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티아구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티아구섬은 카보베르데에서 가장 큰 섬으로, 수도 프라이아가 위치하고 있으며, 카보베르데 인구의 절반이 거주한다. 주요 산업은 농업, 관광, 어업, 공업이며, 사탕수수, 옥수수, 바나나, 커피, 망고 등을 재배한다. 섬에서 가장 높은 곳은 안토니아산(436m)이다. 마이우섬과 포구섬 사이에 위치하며, 프라이아 국제공항이 있다. 9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뉘며, 프라이아가 가장 큰 도시이다. 1460년 발견되었으며, 노예 무역의 중심지였다. 독립 이후 인프라가 개선되었으며, 넬슨 만델라 국제공항과 프라이아 항구가 있다. 다양한 고등 교육 기관과 국립 도서관이 위치해 있다. 카보베르데에서 가장 다양한 동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숲이 많다. 축구 등 다양한 스포츠가 행해지며, 여러 경기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보베르데의 섬 - 마이우섬
    마이우섬은 카보베르데에 있는 섬으로, 면적 274.5km2에 최고봉 페노즈산이 있으며, 염전 평야와 주변 해역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16세기 말 정착 이후 소금 산업 발달과 함께 성장했으며, 현재는 농업, 목축업, 어업, 해외 이주민 지원금이 주요 경제 기반이다.
  • 카보베르데의 섬 - 상니콜라우섬
    상니콜라우섬은 카보베르데 바를라벤투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1461년 또는 1462년에 발견되어 17세기부터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산악 지형과 아열대 기후, 가뭄이 특징이고 히베이라 브라바와 타라팔 데 상니콜라우 두 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뉜다.
산티아구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산티아구섬 지도
벨라 비스타 넷 산티아구 지도
별칭요람의 섬 (Ilha-berço)
위치대서양
국가(카보베르데)
면적991km²
길이54.9km
너비28.8km
최고봉피쿠데안토니아산
높이1,392m
인구294,135명 (2015년)
인구 밀도296.8명/km²
행정 구역
지방 자치체프라이아
히베이라그란드드산티아구
산타카타리나
산타크루스
상도밍구스
상로렌수두스오르강스
상미겔
상살바도르두문두
타라팔
최대 도시프라이아
최대 도시 인구151,436명
기타 정보
추가 정보시다드 벨랴, 히베이라 그란데 역사 지구 -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2. 지리

산티아구 섬 전체 지도.


산티아구섬은 카보베르데에서 가장 큰 섬으로, 면적은 991km2이다. 길이는 54.9km이고 너비는 28.8km이다.[5] 섬은 산악 지형이며, 동남쪽은 약간 평평하다. 내륙과 동해안은 계절적으로, 그리고 다소 불규칙적으로 덥고 열대 기후이며 숲이 우거져 있는 반면, 남쪽과 남서쪽은 중앙 고지대의 건조한 우음영을 차지한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피쿠 드 안토니아로, 해발 1392m이며,[5] 섬 중앙에 있는 피쿠스 바로 서쪽에 위치해 있다.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는 북쪽의 아소마다와 타라팔 사이에 있는 세라 말라게타이다. 다른 산맥으로는 상 로렌수 두스 오르강스 자치구의 오르강스와 프라이아 근처의 몬테 다스 바카스가 있다.

산티아구 섬의 서해안은 특히 바이아 두 인페르누에서 험준하며, 동해안과 남해안보다 인구 밀도가 낮다. 가장 중요한 강은 리베이라 세카, 리베이라 그란데 드 산티아구, 리베이라 프린시팔 및 리베이라 다 트리니다데이다. 최남단 지점은 폰타 테메로사이고 최북단 지점은 폰타 모레이아이다.[5]

카보베르데 섬은 자연적으로 매우 황폐화되어 있다. 사하라 사막과 가깝기 때문에 대부분 건조하지만, 높은 산이 있고 대륙에서 멀리 떨어진 섬에서는 지형 효과(지형성 강수)로 습도가 훨씬 높아 작은 고지대 열대 우림 서식지를 형성하지만, 인간의 영향이 크다. 높은 산의 북동쪽 경사면은 대부분의 해에 여러 번 폭우를 겪는다. 고도가 높아 기후는 온화하고 계절에 따라 가뭄이 있지만, 토양은 일반적으로 습하다. 산티아구 섬과 같은 일부 섬에는 빽빽한 수분이 응축되어 식물과 토양을 적시는 운무림이 있다.

산티아구 섬은 마이우섬포구섬 사이에 위치한 소타벤토 제도(풍하 제도)의 하나이다.

