는 여러 나라 출신의 학생들이 이 대학에 다니게 되면서 낡은 교회는 부족해졌다.[1] 낡은 교회는 결국 1650년에 철거되어 1626년에 시작하여 세기 말에 완공된 웅장한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교회를 위한 공간을 마련했다.
2. 3. 성 이냐시오 성당 건설 (1626-1685)
Collegio Romano|italic=noit(로마 대학교)는 1622년 이냐시오 데 로욜라의 성인 추대 이후, 예수회 창립자를 위한 새 교회를 대학 자체에 세울 것을 제안받았다. 여러 건축가들의 설계 의뢰를 받았는데, 그 중에는 카를로 마데르노도 있었다. 최종적으로는 로마 대학교의 교수였던 예수회 수학자 오라치오 그라시가 그린 설계를 선택했다.1626년 8월 2일에 기초석이 놓였는데, 이는 로마 대학교 소유의 건물 일부를 해체해야 했기 때문이다. 낡은 교회는 1650년에 철거되어 1626년에 시작하여 세기 말에 완공된 웅장한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교회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였다. 수태고지 교회와는 대조적으로,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교회는 완공되었을 때 전체 블록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이 교회는 1650년 희년을 맞아 일반 예배를 위해 문을 열었다. 교회의 최종적인 공식 헌당은 1722년 안토넬리체 존다다리 추기경에 의해 거행되었다.[12]
3. 건축 및 예술
산티냐시오 성당은 라틴 십자형 평면 구조에 수많은 측면 예배당을 가지고 있으며, 제수 성당에서 영감을 받은 웅장한 코린트식 기둥, 다채로운 대리석, 회반죽 조각, 금박 장식 등으로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특히, 예수회 수도자 안드레아 포초가 그린 천장 프레스코화와 트롱프뢰유 기법으로 그려진 돔은 성당 내부를 더욱 웅장하고 신비롭게 만든다.
본당 천장에는 성 이냐시오와 예수회의 업적을 기리는 프레스코화가 그려져 있는데, 선 원근법, 빛과 그림자를 교묘하게 사용하여 마치 천장이 열리고 하늘에서 성 이냐시오가 영접받는 듯한 환상적인 장면을 연출한다.[11] 본당 바닥에는 이 환상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지점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실제 돔 대신 캔버스에 트롱프뢰유 기법으로 돔을 그려 넣어 마치 실제 돔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12]
포초는 동쪽 압시스에도 성 이냐시오의 생애와 신격화를 묘사한 프레스코화를 그렸는데,[1] 팜플로나 공성전에서 부상당하는 장면, 라 스토르타 예배당에서의 환상,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를 인도에 파견하는 장면, 프란체스코 보르자를 영접하는 장면 등이 묘사되어 있다.
성당 내부에는 알레산드로 알가르디가 조각한 '웅장함과 종교'(1650) 조각 그룹,[12] 카밀로 루스코니가 제작한 성 이냐시오의 거대한 회반죽 조각상(1728) 등 다양한 예술 작품들이 있다. 또한, 성당에는 알로이시우스 곤자가,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요한 베르크만스 성인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으며,[9] 바톨 카시치의 묘소도 있다.[10]
성당 오른쪽에는 성 스타니슬라오 코스트카와 장 프랑수아 레지가 성모와 아기 예수에게 경배하는 모습의 제단화, 성 요셉과 성모를 묘사한 제단화, 프란체스코 트레비사니의 '성 루이지 곤자가의 마지막 영성체', 스테파노 포치의 '성모의 성전 봉헌' 등의 작품이 있다. 왼쪽 측랑에는 필리포 델라 발레의 '수태고지' 제단화, 피에트로 브라치의 우화적 인물과 천사 조각, 포초의 '성모 승천' 프레스코 천장 등이 있다.
오른쪽 측랑 예배당에는 피에르 르 그로의 '영광 속의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1697–99) 대리석 부조가 있으며,[14] 안드레아 포초가 그린 '성인의 영광' 천장화도 있다. 교회 사제관 바로 오른쪽 예배당에는 교황 그레고리오 15세와 루도비코 루도비시 추기경의 장례 기념물이 있는데, 피에르 르 그로가 설계하고 제작했다.