2. 1. 주요 도시 및 지역

프라이아가 위치한 섬이며 카보베르데에서 가장 큰 섬이다. 카보베르데 인구 절반이 이 곳에 거주하고 있고 카보베르데 농업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마이우섬(서쪽으로 4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과 포구섬(동쪽으로 5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 사이에 위치한다. 섬에서 가장 큰 도시는 프라이아이다. 섬 안에는 프라이아 국제공항이 위치한다.

수도이자 국가 최대 도시인 프라이아는 남동 해안에 있다. 섬 내 다른 도시로는 남해안의 시데데 베랴, 섬 중앙에 위치한 옛 수도 아소마다, 북부의 타하팔 등이 있다.

동부에는 포일랑 댐의 저수지와 해안의 석호를 포함하는 페드라 바데조 호수군이 있으며, 자주해오라기, 케이프베르데 섬 휘파람새, 장다리물떼새, 흰물떼새철새 또는 고유종 조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해안은 붉은바다거북의 산란지이기도 하다. 연안에서는 마름과 지고필룸속의 식생이 보이며, 내륙에서는 외래종인 메스키트 (식물)의 ''프로소피스 줄리플로라''가 우점종이 되고 있다. 2005년에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26]

3. 역사

73,000년 전 근처 포구 섬의 동쪽 면이 바다로 무너져, 높이 170m의 쓰나미가 산티아고를 강타했다.[2]

1460년, 안토니우 드 노리가 이 섬을 처음 방문했다. 다 노리는 1462년 가족과 알가르브와 알렌테주 출신의 포르투갈인들과 함께 ''리베이라 그란데''(현재 시드라데 벨하)에 정착했다.[3] 노예 무역이 중단되면서 경제 위기가 발생했고, 상비센테 섬의 민델루 항구가 프라이아를 제치고 가장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 천연 자원이 거의 없고 포르투갈로부터 지속적인 투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시민들은 식민 지배자들에게 점점 더 불만을 품게 되었지만, 식민 지배자들은 지역 당국에 더 많은 자율성을 제공하는 것을 거부했다.

시드라데 벨하의 사형주


카보베르데 산티아고섬 북부에 위치한 세라 말라게타 산맥


산티아고섬. 섬 내부와 동쪽 해안의 습한 기후는 남서쪽 해안의 건조한 기후와 대조를 이룬다


1831년 말, 박물학자 찰스 다윈이 탑승한 영국 해군의 비글호가 1832년 1월 16일에 본섬의 포르투 프라이아 항에 정박했다.[27]

3. 1. 노예 무역의 중심지

1460년 이탈리아 제노바 출신의 탐험가이자 항해사였던 안토니오 데 놀리(António de Noli)가 이 섬을 발견했으며 그 곳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 "히베이라그란드"(Ribeira Grande)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산티아구섬은 카보베르데에서 사람이 처음 살기 시작한 섬이 되었고 1462년에는 시다드벨랴가 건설되었다.

대륙을 횡단하는 노예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시다드벨랴는 당시 포르투갈이 보유하고 있던 식민지 가운데 2번째로 부유한 도시가 되었지만 포르투갈 외에도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 스페인 등이 노예 무역에 나서게 되면서 해적들이 급증하게 된다. 1712년에 시다드벨랴가 해적들의 공격을 받으면서 수도로서의 기능을 잃게 되었고 프라이아 평야 지대로 수도를 이전하게 된다.[27]

3. 2. 독립 투쟁과 카보베르데 독립

이 섬은 1460년경 안토니오 다 놀리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그는 시더데 베리야에 주둔지를 건설하고 리베이라 그란데라고 명명했다.[27] 대륙 횡단 노예 무역은 시더데 베리야를 포르투갈 식민지에서 두 번째로 부유한 도시로 만들었다.[27] 포르투갈 본국은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 스페인이 노예 무역을 인계받으면서 카보베르데 식민지를 지킬 수 없었고, 이후 섬은 해적에게 약탈당하게 되었다.[27] 1712년, 해적의 공격을 받은 시더데 베리야는 더 이상 수도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고, 프라이아 평원으로 수도가 이전되었다.[27] 포르투갈 식민지 조직으로 인해 섬의 인구는 불이익을 받았으며, 주민들은 아밀카르 카브랄과 기니비사우 및 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을 지지하여 1975년에 독립을 이루었다.[27] 산티아구섬은 크레올 문화에서의 회의 주최국을 여러 번 맡고 있다.[27]

4. 행정 구역

산티아구섬은 2005년부터 9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뉜다.[5] 이들은 프라이아, 리베이라 그란데 드 산티아구, 산타 카타리나, 산타 크루즈, 상 도밍고스, 상 로렌수 도스 오르강스, 상 미겔, 상 살바도르 두 문두, 타라팔이다.[5] 1834년 산타 카타리나 지방 자치 단체가 설립되기 전에는 하나의 지방 자치 단체였다.[6][7][8][9][10]

교구1834187219171971199419972005
상투 아마루 아바드SCSCTATATATATA = 타라팔
상 미겔 아르칸주SCSCTATATASMSM = 상 미겔
산타 카타리나SCSCSCSCSCSCSC = 산타 카타리나
상 살바도르 두 문두SCPRPRSCSCSCSSM = 상 살바도르 두 문두
상 주앙 바티스타SCPRPRPRPRPRRGST = 리베이라 그란데 드 산티아고
상티시무 노메 드 제수스PRPRPRPRPRPRRGST = 리베이라 그란데 드 산티아고
산티아고 마이오르PRPRPRSZSZSZSZ = 산타 크루즈
상 로렌수 도스 오르강스PRPRPRSZSZSZSLO = 상 로렌수 도스 오르강스
노사 세뇨라 다 그라사PRPRPRPRPRPRPR = 프라이아
노사 세뇨라 다 루즈PRPRPRPRSDSDSD = 상 도밍고스
상 니콜라우 톨렌티누PRPRPRPRSDSDSD = 상 도밍고스



기초 자치 단체행정부 소재지도시·거주지인구
(2010년)
면적
(km2)
인구 밀도
(명/km2)
교구
프라이아 기초 자치 단체(Praia Municipality)프라이아(Praia, 수도)프라이아131,719941,401노사 세뇨라 다 그라사
상도밍구스 기초 자치 단체(São Domingos Municipality)상도밍구스 시프라이아 바이쇼 마을13,808138100노사 세뇨라 다 루즈
Água de Gato|아구아 드 가토영어
Banana, Cape Verde|바나나영어
Rui Vaz|후이 바스영어
상 니콜라우 톨렌티누
산타 카타리나아소마다 시Ribeira da Barca|리베이라 다 바르카 마을영어
Boa Entrada|보아 엔트라다영어
Figueira das Naus|피게이라 다스 나우스영어
Rincão, Cape Verde|링캉영어
43,297213203산타 카타리나
상 살바도르 두 문두Picos, Cape Verde|피코스 시영어8,67730289상 살바도르 두 문두
산타 크루스Pedra Badejo|페드라 바데조 시영어Achada Fazenda|아차다 파젠다영어26,617110241산티아고 마이오르
상 로렌수 도스 오르간João Teves|조앙 테베스 시영어São Jorge (Santiago)|상 조르즈영어7,38839189상 로렌수 도스 오르강스
리베이라 그란데 드 산티아구시라데 베야 시João Varela, Cape Verde|조앙 바렐라영어8,32516450상티시무 노메 드 제수스
Porto Gouveia|포르투 고우베이아영어
Porto Mosquito|포르투 모스키투영어
Santana, Cape Verde|산타나영어
상 주앙 바티스타
상 미겔Calheta de São Miguel|칼리에타 데 상 미겔 시영어Achada Monte|아차다 몬테 마을영어
Principal, Cape Verde|프린시팔영어
15,64891171상 미겔 아르칸주
타라팔 기초 자치 단체(Tarrafal Municipality)Tarrafal, Cape Verde|타라팔 시영어Achada Tenda|아차다 텐다 마을영어
Ribeira da Prata|리베이라 다 프라타 마을영어
Chão Bom|샹 봉영어
Fazenda, Cape Verde|파젠다영어
Trás os Montes, Cape Verde|트라스 오스 몬테스영어
18,565112165상투 아마루 아바드


5. 인구

프라이아는 남동 해안에 위치해 있으며, 섬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카보베르데의 수도이다. 섬의 다른 도시로는 프라이아 서쪽에 있는 시데데벨랴(카보베르데 최초의 수도), 섬 중앙에 있는 아소마다, 북쪽에 있는 타라팔, 동쪽 해안을 따라 있는 페드라 바데주와 칼레타 데 상 미겔 등이 있다.[11]

1830년대에 산티아구 섬의 인구는 30,000명으로 추산되었다.[11] 산티아구 섬은 항상 카보베르데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섬이었다. 1975년 카보베르데 독립 이후 섬 인구는 두 배로 증가했다.[12] 2015년 섬의 인구는 294,135명이었고, 인구 밀도는 297km2였다.[5]

연도인구
1940년[12]77,382
1950년[12]59,397
1960년[12]88,587
1970년[12]128,782
1980년[12]145,957
1990년[12]175,691
2000년[12]236,352
2010년[13]273,919
2015년[5]294,135