3. 1. 내부 구조
성당은 라틴 십자형 평면을 가지고 있으며, 수많은 측면 예배당이 있다. 이 건물은 로마의 예수회 모교회인 제수 성당(16세기 말 완공)에서 영감을 받았다. 내부 전체를 감싸는 웅장한 코린트식 기둥과 넓은 동쪽 앱스 뒤편의 높은 제단을 극적으로 강조한 점, 성당의 다채로운 대리석, 생동감 넘치는 회반죽 조각, 풍성하게 장식된 제단, 광범위한 금박, 그리고 교차로와 본당 천장의 대담한 ''트롱프뢰유'' 회화는 모두 축제적이고 호화로운 효과를 낸다. 돔을 건설할 자금이 부족했기에, 돔의 환영을 그릴 화가를 고용했다.[8]본당의 서쪽 벽에는 알레산드로 알가르디가 조각한 ''웅장함과 종교'' (1650) 조각 그룹이 있다. 알가르디는 또한 예배당 입구 바로 위와 본당의 웅장한 엔타블러처 아래, 양쪽 옆 본당 벽에 걸쳐 있는 회반죽으로 된 높은 부조를 디자인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성당의 다른 작품으로는 카밀로 루스코니가 제작한 성 이냐시오의 거대한 회반죽 조각상(1728)이 있다.[12] 알로이시우스 곤자가,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요한 베르크만스 성인이 성당에 묻혀 있다.[9] 성당은 또한 바톨 카시치의 묘소이기도 하다.[10]

오른쪽 첫 번째 예배당에는 18세기 제단화가 있는데, 여기에는 '성 스타니슬라오 코스트카와 장 프랑수아 레지가 성모와 아기 예수를 경배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두 번째 예배당에는 ''성 요셉과 성모''를 묘사한 제단화와 프란체스코 트레비사니 (1656–1746)가 그린 '성 루이지 곤자가의 마지막 영성체'를 묘사한 루네트(오른쪽 벽)가 있으며, 돔은 루이지 가르지가 그렸다. 세 번째 예배당에는 스테파노 포치가 그린 '성모의 성전 봉헌'이라는 18세기 제단화가 있다.
오른쪽 측랑에 있는 예배당은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에게 봉헌되었으며, 프랑스 조각가 피에르 르 그로가 제작한 '영광 속의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14](1697–99)를 묘사한 대형 대리석 부조가 있다. 안드레아 포초가 천장을 그렸는데, 여기에는 '성인의 영광'도 묘사되어 있다. 곤자가 옆 측면에 묻혀 있는 사람은 성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추기경이다.
왼쪽 측랑에 있는 예배당에는 성 요한 베르크만스의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교회 사제관 바로 오른쪽에 있는 예배당(남동쪽 모서리)에는 교회의 설립자인 교황 그레고리오 15세와 그의 조카 루도비코 루도비시 추기경의 장례 기념물이 있다. 피에르 르 그로는 기념비를 설계하고, 두 명의 날개 달린 의인화인 파메는 피에르-에티엔 모노가 제작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1709–14년경에 직접 제작했다.
왼쪽 측랑에 있는 예배당에는 필리포 델라 발레가 제작한 대리석 제단화 '수태고지'와 피에트로 브라치가 그린 우화적 인물과 천사(1649), 포초가 그린 '성모 승천'이 있는 프레스코 천장이 있다. 왼쪽의 두 번째 및 첫 번째 예배당에는 예수회원인 피에르 드 라트르의 그림이 있으며, 그는 사제관 그림도 그렸다.[15]
3. 2. 안드레아 포초의 프레스코화

예수회 평신도 수도자인 안드레아 포초는 1685년경 본당 천장 전체에 걸쳐 웅장한 프레스코화를 그렸다.[11] 이 작품은 성 이냐시오와 예수회의 업적을 기리고 있으며,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가 성인을 천국으로 영접하는 모습과, 네 대륙의 상징적인 표현들이 묘사되어 있다.
선 원근법, 빛, 그림자를 교묘하게 사용하여, 그는 교회의 거대한 통 천장을 이상화된 아울라로 만들었고, 그곳에서 관람객들은 열린 하늘로 성 이냐시오가 영접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11] 포초는 본당의 통 천장의 실제 표면을 열고, 심지어 녹여서 관람자가 밝은 하늘로 열리고 위로 떠오르는 인물들로 가득 찬 거대하고 높은 돔(일종의)을 보도록 작업했다. 본당 바닥 중앙에 놓인 대리석 원반은 관람자가 환상을 완전히 경험할 수 있는 이상적인 지점을 표시한다.
본당 바닥 동쪽에 있는 두 번째 표시는, 교차부를 덮고 있는 캔버스에 그려진 트롱프뢰유 그림에 대한 이상적인 관점을 제공하며, 높고 갈비뼈 모양이며 코퍼 천장으로 덮인 돔을 묘사한다. 여기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돔은 결코 건설되지 않았고, 대신 1685년 안드레아 포초는 돔의 투영이 있는 캔버스 그림을 제공했다. 1685년에 완성된 원래 그림은 화재로 소실되었으며, 1823년 프란체스코 만노는 포초가 남긴 드로잉과 연구를 바탕으로 충실하게 재현했다.[12]

포초는 또한 교차부의 펜던티브에 구약 성경 인물인 유디트, 다윗, 삼손, 야엘을 프레스코화했다.[13]
포초는 또한 동쪽 압시스에 성 이냐시오의 생애와 신격화를 묘사한 프레스코화를 그렸다.[1] 왼쪽의 높은 패널에 있는 팜플로나 공성전은 이냐시오가 부상을 입은 것을 기념하며, 이는 그의 삶을 변화시킨 요양으로 이어졌다. 높은 제단 위의 패널인 '라 스토르타 예배당에서의 성 이냐시오의 환상'은 성인에게 신성한 소명을 부여한 환상을 기념한다. '성 이냐시오가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를 인도에 보낸다'는 외국에서의 공격적인 예수회 선교 활동을 상기시키며, 마지막으로 '성 이냐시오가 프란체스코 보르자를 영접한다'는 예수회 총장이 될 스페인 귀족의 모집을 상기시킨다. 포초는 또한 '역병을 치료하는 성 이냐시오'를 묘사한 콩치의 프레스코화도 담당했다.