6. 경제

프라이아가 위치한 섬이자 카보베르데에서 가장 큰 섬이다. 카보베르데 인구 절반이 이 곳에 거주하고 있으며, 카보베르데 농업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산티아구섬의 주요 산업은 농업, 관광업, 어업이며, 공업은 미미하다. 사탕수수, 옥수수, 바나나, 커피, 망고를 재배한다. 독립 이후 학교, 항만, 공항, 도로 등 인프라가 개선되었다.[2]

7. 교통

산티아구섬에는 프라이아 인근에 넬슨 만델라 국제공항이 운항하고 있다. 이 공항은 2017년에 662,356명의 승객을 기록하며 살섬의 아밀카 카브랄 국제공항에 이어 카보베르데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공항이다.[14]

산티아구섬의 주요 항구는 프라이아에 있는 프라이아 항구이다. 2017년에는 817,845 미터톤의 화물과 85,518명의 여객을 처리하여 상비센트섬의 포르투 그란데 만에 이어 카보베르데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다.[15] 프라이아 항구에서 브라바섬, 포구섬, 상니콜라우섬, 상비센트섬, 마이우섬, 보아비스타섬살섬으로 가는 페리 연결편이 있다.[16] 타라팔, 시다데 벨랴, 페드라 바데주, 칼레타 데 상미겔을 포함하여 해안을 따라 여러 개의 작은 어항이 있다.

산티아구섬에는 417km의 국도가 있으며, 이 중 167km는 1등급 도로이다.[17] 이 외에도 여러 시[18] 및 지방 도로가 있다. 1등급 국도는 다음과 같다.

번호[19][20]경로
EN1-ST01프라이아 - 상도밍고스 - 주앙 테베스 - 아소마다 - 타라팔
EN1-ST02리베이랑 치케이로 - 페드라 바데조 - 칼레타 드 상미구엘 - 아차다 몬테 - 타라팔 (타라팔 우회도로)
EN1-ST03주앙 테베스 - 아차다 파젠다
EN1-ST04보아 엔트라다 - 칼레타 드 상미구엘
EN1-ST05서 프라이아 - 상 마르티뉴 그란데 - 시라데 벨랴
EN1-ST06서 프라이아 - 북 프라이아 - 프라이아 공항 - 프라이아 항구(프라이아 순환 도로)



프라이아 시내 대중교통은 SolAtlântico사의 시내 버스가 제공한다. 도시 간 대중교통은 합승 택시와 미니버스가 제공한다. 2015년에는 EcobusCV라는 프로젝트가 프라이아와 아소마다 사이에서 폐식용유/디젤을 혼합한 연료를 사용하는 미니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했으나, 2016년 11월에 운행이 중단되었다.[21]

8. 교육

산티아구섬에는 카보베르데 대학교(프라이아, 아소마다 및 상 조르제), 장 피아제 카보베르데 대학교(프라이아), 산티아구 대학교(아소마다, 프라이아 및 타라팔), 경제 및 경영 과학 고등 연구소(프라이아), 법률 및 사회 과학 고등 연구소(프라이아), 카보베르데 루소포나 대학교(프라이아) 등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운영되고 있다.[22] 도밍고스 라모스 고등학교는 프라이아에 있는 공립 중등학교이며, 카보베르데 국립 도서관 또한 프라이아에 위치해 있다.

9. 자연

산티아구섬은 카보베르데 섬 중에서 가장 다양한 동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육상 생물 1,915종이 확인되었고, 그 중 289종이 고유종이다.[23] 카보베르데에서 가장 산림이 많은 섬으로, 면적의 38%가 숲으로 덮여 있다.[23] 섬의 유일한 보호 구역은 세라 두 피쿠 드 안토니아와 세라 말라게타 자연 공원이며,[24] 섬 면적의 3.68%를 차지한다.[23]

산티아구섬의 멸종 위기에 처한 고유종은 다음과 같다.[25]

멸종 위기 고유종
분류
식물Campanula bravensis, Campylanthus glaber, Conyza feae, Conyza pannosa, Diplotaxis varia, Echium hypertropicum, Limonium lobinii, Micromeria forbesii, Sonchus daltonii, Umbilicus schmidtii
동물Chioninia vaillantii, Tarentola rudis



산티아구섬은 마이우섬포구섬 사이에 위치한 소타벤토 제도(풍하 제도)의 하나이다. 섬은 산이 많으며, 안토니아산이나 말라게타산처럼 해발 1,000미터가 넘는 산봉우리도 있다. 섬의 남동부는 약간 평탄하다. 내륙부와 동해안의 습한 기후와 남서 해안에서 남해안의 건조한 기후가 대조적이다.