3. 3. 기타 예술 작품
성당에는 카밀로 루스코니가 제작한 성 이냐시오의 거대한 회반죽 조각상(1728)이 있다.[12] 알로이시우스 곤자가,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요한 베르크만스 성인이 성당에 묻혀 있다.[9] 성당은 또한 바톨 카시치의 묘소이기도 하다.[10]오른쪽 첫 번째 예배당에는 18세기 제단화가 있는데, '성 스타니슬라오 코스트카와 장 프랑수아 레지가 성모와 아기 예수를 경배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두 번째 예배당에는 '성 요셉과 성모'를 묘사한 제단화와 프란체스코 트레비사니 (1656–1746)가 그린 '성 루이지 곤자가의 마지막 영성체'를 묘사한 루네트(오른쪽 벽)가 있으며, 돔은 루이지 가르지가 그렸다. 세 번째 예배당에는 스테파노 포치가 그린 '성모의 성전 봉헌'이라는 18세기 제단화가 있다.
오른쪽 측랑에 있는 예배당은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에게 봉헌되었으며, 프랑스 조각가 피에르 르 그로가 제작한 '영광 속의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14](1697–99)를 묘사한 대형 대리석 부조가 있다. 안드레아 포초가 천장을 그렸는데, 여기에는 '성인의 영광'도 묘사되어 있다. 곤자가 옆 측면에 묻혀 있는 사람은 성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추기경이다.
왼쪽 측랑에 있는 예배당에는 성 요한 베르크만스의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교회 사제관 바로 오른쪽에 있는 예배당(남동쪽 모서리)에는 교회의 설립자인 교황 그레고리오 15세와 그의 조카 루도비코 루도비시 추기경의 장례 기념물이 있다. 피에르 르 그로는 기념비를 설계하고, 두 명의 날개 달린 의인화인 파메는 피에르-에티엔 모노가 제작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1709–14년경에 직접 제작했다.
왼쪽 측랑에 있는 예배당에는 필리포 델라 발레가 제작한 대리석 제단화 '수태고지'와 피에트로 브라치가 그린 우화적 인물과 천사(1649), 포초가 그린 '성모 승천'이 있는 프레스코 천장이 있다. 왼쪽의 두 번째 및 첫 번째 예배당에는 예수회원인 피에르 드 라트르의 그림이 있으며, 그는 사제관 그림도 그렸다.[15]
4. 매장된 인물
산티냐시오 성당은 다음 인물들의 묘지가 아니다.
- 파올로 데차
- 로베르토 투치
- 루이스 프란시스코 라다리아 페레르
5. 추기경 부제직
산티냐시오 디 로욜라 아 캄포 마르치오의 추기경 부제직은 1991년 6월 28일에 설립되었다. 다음은 그 추기경들이다.
이름 | 재임 기간 |
---|---|
파올로 데차 | 1991년 6월 28일 – 1999년 12월 17일 |
로베르토 투치 | 2001년 2월 21일 – 2011년 2월 12일[1] (2011년 2월 21일부터 2015년 4월 14일까지는 추기경 사제[2]) |
루이스 프란시스코 라다리아 페레르 | 2018년 6월 28일 – 현재 |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Church of St Ignatius of Loyola at Campus Martius
http://www.chiesasan[...]
2009-01-31
[2]
서적
The First Jesuit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3]
논문
Architecture as a public voice for women in sixteenth-century Rome
Blackwell Publishing Ltd
2003-07-16
[4]
서적
Between Renaissance and Baroqu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
문서
Bailey. p 112.
[6]
서적
Between Renaissance and Baroqu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7]
문서
The present façade stands where the [[Roman aqueduct]] [[Acqua Vergine]] once stood, flowing down in a cascade to [[Imperial Rome]].
[8]
서적
Pocket Rome
https://books.google[...]
Avalon
2014-06-24
[9]
뉴스
Church of St. Ignatius in Rome: the jewel of baroque architecture
https://www.romerepo[...]
Rome Reports
2021-01-10
[10]
URL
https://hrcak.srce.h[...]
2024-08
[11]
간행물
Andreas Pozzo.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22-11-15
[12]
웹사이트
The Church of St. Ignatius of Loyola
https://www.turismor[...]
[13]
문서
L. Montalto, "Andrea Pozzo nella chiesa di Sant'Ignazio al Collegio Romano," ''Studi romani'' 6 (1958): 668–679.
[14]
문서
St. Aloyzius Gonzaga in Glory
http://www.wga.hu/ht[...]
[15]
서적
Propaganda and the Jesuit Baroqu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