동부에는 Poilão Dam|포일랑 댐영어저수지와 해안의 석호를 포함하는 Lagoas de Pedra Badejo|페드라 바데조 호수군영어이 있다. 이곳에는 자주해오라기, Cape Verde warbler|케이프베르데 섬 휘파람새영어, 장다리물떼새, 흰물떼새철새 또는 고유종 조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해안은 붉은바다거북의 산란지이기도 하다. 연안에서는 마름과 Zygophyllum|지고필룸속영어식생이 보이며, 내륙에서는 외래종인 Mesquite|메스키트영어의 Prosopis juliflora|''Prosopis juliflora''영어가 우점종이 되고 있다. 2005년에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26]

10. 스포츠

산티아구섬에서는 축구, 농구, 배구, 육상, 풋살, 운동 경기를 포함한 다양한 스포츠가 행해지고 있다. 섬에는 산티아구 북부와 산티아구 남부 두 개의 축구 협회가 있으며, 각각 자체 대회를 개최한다. 산티아구섬은 이 나라에서 가장 많은 주요 스포츠 단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프라이아의 바르제아 경기장, 아소마다의 쿰벵 경기장, 타라팔의 망게 경기장, 페드라 바데조의 경기장, 칼레타 데 상 미겔의 칼레타 경기장이 이에 포함된다.

참조

[1] 웹사이트 Cidade Velha, Historic Centre of Ribeira Grande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2011-07-08
[2] 웹사이트 Island boulders reveal ancient mega-tsunami http://www.nature.co[...] 2015-10-06
[3] 간행물 Valor simbólico do centro histórico da Praia http://hdl.handle.ne[...] Universidade Portucalense 2008
[4] 웹사이트 Centre historique de Praia https://whc.unesco.o[...] UNESCO
[5] 간행물 Cabo Verde, Statistical Yearbook 2015 http://ine.cv/wp-con[...]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Cape Verde)
[6] 간행물 Evolução histórica do Concelho de Santa Catarina (1834 – 1912) http://www.portaldoc[...] 2005
[7] 웹사이트 History http://www.cmt.cv/in[...] Municipality of Tarrafal
[8] 간행물 Picos: a terra e a gente http://www.portaldoc[...] ISE 2005
[9] 간행물 Conselho de Santa Cruz. Inventário dos recursos turísticos http://www.caboverde[...]
[10] 간행물 Legislação municipal Cabo-Verdiana http://www.interface[...]
[11]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http://www.wdl.org/e[...] Harper & Brothers
[12] 웹사이트 Statoids http://www.statoids.[...]
[13] 웹사이트 2010 Census Summary http://ine.cv/censo_[...]
[14] 웹사이트 Boletim Estatístico de Tráfego – Ano 2017 https://www.asa.cv/w[...] ASA 2018-01
[15] 웹사이트 Statistics Port Praia http://www.enapor.cv[...] ENAPOR 2017-12
[16] 웹사이트 Cabo Verde Fast Ferry's website http://www.cvfastfer[...]
[17] 간행물 Anuário Estatístico 2016 http://ine.cv/wp-con[...]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Cape Verde)
[18] 간행물 Decree-Law 54/2015 http://www.ie.cv/ima[...] 2015-10-01
[19] 간행물 Classification of National Roads https://www.governo.[...] Instituto de Estradas
[20] 간행물 Ilha de Santiago, Rede rodoviária http://www.ie.cv/ima[...] Instituto de Estradas
[21] 뉴스 Ecobus suspende rota Praia/Assomada/Praia https://expressodasi[...] 2016-11-07
[22] 웹사이트 Cape Verde https://whed.net/res[...] World Higher Education Database
[23] 간행물 Estatísticas do Ambiente - 2016 http://ine.cv/wp-con[...]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Cape Verde)
[24] 간행물 Resolução nº 36/2016 http://extwprlegs1.f[...] Estratégia e Plano Nacional de Negócios das Áreas Protegidas
[25] 웹사이트 IUCN Red List Search http://www.iucnredli[...]
[26] 웹사이트 Lagoa de Pedra Badejo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6-11-18
[27] 서적 ダーウィン 創元社 2001
[28] 웹사이트 Statoids http://www.statoids.[...]
[29] 웹사이트 2010 Census Summary http://ine.cv/censo_[...]
[30] 간행물 Cabo Verde, Statistical Yearbook 2015 http://ine.cv/wp-con[...] Instituto Nacional de Estatística (Cape Ver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